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860A -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860A
KR20020016860A KR1020017016800A KR20017016800A KR20020016860A KR 20020016860 A KR20020016860 A KR 20020016860A KR 1020017016800 A KR1020017016800 A KR 1020017016800A KR 20017016800 A KR20017016800 A KR 20017016800A KR 20020016860 A KR20020016860 A KR 20020016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al
myocarditis
diol
propane
octyl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251B1 (ko
Inventor
아키라 마츠모리
Original Assignee
아키라 마츠모리
가마꾸라 아끼오
웰파이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키라 마츠모리, 가마꾸라 아끼오, 웰파이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키라 마츠모리
Publication of KR20020016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러스의 종류에 관계없이 여러 가지 장기에 있어서 세포 상해의 발생을 예방 및 치료함으로써 바이러스성 심근염 및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MEDICIN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VIRAL MYOCARDITIS}
종래,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에는 바이러스 백신이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백신은 각각의 바이러스에 특이적인 것으로 개개의 바이러스에 대하여만 유효하다. 바이러스의 종류는 많은 반면에, 백신은 현재 매우 한정된 바이러스에 대하여만 실용화되어 있다. 또한, 바이러스는 종종 다수의 돌연변이주를 포함하지만, 하나의 바이러스에 대해 유효한 백신은 동일한 종류의 다른 바이러스에 대해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부작용이 적은 다수의 백신을 수많이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한편, 여러 가지 항바이러스제(아시클로버, 간시클로버, Ara-A 등)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매우 제한된 바이러스 감염증에만 유효하고, 광범한 바이러스성 질환에 유효한 약제는 발견되고 있지 않다. 또한, 이들 항바이러스제는 부작용이 강해서,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최근, 인터페론이 바이러스성 간염 등의 치료에 응용되고 있지만, 발열 등의 부작용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인터페론은 바이러스의 성장을 억제하지만, 세포 상해를 직접 방어한다는 보고는 보이지 않는다. 감마 글로불린은 널리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지만, 그 성과가 반드시 일정한 것은 아니다.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염산염을 포함하는 2-아미노프로판-1,3-디올 화합물은 장기 또는 골수 이식에 있어서의 거부 반응 억제제로서, 또한 건선, 베체트병 등의 여러가지 자가 면역 질환 및 류마티즘 질환의 치료제로서 알려져 있다(국제 공개 WO 94/08943호).
그러나, 선행 기술에는 2-아미노프로판-1,3-디올 화합물이,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에 유효하다는 기재는 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러스에는 수많은 종류가 있고, 각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를 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많은 바이러스성 질환에 있어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장기에 있어서의 세포 상해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바이러스성 질환에 있어서의 세포 상해는 바이러스의 증식에 의한 직접적인 상해, 및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여러 가지 면역 반응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러스의 종류에 관계없이 여러 가지 장기에 있어서의 세포 상해 발생을 예방 및 치료함으로써 바이러스성 심근염 및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cytotoxicity)의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 및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 제조를 위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험예 2에서의 생존율을 보여준다. 여기서, - ■-은 대조군을 나타내고, - ●-는 CsA군을 나타내며, - ○-은 화합물 1군을 나타낸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의 세포 침윤 스코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2의 심근 세포 괴사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2의 심근내 바이러스 역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2에서 IL-2의 심근내 사이토킨 분석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는 실험예 2에서 IL-12의 심근내 사이토킨 분석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는 실험예 2에서 IFN-γ의 심근내 사이토킨 분석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는 실험예 2에서 TNF-α의 심근내 사이토킨 분석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험예 2에서 IL-2의 심근내 NO 분석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에 관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바, 의외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및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1)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 허용 담체를 함유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 허용 담체를 함유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 허용 담체를 함유하는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의 개선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5)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6)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의 개선 및 예방 방법.
(7)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8)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9)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의 개선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0) (1)의 약학 조성물 및 그것에 관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판용 패키지로서, 상기 설명서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이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이 명시되어 있는 시판용 패키지.
(11) (2)의 약학 조성물 및 그것에 관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판용 패키지로서, 상기 설명서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이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이 명시되어 있는 시판용 패키지.
