KR20020018968A -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968A
KR20020018968A KR1020010053884A KR20010053884A KR20020018968A KR 20020018968 A KR20020018968 A KR 20020018968A KR 1020010053884 A KR1020010053884 A KR 1020010053884A KR 20010053884 A KR20010053884 A KR 20010053884A KR 20020018968 A KR20020018968 A KR 20020018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tank
booth
recycling system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네쓰요시
스에요시준이치
오쓰다카히토
Original Assignee
후지이 히로시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이 히로시, 닛본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이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20018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9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05C19/06Storage, supply or control of the applic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Recovery of excess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2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and separating the excess material from the washing liquid, e.g. for recovery
    • B05B14/46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and separating the excess material from the washing liquid, e.g. for recovery by means of 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2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and separating the excess material from the washing liquid, e.g. for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에서, 도장중인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를 이동하는 액체의 액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물질수지의 균형을 유지하며, 또한 재사용시에 조성분석이 불필요하고, 안정한 도료 조성의 재생 도료가 얻어지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막식 도장 부스에서 피도물에 도착(塗着)되지 않은 오버스프레이 도료를 수막(water curtain)에 의해 회수하고 이를 부스 순환수조를 통하여 포집액으로서 농축조로 급송시켜 농축 도료와 여액으로 분리하고, 수득된 농축 도료를 수성 도료로서 스프레이 도장에 재사용하는 조작을 연속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및 스프레이 도장중에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량의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OPERATION MANAGEMENT METHOD IN A RECYCLING SYSTEM OF WATER PAINT}
본 발명은, 수성 도료를 도장한 후 회수하고 재이용하기까지의 사이클을 안정하고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성 도료는 공업제품의 도장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수성 도료는 도장시에 피도물에 부착되지 않은 도료(오버스프레이 도료)를 물로 회수하여 여과·농축시킨 후, 이를 도료로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도료 폐기물의 발생 없이 자원의 효과적인 재이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특히 주목되어 왔다. 또한, 여액이 물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대기 오염 등의 문제점이 없는 등의 이점도 갖는다.
종래의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을 이용한 수성 도료의 재이용 방법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3-228422 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에,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3-228422 호에 기재된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하였다. 도 3에 있어서, 취부실(吹付室)(201) 내에서 수성 도료(220)를 도장 건(202)으로부터 도장할 때에, 피도물(250)에 도착(塗着)되지 않은 스프레이 도료(소위, 오버스프레이 도료)(204)는 수성 세정용 액으로 이루어진 수막(203)으로 회수된다. 회수된 도료를 포함하는 액체의 일부를 예비 필터(207)를 통해 한외 여과장치(208)로 급송시켜 여액(213)과 농축 도료(214)로 분리한다. 여기에서, 여액(213)은 수성 세정 용액으로서 재사용시켜 얻는다. 농축 도료(214)는 몇 번이고 한외 여과장치(208)에 급송되어 농축된다. 여기에서 얻어진 농축 도료(214)를 재사용하기 전에 농축 도료(214)의 일부를 채취하여 조성을 분석하여 수성 도료에 배합되는 각 성분의 보충량을 각각 계산한 후, 그 성분들을 혼합하여 보충용 농축액(209)으로 하고, 그것을 보충장치(210) 내에서 농축 도료(214)에 첨가하여 도료 조성을 조정해야 한다. 조정후의 도료(즉, 재생 도료)(211)는 수성 도료로서 스프레이 도장에 재사용된다.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을 일정기간 가동시킨 후 도장을 중지시키면, 보통 스프레이 도장시에 피도물(250)에 도착되지 않고 비산하여 도장 부스(1) 내부의 벽면 등에 부착된 수성 도료(220)가 건조되고 고화하여 부유물이나 수불용물로서 잔존할 수 있다. 이러한 부유물 또는 수불용물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종래의 리사이클 시스템에서는 스프레이 도장의 정지시에 물이나 경우에 따라 부스 순환수(206)를 사용하여 도장 부스를 세정하지만, 이것에 의해 부스 순환수(206)의 양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로서 후속의 분리농축 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장시간화하는 경우가 있었다. 반대로, 도장 부스(201)의 세정에 사용할 수 있는 부스 순환수(206)가 지나치게 적으면, 부유물 또는 수불용물이 충분히 방지되지 않고 예비 필터(207) 또는 한외 여과장치(208)의 막힘을 야기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했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93-228422 호에는 재생 도료의 조정시에 이러한 부유물 또는 수불용물의 발생에 의해 손실된 수성 도료중의 고체성분(즉, 비휘발 성분)이나 증발에 의해 손실된 수성 도료중의 비교적 저분자량의 휘발 성분이나 물 등을 보충하기 위해서, 농축 도료(214)의 조성분석을 수행하고 그 분석결과로부터 재이용을 위해 보충해야 할 각 성분의 양을 산출하여 조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료의 조성분석이나 그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각 도료성분의 보충은, 수성 도료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또한 재생 도료의 조정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장시간화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비효율적인 방법이었다.
