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938A - 컵부착 스포츠의류 - Google Patents

컵부착 스포츠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938A
KR20020015938A KR1020010040749A KR20010040749A KR20020015938A KR 20020015938 A KR20020015938 A KR 20020015938A KR 1020010040749 A KR1020010040749 A KR 1020010040749A KR 20010040749 A KR20010040749 A KR 20010040749A KR 20020015938 A KR20020015938 A KR 20020015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upport member
attached
cup support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리이카츠코
후나하시유키코
Original Assignee
츠카모토 요시카타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모토 요시카타,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카모토 요시카타
Publication of KR20020015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9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8Brassieres combined with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심한 팔의 운동에 의해서도 바스트의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조형(바스트업)기능이 우수한 컵부착 스포츠의류를 제공한다. 우컵부(2R)의 컵지지끈(5R)은 왼쪽 윗방향으로 뻗고, 좌컵부(2L)의 컵지지끈(5L)은 오른쪽 윗방향으로 뻗으며, 각각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고, 양쪽의 컵지지끈(5L, 5R)의 연장선이 네크홀 가장자리부(16)의 윗쪽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운동에 따른 심한 팔의 움직임에 의한 컵부의 움직임이 대폭으로 완화되어 팔을 올렸을 때의 컵지지부재에 의한 작용이 이른바「끌어당김」방향으로 컵부를 끌어올리도록 작용한다.

Description

컵부착 스포츠의류{SPORTS CLOTHING WITH CUPS}
본 발명은 부인용 스포츠의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수영복, 레오타드, 스포츠언더웨어와 같은 컵부착 스포츠의류에 관한 것이다.
부인용 수영복과 같은 스포츠의류에는 좌우 한쌍의 컵부를 옷의 길에 배치한 컵부착 스포츠의류로 불리우는 것이 있다. 우(좌)컵부는 일반적으로 우(좌) 겨드랑이포와 우(좌)컵지지끈에 의해 길에 부착된다. 우(좌)컵지지끈의 일단부는 우(좌)컵부의 위쪽 가장자리부에 봉합된다. 우(좌)컵지지끈의 타단부는 길의 우(좌)암홀(팔이 통하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봉합되거나(타입 1), 길의 네크홀(목이 통하는 구멍) 가장자리부에 봉합되거나 한다(타입 2). 타입 1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2-26400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타입 2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60-67313호 공보, 실용신안공개 평1-177213호 공보 및 실용신안등록 제30427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타입 2의 변형으로서 우(좌)컵지지끈의 타단부가 훅에 의해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는 수용복이 있다. 이 타입에서는 우(좌)컵지지끈의 타단부는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부착하거나, 떼어내거나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부착 스포프의류에서는, 착용자의 팔의 움직임에 의해서 바스트의 유지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나 바스트의 조형이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컵부착 스포츠의류는 신축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상태에 있어서 신체와 밀착된다. 착용자는 예컨대 수영의 크로올과 같이 좌우의 팔을 교대로 윗쪽으로 크게 움직이는 일이 있다. 이때, 어깻죽지 부분에서 어깨가 들려올라감으로써 길의 어깨 부분은 크게 늘어난다. 이것에 의해, 암홀 가장자리부는 어깨부분의 움직임에 따라서 위로 늘어나도록 인장된다. 어깨에 가까운 부분의 네크홀 가장자리부도 어깨부분의 움직임에 따라서 위로 늘어나도록 인장된다.
따라서, 상기 타입 1의 경우, 우(좌)암홀에 위로 늘어나는 바와 같은 강한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우(좌)컵지지끈이 강하게 끌어올려진다. 이것에 의해 바스트의 유지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나 바스트의 조형이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타입 2의 경우, 네크홀의 우(좌)측 부분에 위로 신장되는 바와 같은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우(좌)컵지지끈이 끌어올려진다. 이 인장력은 타입 1의 인장력보다 작지만, 타입 1과 마찬가지로 상기 두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수영복의 경우, 네크홀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네크홀 가장자리부에는 비교적 강인한 탄성을 보유하는 소재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네크홀 가장자리부의 움직임(스크로크)는 암홀 가장자리부의 움직임에 비하여 작지만, 컵지지끈을 끌어올리는 힘(파워)은 강하다. 이 때문에 바스트의 유지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고, 바스트의 조형기능도 손상된다.
본 발명은, 심한 팔의 운동에 의해서도 바스트의 유지가 안정되고, 또한 바스트의 조형(바스트업)기능이 우수한 컵부착 스포츠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제1실시형태의 개요를 나타내는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정면도,
도 1b는 제2실시형태의 개요를 나타내는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정면도,
도 1c는 제3실시형태의 개요를 나타내는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정면도,
도 2는 제1실시형태의 제1타입에 관한 수영복의 정면도,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수영복의 착용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수영복의 배면도,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제2타입이고, 착용상태의 수영복의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제3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제4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7은 제1실시형태의 제5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8은 제1실시형태의 제6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9는 제1실시형태의 제7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10은 제1실시형태의 제8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11은 제1실시형태의 제9타입이고, 수영복 앞면의 이면도,
도 12는 제2실시형태의 제1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13a는 제2실시형태의 제2타입이고, 착용상태의 수영복의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낸 수영복의 배면도,
도 14a는 제2실시형태의 제3타입이고, 착용상태의 수영복의 사시도,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낸 수영복의 배면도,
도 15는 제3실시형태의 제1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16은 제3실시형태의 제2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컵부착 수영복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b는 도 17a의 훅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컵부착 수영복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컵부착 수영복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컵부착 수영복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컵부착 수영복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컵부착 스포츠의류는, 한쪽의 암홀을 규정하는 규정부, 다른쪽의 암홀을 규정하는 규정부, 및 네크홀을 규정하는 규정부를 보유하는 길과, 길에 배치되는 한쪽의 컵부 및 다른쪽의 컵부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한쪽의 컵지지부재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다른쪽의 컵지지부재를 구비하고, 다른쪽의 컵지지부재의 일단부는 다른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컵지지부재의 타단부는 네크홀 규정부 중 한쪽의 암홀측에 있는 부분, 및/또는 한쪽의 암홀규정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다른쪽의 컵이 한쪽측으로 인장되도록 길에 부착되고, 한쪽의 컵지지부재의 일단부는 한쪽의 컵부에 부착되며, 한쪽의 컵지지부재의 타단부는 네크홀 규정부 중 다른쪽의 암홀측에 있는 부분, 및/또는 다른쪽의 암홀 규정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한쪽의 컵이 다른쪽측으로 인장되도록 길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쪽의 컵지지부재의 타단부는, 네크홀 규정부 중 한쪽의 암홀측에 있는 부분, 및/또는 한쪽의 암홀 규정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다른쪽의 컵부가 한쪽측으로 인장되도록 길에 부착되어 있다. 또, 한쪽의 컵지지부재의 타단부는 네크홀 규정부 중 다른쪽의 암홀측에 있는 부분, 및/또는 다른쪽의 암홀 규정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한쪽의 컵부가 다른쪽으로 인장되도록 길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한쪽의 팔을 올리면 다른쪽의 컵부가 다른쪽의 컵지지부재에 의해 들려지고, 다른쪽의 팔을 올리면 한쪽의 컵부가 한쪽의 컵지지부재에 의해 들려진다. 따라서, 심한 팔의 움직임에 의한 한쪽 및 다른쪽 컵부의 움직임이 대폭으로 완화된다.