(12) (3)의 약학 조성물 및 그것과 관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판용 패키지로서, 상기 설명서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이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의 개선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이 명시되어 있는 시판용 패키지
본 발명에서, 바이러스성 심근염 및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 RNA 바이러스 또는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이라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RNA 바이러스가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또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이라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이 바이러스성 간염(A형, B형, C형, E형, G형, TTV형),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뇌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장염 및 바이러스성 심막염이라면 바람직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있어서의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은 공지 화합물이며, 예컨대 국제 공개 WO94/08943호에 개시한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은, 필요에 따라 적당한 용매(예컨대, 물, 메탄올, 에탄올,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등) 중에서, 산(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초산, 말레산, 푸마르산, 안식향산, 시트르산, 옥살산, 호박산, 타르타르산, 말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10-캄파술폰산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한 산과의 염 등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저독성이며, 동물 특히 포유 동물(예컨대, 인간, 개, 토끼, 마우스, 래트 등)에서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삼는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으로부터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에는 DNA 바이러스 혹은 RNA 바이러스에 속하는 병원성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도 포함된다. 그와 같은 병원성 바이러스를 이하에 예시한다.
DNA 바이러스: 폭스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단순포진 바이러스,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EB 바이러스 등), 아데노바이러스, 팔보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 레오바이러스, 토가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라브도바이러스, 파라믹소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분야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피콜나바이러스, 칼리시바이러스
특히, 본 발명의 약제는 RNA 바이러스 또는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서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RNA 바이러스의 예로 오르토믹소바이러스 혹은 피코르나바이러스를 들 수 있다.
바이러스성 심근염으로부터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는, 구체적으로 바이러스성 간염(A형, B형, C형, E형, G형, TTV형),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성 기관지염, 헤르페스 감염증(단순포진, EB 바이러스(감염성 단핵증), 대상포진), 폴리오, 에이즈(HIV 감염증), 성인 T 세포 백혈병(ATL), 파필로마, 홍역, 풍진, 돌발성 발진, 전염성 홍반, 바이러스성 뇌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증, 유행성 이하선염, 수두, 광견병, 바이러스성 장염, 바이러스성 심막염, 콕사키 바이러스 감염증, 에코 바이러스 감염증, 신증후성 출혈열, 라사열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이러스성 질환 중에서, 바이러스성 간염(A형, B형, C형, E형, G형, TTV형),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뇌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장염, 바이러스성 심막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경구적으로, 또는 흡입법, 직장 투입, 혹은 국소 투여에 의해 비경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의약품 조성물 혹은 제제(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주사제, 시럽제, 에멀젼제, 에릭시르제, 현탁제, 용액제 등)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단독으로, 혹은 약학적 허용 담체(아쥬반트, 부형제, 비히클 및/또는 희석제 등)와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경구란 피하 주사, 정맥내 주사, 근육내 주사, 복강내 주사 혹은 주입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주사용 제제, 예컨대 멸균 주사용 수성 현탁액 혹은 유성 현탁액은 적당한 분산화제, 습윤화제 또는 현탁화제를 이용하여 이 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으로 조제될 수 있다. 이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예컨대 수용액 등의 제제상 허용되는 비경구 투여 가능한 희석제 혹은 용제 중의 무균의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비히클 혹은 용제로는 물, 링거액, 등장 식염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제 또는 현탁화 용매로서 멸균 비휘발성 오일도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의의 비휘발성 오일, 지방산, 천연 혹은 합성 혹은 반합성의 지방유 또는 지방산, 그리고 천연 혹은 합성 혹은 반합성의 모노- 혹은 디- 혹은 트리글리세리드류도 포함된다.