추가적으로, 이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포함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도장 작업중인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수성 도료, 수성세정용 액이나 여액 및 농축 도료의 액량이 완전히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통합적인 물질수지의 균형이 유지되지 않고, 그 결과 리사이클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안정되게 운전(가동)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에 있어서, 스프레이 도장중인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체의 액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물질수지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으로 회수되어 분리농축된 농축 도료를 재이용을 위해 조정할 때에, 조성분석이나 보충성분의 계산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안정한 도료 조성의 재생 도료를 얻음으로써 조성분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운전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성 도료 재이용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양태에 따르는 수성 도료의 재이용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수성 도료 재이용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부호의 설명
1, 201···도장 부스, 2, 202···도장 건(gun),
3, 203···수막, 4···오버스프레이 도료,
5, 205···부스 순환수조, 6, 206···부스 순환수,
7···농축조, 8···포집액,
9, 208···한외 여과장치, 10···여액조,
11, 213···여액, 12···도료 탱크,
13, 214···농축 도료, 14···세정 탱크,
15···침전 탱크, 20, 220···수성 도료,
50, 250···피도물, 207···예비 필터,
209···보충용 농축액, 210···보충장치,
211···재생 도료, 25···도료미스트 비산방지 필터.
본 발명자들은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내부를 이동하는 수성 도료나 부스 순환수 및 이들로부터 파생되는 각 용액의 용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물질수지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종래 방법에 알려져 있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수막식 도장 부스에서 수성 도료를 피도물에 스프레이 도장하고, 사용된 오버스프레이 도료중 미도착된 부분을 수막으로 회수하고 이를 부스 순환 수조를 통하여 포집액으로서 농축조로 급송시키고, 상기 포집액을 한외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농축 도료와 여액으로 분리함으로써 수득된 농축 도료를 도료 탱크로 이송시켜 필요에 따라 배출시켜 조정한 후, 수성 도료로서 스프레이 도장에 재사용하는 조작을 연속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에 있어서, 스프레이 도장중에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량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액량이란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체의 용량을 지칭하며, 구체적으로는 부스 순환수의 양, 여액량, 농축조 내부의 포집액량 및 도료 탱크 내부의 농축 도료의 양을 들 수 있고, 또한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배관(라인) 내에 존재할 수 있는 각종 액체의 양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프레이 도장중에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량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부스 순환수조 내부의 부스 순환수 용량(Vw), 여액조 내부의 여액 용량(Vx), 농축조 내부의 포집액 용량(Vy) 및 도료 탱크 내부의 농축 도료 용량(Vz)의 합계(Vw+ Vx+ Vy+ Vz)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하는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이 부스 순환수조와 농축조 사이에 부스 순환수를 저장하는 침전 탱크(15)와 여액조로부터 배출된 여액을 저장하기 위한 세정 탱크(1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스프레이 도장중에 침전 탱크(15) 내부의 부스 순환수 용량(Vs) 및 세정 탱크(14) 내부의 여액 용량(Vt)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량의 합계(Vw+ Vx+ Vy+ Vz+ Vs+ Vt)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그 리사이클 시스템에서의 운전관리를 위한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에 있어서, 수성 도료(20)는 수막식 도장 부스(1)에서 도장 건(2)으로부터 피도물(50)에 스프레이 도장되고, 상기피도물(50)에 도착되지 않은 오버스프레이 도료(4)는 부스 순환수(6)를 포함하는 수막(3)에 의해 회수된다. 회수된 도료는 부스 순환수조(5)로부터 포집액(8)으로서 농축조(7)로 급송된다.