또, 팔을 올렸을 때의 컵지지부재에 의한 컵부의 인상방향은 한쪽의 컵부에 대해서는 다른쪽의 상방향, 다른쪽의 컵부에 대해서는 한쪽의 상방향이다. 따라서, 이른바 「끌어당김」방향으로 끌어올려지게 되므로, 운동시에 바스트를 아름답게 끌어올린다는 조형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한쪽 및 다른쪽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한쪽이 오른쪽일 때 다른쪽이 왼쪽이고, 또, 한쪽이 왼쪽일때 다른쪽이 오른쪽이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컵부착 스포츠의류는 앞길을 보유하고, 신체에 밀착하는 의복부와, 앞길의 신체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쪽의 컵부 및 다른쪽의 컵부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한쪽의 컵지지부재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다른쪽의 컵지지부재를 구비하고, 한쪽의 컵지지부재의 일단부는 한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컵지지부재의 일단부는 다른쪽의 컵부에 부착되며, 한쪽의 컵지지부재의 타단부 및 다른쪽의 컵지지부재의 타단부는 한쪽의 컵지지부재와 다른쪽의 컵지지부재가 교차하고, 또는 그들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의복부의 앞길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쪽 및 다른쪽의 컵지지부재끼리가 교차하고, 또는 그들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의복부의 앞길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심한 팔의 운동에 의해서도 바스트의 유지가 안정되고 또한 우수한 바스트의 조형(바스트업)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에 관한 수영복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부호가 나타내는 요소 중, 좌컵부와 우컵부 등, 좌우의 구별을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것은 착용자가 보아서 좌우이다. 따라서, 착용자 또는 수영복을 앞에서 본 도면에서는 도면의 오른쪽이 착용자에게 있어서 왼쪽이 되고, 도면의 왼쪽이 착용자에게 있어서 오른쪽이 된다.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의 개요]
우선, 각 실시형태의 개요에 대해서 도 1a, 도 1b, 도 1c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제1실시형태의 개요를 나타내고, 도 1b는 제2실시형태의 개요를 나타내며, 도 1c는 제3실시형태의 개요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수영복을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의복부(길)(1)의 앞길(11)을 나타낸다. 의복부(길)(1)의 우부에는 우암홀을 규정하는 규정부의 일례로 되는 우암홀 가장자리부(14R)가 있다. 의복부(1)의 좌부에는 좌암홀을 규정하는 규정부의 일례로 되는 좌암홀 가장자리부(14L)가 있다. 의복부(1)의 상부에는 네크홀을 규정하는 규정부의 일례로 되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가 있다. 네크홀 가장자리부(16)는 네크홀 규정부 중 우암홀측에 있는 부분(16R)과, 네크홀 규정부 중 좌암홀측에 있는 부분(16L)으로 구성된다.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의복부(길)(1)의 내측에 배치된 좌컵부(2L), 우컵부(2R), 좌컵지지끈(5L), 우컵지지끈(5R), 앞중심 연결부(3), 우겨드랑이천부(4R), 좌겨드랑이천부(4L)을 나타내고 있다. 컵지지끈은 컵지지부재의 일례이다. 부호 8은 앞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앞중심선(8)은 가상선이고,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좌)컵지지끈(5R(5L))의 일단부는 우(좌)컵부(2R(2L))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부분을 부착부(7R(7L))로 한다.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의 부착위치가 제1, 제2, 제3실시형태로 다르다. 도 1a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는 앞중심선(8)의 근방이고, 또한 앞중심선(8)에 대하여 우(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b에 나타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는 앞중심선(8)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1c에 나타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는 앞중심선(8)에 대하여 좌(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제2, 제3실시형태의 상이점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네크홀 가장자리부(16)의 높이와 우(좌)컵지지끈(5R(5L))의 부착위치이다. 도 1a의 경우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의 위치가 낮고, 우(좌)컵지지끈(5R(5L))은 서로 교차하는 바로 앞에서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도 1b의 경우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의 위치가 중간정도로, 우(좌)컵지지끈(5R(5L))은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도 1c의 경우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의 위치가 높고, 우(좌)컵지지끈(5R(5L))은 서로 교차한 위치의 더욱 윗쪽에서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의 공통의 효과를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컵지지끈(5R)의 타단부는 좌암홀 가장자리부(14L)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및/또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 중 좌암홀측에 있는 부분(16L)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우컵부(2R)가 좌측으로 인장되도록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또, 좌컵지지끈(5L)의 타단부는 우암홀 가장자리부(14R)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및/또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 중 우암홀측에 있는 부분(16R)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 좌컵부(2L)가 우측으로 인장되도록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용자가 오른팔을 올리면, 좌컵부(2L)가 좌컵지지끈(5L)에 의해 인상되고, 왼팔을 올리면 우컵부(2R)가 우컵지지끈(5R)에 의해 인상된다. 따라서, 오른팔을 올리면 우컵부(2R)가 달려올라가고, 왼팔을 올리면 좌컵부(2L)가 달려올라가는 종래예와는 달리, 심한 팔의 움직임에 의한 컵부의 움직임이 대폭으로 완화되어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 착용자가 팔을 올렸을 때의 컵지지끈에 의한 컵부의 인상방향은, 우컵부(2R)에 대해서는 왼팔을 올렸을 때에 왼쪽 윗방향, 좌컵부(2L)에 대해서는 오른팔을 올렸을 때에 오른쪽 윗방향이다. 이 때문에 우컵부(2R)에 대해서는 오른팔을 올렸을 때에 윗방향, 좌컵부(2L)에 대해서는 왼팔을 올렸을 때에 윗방향인 종래예와는 달리, 이른바 「끌어당김」방향으로 인상되게 된다. 이 때문에 운동시에 있어서도 바스트를 아름답게 끌어당겨 올린다는 우수한 조형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실시형태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컵지지끈(5R)의 타단부와, 좌컵지지끈(5L)의 타단부는 이들의 컵지지끈끼리가 교차하고(도 1b, 도 1c 참조), 또는 그들의 연장선이 프론트 네크포인트 근방에서 서로 교차하는(도 1a 참조) 바와 같이,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바스트 유지의 안정성 및 우수한 바스트의 조형기능이 얻어진다.