직장 투여용 좌제는 그 약물과, 적당한 저자극성의 비히클, 예컨대 코코아지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류와 같이 상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장관의 온도에서는 액체이고, 직장 내에서 융해되어 약품을 방출하는 비히클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고형 제형으로는, 상기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한 제형에 있어서, 활성 성분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예컨대 설탕, 락토오스, 셀룰로오스당, 만니톨, 말티톨, 덱스트란, 전분류, 한천, 알지네이트류, 키틴류, 키토산류, 펙틴류, 트라가탄트류, 검류, 아라비아 고무류, 젤라틴류, 콜라겐류, 카제인, 알부민, 합성 또는 반합성의 중합체류 또는 글리세리드류와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통상의 제형과 같이 또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불활성 희석제,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활택제,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류, 소르빈산 등의 보존제, 아스코르빈산, α-토코페롤, 시스테인 등의 항산화제, 붕해제, 결합제, 증점제, 완충화제, 감미제, 향미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정제 및 환제는 또한 장용 코팅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의 액제로서는, 의약으로서 허용되는 시럽제, 에멀젼제, 에릭시르제, 현탁제, 용액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해당 분야에서 보통 이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환자의 투여량은 연령, 체중, 일반적 건강 상태, 성별, 식사, 투여 시간, 투여 방법, 배설 속도, 약물의 병용,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상태 및 기타 인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저독성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나 체중, 투여 경로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성인의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용 약제로서 투여하는 경우, 경구 투여로서는 일일 약 0.01∼150 mg, 바람직하게는 0.1∼100 mg, 정맥 주사로서는 1일량 약 0.01∼50 mg, 바람직하게는 0.01∼20 mg을 1회 또는 2회 또는 3회로 나눠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실험예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밝히지만, 이들은 단순한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험예 1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대한 효과
화합물 1: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염산염
(1) 생존율
방법
4주령의 DBA/2 마우스를 3군으로 나눠, EMC(뇌심근염, Encephalomyocarditis) 바이러스(10 pfu)를 복강내 접종하였다. 접종 후, 프로브를 사용하여 대조군으로서 증류수(용매, A군, n=11), 화합물 1(1 mg/kg/일, B군, n=10) 및 화합물 1(3 mg/kg/일, C군, n=10)을 14일동안 계속해서 강제 경구 투여했다. 14일 후 각 군의 생존율을 Kaplan-Meier 법에 의해서 비교했다.
결과
대조군(A군, n=11)은 8일후까지 전부 사망했지만(생존율 0%), 화합물 1 투여군의 14일후의 생존율은, B군에서 1마리(n=10, 생존율 10%)이었고, C군에서 3마리(n=3, 생존율 30%)이었으며, 3 mg/kg/일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생존율 개선을 볼 수 있었다(p<0.05).
(2) 심장의 조직병리학적 소견
방법
4주령의 DBA/2 마우스를 3군으로 나눠, 프로브를 사용하여 EMC 바이러스(10 pfu)를 복강내 접종하였다. 접종 후, 대조군으로서 증류수(용매, n=9), 화합물 1(3 mg/kg/일, n=8) 및 화합물 1(10 mg/kg/일, n=8)을 5일간 계속해서 강제 경구 투여했다. 5일후에 심장을 채취하여, 포르말린 고정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하여, 심장 괴사 및 세포 침윤의 2가지 항목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스코어화했다.
0; 병변 없음,
1+; 심장의 25% 이하의 병변,
2+; 25% 이상, 50% 이하의 심장의 병변,
3+; 50% 이상, 75% 이하의 심장의 병변,
4+; 75% 이상, 100% 이하의 심장의 병변
결과
심장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심근 세포의 괴사 세포의 침윤
대조군 1.9 ±0.2 2.0 ±0.2
3 mg/kg/일 투여군 1.7 ±0.4 1.6 ±0.2
10 mg/kg/일 투여군 1.0 ±0.2* 1.1 ±0.2*
평균 ±SEM, *p<0.05 (vs. 대조군)
표 1로부터, EMC 바이러스 접종 5일후의 심장의 심근 세포 괴사, 세포 침윤은 10 mg/kg/일 투여군에서 용량 의존적인 개선이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염산염은 EMC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마우스의 사망율을 개선하고, 바이러스성 심근염을 개선하며, 바이러스 감염에 유효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상기 확장형 심근증의 동물 모델에 관하여는, 문헌[Circulation. 65: 1230-1235, 1982] 또는 문헌[Circulation. 66: 355-360, 1982]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예 2
화합물 1과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 A(이하, CsA라 함)의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대한 효과를 비교했다. 화합물 1은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투여하고, CsA는 올리브유에 용해시켜 투여했다.