필요에 따라, 이 포집액(8)을 한외 여과장치(9)에 통과시켜 여액(11)를 분리시키고 잔액을 다시 농축조(7)로 회수하고, 또한 몇 번 더 한외 여과장치(9)를 통과시켜 농축시켜, 이로써 얻어지는 농축 도료(13)를 도료 탱크(12)에 옮겨 저장한다.
분리된 여액(11)은 여액조(10)에 저장한다. 도료 탱크(12)에 저장된 농축 도료(13)를 바람직하게 조정하여 재생 도료가 되게 한 후, 이것을 수성 도료(20)로서 수막식 도장 부스(1)에서의 스프레이 도장에 재사용한다.
본 발명은, 리사이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 스프레이 도장중인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를 이동하는 액체의 통합적인 물질수지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을 요건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프레이 도장중에, 예컨대 도 1의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량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부스 순환수조 내부의 부스 순환수 용량을 Vw로, 여액조 내부의 여액 용량을 Vx로, 농축조 내부의 포집액 용량을 Vy로, 도료 탱크내부의 농축 도료 용량을 Vz로 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도장중에, 이들 액량의 합계(Vw+ Vx+ Vy+ Vz)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이, 부스 순환수조와 농축조 사이에 부스 순환수를 저장하는 침전 탱크(15)와 여액조로부터 배출된 여액을 저장하기 위한 세정 탱크(1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침전 탱크(15) 내부의 부스 순환수 용량을 Vs로 하고 세정 탱크(14) 내부의 여액 용량을 Vt로 하여, 스프레이 도장중에 이들의 용량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량의 합계(Vw+ Vx+ Vy+ Vz+ Vs+ Vt)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건을 달성하는 순서로 바람직한 양태를 설명한다.
제 1 양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건을 달성하는 제 1 양태는,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을 일정기간 가동시킨 후 및 스프레이 도장의 정지시에, 도장 부스 내부의 세정에 필요한 양의 여액을 여액조로부터 도장 부스로 급송시켜 상기 도장 부스 내부를 세정한 후, 부스 순환수조 내부의 부스 순환수를 농축조로 급송시키고, 이어서 스프레이 도장을 재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도장 부스로의 여액의 이송의 예로는, 부스 순환수조로 보내는 경우, 및 부스 세정용 배관으로 직접 보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도장 부스 내부의 세정에는 수막에 의한 통상적인 세정 외에, 도장 부스 내면의 세정도 포함된다.
이 제 1 양태는, 시스템 내(즉,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액체를 동일한 시스템 내에서 이동시킬 뿐이므로, 존재할 수 있는 액체의 액량 합계(즉, 상기 합계= Vw+ Vx+ Vy+ Vz+ Vs+ Vt)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공정도를 사용하여 이 제 1 양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양태의 구체예에서는, 예컨대 고체 함량 30 내지 60%의 수성 도료(20)를 사용하여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을 일정 기간 가동시킨 후, 스프레이 도장의 정지시에 적당량의 여액(11)을 도장 부스(1)로 급송시킨다. 이로써 증량된 부스 순환수(6)를 수막(3)으로서 사용하여 부스 내부를 세정하고, 이어서 부스 순환수를 농축조로 급송시킨 후, 스프레이 도장을 재개한다.
스프레이 도장의 재개에 의해, 부스 순환수조(5)내에서의 부스 순환수(6)의 증발이 발생하기 전 또는 증발량이 적은 시점에서, 먼저 도장 부스(1)로 보내진 여액(11)의 양과 거의 동량의 부스 순환수(6)를 농축조(7)로 급송시킨다. 그 후, 필요한 여액을 얻기 위해서, 농축조(7) 내부의 포집액(8)을 한외 여과장치(9)로 급송시켜, 비휘발부의 농도를 약 0.5 내지 약 30%까지 농축하는 동시에, 필요한 양의 여액이 얻어진다. 그 후, 포집액(8)을 고체 함량 25 내지 60% 정도까지 더욱 농축함으로써 농축 도료(13)가 얻어진다. 이 농축 도료(13)를 도료 탱크(12)에 옮겨 저장한다. 여액조(10) 내부의 여액(11)은 필요에 따라 적당량을 배출하고 세정 탱크(14)에 저장한다. 이 세정 탱크(14) 내부의 여액은 한외 여과장치(9)를 세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 후, 농축 도료(13)는 필요에 따라 배출시켜 재이용을 위해 조정한다.