[제1실시형태]
다음에, 제1실시형태에 관한 컵부착 수영복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는 부착부(7R(7L))에서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부착부(7R(7L))는 앞중심선(8)의 근방이고, 또한 앞중심선(8)에 대하여 우(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표면을 사용하면, 우(좌)컵지지끈(5R(5L))은 좌(우) 윗방향으로 뻗어 있고, 이들 컵지지끈이 서로 교차하는 바로 앞의 위치에서 그들의 단부가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제1실시형태는, 도 2, 도 4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이 있다. 우선, 제1실시형태의 제1타입에 대하여, 도 2, 도 3a, 도 3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음선을 생략한 수영복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착용상태의 수영복 사시도이며, 도 3b는 수영복의 배면도이다. 신체(주로 몸체)를 덮는 의복부(1)는 신체의 앞측을 덮는 앞길(11)과, 신체의 뒷측을 덮는 뒷길(12)로 구성된다. 앞길(11)과 뒷길(12)은 겨드랑이부 등의 위치에서 이음선에 의해 봉합된다. 앞길(11) 및 뒷길(12)은 착용시,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 앞길(11) 및 뒷길(12)의 소재로서는, 신축성이나 내수성이 우수한 것,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이 사용된다.
의복부(1)의 우(좌)암홀은 팔을 통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가장자리부인 우(좌)암홀 가장자리부(14R(14L))에는 신축성과 탄성을 보유하는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의복부(1)의 네크홀은 목을 통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가장자리부인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도 신축성과 탄성을 보유하는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가장자리부(14R, 14L, 16)에 부착되는 테이프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평테이프, 라텍스계 평테이프가 있고, 콜고무, 편고무, 직고무, 각종의 스트레치테이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영복의 경우에는 우(좌)암홀 가장자리부(14R(14L))에 비해서 네크홀 가장자리부(16)의 쪽이 강인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우(좌)암홀 가장자리부(14R(14L))에 잘 늘어나는 라텍스계 평테이프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는 강인한 폴리우레탄계 평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단, 동일소재의 테이프라도 폭, 두깨, 방직방법에 의해서 신축성이나 탄성도는 다르다. 따라서, 가장자리부(14R, 14L, 16)에 동일소재의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앞길(11)의 내측에는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우컵부(2R)와 좌컵부(2L)가 배치되어 있다. 우(좌)컵부(2R(2L))는 부직포, 폴리우레탄 등으로 바스트에 꼭 맞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우(좌)컵부(2R(2L))는 복수 종류의 천재료를 맞붙여서 형성되는 것도 많다.
우컵부(2R)의 앞중심측 단부와 좌컵부(2L)의 앞중심측 단부는 테이프형상의 앞중심 연결부(3)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앞중심 연결부(3)는 예를 들면 비신축성의 테이프재(예컨대 탄성사를 포함하지 않는 직테이프, 면테이프), 탄성사를 조금 함유하여 신축성이 적은 테이프재, 비정질수지섬유의 편물이나 직물, 신축성의 테이프재에 수지를 함침시킨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우(좌)컵부(2R(2L))의 겨드랑이측 단부의 각각에는 앞중심 연결부(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일단부가 꿰매어져 있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타단부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길(12)중의 이음선선에 의해 의복부(1)에 봉합되어 있다.
일정한 폭을 보유하는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파워넷, 트리콧, 트리코넷 등의 경편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평테이프와 같은 폭이 좁은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가 보유하는 「일정한 폭」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8㎝정도면 되고, 표준사이즈로는 3~9㎝이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는 운동 추종성이나 사이즈 적응성을 고려하여 신축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그라데이션옷단 파워넷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일종의 파워넷으로서 양단부가 봉제시말이 불필요한 옷단용으로 되어 있다. 파워넷의 속에 넣어지는 탄성사의 개수나 굵기를 변경하거나 편조직을 변경하거나 하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파워의 강약차를 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용상태에서 상하 양단부의 파워를 강하게 하고, 그 사이(중간부)의 파워를 양단부보다 약하게 하고 있다. 또한, 착용상태에서 중간부의 파워를 강하게 하고, 상하 양단부의 파워를 중간부 보다 약하게 하고 있는 상태여도 좋다. 이상, 파워넷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트리콧이나 트리코넷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우(좌)컵부(2R(2L))의 상단부에는 우(좌)컵지지끈(5R(5L))의 일단부가 봉합되어 있다. 앞길(11)의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는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가 봉합되어 있다. 컵지지끈은 컵지지 테이프재의 일례이다.
