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785A - 통합된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장벽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통합된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장벽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785A
KR20020016785A KR1020017014126A KR20017014126A KR20020016785A KR 20020016785 A KR20020016785 A KR 20020016785A KR 1020017014126 A KR1020017014126 A KR 1020017014126A KR 20017014126 A KR20017014126 A KR 20017014126A KR 20020016785 A KR20020016785 A KR 2002001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ssembly
hood
cov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프리드 비트너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콩코드 카메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콩코드 카메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2001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되는 즉,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구비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카메라의 전방부에 연결된 장벽 어셈블리에 합체된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는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개방된 위치에 배치될 때 라이트 후드와 같은 기능을 한다.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카메라의 사진-촬영 렌즈의 전방에서 보호면을 형성한다. 상기 통합된 커버/후드에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의 적절한 구체예는 직사각형의 도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어의 크기는 대략 상기 커버/후드 구멍의 크기와 일치된다. 상기 커버/후드와 상기 도어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치될 때 상기 사진-촬영 렌즈의 전방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그로 인해 상기 어셈블리는 렌즈를 물리적 피해와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Description

통합된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장벽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카메라 {Camera Having Barrier Assembly Comprising an Integrated Lens Cover/Light Hood}
발명의 배경
카메라의 사진-촬영 렌즈는 일정한 시야를 한정한다. 만약 렌즈가 빛에 노출된다면 이러한 시야 밖의 빛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최종적으로 현상된 사진에 나타나는 결함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플레어"(flare)와 "글레어"(glare)로 알려져 있다.
플레어와 글레어의 문제점은 라이트 후드(hood)의 사용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거된다. 라이트 후드는 일반적으로 상기 사진-촬영 렌즈의 광학축(optical axis) 주위에 위치되고 상기 렌즈의 바로 전방에 위치되는 어떤 타입의 장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라이트 후드는 상기 렌즈의 시야 바깥의 빛으로부터 렌즈를 차단시킨다. 적합한 크기로 위치될 때 상기 후드는 상기 렌즈의 요구되는 시야를 간섭하거나 축소시킴 없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한다.
라이트 후드는 하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라이트 후드는 상기 카메라가 사용되지 않을 때 철회되거나 또는 저장위치로 이동되도록 적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고도의 바람직한 특성에 대한 최소한의 외부 크기를 갖는 콤팩트(compact) 카메라에 자주 이용된다. 그러나 저장된 후드를 적용시키는 것은 라이트 후드를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크기의 증가가 요구된다.
물리적 손상과 오염은 사진-촬영렌즈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일반적인 문제를 나타낸다. 물리적 손상 즉, 크래킹(cracking) 또는 스크래칭(scratching)은 상기 렌즈에 비교적으로 딱딱한 물체가 접촉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렌즈의 오염은 먼지 또는 흙과 같은 요인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지문들은 렌즈에 형성되는 다른 일반적인 오염이다. 사진-촬영렌즈의 오염과 물리적인 손상은 렌즈로부터 찍혀지는 사진의 질을 상당히 떨어뜨리게 할 수 있다.
상기 대부분의 카메라의 사진-촬영렌즈는 어떤 타입의 커버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렌즈 보호용 커버는 카메라의 전방표면에 렌즈가 근접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콤팩트 카메라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필요하다. 렌즈 커버는 또한 카메라의 셔터가 실수로 작동되었을 때 상기 사진 필름의 고의 아닌 노출을 막는데 사용된다. 상기 렌즈 커버는 카메라가 사용되지 않을 때 사진-촬영 렌즈의 전방에 위치된다. 렌즈 커버는 카메라를 사용하기 전에 완전히 제거되는 캡(cap)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렌즈 커버는 상기 카메라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렌즈로부터 이동되어 멀어지는 방법으로 카메라의 바디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커버는 작동이 쉽고, 휴대하기 편리한 콤팩트 카메라에 자주 사용된다.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로 이루어지는 라이트 후드와 렌즈 커버 통합된 기능은 분리된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이러한 기능들의 설계에 대해 카메라 외부크기의 감소를 위한 잠재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카메라에 있어서 라이트 후드와 렌즈 커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셈블리의 구비가 요구된다.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카메라의 사진-촬영 렌즈의 시야 바깥의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야 한다. 또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의 전방에 위치되는 방어 장벽의 형태에 적합하여야 한다. 상기 장벽은 상기 렌즈를 빛, 외부 물질, 및 오염으로부터 막아야 한다. 그리고 어셈블리의 크기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카메라의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하는 방법으로 카메라의 바디에 통합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어셈블리는 최소한의 복잡함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상대적으로 적은 부품수와 생산비용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통합되는 즉,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구비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카메라의 전방부에 연결된 장벽 어셈블리에 합체된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는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개방된 위치에 배치될 때 라이트 후드와 같은 기능을 한다.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카메라의 사진-촬영 렌즈의 전방에서 보호면을 형성한다.