제 2 양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 양태로서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을 일정 기간 가동시킨 후 및 스프레이 도장의 정지시에, 특정량의 여액을 여액조로부터 부스 순환수조로 급송시켜 부스 내부를 세정한 후, 스프레이 도장을 다시 시작하고, 이어서 농축조에, 스프레이 도장시에 증발 등에 의해 손실된 부스 순환수 등의 양에 상당하는 양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량의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양태 2에서는,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을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시스템 내에서 손실된 용량과 동량의 물을 시스템 밖에서 보충함으로써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내에 존재할 수 있는 액량의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 제 2 양태에서는, 상기 제 1 양태와 같이 적당량의 여액(11)을 여액조(1O)에서 부스 순환수조(5)로 급송시킨 후, 스프레이 도장을 재개한다. 이 때, 부스 순환수조(5)내에는, 여액조(10)로부터 급송된 여액(11)의 양만 증량시킨 부스 순환수(6)가 존재하지만, 시스템 내부의 액량 합계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후,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을 가동시키는(예컨대, 부스 순환수(6)를 수막(3)으로서 이용하여 스프레이 도장을 하는 등) 것에 의해, 부스 순환수(6) 등의 액체 중의 물이나 용매가 증발하여, 시스템 내부의 액량 합계가 감소된다. 그 후, 시스템 내부의 액체의 합계에 아무런 보충도 행하지 않은 포집액을 한외 여과장치에 의해 분리·농축하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농축 도료 및 여액의 각 조성이 변화되게 된다. 즉, 물의 증발에 의해 액량 합계가 감소하고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용해 성분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재생되는 농축 도료의 각 조성치가 제어치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는, 한외 여과장치(9)로 포집액(8)을 분리·농축하기 전에 증발 등에 의한 액체의 감소량과 동량의 물을 농축조(7)에 공급함으로써 시스템 내부의 물질 수지를 일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농축 도료 및 여액의 조성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농축조(7)에의 급수 후, 포집액(8)을 한외 여과장치(9)에 의해 분리·농축시켜 농축 도료(13)가 얻어지고,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이 농축 도료(13)는 조정된 후에 수성 도료로서 재이용된다.
예컨대,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에 있어서 고체 함량 30 내지 60%의 수성 도료(20)를 사용하는 경우, 이 리사이클 시스템을 일정기간 가동시킨 후, 스프레이 도장의 정지시에 적당량의 여액(11)을 부스 순환수조(5)로 급송시킨다. 이것에 의해 증량된 부스 순환수(6)을 수막(3)으로서 사용하여 스프레이 도장을 시작한 후, 회수된 포집액(8)을 분리·농축하기 전에 시스템 내부의 액체의 액량 합계가 일정량 이하이면, 그 부족량분의 물을 농축조(7)로 공급하여 시스템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액량의 합계(즉, 상기 합계= Vw+ Vx+ Vy+ Vz+ Vs+ Vt)를 일정량이 되게 한 후, 포집액(8)의 분리·농축을 한다. 그 후, 고체 함량 40 내지 60% 정도의 농축 도료(13)를 얻을 때까지 농축하고, 이어서 농축 도료(13)를 도료 탱크로 이송시켜 재이용을 위해 필요에 따라 분배가능하도록 조정한다. 그 후, 여액조(10) 내부의 여액(11)은 상기 실시 양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한외 여과장치(9)를 세정하기 위해서 적당량을 배출하고 세정 탱크(14)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물 또는 용액의 증발 등에 의해서 시스템 내부(즉,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로부터 손실된 액체의 감소량을 보충하여 시스템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액량의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제 2 양태에서의 한외 여과장치(9)로 포집액(8)을 분리·농축하기 전에 농축조(7)에 급수하는 대신에 스프레이 도장의 재개시에 상기 부스 순환수조에 급수하거나 상기 두 조작을 병행할 수 있다.