우(좌)컵지지끈(5R(5L))으로서는 신축성을 보유하는 콜고무가 바람직하고, 편고무, 직고무, 각종의 스트레치테이프도 사용할 수 있다. 운동 추종성을 고려하여 신축성의 소재가 바람직하지만, 우(좌)컵부(2R(2L))의 상단과 네크홀 가장자리부(16)가 가까운 경우에는 신축성이 없어도 된다. 신축성의 정도에 대해서는 테이프소재에 함유되는 탄성사의 종류, 굵기, 개수, 편조직, 직조직을 변경함으로써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종류의 테이프를 종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또는 1개의 테이프의 도중에서 편조직을 변경함으로써 파워에 강약차를 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우(좌)컵부(2R(2L))에 꿰매어 붙이는 부분의 신축성을 작게 하고, 우(좌)컵부(2R(2L))로부터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이르는 부분의 신축성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종류의 테이프 대신에 두께나 폭이 다른 동종류의 테이프라도 마찬가자로 할 수 있다.
우(좌)컵지지끈(5R(5L))이 신축성이 풍부한 경우, 착용자가 오른팔을 올리면 오른손을 올린 방향으로 대강 따라서 신장되도록 배치된 좌컵어깨근(5L)은, 신장되면서 좌컵부(2L)를 끌어올린다. 착용자가 왼팔을 올리면 왼손을 올린 방향으로 대강 따라서 신장하도록 배치된 우컵지지끈(5R)은 신장되면서 우컵부(2R)를 끌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심한 팔운동에 의해서도 바스트의 유지가 안정되고, 또한 바스트의 조형(바스트업)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신축성을 보유하는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단부가 의복부(1)에 대하여 꿰매어 붙여져 있다. 따라서, 왼팔을 올렸을 때에 우컵지지끈(5R)과 우겨드랑이천부(4R)가 우컵부(2R)를 끼워서 신장되면서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오른팔을올렸을 때에 좌컵지지끈(5L)과 좌겨드랑이천부(4L)가 좌컵부(2L)를 끼워서 신장하면서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 결과, 운동시에도 언더웨어가 안정되고, 바스트의 안정성은 더욱 향상된다.
다음에, 제1실시형태의 다른 타입에 대하여, 제1타입과의 상위점을 설명한다.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제2타입이고, 착용상태의 수영복의 사시도이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타단부는 앞길(11)과 뒷길(12)의 봉합부로 꿰매어 붙여져 있다.
도 5는 제1실시형태의 제3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제3타입에서는 우컵부(2R)와 좌컵부(2L)는 앞중심부에서 일체로 되어 있다.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제4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제4타입에서는 우컵부(2R), 좌컵부(2L)의 형상이 삼각형이다.
도 7은 제1실시형태의 제5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제5타입에서는 우(좌)겨드랑이천부(4R(4L))가 가는 끈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도 6에 나타낸 제4타입과 상위하다.
도 8은 제1실시형태의 제6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제6타입에 있어서, 앞중심 연결부(3)는 접속수단의 일례인 훅를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우컵부(2R)와 좌컵부(2L)는 앞중심에서 연결, 분리가능하게 된다. 훅는 공지의 플라스틱제 훅이나 금속제 훅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우(좌)컵부(2R(2L))에 바스트를 용이하게 꼭 맞출 수 있다.
도 9는 제1실시형태의 제7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제7타입은 이른바세퍼레이트 타입이지만 흉부의 구성은 도 2와 같다.
도 10은 제1실시형태의 제8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제8타입에 있어서, 우(좌)컵부(2R(2L))의 앞중심측은 각각 앞길(11)에 꿰매어 붙여져 있다. 앞길(11)은 그 앞중심에 있어서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서 앞중심의 하부에 이르기까지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이 분할은 패스너톱니(71)와 슬라이더(72)로 이루어지는 패스너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8타입에 의하면, 컵부착 수영복의 착용자체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우(좌)컵부(2R(2L))에 바스트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도 11은 제1실시형태의 제9타입이고, 수영복 앞면의 이면도이다. 수영복 앞면의 이면도이므로 도면의 좌우와 착용자의 좌우는 일치하고 있다. 제9타입은 우(좌)컵지지끈(5R(5L))의 일부를 우(좌)컵부(2R(2L))의 구성요소의 일부로 하고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우(좌)컵부(2R(2L))의 본체를 구성하는 우(좌)컵부재(21R(21L))는 그 겨드랑이측 부분의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걸쳐서의 가장자리부가 매끄럽게 굴곡된 호형상을 하고 있다. 우(좌)컵부재(21R(21L))의 앞중심측의 상부는 대략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다. 호형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부착된 테이프재(221R(221L))는 우(좌)컵부재(21R(21L))의 상단부에서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네크포인트 근방의 방향을 향하여 원활하게 도출되고, 선단부가 의복부(1)의 앞길(11)의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꿰매어 붙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호형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부착된 테이프재(221R(221l)) 중에서, 우(좌)컵부재(21R(21L))의 상단부에서 네크포인트 근방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도출된 부분은 신축성을 보유하는 우(좌)컵지지끈(5R(5L))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우(좌)컵부재(21R(21L))의 앞중심측의 상부는 대략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이 가장자리부에는 다른 테이프재(222R(222L)가 꿰매어 붙여져 있다. 또, 우(좌)컵부(2R(2L))는 앞중심에 있어서 비신축성(또는 신축성이 적은)의 테이프포재로 이루어지는 앞중심 연결부(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우(좌)컵부(2R(2L))의 겨드랑이측은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일단부가 꿰매어 붙여져 있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타단부는 앞길(11)에 꿰매어 붙여져 있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는 광폭의 신축성 포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 11에 나타낸 제9타입에 의하면, 테이프재(221R(221L))는 우(좌)컵부재(21R(21L))의 상단부에서 꺽여 굽어지지 않고 원활하게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서 도출되므로, 우(좌)컵부(2R(2L))의 움직임의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제2실시형태에 관한 컵부착 수영복에 대하여 제1실시형태와 상위한 점을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는 앞중심선(8)상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표현을 이용하면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는 각각 앞길(11)의 동일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또 다른 표현을 이용하면 우(좌)컵지지끈(5R(5L))끼리가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그들의 단부가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제2실시형태는 도 12, 도 13a, 도 14a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이있다. 도 12는 제2실시형태의 제1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도 13a는 제2실시형태의 제2타입이고, 착용상태의 수영복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제2실시형태의 제2타입이고, 수영복의 배면도이다. 도 14a는 제2실시형태의 제3타입이고, 착용상태의 수영복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제2실시형태의 제3타입이고, 수영복의 배면도이다. 제3타입은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부착위치가 제2타입과는 다르다. 제2실시형태의 제1 내지 제3타입에 있어서, 우(좌)컵부(2R(2L)) 등의 재료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제3실시형태]
다음에, 제3실시형태에 관한 컵부착 수영복에 대하여 제1실시형태와 상위한 점을 설명한다. 제3실시형태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좌)컵지지끈(5R(5L))의 타단부는 앞중심선(8)에 대하여 좌(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표현을 사용하면, 우(좌)컵지지끈(5R(5L))끼리가 서로 교차한 위치의 더욱 위쪽에서, 이들의 단부가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되어 있다.