상기 통합된 커버/후드에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의 적절한 구체예는 직사각형의 도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어의 크기는 대략 상기커버/후드 구멍의 크기와 일치된다. 상기 커버/후드와 상기 도어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치될 때 상기 사진-촬영 렌즈의 전방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그로 인해 상기 어셈블리는 렌즈를 물리적 피해와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어셈블리의 설계는 상기 장벽 어셈블리가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카메라의 전방 표면의 실질적인 빛에 상기 커버/후드와 상기 도어를 놓는다.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장벽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로 이동할 때 아치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카메라의 전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커버/후드는 또한 상기 전방부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보다 적절한 구체예로서,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의 다른 부분은 상기 카메라의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배열은 상기 도어를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드에 대해 회전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도어는 상기 장벽 어셈블리가 상기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에 위치될 때 90°정도의 원호를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는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커버/후드 구멍의 바깥으로 이동한다.
상기 커버/후드 구멍은 장벽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사진-촬영 렌즈의 광학축에 실질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구멍은 상기 렌즈가 주위의 빛에 노출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커버/후드의 아치형의 경로는 상기 커버/후드가 상기 닫혀진 위치에서 상기 개방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구멍이 상기 렌즈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거리만큼 상기 구멍과 렌즈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렌즈는 원하지 않는 빛으로부터 차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후드와 상기 도어는 상기 렌즈의 광학축 주위에 불투명한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구멍의 크기 및 상기 구멍과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는 최적화되고 이로 인해 상기 렌즈의 시야 바깥쪽 빛으로부터 상기 렌즈는 차단된다. 더 나아가, 상기 커버/후드와 상기 도어는 상기 렌즈의 요구되는 시야를 간섭하거나 줄이지 않고 이와 같은 차단작용을 수행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후술되는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전술된 요약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읽을 때 더 잘 이해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여기서 언급되는 구체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도면으로 밝혀지는 특정한 구체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벽 어셈블리를 구비한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가 닫혀진 위치에서 카메라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가 닫혀진 위치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의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상기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의 저면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상기 라이트 후드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제7도는 제1도의 상기 장벽 어셈블리의 도어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8도는 제7도의 상기 도어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통합된 즉,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구비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통합된 커버/후드는 카메라의 전방부에 연결되는 장벽 어셈블리에 합체된다. 보다 적절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는 일반적인 35mm 카메라와 연관지어 기술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별한 구체예는 단지 예시를 들기 위한 목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에 도시된 특별한 점에 한정되지 않고 사실상 편리하게 디자인된 어떠한 카메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어드밴스드-포토 시스템(APS: Advanced-Photo system) 필름 또는 즉석 필름과 같은 다른 필름 타입을 이용하는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사진 이미지를 전기적 매체의 어떤 타입으로 저장하는 카메라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일회용 카메라와 계속 사용하는 카메라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구체예는 제1도에서 제8도를 통해 도시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10)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10)는 바디(11)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전방부(12)와 전방면(12a)을 형성한다. 상기 카메라는 또한 사진-촬영 렌즈(13)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13)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30mm이다. (이와 같은 치수는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APS 카메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23mm∼25mm 렌즈와 같은 다른 사이즈의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렌즈(13)는 전방면(12a)에 인접한 상기 바디(11)위에 배치되거나 또는 돌출된다. 상기 렌즈(13)는 광학축(optical axis)(14)을 한정한다. ("광학축(14)"은 렌즈(18)에 대해 가상선으로 표현되고, 렌즈(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축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체예인 카메라(10)는 작고 경제적인 사이즈이고, 전방에서 후방까지 적은 두께를 갖는다. 상기 카메라(10)는 플래쉬(flash), 뷰파인더, 레인지 파인더(range finder), 및 리모트 작동을 위한 센서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열(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장벽 어셈블리(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어셈블리(16)는 상기 카메라 바디(16)의 전방면(12a)에 배치된다. 