(1) 생존율
방법
4주령의 웅성 DBA/2마우스를 3군으로 나눠, EMC 바이러스(10 pfu)를 복강내 접종하였다. 접종 후, 프로브를 사용하여 대조군으로서 증류수(용매, 대조군, n=21), CsA(40 mg/kg/일, CsA군, n=9) 및 화합물 1(10 mg/kg/일, 화합물 1군, n=22)를 14일동안 계속해서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14일 후 각 군의 생존율은 Kaplan-Meier법에 의해서 비교했다.
결과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대조군(- ■-)은 10일째까지 전부 사망했다(생존율 0%). CsA군(- ●-)은 7일째까지 전부 사망하여, 대조군과 비교할 때 생존율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이에 반해, 화합물 1군(- ○-)의 14일후 생존율은 27%(22마리 중 6마리 생존)였다. CsA군과 대조군과의 생존율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2) 심장의 조직병리학적 소견
방법
4주령의 웅성 DBA/2마우스를 3군으로 나눠, EMC 바이러스(10 pfu)를 복강내접종하였다. 접종 후, 프로브를 사용하여 대조군으로서 증류수(용매, n=9), CsA(40 mg/kg/일, n=6), 화합물 1(10 mg/kg/일, n=8)을 5일간 계속해서 강제 경구 투여했다. 5일후에 심장을 채취하여, 포르말린 고정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하여, 심근 세포 괴사 및 세포 침윤의 2가지 항목에 관하여, 실험예 1에 기재된 기준에 따라 스코어화했다.
심근 세포 괴사 및 세포 침윤의 스코어는, 2명의 관찰자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평균를 구했다. 통계학적 분석은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및 Fisher's protecte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에 의해 이루어졌다.
결과
결과를 도 2(세포 침윤), 도 3(심근 세포의 괴사) 및 표 2에 도시한다.
세포 침윤 심근 세포의 괴사
대조군 2.00 ±0.19 1.89 ±0.23
CsA군 1.50 ±0.26(NS) 2.00 ±0.32(NS)
화합물 1군 1.06 ±0.19** 1.00 ±0.19**
평균 ±SEM, NS: 유의성 있는 차이 없음, **p<0.01, *p<0.05
(vs. 대조군)
CsA군에 있어서 세포 침윤의 스코어는 대조군의 스코어에 비해 낮지만,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CsA 군에 있어서 심근 세포 괴사의 스코어는 대조군의 스코어에 비해 약간 높지만,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에 반해, 화합물 1군에 있어서 세포 침윤, 심근 세포 괴사의 스코어는 둘다 대조군의 스코어에 비해 유의성 있는 정도로 낮았다. 따라서, 화합물 1의 투여에 의해 심근 세포 괴사 및 세포 침윤에 대한 유의성 있는 개선 효과가 인정되었다.
(3) 심장의 바이러스 역가
방법
4주령의 웅성 DBA/2마우스를 3군으로 나눠, EMC 바이러스(10 pfu)를 복강내접종하였다. 접종 후, 프로브를 사용하여 대조군으로 증류수(용매, n=8), CsA(40 mg/kg/일, n=5) 및 화합물 1(10 mg/kg/일, n=7)을 5일간 계속해서 강제 경구 투여했다. 5일후에 마우스로부터 무균적으로 심장을 채취한 후, 심실의 중량을 측정하고,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1 ml) 중에서 균질화했다. 4℃, 1,500 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청액(0.1 ml)을 인간 양막 FL 세포 단층에 접종하고, 5% CO2, 37℃에서 60분간 배양했다. 이 세포를, 4% 태아 송아지 혈청 및 1% 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배지(3 ml)로 덮었다. 5% CO2함유 습윤 분위기하의 37℃에서 20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초산-메탄올(1:2)로 고정하고, 1% 크리스탈바이올렛으로 염색하여, 도립 현미경하에서 플라크 수를 계수하였다(Circulation. 89: 846-851, 1994). 플라크 수가 지나치게 많아 계수할 수 없는 경우는 상청액을 둘베코 변법 이글 배지(DMEM)로 적당히 희석한 후, 같은 분석을 실시했다. 시험을 2회 행하고, 그 평균을 산출했다. 바이러스 역가는 pfu/g 심장으로서 나타내었다. 통계학적 분석은 one way ANOVA 및 Fisher's protecte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에 의해 행했다.
결과
결과를 도 4 및 표 3에 나타낸다.