제3실시형태는 도 15,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이 있다. 도 15는 제3실시형태의 제1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제3실시형태의 제2타입이고, 수영복의 정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제2타입은 도 10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와 같이, 패스너톱니(71)와 슬라이더(72)로 이루어지는 패스너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우(좌)컵지지끈(5R(5L))의 단부는 패스너톱니(71)가 부착되어 있는는 패스너 테이프(73)에 꿰매어 붙여져 있다. 도 16에 나타낸 제2타입은, 우컵지지끈(5R)은 왼쪽 윗방향으로 뻗고, 좌컵지지끈(5L)은 오른쪽 윗방형으로 뻗어, 이들은 네크홀 가장자리부(16)의 바로 앞의 위치에서 서로 교차된 후, 앞길(11)(앞길(11)에 봉착된 패스너 테이프(73))에 부착되어 있는 것과 동등하게 된다. 제3실시형태의 제1, 제2타입에 있어서, 우(좌)컵부(2R(2L)) 등의 재료는 제1실시형태와 같다.
[변형예]
다음에,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 우(좌)컵지지끈(5R(5L))의 상단부(타단부)는 앞길(11)의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꿰매어 붙여져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0-67313호 공보와 같은 어저스터(접속수단의 일례)를 설치하여 우(좌)컵지지끈(5R(5L))의 상단부를, 앞길(11)에 대하여 연결, 분리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 우(좌)컵지지끈(5R(5L))의 하단부(일단부)를 우(좌)컵부(2R(2L))의 상단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변형예를 도 17a, 도 17b, 도 18 내지 도 21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도 17a, 도 17b, 도 18 내지 도 21에 공통하는 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좌)컵부(2R(2L))는 그 하측 가장자리부에 하부 테이프재(23)를 보유하고, 상측 가장자리부에 상부 테이프재(24R(24L))를 보유한다. 그리고, 하부 테이프재(23)의 겨드랑이측 양단은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에 있어서 앞길(11)에 부착된다. 상부 테이프재(24R(24L))의 상단부는 우(좌)컵지지끈(5R(5L))에 의해서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부착된다.
다음에, 각 변형예의 각각의 상위점을 설명한다. 도 17a에 있어서, 우(좌)컵지지끈(5R(5L))의 상단부(타단부)는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꿰매어 붙여져 있다. 우(좌)컵지지끈(5R(5L))의 하단부(일단부)에, 도 17b에 나타내는 훅(51R(51L))이 부착되어 있다. 훅(51R(51L))에 의해 우(좌)컵지지끈(5R(5L))은 우(좌)컵부(2R(2L))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8에 있어서, 우(좌)컵지지끈(5R(5L))의 상단부에 훅(51R(51L))이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좌)컵지지끈(5R(5L))은 네크홀 가장자리부(16)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우(좌)컵지지끈(5R(5L))의 하단부는 우(좌)컵부(2R(2L))에 봉합되어 있다.
도 19에 있어서, 하부테이프재(23)는 우(좌)컵부(2R(2L))의 겨드랑이측 단부에서 더욱 겨드랑이측으로 늘어남으로써 우(좌)겨드랑이천부(4R(4L))를 구성한다. 하부테이프(23)의 양 선단부에 훅(41R, 41L)이 부착되어 있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는 훅(41R, 41L)에 의해 앞길(11)의 겨드랑이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에 있어서, 하부테이프재(23)는, 우(좌)컵부(2R(2L))의 겨드랑이측 단부에에서 절단되어 있다. 이들 절단부분에서 겨드랑이측으로 뻗은 부분이 우(좌)겨드랑이천부(4R(4L))를 구성한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는 앞길(11)의 겨드랑이부에 봉합되어 있다. 우(좌)겨드랑이천부(4R(4L))의 선단부(일단부)에는 훅(41R(41L))이 부착되어 있다. 훅(41R(41l))에 의해 우(좌)겨드랑이천부(4R(4L))는 우(좌)컵부(2R(2L))의 겨드랑이측 단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특징을 조합한 변형예이다. 우(좌)컵부(2R(2L))는 겨드랑이부측의 훅(41R(41L)) 및 네크홀측의 훅(51R(51L))에 의해 의복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훅는 접속수단의 일례이고, 접속수단의 구체적 구성이 훅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수영복뿐만 아니라 레오타드, 스포츠언더웨어와 같은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전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정리한다.