상기 어셈블리(16)는 통합된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hood)(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어셈블리는 또한 도어(18)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후드(17)는 구멍(19)을 한정한다. 30 mm렌즈(16)를 위해 구멍(19)은 가로(y축 치수)는 대략 12.9mm이고 세로(x축 치수)는 대략 10.4 mm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수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상기 치수들은 선택된 렌즈(13)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도어(18)는 상기 커버/후드(17)와 상기 전방부(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도어(18)와 상기 커버/후드(17)는 금속 또는 고충격(hi-impact) 플라스틱과 같은 충격-완화제로부터 적절하게 제조된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16)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닫혀진" 위치와 제3도에 도시된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보다 분명하게 도시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10)의 내부요소는 제2도와 제3도의 단면도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상기 어셈블리(16)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어셈블리(16)는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의도된 범위 안에서 카메라(10)의 변화는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어셈블리(16)를 움직일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멍(19)은 상기 장벽 어셈블리(16)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렌즈(13)의 광학축에 실직적으로 배치된다. 게다가 상기 도어(18)는 상기 어셈블리(16)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위치될 때 구멍(19)에 관하여 90°정도의 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멍(19)은 주위의 빛이 상기 어셈블리(16)를 통과하고 렌즈(13)에 도달하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어셈블리(16)는 그것이 개방된 상태로 위치될 때 라이트 후드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셈블리(16)는 렌즈(13)의 시야 바깥의 주위 빛으로부터 렌즈(13)를 실질적으로 차단시킨다. 이러한 형상은 빛이 렌즈에 도달될 수 있을 때 현상되는 사진에 나타날 수 있는 플레어 또는 글레어를 막는다.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장벽 어셈블리(16)는 상기 전방부(12)에 대해 횡방향 및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용어 "횡방향" 및 "축방향"은 이와 같이 구체화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면의 오른쪽 바닥 코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X", "Y"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커버/후드(17)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은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렌즈(13)의 광학축(14)에 실질적으로 배열된다. 즉 상기 커버/후드의 한 부분이 상기 렌즈(13)의 전방에 직접적으로 위치된다. 게다가, 상기 도어(18)는 상기 어셈블리가 그와 같이 위치될 때 구멍(18)안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16)는 상기 렌즈(13)에 주위의 빛이 도달하는 것을 막는다. 이와 같은 형상은 카메라내의 사진 필름이 의도되지 않은 노출로부터 보호하도록 도와준다. (상기 구체예인 카메라(10)는 또한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카메라의 셔터가 부주의로 작동되는 것을 막는 일반적인 설계의 연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어셈블리(16)는 상기 렌즈(13)의 전방에 고정되고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16)는 크래킹 및 스크레칭과 같은 물리적인 손상으로부터 상기 렌즈(13)를 보호한다. 상기 어셈블리(16)는 또한 먼지, 흙, 및 지문과 같은 요소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상기 렌즈(13)를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16)는 상기 렌즈(13)에 원하지 않는 빛을 차단하는 후드 뿐만 아니라, 상기 렌즈(13)를 위한 보호 장벽 역할을 한다.
장벽 어셈블리(16)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 기술된다. 상기 커버/후드(17)는 수직 요소(2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요소는 전방면(20a)과 후방면(20b)을 구비한다. 수직 요소(20)의 가장자리(20c)는 구멍(19)을 한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장자리는 경사진다. 즉, 상기 가장자리(20c)는 전방면(20a) 및 후방면(20b)에 대해 기울어진 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형상은 제3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요소(20)의 일단부(20d)는 적절하게 평평하다. 상기 수직요소(20)의 나머지 부분은 굴곡부(20e)를 포함한다. 상기 일단부(20d)는 굴곡부((20e)의 연결부과 관계하여 적절히 상향으로 테이퍼(taper) 진다. 상기 수직 요소(20)는 가장자리(20f)를 포함한다. 상기 가장자리(20f)는 일단부(20d)와 인접하여 적절하게 비스듬히 형성된다.
상기 커버/후드(17)는 두 개의 수평 요소(2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요소(21)는 후방면(20b)에 배치된다. 상기 요소(21)는 상기 후방면(20b)의 정상과 바닥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전체 너비를 나타낸다. 즉, 상기 후방면(20b)의 가로 너비이다. 상기 요소(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독특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수평 요소(21)에는 구멍(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구멍(22)은 수직요소(20)의 가장자리(20f)에 인접된다. 상기 구멍(22)은 수직으로 배열된다. 즉 상기 구멍은 일반적인 세로 라인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용어 "수직"은 이와 같이 구체화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면에서의 "Z" 방향을 나타내진다.)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22)은 제1축(23)을 한정한다.
각각 수평 요소(21)는 가이드 핀(24)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핀(24)은 상부 수평 요소(21)의 상부면 위에 배치되고, 하부 수평 요소(21)의 바닥면 위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핀(24)들은 수직으로 배열된다.
상기 도어(18)는 전방면(18a)과 후방면(18b)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면(18a)은 돌출부(18c)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8c)는 상기 전방면(18a)의 나머지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8c)의 가장자리부(18d)들은 적절하게 경사져 있다. 상기 돌출부(18c)의 크기는 상기 구멍(19)의 크기와 거의 같다. 상기 돌출부(18c)는 상기 장벽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구멍(19) 안으로 위치된다.
상기 도어(18)는 두 개의 리브(rib)(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브(25)들은 후방 표면(18c) 위에 배치된다. 돌출 포우스트(post)는 각각의 리브(rib) 위에 배치된다. 각각의 돌출 포우스트(26)는 각각의 리브(25)의 일단부(25a) 근처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 포우스트(26)는 리브(25)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리브(25)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 포우스트(26)는 수직으로 배열된다.