바이러스 역가(pfu/g 심장)
대조군 5.18 ±2.73 x 106
CsA군 9.94 ±6.30 x 107*
화합물 1군 1.23 ±0.53 x 107(NS)
평균 ±SEM, NS: 유의성 있는 차이 없음, *p<0.05
(vs. 대조군)
대조군에 비해, CsA는 심장에서의 바이러스 복제를 약 20배 증가시켰다. 이에 반해, 화합물 1은 CsA와 달리 바이러스 복제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4) 심장 사이토킨 분석
방법
초음파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상기 (3)에서 5일째에 채취한 마우스 심실을 PBS(1 ml) 중에서 균질화시키고, 4℃, 14,000 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청액을 IL-2, IL-12, IFN-γ 및 TNF-α분석의 시료로서 사용했다. 각 사이토킨의 단백 농도는 시판되는 키트를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측정했다(Circulation. 100: 1102-1108, 1999). 마우스 IL-2 및 IFN-γ의 ELISA 키트는 GENZYME사(켐브리지, 미국)로부터, 마우스 IL-12 및 TNF-α의 ELISA 키트는 ENDOGEN사(켐브리지, 미국)로부터 구입했다.
각 상청액 중의 총단백 농도는 비신코닌산(BCA)법에 의해 측정하여, 총단백 농도에 대한 사이토킨 농도의 비율을 산출했다(J. Am. Coll. Cardiol. 33: 1400-1407, 1999). 각 사이토킨 단백 농도는 pg/mg 총단백 또는 ng/mg 총단백으로 나타내었다. 통계학적 분석은 one way ANOVA 및 Fisher's protecte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에 의해 이루어졌다.
결과
결과를 도 5∼8 및 표 4에 나타낸다.
IL-2(ng/mg 총단백) IL-12(ng/mg 총단백) IFN-γ(pg/mg 총단백) TNF-α(ng/mg 총단백)
대조군 12.79 ±1.24 71.76 ±7.37 151.20 ±15.66 4.11 ±0.11
CsA군 3.91 ±0.31# 15.75 ±4.67# 59.15 ±9.41# 4.73 ±0.17*
화합물 1군 6.06 ±0.67# 46.00 ±12.82* 108.86 ±12.98* 3.72 ±0.25**
평균 ±SEM, #p<0.001(vs. 대조군)
*p<0.05 (vs. 대조군)
**p<0.01(vs. CsA군)
T 세포 증식에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IL-2 농도는 CsA 군 및 화합물 1군 모두에서 억제되었다. 그러나, 화합물 1군에 있어서의 IL-2 억제의 정도는 CsA군에 비해 낮았다. 바이러스 복제를 저해하는 효과를 갖는 IFN-γ의 농도(Jpn. Circ. J. 51:661-664, 1987)는 CsA 군에서는 현저히 감소했지만, 화합물 1군에서는 감소의 정도가 적었다. 마찬가지로, Th1(1형 헬퍼 T 세포) 특이적 사이토킨인 IL-12의 농도는 CsA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지만, 화합물 1군에서는 감소의 정도가 적었다. 이와는 반대로, 염증성 사이토킨의 하나인 TNF-α의 농도는, CsA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지만, 화합물 1군에서는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5) 심장내 일산화질소(NO) 분석
사이토킨 분석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상청액을 사용하고, Griess법의 변법(J. Am. Coll. Cardiol. 33: 1400-1407, 1999; Anal. Biochem. 224: 502-508, 1995)에 의해 심장내 NO 함량을 측정했다. 간단히 설명하면, 상청액 또는 표준품 아질산염(50 μl)을 10 μM βNADPH(10 μl)와 혼합하여, 미리 혼합해 둔 마스터믹스(500 μM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160 U/l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탈수소효소, 80 U/l 질산염 환원효소, 0.2 mM 인산염 완충액)(40 μl)을 첨가하고, 20℃에서 45분간 배양했다. 5% H3PO4중의 1% 설파닐아미드(50 μl) 및 0.1% 나프틸에틸렌디아민 이염산염(50 μl)을 더욱 첨가하여, 20℃에서 10분간 인큐베이트했다. 540 nm에서의 광학 밀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표준품에 기초하여 각 샘플의 아질산염 농도를 산출했다. 각 샘플과 표준품의 측정을 2회씩 행했다. 심장내 NO 함량은 각 아질산염 농도를 각 상청액 중의 총단백 농도로 나눔으로써 결정하고, μM/mg 총단백으로서 나타낸다. 통계학적 분석은 one way ANOVA 및 Fisher's protecte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에 의해 이루어졌다.