한쪽의 컵지지부재와 다른쪽의 컵지지부재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는 착용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프론트네크포인트 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론트네크포인트라는 것은 「JIS L 0111」(1993)에 규정의 「의료를 위한 신체용어」에서 표시되는 개념이다. 이 경우의 「근방」의 의미는 착용자의 체격이나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디자인 등에 따라서 미소하게 다르다. 표준체형의 경우는 프론트네크포인트를 중심으로 하여 대체로 좌우의 숄더포인트의 중간(범위의 하한)에서 눈썹 사이 점(범위의 상한)까지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컵부착 스포츠의류에 있어서,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한쪽의 겨드랑이천부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다른쪽의 겨드랑이천부를 구비하고, 한쪽의 겨드랑이천부의 일단부는 한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한쪽의 겨드랑이천부의 타단부는 의복부에 부착되며, 다른쪽의 겨드랑이천부의 일단부는 다른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다른쪽의 겨드랑이천부의 타단부는 의복부에 부착되어 있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왼팔을 올렸을 때에 오른쪽 컵지지끈과 오른쪽 겨드랑이천부가 오른쪽의 컵부를 사이에 두고 인장되어 맞추게 되고, 오른팔을 올렸을 때에 좌컵지지끈과 왼쪽의 겨드랑이천부가 왼쪽의 컵부를 사이에 두고 인장되어 맞추게 되므로, 운동시에도 언더웨어가 안정되고 바스트의 안정성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겨드랑이천부의 일단부를 컵부에 대하여 접속수단으로 연결, 분리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작용이 이루어진다. 혹은, 겨드랑이천부의 타단부를 의복부에 대하여 접속수단으로 연결, 분리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컵부착 스포프의류에 있어서, 한쪽의 컵부와 다른쪽의 컵부를 앞중심에서 연결하기 위한 앞중심 연결부를 구비하고, 앞중심 연결부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앞중심 연결부의 접속수단에 의해 한쪽의 컵부와 다른쪽의 컵부는 앞중심에서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착용시에 컵부에 바스트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컵부착 스포츠의류에 있어서, 한쪽의 컵부의 앞중심측 및 다른쪽의 컵부의 앞중심측은 각각 의복부에 부착되고, 의복부는 그 앞중심에 있어서 한쪽측 및 다른쪽측으로 분할되어 패스너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착용자체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컵부에 바스트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컵부착 스포츠의류에 있어서, 한쪽의 컵지지부재의 타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의복부의 앞길에 대하여 연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른쪽의 컵지지부재의 타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의복부의 앞길에 대하여 연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착용시에 컵부에 바스트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한쪽(다른쪽)의 컵지지부재의 한쪽(다른쪽)의 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한쪽(다른쪽)의 컵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라도 마찬가지의 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컵부착 스포츠의류에 있어서, 한쪽의 컵지지부재는 그 일단부가 한쪽의 컵부의 윗쪽 가장자리부에 부착되고, 그 타단부가 의복부의 앞길의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신축가능한 테이프재이고, 다른쪽의 컵지지부재는 그 일단부가 다른쪽의 컵부의 윗쪽 가장자리부에 부착되고, 그 타단부가 의복부의 앞길의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신축가능한 테이프재이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팔을 크게 올렸을 때에 컵지지 테이프재가 늘어남으로써 더욱 컵부의 움직임이 완화된다.
본 발명의 컵부착 스포츠의류에 있어서, 한쪽 컵부의 본체를 구성하는 한쪽의 컵부재, 다른쪽 컵부의 본체를 구성하는 다른쪽의 컵부재의 각각은, 그 겨드랑이측 부분의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걸쳐서의 가장자리부가 매끄럽게 굴곡된 호형상을 이루고, 그 호형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부착된 테이프재가 해당 컵부재의 상단부에서 착용상태에서의 착용자의 네크포인트 근방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도출되어 선단부가 의복부의 앞길(보다 바람직하게는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봉착 등으로)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호형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부착된 테이프재는 한쪽(다른쪽) 컵부재의 상단부에서 네크포인트 근방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도출됨으로써 한쪽(다른쪽) 컵지지부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원활하게(바꾸어 말하면, 컵부재의 상단부에서 꺾여 굽어짐이 없이) 도출되므로 한쪽(다른쪽) 컵부의 움직임의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상기 각 접속수단으로서는, 예컨대 봉착, 단추(컵지지부재의 선단이 링모양으로 되고, 단추와 결합), 금속이나 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형상 결합구, 훅(암웅의 걸어맞춤 단추)이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부착 스포츠의류에 의하면, 운동에 따른 심한 팔의 움직임에 의한 컵부의 움직임이 대폭으로 완화되는 한편으로, 팔을 올렸을 때의 컵지지끈에 의한 작용이, 이른바「끌어당김」방향으로 컵부를 끌어올리도록 작용하므로, 운동시에 바스트를 아름답게 끌어당겨 올린다는 각별한 주조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23)

  1. 한쪽의 암홀을 규정하는 규정부, 다른쪽의 암홀을 규정하는 규정부 및 네크홀을 규정하는 규정부를 보유하는 길과,
    상기 길에 배치되는 한쪽의 컵부 및 다른쪽의 컵부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한쪽의 컵지지부재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다른쪽의 컵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다른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네크홀 규정부 중 상기 한쪽의 암홀측에 있는 부분, 및/또는 상기 한쪽의 암홀 규정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다른쪽의 컵부가 한쪽측으로 인장되도록 상기 길에 부착되고,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한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네크홀 규정부 중 상기 다른쪽의 암홀측에 있는 부분, 및/또는 상기 다른쪽의 암홀 규정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한쪽의 컵부가 다른쪽측으로 인장되도록 상기 길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홀 규정부는 네크홀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 및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앞중심선 근방이고, 또한 앞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한쪽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앞중심선 근방이고, 또한 앞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다른쪽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 및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앞중심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앞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다른쪽측에 위치하고,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컵부착 스포츠의류의 앞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한쪽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 및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길의 동일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컵부착 스포츠의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와 상기 다른쪽의 컵지지부재가 교차하도록,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길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8. 앞길을 보유하고, 신체에 밀착하는 의복부와,