상기 도어(18)는 두 개의 구멍(27)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27)들은 수직으로 배열되고, 각각의 리브(25)의 또 다른 단부(25b) 근처에 배치된다. 상기 구멍(27)들은 상기 어셈블리(16)가 상기 카메라 바디(11)에 장착될 때 상기 커버/후드(17)의 구멍(22)에 따라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장착핀(28)은 상기 구멍(22)과 구멍(27) 안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도어(18)와 상기 커버/후드(17)는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8)는 제1축(23)에 대해 상기 커버/후드(17)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카메라 바디(11)의 전방부(12)에는 오목부(29)가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바디(11)는 두 개의 리브(30)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30)는 오목부(29) 내의 상기 전방부(12) 위에 배치된다. 각각의 리브(30)에는 구멍(31)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31)은 수직으로 배열되고,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32)을 한정한다. 상기 도어(18)의 상기 돌출 포우스트(26)들은 상기 구멍(31) 안으로 위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도어(18)와 상기 전방부(12)를 연결한다. 게다가 상기 도어(18)는 상기 제2 축(32)에 대해 상기 전방부(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전방부(12)는 두 개의 아치형의 슬롯(33)들을 더 구비한다. 상기 슬롯(33)들은 상기 오목부(29) 근처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후드의 상기 가이드 핀(24)들은 상기 슬롯(33)들 내부로 위치된다. 각각의 핀(24)은 상기 장벽 어셈블리(16)가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를 움직일 때 상기 대응하는 슬롯(33)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적용된다. 각각의 슬롯(33)은 제1단부(33a)와 제2단부(33b)를 구비한다. 상기 제1단부(33a)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12a)으로부터 상기 제2단부(33b)보다 더 멀리 배치된다.
상기 커버는 스프링(34)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34)의 제1 단부(34a)는 스프링 포우스트(35)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포우스트(35)는 상기 리브(25)들 사이에 그리고, 상기 도어(18)의 후방면(18b) 위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34)의 제2단부(34b)는 스프링 포우스트(36)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포우스트(36)는 상기 리브(30)들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전방부(12) 위에 배치된다.
상기 장벽 어셈플리(16)의 조작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서 설명된다. 상기 어셈블리(16)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라이트 후드 및 보호용 렌즈 장벽의 기능을 한다. 상기 어셈블리(16)의 특별한 기능은 상기 어셈블리(16)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8)는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후드(17)의 근접한 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도어(18)의 상기 돌출부(18c)는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구멍(19)안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8)와 상기 커버/후드(17)는 상기 렌즈(13)의 전방으로 실질적으로 부드럽고 연속적인 면을 형성한다. 상기 표면은 주위의 빛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물질들로부터 상기 사진-촬영 렌즈를 고립시키는 보호 장벽역할을 수행하고, 게다가 상기 가장자리(20c)와 가장자리부(18d)의 경사진 형상은 이러한 형상은 라이트 장벽으로서의 상기 어셈블리(16)의 효과를 증가시킨다.
상기 가이드 핀(24)들은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슬롯(33)의 제1단부(33a)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각각의 수평요소(21)의 실제적인 한 부분은 오목부(29)로 되돌려진다. 상기 도어(18)의 형상과 관계된 배열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어셈블리(16)에 긴밀한 외형을 갖게 한다. 특별히, 상기 전방부(12)로부터의 상기 어셈블리(16)의 돌출부는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상태에서 가장 작다.
주위의 빛으로부터 상기 렌즈(13)를 차단시키는 것은 상기 전방면(12a)의 가장자리(12b)와 상기 수직요소(20)의 가장자리(20g)의 배열에 의해 더욱더 강화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장자리(12b)는 돌출되고, 경사져 있다. 상기 가장자리(20g)는 실제적으로 이상적인 각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배열은 상기 장벽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가장자리(20b)를 실질적으로 상기 가장자리(12b)에 대해 평평하게 놓이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가장자리(12b)와 가장자리(20g) 사이의 빛의 경로는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상태에서 차단된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16)는 상기 스프링(34)에 의해 단혀진 위치에서 당겨진다. 상기 스프링(34)은 중심부 위의 형태로 배열된다. 즉 상기 스프링의 당기는 방향은 상기 어셈블리(16)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부(34a)가 상기 도어(18)의 회전 포인트의 전방으로 위치되는 동안 즉, 상기 제1단부(34a)가 상기 제1축(23)과 상기 전방면(12a) 사이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스프링(34)은 닫혀진 위치에서 상기 어셈블리(16)를 당긴다. 반대로, 상기 제1단부(34a)가 상기 도어(18)의 회전 포인트의 후방으로 위치될 때 즉, 상기 제1축(23)이 상기 제1단부(34a)와 상기 전방면(12a) 사이에 위치되는 동안 상기 스프링(34)은 개방된 위치에서 상기 어셈블리(16)을를 당긴다.