상기 부스 순환수조에의 급수는, 예컨대 부스 순환수조(5)에 액위 센서 및 그 액위 센서와 연결하여 작동할 수 있는 급수 설비를 설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프레이 도장의 재개시에, 부스 순환수조(5)내부의 부스 순환수(6)가 증발 등에 의해 감소하여 액위가 특정한 수준 이하로 된 경우, 액위 센서가 작동하여 부스 순환수(6)의 양이 특정한 액위가 되도록 급수 설비로부터 부스 순환수조(5)내로 급수시키고, 그 결과 리사이클 시스템내에서의 물질 수지(즉, 액량의 합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부스 순환수조로의 급수는 부스 순환수조(5) 내부의 부스 순환수(6)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수막으로서 이용되는 부스 순환수(6)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부유물 또는 수불용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속의 한외 여과장치에서의 분리·농축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의도적으로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효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양태 둘 다에 있어서 재이용을 위해 도료 탱크로부터 배출된 농축 도료의 도료 조성을 스프레이 도장에 사용되는 원래의 수성 도료 그 자체 및/또는 휘발 성분을 농축 도료에 첨가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성 도료는 도막 성분인 비휘발 성분(즉, 바인더 수지, 안료, 첨가제 등을 포함한다), 미량의 휘발 성분(물 이외의 용제나 계면활성제 등의 조제)및 물로부터 구성된다.
종래 방법에서는 농축 도료의 조성분석 결과로부터 각 도료 조성의 보충량을 산출하여 조정했었지만, 이 작업은 장시간화하는 경우가 있어서 비효율적이었다. 그러나, 한외 여과장치에 의해 도장시의 고체 함량까지 어느 정도 농축된 농축 도료이면 극미량인 휘발 성분까지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그 조성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물을 보충하고 추가로 비휘발 성분을 도료 배합으로 보충함으로써 조정이 충분히 달성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으로서는, 이러한 종래 방법에서의 번거롭게 시간이 걸리는 조정을 하지 않고, 농축 도료에 원래의 수성 도료 그 자체를 적당량으로 첨가하거나, 증발된 휘발 성분을 적당량 첨가하기도 하고, 도착에 의해 손실된 비휘발 성분뿐만 아니라 부스 순환수조 내에서 비산하여 증발되어 손실된 휘발 성분이나 물 등도 동시에 보충함으로써 재이용을 위한 농축 도료의 조성분석이나 보충해야 할 성분의 양을 계산할 필요가 없고, 종래 방법보다도 간단한 방법으로 농축 도료를 조정하여 재이용할 재생 도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사용하는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설비 및 장치(즉, 수막식 도장 부스(1), 도장 건(2), 부스 순환수(6) 및 부스 순환수조(10 및 12), 및 한외 여과장치(9) 등)는 상기 부스 순환수조를 제외하고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사용되고 있는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스 순환수조 및 농축조에 공급되는 물은, 리사이클 시스템내로의 쓰레기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온 교환수 또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운전관리방법으로 시스템내부의 각 조 내부의 액체의 이동과 액체의 증발에 의한 손실을 고려하면서 도장중인 액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일정량으로 유지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물질 수지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에 있어서 도장 후에 회수된 농축 도료를 재이용을 위해 조정하는 공정에서 회수 후의 농축 도료에 각 도료성분을 조성 분석하여 보충하지 않고, 원래의 수성 도료 그 자체 및/또는 휘발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종래 방법에서는 비효율적이던 재생 도료를 보다 용이하고 자원 활용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6)

  1. 수막(water curtain)식 도장 부스에서 수성 도료를 피도물에 스프레이 도장하고, 사용된 오버스프레이 도료중 미도착(未塗着) 부분을 수막으로 회수하고 이를 부스 순환수조를 통하여 포집액으로서 농축조로 급송시키고, 상기 포집액을 한외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농축 도료와 여액으로 분리함으로써 수득된 농축 도료를 도료 탱크로 이송시켜 필요에 따라 배출시켜 조정한 후, 수성 도료로서 스프레이 도장에 재사용하는 조작을 연속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에 있어서,