결과
결과를 도 9 및 표 5에 나타낸다.
NO 함량(μM/mg 총단백)
대조군 2.07 ±0.20#
CsA군 4.56 ±0.68
화합물 1군 1.91 ±0.34#
평균 ±SEM, #p<0.001(vs. CsA 군)
CsA 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심장내 NO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했지만, 화합물 1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상기한 결과를 정리하면, 심장에 있어서의 IL-2, IL-12 및 IFN-γ의 발현은 화합물 1군 및 CsA 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억제되었지만, 화합물 1군에서는 억제의 정도가 약했다. TNF-α 및 NO는 CsA 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했지만, 화합물1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IL-2는 T세포 증식에 관련되고, T 세포, NK 세포로부터의 IFN-γ의 생산을 유도하는 작용을 갖는다. Th1 특이적 사이토킨인 IL-12은 T 세포, NK 세포로부터의 IFN-γ의 생산을 유도하는 작용을 갖는다. IFN-γ는 대식세포를 활성화함으로써 바이러스 성장 저해 작용을 보인다. 따라서, IL-2, IL-12, IFN-γ의 생산 억제의 정도는 화합물 1군에 비해 CsA군에서 높다고 하는 상기 결과는, CsA가 바이러스 복제를 증가시키지만 화합물 1에는 그와 같은 작용이 없었다고 하는 상기 (3)의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킨인 TNF-α는 세포 상해 활성이 있고, NO는 심근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CsA는 TNF-α 및 NO를 증가시키지만, 화합물 1은 TNF-α 및 NO를 증가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1은 바이러스성의 세포 상해의 개선에 유효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화합물 1(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염산염)은 바이러스 복제를 유도하지 않으면서,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치료에 유효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사이클로스포린 등의 면역억제제는 장기 이식 또는 골수 이식후의 면역요법에 사용되고 있지만,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등의 바이러스에 기인한 심각한 감염증을 야기하는 것이 문제시되고 있다. 상기한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은 종래의 면역억제제와 달리, 바이러스 증식을 유도하는 작용이 없기 때문에, 장기 이식 또는 골수 이식후의 면역요법에 있어서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처방예
(1) 정제
하기 조성을 가진, 화합물 1을 함유한 정제를 제조한다.
화합물1 1 mg
락토오즈 90 mg
결정 셀룰로오스 25 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4 mg
(2) 연질 캡슐제(1 캡슐 중)
화합물 1 30 mg
폴리에틸렌글리콜-300 300 mg
폴리소르베이트 80 20 mg
제조 방법
화합물 1에 폴리에틸렌글리콜-30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를 가하고, 그 혼합물을 연질 캡슐에 충전한다.
(3) 주사제(1 앰플, 10 ml)
화합물 1 0.3%(30 mg)
폴리에틸렌글리콜-300 20%(2 g)
에탄올 60%(6 g)
주사용 증류수로 전량 10 ml로 한다.
제조 방법
화합물 1에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300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주사용 증류수를 가하여 전량 10 ml로 한다. 1 앰플 중 화합물 1을 30 mg 함유한 주사제를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투여는 바이러스에 기인하는 세포 상해,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해 치료적으로 유효하며, 또한 해당 질환의 예방에도 유효하다.
이 출원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 일본 출원 제185297/1999호에 기초한 것이다.

Claims (24)

  1.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 허용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 허용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 RNA 바이러스 또는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NA 바이러스가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또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인 약학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이 바이러스성 간염(A형, B형, C형, E형, G형, TTV형),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뇌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장염 또는 바이러스성 심막염인 약학 조성물.
  6.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 허용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cytotoxicity)의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7.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8.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 RNA 바이러스 또는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NA 바이러스가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또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인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이 바이러스성 간염(A형, B형, C형, E형, G형, TTV형),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뇌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장염 또는 바이러스성 심막염인 방법.
  12.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의 개선 또는 예방 방법.