상기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16)가 이동하는 것은 전술된 상기 구체예에서와 같이 수동으로 구현된다. 상기 카메라(10)의 사용자는 상기 수직 요소(20)의 가장자리(20f)에 상방향 힘을 가함으로써 닫혀진 위치에서 개방된 위치로 상기 어셈블리(16)를 이동시킨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아치형의 경로(37)를 따라 상기 가장자리(20f)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경사진 가장자리(20f)와 상기 수직 요소(20)위의 일단부(20d)의 상향된 형상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어셈블리(16)를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직 요소(20)의 전환은 상기 구멍(22)과 구멍(27)에 배치된 핀(28)이장착됨에 따라 상기 도어(18)를 이동시킨다. 상기 도어(18)를 상기 리브(30)에 연결시키는 것은 상기 제2축(32)에 대해 상기 도어(18)가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억제는 상기 가장자리(20f)가 이동하는 상기 경로(37)를 한정한다. 게다가, 상기 리브(30), 도어(18), 및 커버/후드(17)의 연결은 상기 제1축(23)을 상기 제2축(32)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후드(17)의 이동은 상기 핀(24)과 상기 슬롯(33)의 구비로 인해 더욱더 구속된다. 특별히, 이와 같은 구비로 인해 상기 핀(24)에 인접하는 상기 커버/후드의 한부분은 상기 슬롯(33)에 의해 한정되는 아치형의 경로를 따르게 된다. 상기 슬롯(33)의 상대적으로 얕은 원호는 상기 카메라 바디(11)에 대한 상기 커버/후드(17)의 회전을 전반적으로 작게 한다. 상기 커버/후드(17)의 작은 회전에 연결되는 상기 도어(18)의 순수한 회전적 이동은 상기 도어(18)를 상기 커버/후드(17)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8)는 상기 제1축(23)에 대해 회전한다.
상기 스프링(34)이 중심의 상단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어(18)가 이동경로를 통해 부분적으로 회전될 때 스프링의 당기는 방향은 변화된다. 즉, 개방된 위치로 상기 장벽 어셈블리(16)가 이동될 때 상기 스프링은 개방된 위치를 향해 쉬프트를 당긴.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16)가 상기 개방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경로(37)를 따라 상기 가장자리(20f)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은 감소된다. 게다가 상기 스프링이 당김으로써 일단 상기 어셈블리(16)가 개방된 위치에 배치되면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16)는 상기 가이드 핀(24)이 상기 슬롯(33)의 제2 단부 (33b)에 도달할 때 개방된 위치에 도달한다. 더 나아가 상기 어셈블리(16)의 이동은 상기 핀(24)과 제2단부(33b)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제2도와 제3도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8)는 상기 어셈블리(16)가 닫혀진 위치에서 개방된 위치로 이동할 때 90°정도로 반시계방향의 원호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18)는 상기 어셈블리(16)가 개방된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전방면(12a)과 상기 커버/후드(17)의 인접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커버/후드(17)는 상기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16)가 이동할 때 아치형의 경로를 따라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후드(17)는 상기 전방면(12a)에 대하여 수직과 수평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상기 구멍(19)을 상기 커버가 개방되는 때 상기 전방부(12)로부터 멀어지는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구멍(19)은 또한 상기 렌즈(13)를 향한 방향인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연동되는 이동은 상기 어셈블리(16)가 개방될 때 상기 렌즈(13)의 광학축(14)에 따라 상기 구멍(19)을 실질적으로 배열시킨다. 게다가, 상기 구멍(19)은 떨어진 거리(38)만큼 상기 렌즈(13)의 전방으로 배열된다. 상기 떨어진 거리(38)는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약 6.6 mm가 바람직하다.(이러한 크기는 상기 렌즈(13)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고, 다른 구체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멍(19)은 상기 장벽 어셈블리(16)가 개방된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렌즈(13)에 주위의 빛이 도달하게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구멍(19)을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커버/후드(17)는 라이트 후드(hood)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라이트 후드와 같은 상기 커버/후드의 이러한 효과는 상기 구멍(19)과 렌즈(13) 사이의 거리(38)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상기 효과는 상기 구멍(19)의 폭과 높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술된 이러한 크기는 상기 예시적인 구체예에 있어서 최적의 빛 차단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맞춰진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렌즈(13)의 시야 바깥의 주위의 빛으로부터 상기 렌즈(13)를 실질적으로 차단시킨다. 게다가 이러한 차단은 렌즈(13)의 요구되는 시야를 감소시키거나 방해함 없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후드(17)는 상기 렌즈(13)의 노출을 제한한다. 특히, 상기 렌즈(13)의 노출은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13)의 시야 안의 주위의 빛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후드(17)는 상기 카메라(10)에 의한 사진의 질을 향상시킨다. 특히, 상기 커버/후드(17)는 상기 렌즈(13)가 렌즈(13)의 시야 바깥의 빛에 의해 노출될 때 현상되는 사진에 나타날 수 있는 플레어 및 글레어를 막는다.