    상기 앞길의 신체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쪽의 컵부 및 다른쪽의 컵부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한쪽의 컵지지부재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다른쪽의 컵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한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다른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 및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한쪽의 컵지지부재와 상기 다른쪽의 컵지지부재가 교차하고, 또는 그들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의복부의 앞길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컵지지부재와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는, 착용상태에서의 착용자의 프론트네크포인트 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한쪽의 겨드랑이천부와,
    일단부 및 타단부를 보유하는 다른쪽의 겨드랑이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쪽 겨드랑이천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한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한기 한쪽 겨드랑이천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의복부에 부착되며,
    상기 다른쪽 겨드랑이천부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다른쪽의 컵부에 부착되고,
    상기 다른쪽 겨드랑이천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의복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겨드랑이천부의 상기 타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의복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다른쪽 겨드랑이천부의 상기 타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의복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겨드랑이천부의 상기 일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한쪽의 컵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다른쪽 겨드랑이천부의 상기 일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컵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컵부와 상기 다른쪽의 컵부를 앞중심에서 연결하기 위한 앞중심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앞중심 연결부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앞중심 연결부의 상기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한쪽의 컵부와 상기 다른쪽의 컵부는 앞중심에서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부의 앞중심측 및 상기 다른쪽 컵부의 앞중심측은 각각 상기 의복부에 부착되고, 상기 의복부는 그 앞중심에 있어서 한쪽측 및 다른쪽측으로 분할되어 패스너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의복부의 앞길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타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의복부의 앞길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한쪽의 컵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다른쪽 컵지지부재의 상기 일단부는 접속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컵부에 대하여 연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7.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컵지지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한쪽 컵부의 윗쪽 가장자리부에 부착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의복부 앞길의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신축가능한 테이프재이고,
    상기 다른쪽의 컵지지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다른쪽 컵부의 윗쪽 가장자리부에 부착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의복부 앞길의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부착된 신축가능한 테이프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8.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컵부의 본체를 구성하는 한쪽의 컵부재, 상기 다른쪽 컵부의 본체를 구성하는 다른쪽의 컵부재의 각각은, 그 겨드랑이측 부분의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걸쳐서의 가장자리부가 매끄럽게 굴곡된 호형상을 이루고, 그 호형상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부착된 테이프재가 해당 컵부재의 상단부로터 착용상태에 있어서의 착용자의 네크포인트 근방의 방향으로 원활하게 도출되어 선단부가 상기 의복부의 앞길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컵부용 상기 테이프재는, 상기 한쪽 컵부재의 상단부로부터 도출되어 선단부가 상기 의복부 앞길의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다른쪽의 컵부용 상기 테이프재는, 상기 다른쪽 컵부재의 상단부로부터 도출되어 선단부가 상기 의복부 앞길의 네크홀 가장자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컵부와 상기 다른쪽의 컵부를 앞중심에서 연결하기 위한 앞중심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쪽의 겨드랑이천부 및 상기 다른쪽의 겨드랑이천부는 상기 앞중심 연결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또한 신축성을 보유하는 소재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2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겨드랑이천부 및 상기 다른쪽의 겨드랑이천부의 폭은 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겨드랑이천부 및 상기 다른쪽의 겨드랑이천부는 탄성사를 함유하고, 상기 탄성사의 개수나 굵기를 변경하거나 편조직을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부분적으로 파워의 강약차를 준 파워넷, 트리콧 및 트리코넷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2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겨드랑이천부 및 상기 다른쪽의 겨드랑이천부는 중간부와, 그 상하에 있는 상하 양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 양단부의 파워를 상기 중간부의 파워보다도 강하게 한 파워넷, 트리콧 및 트리코넷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착 스포츠의류.
KR1020010040749A 2000-08-23 2001-07-09 컵부착 스포츠의류 KR200200159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2935 2000-08-23
JP2000-252935 2000-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938A true KR20020015938A (ko) 2002-03-02

Family

ID=1874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749A KR20020015938A (ko) 2000-08-23 2001-07-09 컵부착 스포츠의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15015B2 (ko)
JP (1) JP4782356B2 (ko)
KR (1) KR20020015938A (ko)
CN (1) CN1261056C (ko)
AU (1) AU2001269525A1 (ko)
HK (1) HK1038139A2 (ko)
TW (1) TW558423B (ko)
WO (1) WO20020157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478A (ko) * 2015-03-24 2016-10-05 주식회사 이도어패럴 여성용 스포츠 웨어
CN114466603A (zh) * 2019-09-25 2022-05-10 株式会社迅销 胸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9085A1 (en) * 2004-10-27 2006-04-27 Chris Ruggiero Novelty ladies swimsuit
US20070050881A1 (en) * 2005-01-24 2007-03-08 Rima Kasprzak Post-abdominal-surgery garment
FR2889420B1 (fr) * 2005-08-04 2007-12-07 Promiles Snc Vetement moulant pour la pratique de sport aquatique pour femme
US20090075561A1 (en) * 2007-09-13 2009-03-19 Beth Doellefeld Garment with Shielding Panel
USD606285S1 (en) * 2008-01-17 2009-12-22 Times Three Clothier LLC Garment
US7938711B1 (en) 2008-06-05 2011-05-10 Yvonne Johnston Adjustable sports brassiere
US20100180358A1 (en) * 2009-01-16 2010-07-22 Drummond Yulia V Cleavage Enhancing Push-up Swimsuit