  13.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4.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 RNA 바이러스 또는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것인 용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RNA 바이러스가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또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인 용도.
  17. 제14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이 바이러스성 간염(A형, B형, C형, E형, G형, TTV형),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뇌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장염 또는 바이러스성 심막염인 용도.
  18.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의 개선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2-아미노-2-(2-(4-옥틸페닐)에틸)프로판-1,3-디올 또는 그것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9. 제1항의 약학 조성물 및 그것에 관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판용 패키지로서, 상기 설명서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이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이 명시되어 있는 시판용 패키지.
  20. 제2항의 약학 조성물 및 그것에 관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판용 패키지로서, 상기 설명서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이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이 명시되어 있는 시판용 패키지.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심근염 또는 그것에 의해 야기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이 RNA 바이러스 또는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것인 시판용 패키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RNA 바이러스가 오르토믹소바이러스 또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인 시판용 패키지.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이 바이러스성 간염(A형, B형, C형, E형, G형, TTV형),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인플루엔자, 헤르페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뇌염,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증, 바이러스성 장염 또는 바이러스성 심막염인 시판용 패키지.
  24. 제6항의 약학 조성물 및 그것에 관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시판용 패키지로서, 상기 설명서에는 상기 약학 조성물이 바이러스성 세포 상해의 개선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되어야 함이 명시되어 있는 시판용 패키지.
KR1020017016800A 1999-06-30 2000-06-28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0655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185297 1999-06-30
JP18529799 199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860A true KR20020016860A (ko) 2002-03-06
KR100655251B1 KR100655251B1 (ko) 2006-12-08

Family

ID=1616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800A KR100655251B1 (ko) 1999-06-30 2000-06-28 바이러스성 심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902261B2 (ko)
EP (1) EP1201236B1 (ko)
JP (1) JP4627356B2 (ko)
KR (1) KR100655251B1 (ko)
CN (1) CN1162149C (ko)
AT (1) ATE339198T1 (ko)
AU (1) AU770495B2 (ko)
CA (1) CA2373833C (ko)
DE (1) DE60030732T2 (ko)
ES (1) ES2272293T3 (ko)
WO (1) WO2001001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5443D0 (en) * 2001-10-23 2001-12-12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BR0306811A (pt) 2002-01-11 2004-10-26 Sankyo Co Composto, éster farmacologicamente aceitável do mesm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métodos para prevenção ou tratamento de doenças autoimunes, da artrite reumatóide e da rejeição causada pelo transplante de vários órgãos em um mamìfero
GB0217152D0 (en) 2002-07-24 2002-09-04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PL2316431T3 (pl) 2003-04-08 2016-09-30 Kompozycja w postaci stałego preparatu do stosowania doustnego obejmująca agonistę receptora S1P i alkohol cukrowy
CA2529318C (en) * 2003-06-24 2013-09-17 University Of Connecticut Methods of inhibiting vascular permeability and apoptosis
TWI372050B (en) 2003-07-03 2012-09-11 Astex Therapeutics Ltd (morpholin-4-ylmethyl-1h-benzimidazol-2-yl)-1h-pyrazoles
AU2005215320B2 (en) 2004-02-24 2008-04-17 Sankyo Company, Limited Amino alcohol compound
US8110573B2 (en) 2004-12-30 2012-02-07 Astex Therapeutics Limited Pyrazole compounds that modulate the activity of CDK, GSK and aurora kinases
GT200600350A (es) * 2005-08-09 2007-03-28 Formulaciones líquidas
AU2007302296A1 (en) * 2006-09-26 2008-04-03 Novartis A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n S1P modulator
WO2008124210A1 (en) * 2007-02-14 2008-10-16 Emory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ection using leukocyte sequestration agents
CA2699788C (en) 2007-10-12 2016-06-14 Novartis Ag Compositions comprising sphingosine 1 phosphate (s1p) receptor modulators
AU2013100533B4 (en) * 2008-11-11 2013-12-12 Novartis Ag Crystalline forms of fingolimod HCL
US8680146B2 (en) * 2008-11-11 2014-03-25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AR085749A1 (es) 2011-04-01 2013-10-23 Novartis Ag Formulaciones
JPWO2013176223A1 (ja) * 2012-05-23 2016-01-14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炎症性疾患治療用医薬組成物
RU2496486C1 (ru) 2012-07-11 2013-10-27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Иващенк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 улучшенной сыпучестью, лекарственное средство,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CN107982530B (zh) * 2017-10-23 2019-02-22 苏州大学 Semaphorin7A抗体在制备用于治疗心肌炎疾病的药物中的应用及其药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165093A (en) * 1992-10-08 1994-05-0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and miticidal aminopyrimidines
ES2126658T3 (es) * 1992-10-21 1999-04-01 Yoshitomi Pharmaceutical Compuesto de 2-amino-1,3-propanodiol e inmunosupresor.