라이트 후드로서의 상기 어셈블리(16)의 효과는 수평 요소(21)와 상기 도어(18)의 형상에 의해 더욱더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8)의 상기 전방면(18a)과 각각 수평 요소(21)의 일부는 터널(39)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터널(39)은 상기 광학축(14)의 주위에 위치되고, 상기 구멍(19)과 상기 렌즈(13)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터널(19)의 상대적으로 적은 크기는 상기 어셈블리(16)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카메라 사용자가 부주의로 상기 렌즈(13)를 만지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상기 터널(19)은 상기렌즈(13)가 지문으로 더럽혀 지는 것을 막는다.
상기 렌즈(13)는 또한 수직 요소(20)의 굴곡부(20e)에 의해 고립된다. 특히, 상기 굴곡부(20e)의 기하학적 배열에 의해 상기 굴곡부(20e)는 상기 구멍(19)과 상기 전방면(12a) 사이에서 연속적인 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면은 주위의 빛이 상기 굴곡부(20e)가 위치되는 상기 렌즈(13)의 측부로부터 상기 렌즈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16)는 상기 수직 요소(20)의 평평한 일단부(20d)에 수평힘을 가함으로써 닫혀진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 사용자는 수평힘을 상기 수직 요소(20)의 굴곡부(20e)에 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힘들 중의 하나를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어셈블리(16)는 상기 어셈블리(16)의 개방된 위치로 도시되는 방향의 정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더욱이, 상기 스프링(34)의 당기는 힘은 상기 어셈블리(16)가 개방된 위치에 다다를 때 닫혀진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16)를 닫기 위한 힘은 작아지게 된다.
렌즈 장벽과 라이트-후드의 기능을 하나의 기계구조로 통합시키는 것, 즉 장벽 어셈블리(16)는 이러한 기능들이 분리된 구성요소로 형성되는 카메라에 비교하여 카메라(10)의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특히, 상기 어셈블리(16)의 설계는 카메라(1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어셈블리(16)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특징은 상기 어셈블리(16)가 상기 카메라 바디(11)로부터 상기 어셈블리(16)의 돌출을 최소한으로 하는 방법으로 저장되게 한다. 상기 어셈블리(16)의 전체적인 밀집은 엄밀한 공간적 구속을 위한 카메라에 특히 유리하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16)의 기계적 복잡함은 적다. 특히 상기 어셈블리(16)를 형성하는 부품의 수는 적다. 게다가 상기 어셈블리(16)의 개별적인 구성요소 사이에서의 기계적 관계는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다. 예를 들어, 상기 어셈블리(16)의 이동부는 이동은 단순 핀들과 포스트들을 경유하여 연결되고, 아치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게다가, 상기 어셈블리(16)는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되고 닫혀질 때 상기 렌즈(13) 또는 상기 카메라(10)의 상기 필름-노출 셔터의 정지 또는 재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16)는 최소한의 복잡성, 가격, 및 상기 카메라의 전체적인 부품 합계에 추가된다.
상기 장벽 어셈블리(16)는 상기 카메라(10)의 전자시스템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어셈블리(16)는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되고 닫혀질 때 상기 카메라(10)의 전기적 회로가 작동 및 작동되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카메라(10)의 외부에 장착되는 분리된 온-오프 스위치의 필요성을 배제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카메라(10)의 외부 크기를 잠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된 이점에 덧붙여, 상기 장벽 어셈블리(16)는 또한 효과적인 라이트 후드의 이점을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어셈블리(16)는 상기 어셈블리(16)가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렌즈 주위를 보호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은 상기 사진-촬영 렌즈(13)가 전방면(12a)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상기 카메라(10)와 같은 콤팩트 카메라에 있어 특히 유리하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많은 특이한 사항들과 이점들이 언급되었다 할 지라로 본 발명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단순이 예시적인 것으로서, 첨부된 청구항에서 표현된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를 확장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원칙내에서 세부적인 사항들, 특히 본 발명의 형상, 크기 및 각부의 배열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16)의 다양화를 인식할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은 통합된 구조의 요소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하는 도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어셈블리(16)의 다양함은 상기 도어(18)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수직 요소(20)의 다양한 형상들은 본 발명의 의도된 범위 안에서 가능하다.