    스프레이 도장중에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량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도장중에 부스 순환수조 내부의 부스 순환수 용량(Vw), 여액조 내부의 여액 용량(Vx), 농축조 내부의 포집액 용량(Vy) 및 도료 탱크 내부의 농축 도료 용량(Vz)의 합계(Vw+ Vx+ Vy+ Vz)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성 도료의 리사이클 시스템이 부스 순환수조와 농축조 사이에 부스 순환수를 저장하는 침전 탱크와 여액조로부터 배출된 여액을 저장하기 위한 세정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스프레이 도장중에 침전 탱크 내부의 부스 순환수 용량(Vs) 및 세정 탱크 내부의 여액 용량(Vt)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량의 합계(Vw+ Vx+ Vy+ Vz+ Vs+ Vt)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리사이클 시스템을 일정기간 가동시킨 후 및 스프레이 도장의 정지시에, 여액조로부터 도장 부스로 도장 부스 내부의 세정에 필요한 양의 여액을 급송시켜 상기 도장 부스 내부를 세정하여 부스 순환수조 내부의 부스 순환수를 농축조로 급송시킨 후 스프레이 도장을 재개함으로써,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량의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리사이클 시스템을 일정기간 가동시킨 후 및 스프레이 도장의 정지시에, 여액조로부터 도장 부스로 도장 부스 내부의 세정에 필요한 양의 여액을 급송시켜 상기 도장 부스 내부를 세정한 후 스프레이 도장을 재개하고, 이어서 농축조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리사이클 시스템 내부의 액량 합계를 일정량으로 유지시키는 수성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축 도료에 수성 도료 및 휘발 성분을 첨가하여 조정한 후, 이를 수성 도료로서 재이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KR1020010053884A 2000-09-04 2001-09-03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KR20020018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7340A JP2002079153A (ja) 2000-09-04 2000-09-04 水性塗料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における運転管理方法
JPJP-P-2000-00267340 2000-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68A true KR20020018968A (ko) 2002-03-09

Family

ID=1875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884A KR20020018968A (ko) 2000-09-04 2001-09-03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81436B2 (ko)
EP (1) EP1184086A3 (ko)
JP (1) JP2002079153A (ko)
KR (1) KR20020018968A (ko)
CN (1) CN1341490A (ko)
TW (1) TW5927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84A (ko) * 2002-05-24 2003-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러지 포집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895A (ja) * 2001-08-08 2003-02-18 Nippon Paint Co Ltd 水性中塗り塗料のリサイクル方法
US20030177902A1 (en) * 2002-03-25 2003-09-25 John M. Spangler Water wash system and process for industrial painting operations
US7860704B2 (en) * 2006-12-13 2010-12-28 Microsoft Corporation Lexicon-based content correlation and navigation
JP4896917B2 (ja) * 2008-04-04 2012-03-14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膜濾過システム及び膜濾過システムの運転方法
US8058059B2 (en) 2009-03-11 2011-11-15 Daly Lewis J Bio-wall
DE102010033711A1 (de) * 2010-08-06 2012-02-09 Eisenmann Ag Im Umluftbetrieb arbeitende Lackieranlage
US8550030B2 (en) * 2011-06-02 2013-10-08 Nike, Inc. Overspray reclaiming system
US9527097B2 (en) 2013-11-05 2016-12-27 Torrent Systems Llc Spray coating system and method
CN104475291B (zh) * 2014-12-19 2016-08-24 江苏新阪神太阳能有限公司 漆雾除漆装置
JP6173399B2 (ja) * 2015-09-24 2017-08-02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ブース
US20200032082A1 (en) * 2018-07-27 2020-01-30 Huzaifa Hatimbhai Matawala Oil paints recycl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5914A1 (de) 1972-11-15 1974-05-30 Franz Schlapp Ohg Holzbearbeit Verfahren zum wiederverwenden des am werkstueck vorbeigegangenen spritzgutes bei automatischen spritzanlagen
DE3332457C2 (de) 1983-09-08 1986-06-05 Wolfgang Dipl.-Ing. 8941 Memmingerberg Richter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von Lackiermaterial aus dem beim Spritzlackieren entstehenden Overspray und 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3428300C2 (de) 1984-08-01 1993-10-14 Eisenmann Kg Maschbau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von Wasserlacken