US6476004B1 (en) * 1996-07-18 2002-11-05 Mitsubishi Pharma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002241272A (ja) * 1996-07-18 2002-08-28 Mitsubishi Pharma Corp 医薬処方組成物
JPH11209277A (ja) * 1998-01-19 1999-08-03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医薬組成物
ATE412407T1 (de) * 1997-02-27 2008-11-15 Novartis Ag Arzneimittel zubereitung enthaltend 2-amino-2-ä2- (4-octylphenyl)ethylüpropane-1,3-diol, ein lecithin und ein saccharid
JPH1180026A (ja) * 1997-09-02 1999-03-23 Yoshitomi Pharmaceut Ind Ltd 新規免疫抑制剤、その使用方法およびその同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1236B1 (en) 2006-09-13
JP4627356B2 (ja) 2011-02-09
DE60030732T2 (de) 2007-10-11
ES2272293T3 (es) 2007-05-01
EP1201236A8 (en) 2002-10-09
JP2001072585A (ja) 2001-03-21
CA2373833A1 (en) 2001-01-11
KR100655251B1 (ko) 2006-12-08
AU770495B2 (en) 2004-02-26
DE60030732D1 (de) 2006-10-26
CN1359290A (zh) 2002-07-17
US7902261B2 (en) 2011-03-08
EP1201236A1 (en) 2002-05-02
CA2373833C (en) 2010-03-02
US20050234133A1 (en) 2005-10-20
EP1201236A4 (en) 2005-01-05
WO2001001978A1 (fr) 2001-01-11
AU5570300A (en) 2001-01-22
CN1162149C (zh) 2004-08-18
ATE339198T1 (de) 2006-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2261B2 (en) Medicin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viral myocarditis
CN112386595A (zh) 一种治疗呼吸系统病毒性感染的药物组合物
US5990175A (en) Prevention of migraine
US5179096A (en) Therapeutic application of flouroquinolone derivatives
JPH0232093A (ja) 抗レトロウィルスジフルオロ化ヌクレオシド類
JP2002536405A (ja) ウイルス感染症の治療方法
HU225600B1 (en) Liquid compositions comprising lamivudine
TW442291B (en) A pharmaceutical combination for use in treating HIV infection or AIDS
US20070281947A1 (en) Diarylmethylpiperazines As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s For Viral Myocarditis
JP4380967B2 (ja) ウイルス性心筋炎の予防または治療剤
US20090325909A1 (en) Suppression of HIV replication an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IV
JP2000507211A (ja) 単純ヘルペス感染症の組合せ治療におけるヌクレオシド類似体
WO2023040990A1 (zh) 治疗冠状病毒感染的新联用药物、药物组合物及其用途
WO2022024649A1 (ja) 感冒剤及び抗ウイルス剤
WO2008097112B1 (en) Amidinoanthracycline antibiotic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JP2004155777A (ja) C型慢性肝炎治療剤
CN116600797A (zh) 用于治疗急性呼吸衰竭和/或急性呼吸窘迫综合征的包含四氢大麻酚的组合物
JPH07508997A (ja) 抗ウイルス剤の組み合わせ
CN112691094A (zh) 防治病毒的新型化合物及其应用
JP2004035450A (ja) ウイルス性心筋炎の予防または治療剤
JPH0688904B2 (ja) ウイルスに対する増殖抑制剤
JPH05301816A (ja) 抗エイズ剤
WO2002019995A2 (en) Pharmaceutical combination containing salmeterol and fluticasone
JP2004529880A (ja) 抗ウイルス剤としての使用方法
JP2002154962A (ja) イソキノリン誘導体を含有する抗鬱、抗不安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