Claims (18)

  1. 전방부를 구비하는 바디;
    사진-촬영 렌즈; 및
    상기 전방부에 연결되는 장벽 어셈블리(assembly)로 구성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도어 및 통합되어 형성된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hood)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후드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가 상기 구멍을 통해 주위의 빛에 노출되는 개방된 위치 및 상기 커버/후드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렌즈를 커버하고, 상기 도어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구멍에 배치되는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제1축에 대해 상기 커버/후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도어는 제2축에 대해 상기 전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어셈블리의 이동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축과 제2축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어셈블리의 이동은 상기 제1축을 상기 제2축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의 이동은 상기 커버/후드를 상기 전방부에 대하여 횡방향 및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후드는 가이드 핀 및 슬롯이 형성되는 전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슬롯(slot)에 미끄러지도록 맞물리고, 상기 맞물림에 의해 상기 커버/후드가 상기 개방된 위치와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커버/후드의 적어도 한 부분이 아치형 경로를 따라 실질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렌즈의 상기 노출을 제한하고,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출은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의 시야 안의 주위의 빛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가 상기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후드와 상기 도어는 상기 렌즈의 광학축(optical axis) 주위의 터널의 적어도한 부분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는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전방부를 구비하는 바디;
    사진-촬영 렌즈; 및
    상기 전방부에 연결되는 장벽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구멍을 구비하고 통합되어 형성되는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가 상기 구멍을 통해 주위의 빛에 노출되는 개방된 위치 및 상기 커버/후드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렌즈를 커버하는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전방부에 관하여 축방향과 횡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렌즈의 상기 노출을 제한하고,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출은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의 시야 안의 주위의 빛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는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전방부를 구비하는 바디;
    사진-촬영 렌즈; 및
    상기 전방부에 연결되는 장벽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통합되어 형성되고 구멍을 구비하는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후드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렌즈를 커버하는 닫혀진 위치 및 상기 렌즈가 상기 구멍을 통해 주위의 빛에 노출되는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렌즈의 노출을 제한하고,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출은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의 시야 안으로의 주위의 빛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 어셈블리는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전방부를 구비하는 바디;
    사진-촬영 렌즈; 및
    상기 전방부에 연결되는 장벽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통합되어 형성되고 구멍을 구비하는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가 상기 구멍을 통해 주위의 빛에 노출되는 개방된 위치 및 상기 커버/후드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렌즈를 커버하는 닫혀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전방부에 관하여 축방향과 횡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mm 카메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렌즈의 상기 노출을 제한하고,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출은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의 시야 안의 주위의 빛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mm 카메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도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어셈블리가 상기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구멍 안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mm 카메라.
  16. 전방부를 구비하는 바디;
    사진-촬영 렌즈; 및
    상기 전방부에 연결되는 장벽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통합되어 형성되고 구멍을 구비하는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커버/후드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렌즈를 커버하는 닫혀진 위치 및 상기 렌즈가 상기 구멍을 통해 주위의 빛에 노출되는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커버/후드는 상기 렌즈의 상기 노출을 한정하고, 상기 어셈블리가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노출은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의 시야 안으로의 주위의 빛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mm 카메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도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어셈블리가 상기 닫혀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의 적어도 한 부분이 상기 구멍 안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5-mm 카메라.
  18. 상기 전방부의 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인 제1방향으로 상기 어셈블리를 수동으로 미끌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전방부에 연결된 어셈블리를 개방된 위치로 이동시키고(1), 상기 미끌어짐에 의해 상기 전방부로부터 상기 어셈블리는 축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이동되고, 상기 어셈블리 위의 도어는 렌즈를 노출시키고 라이트후드를 형성하기 위해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제1방향의 반대되는 수평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어셈블리를 수동으로 미끌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어셈블리를 닫혀진 위치로 이동시키는(2)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끌어짐에 의해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전방부에 축방향으로 닫혀지도록 이동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렌즈를 커버하고 렌즈 커버를 형성하기 위해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이용방법.