US5393390A (en) * 1991-05-08 1995-02-28 Akzo Nobel Nv Treatment and recycling of overspray from the spray application of waterborne coatings
DE4133130A1 (de) 1991-10-05 1993-04-08 Herberts Gmbh Verfahren zur rueckgewinnung des oversprays von waessrigen ueberzugsmitteln beim spritzauftrag in spritzkabinen
DE4202539A1 (de) 1992-01-30 1993-08-05 Duerr Gmbh & Co Rueckgewinnungsanlage fuer wasserlackueberschuss
DE4207383A1 (de) * 1992-03-09 1993-09-16 Herberts Gmbh Verfahren zur rueckgewinnung des oversprays von waessrigen ueberzugsmitteln beim spritzauftrag in spritzkabinen
DE4213671A1 (de) 1992-04-25 1993-10-28 Herberts Gmbh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des Oversprays von wäßrigen Überzugsmitteln beim Spritzauftrag in Spritzkabinen
DE4406952A1 (de) * 1994-03-03 1995-09-07 Bayer Ag Verfahren zur Aufkonzentration von Lackoverspray
US6127001A (en) 1997-05-13 2000-10-03 Nippon Paint Co., Ltd. Recyclable cold curing aqueous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cycling it
EP0901988A1 (de) 1997-08-27 1999-03-17 PPG Industries Lacke GmbH Verfahren zur Aufbereitung des Umlaufwassers aus Spritzkabinen mit Nassauswaschung
JP3075710B2 (ja) * 1998-09-02 2000-08-14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常温硬化型水性塗料組成物の再利用方法
JP2001334188A (ja) * 2000-05-26 2001-12-04 Nippon Paint Co Ltd 水性塗料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84A (ko) * 2002-05-24 2003-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러지 포집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4086A2 (en) 2002-03-06
US6881436B2 (en) 2005-04-19
TW592792B (en) 2004-06-21
EP1184086A3 (en) 2002-12-18
CN1341490A (zh) 2002-03-27
US20020028299A1 (en) 2002-03-07
JP2002079153A (ja) 200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8968A (ko) 수성 도료 리사이클 시스템의 운전관리방법
US5701922A (en) Water-based flushing for paints and other coatings
JPH067718A (ja) 吹付室における吹付作業の間の水性塗料のスプレーしぶきの回収方法
FI106616B (fi) Menetelmä ympäristöä säästävään värinruiskutuslakkaukseen käytettäessä veteen dispergoituvaa, uunikuivattavaa lakkaa
JPH0655134A (ja) 吹付室での吹付塗装の間に水性塗料のスプレーしぶきを回収する方法
EP0652912B1 (en) Method for removing and recovering paint overspray in a water wash spray booth
US5836321A (en) Process of recycling a water laden solvent which was used to purge a point supply line of a paint sprayer
JP3378596B2 (ja) 吹付室で使用された水性塗料からスプレーしぶきを回収する方法
US5854190A (en) Water-based flushing for paints and other coatings
AU737712B2 (en) Method for treating circulating water from an enamelling line
JP2002079154A (ja) 水性塗料リサイクルシステムにおけるブース循環水管理方法
US6497751B2 (en) Water-based paint recycling method
JP2005125273A (ja) オーバースプレー塗料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H1147653A (ja) シャワーコート塗装システム
JP2002248387A (ja) 水性塗料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におけるブース循環水中の溶剤濃度管理方法
JPH0871488A (ja) 塗料回収再利用方法
JP3306070B2 (ja) ブース循環水の泡抑制方法
JPH1199349A (ja) 水洗式塗装ブース
JP5357455B2 (ja) 被塗装体洗浄システムおよび被塗装体の洗浄方法
JP2001219117A (ja) 水性塗料による塗装方法
HU217955B (hu) Berendezés tárgyaknak vizes lakkfestékkel való környezetbarát bevonására
JP2003220356A (ja) 水性塗料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システム
JP2002066410A (ja) 水性塗料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異物除去方法
JP2004298771A (ja) 塗装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る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