KR1020017014126A 1999-05-11 2000-04-25 통합된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장벽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카메라 KR20020016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09,434 1999-05-11
US09/309,434 US6176626B1 (en) 1999-05-11 1999-05-11 Camera having a barrier assembly comprising an integrated lens cover/light hood
PCT/US2000/011068 WO2000068734A1 (en) 1999-05-11 2000-04-25 Camera having barrier assembly comprising an integrated lens cover/light h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785A true KR20020016785A (ko) 2002-03-06

Family

ID=2319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126A KR20020016785A (ko) 1999-05-11 2000-04-25 통합된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장벽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카메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76626B1 (ko)
EP (1) EP1177476A4 (ko)
JP (1) JP2002544540A (ko)
KR (1) KR20020016785A (ko)
CN (1) CN1350657A (ko)
AU (1) AU762115B2 (ko)
CA (1) CA2370842A1 (ko)
HK (1) HK1045880A1 (ko)
NZ (1) NZ514633A (ko)
WO (1) WO2000068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9880B2 (ja) * 2005-10-12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1007944A (ja) * 2009-06-24 2011-01-13 Sony Corp 蓋体の開閉機構及び撮像装置
JP6195360B2 (ja) * 2013-07-22 2017-09-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3375A (en) * 1963-06-24 1964-10-20 Minox Gmbh Photographic camera
DE7623866U1 (de) 1976-07-29 1976-12-02 Balda-Werke Photographische Geraete Und Kunststoff Gmbh & Co Kg, 4980 Buende Abdeckplatte fuer optische elemente einer kamera
JPS607769B2 (ja) 1978-01-18 1985-02-2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保護カバ−付カメラ
JPS574029A (en) 1980-06-07 1982-01-09 Nippon Kogaku Kk <Nikon> Camera with slide cover
US4363546A (en) 1980-11-07 1982-12-14 Olympus Optical Company Ltd.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utine shot distance of taking lens in cameras
JPS58156608U (ja) 1982-04-13 1983-10-19 冨士シ−ル工業株式会社 シユリンクラベル装着装置
US4451130A (en) 1982-06-04 1984-05-29 W. Haking Enterprises Limited Disc camera with handle grip cover
US5212510A (en) 1992-02-18 1993-05-18 Eastman Kodak Company Compact camera with elastic lens cover to prevent abrasion of taking lens
JP3368022B2 (ja) 1993-12-01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2593878Y2 (ja) 1993-12-27 1999-04-1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バリア装置
US5608478A (en) 1994-06-16 1997-03-04 Fuji Photo Optical Co., Ltd. Camera with lock-controlling lens barrier
US5708895A (en) 1994-09-21 1998-01-13 Olympus Optical Co, Ltd. Camera
TW275669B (ko) 1994-09-21 1996-05-11 Haking Ind Mechanics & Optiks
CN1074839C (zh) 1994-12-22 2001-11-14 旭光学工业株式会社 用于照相机的遮挡装置
JPH08211471A (ja) 1995-02-07 1996-08-20 Olympus Optical Co Ltd 沈胴式カメラ
JPH08278532A (ja) 1995-04-05 1996-10-22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のフード可変装置
JPH0943678A (ja) 1995-08-01 1997-02-14 Fuji Photo Optical Co Ltd バリア付カメラ
JP3497623B2 (ja) 1995-09-01 2004-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US5708884A (en) 1995-09-21 1998-01-1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Sliding cover movement rstricting device
JP3504400B2 (ja) 1995-10-17 2004-03-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US5805947A (en) 1995-12-08 1998-09-08 Nikon Corporation Camera provided with a sliding cover
JP3548311B2 (ja) 1996-01-22 2004-07-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スライドカバーを備えたカメラ
US5862414A (en) 1996-09-13 1999-01-19 Concord Camera Corp. Film and battery loading method for a single use camera such as a single use APS camera and a camera loaded according to the same
US5832311A (en) 1996-09-13 1998-11-03 Concord Camera Corp. Single use camera with battery located in film spool
US5689733A (en) 1996-09-13 1997-11-18 Concord Camera Corp. Film loading method for a single use APS camera
US5740480A (en) 1997-02-20 1998-04-14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movable first lens cover which supports movable second lens cover which opens during movement of first lens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6626B1 (en) 2001-01-23
EP1177476A4 (en) 2002-09-11
CN1350657A (zh) 2002-05-22
NZ514633A (en) 2003-06-30
AU762115B2 (en) 2003-06-19
WO2000068734A1 (en) 2000-11-16
JP2002544540A (ja) 2002-12-24
CA2370842A1 (en) 2000-11-16
AU4661100A (en) 2000-11-21
EP1177476A1 (en) 2002-02-06
HK1045880A1 (zh) 2002-12-13
WO2000068734B1 (en) 200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089A (en) Camera
EP0078313A1 (en) Camara door apparatus
JPS607769B2 (ja) 保護カバ−付カメラ
US20100239242A1 (en) Safeguard apparatus for covering camera lens
JPH04320243A (ja) パノラマ撮影機能付きカメラの撮影モード切替機構
KR20020016785A (ko) 통합된 렌즈 커버/라이트 후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장벽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카메라
JP3395308B2 (ja) カメラ
CN101356738A (zh) 小型摄像机用保护装置
JP3331449B2 (ja) レンズカバー開閉表示装置
JP4001322B2 (ja) 光学系バリア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3460739B2 (ja) レンズバリア付きカメラ
JP4014427B2 (ja) 接写用凸レンズを具えた撮像機器
JP4069671B2 (ja) 撮像装置
JP3212146B2 (ja) 画面サイズ切替えカメラ
JP2000111989A (ja) バリア付きカメラ
JP4177976B2 (ja) カメラ
JPH028267Y2 (ko)
JPH0829835A (ja) カメラ
JP2589198Y2 (ja) カメラの画面サイズ切り換え機構
KR2005006836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덮개 구조
KR20060033165A (ko) 카메라 커버의 작동에 따라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을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H0631460Y2 (ja) カメラの補助光学系切替え装置
JPS6128182Y2 (ko)
JP3368979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815772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