EP2608687B1 (en) * 2010-08-25 2018-05-30 QP Holdings Limited A bra
US9320305B1 (en) * 2012-09-09 2016-04-26 Wild Intuitions, LLC Garment having integrated breast support
WO2015102925A1 (en) 2014-01-03 2015-07-09 Lysse Partners, Llc Hidden control waistband garment
USD742621S1 (en) 2014-01-24 2015-11-10 Lysse Partners Llc Legging with a control layer
USD732269S1 (en) 2014-02-12 2015-06-23 Lysse Partners Llc Dress with control layer
USD762948S1 (en) * 2014-02-27 2016-08-09 Lysse Partners Llc Garment top with a control layer
USD733995S1 (en) 2014-02-27 2015-07-14 Lysse Partners Llc Garment top with a control layer
USD733393S1 (en) * 2014-02-27 2015-07-07 Lysse Partners Llc Garment top with a control layer
CN104336972B (zh) * 2014-11-18 2016-03-30 苏州美山子制衣有限公司 一种透气防水泳衣罩杯及其制备方法和泳衣
CA3012737A1 (en) * 2016-01-27 2017-08-03 Wacoal Corp. Garment having cup parts
US20200046035A1 (en) * 2018-08-13 2020-02-13 Spanx, Inc. Triangle Top Assembly with Adjustable Level of Coverage
US11350680B2 (en) * 2018-08-20 2022-06-07 Celia Rutkoski Leotard including built-in supportive bra
US11957185B2 (en) 2018-10-16 2024-04-16 Global Trademarks, Inc. Bra assembly to provide proper fit for multiple sized wearers
EP3866625A1 (en) * 2018-10-19 2021-08-25 Arena S.P.A. Two-piece female swimsuit for competition swimming
US11864598B2 (en) * 2021-09-08 2024-01-09 Taylor Linn Greenwood Insertable brassiere pad having interlockable discs to prevent displacement within a garment pocke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313U (ja) * 1983-10-17 1985-05-13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ツプ結合体を有する水着またはレオタ−ド等の衣服
JPS61124611A (ja) * 1984-11-22 1986-06-12 吉原 宏 衣服の製造方法
US4741719A (en) * 1986-10-21 1988-05-03 Reebok International Ltd. Garment with breast supports
JPS6426304U (ko) * 1987-08-06 1989-02-14
JPH01177213U (ko) * 1988-06-03 1989-12-18
JPH02305U (ko) * 1988-06-10 1990-01-05
JPH11286803A (ja) * 1998-04-07 1999-10-19 Wacoal Corp 乳房保護機能付き女性用衣類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402Y2 (ko) * 1980-06-11 1987-05-25
JPS575407A (en) 1980-06-13 1982-01-12 Toshiba Corp Electric power amplifier
US4440174A (en) * 1981-06-18 1984-04-03 Kayser-Roth Corporation Woman's garment
JPS6067313A (ja) 1983-09-16 1985-04-17 Shinkawa Ltd リ−ドフレ−ムの移送装置
US4564015A (en) * 1984-03-22 1986-01-14 Allen Friedman Garment with built-in interior support structure
US4956878A (en) * 1987-11-05 1990-09-18 Boynton Nancy V Swim suit construction
JP2720440B2 (ja) 1988-01-06 1998-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自動周波数調整装置
JPH02264002A (ja) 1989-04-03 1990-10-26 H B:Kk 水着
US5033986A (en) * 1990-03-16 1991-07-23 Apparel America, Inc. Bodywear having integral bra support
SE468488B (sv) * 1991-07-05 1993-01-25 Volvo Ab Radialflaekt vilken har en paa sin axel anordnad axiellt roerlig och instaellbar radiellt riktad mellanvaegg
JPH0683011A (ja) 1992-08-31 1994-03-25 Fuji Photo Film Co Ltd 処理液用ヒータの安全装置
JP2513723Y2 (ja) * 1993-05-24 1996-10-09 道子 佐野 コルセット
US5678246A (en) * 1996-03-13 1997-10-21 Cooley; Pearl V. Two-piece swimsuit with built-in bra
US5823851A (en) 1996-04-22 1998-10-20 Dicker; Timothy P. Bra sport top
JP3042769U (ja) * 1997-04-22 1997-10-31 京葉株式会社 水 着
JPH10310908A (ja) 1997-04-28 1998-11-24 Gunze Ltd ブラジャー
JPH1150310A (ja) 1997-07-28 1999-02-23 Mizuno Corp 水 着
US5871388A (en) 1997-09-17 1999-02-16 Lambert; Hilary Sports brassiere
JP3455087B2 (ja) * 1997-11-07 2003-10-06 ウィズ株式会社 女性用被服
JP3962150B2 (ja) * 1998-03-16 2007-08-22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スラブ式軌道の補修材料及び補修方法
EP1123016A2 (en) * 1998-07-01 2001-08-16 Stephanie L. Heroff Article of clothing with built-in bra
JP2000144503A (ja) 1998-11-05 2000-05-26 Rushian:Kk 女性用衣類
JP4331296B2 (ja) * 1999-01-20 2009-09-16 トリンプ・インターナショナル・ジャパン株式会社 ブラジャー
US6443805B1 (en) * 2000-02-09 2002-09-03 Kathleen Kirkwood Bra shelf and application thereof
US6811462B1 (en) * 2002-11-26 2004-11-02 Caroline R. Kenneally Garment interior bra
US6846217B1 (en) * 2003-10-01 2005-01-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Garment with interior bra structure with side suppor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313U (ja) * 1983-10-17 1985-05-13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ツプ結合体を有する水着またはレオタ−ド等の衣服
JPS61124611A (ja) * 1984-11-22 1986-06-12 吉原 宏 衣服の製造方法
US4741719A (en) * 1986-10-21 1988-05-03 Reebok International Ltd. Garment with breast supports
JPS6426304U (ko) * 1987-08-06 1989-02-14
JPH01177213U (ko) * 1988-06-03 1989-12-18
JPH02305U (ko) * 1988-06-10 1990-01-05
JPH11286803A (ja) * 1998-04-07 1999-10-19 Wacoal Corp 乳房保護機能付き女性用衣類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478A (ko) * 2015-03-24 2016-10-05 주식회사 이도어패럴 여성용 스포츠 웨어
CN114466603A (zh) * 2019-09-25 2022-05-10 株式会社迅销 胸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82356B2 (ja) 2011-09-28
US7115015B2 (en) 2006-10-03
US20030157866A1 (en) 2003-08-21
HK1038139A2 (en) 2002-02-15
AU2001269525A1 (en) 2002-03-04
WO2002015728A1 (fr) 2002-02-28
CN1261056C (zh) 2006-06-28
CN1447656A (zh) 2003-10-08
TW558423B (en) 200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5938A (ko) 컵부착 스포츠의류
EP0238664B1 (en) Structure of clothes and method of producing clothes
US5762535A (en) Garment having the function of keeping an upward profile for the hip and buttock line
EP0599266A1 (en) Garments
CA2080711C (en) Camisole brassiere
US6076187A (en) Elacticized form fitting shirt
TWI488585B (zh) A cup with a cup of clothing
CN208692333U (zh) 胸罩
JP3124196U (ja) 女性用上衣
JP2006144194A (ja) インナー・ウェア
CN214071800U (zh) 一种抗拉伸弹性针织衣
CN211747061U (zh) 一种后背镂空的衣服
JP2921553B2 (ja) 上半身部を有する衣類
CN211483020U (zh) 一种防变形的毛衣
CN212117109U (zh) 一种利用高质量弹力罗纹进行分割拼合套装
CN211185921U (zh) 一种显身材的连衣裙
JP2002138307A (ja) ブラジャー
CN220875987U (zh) 一种连体裤
CN213961852U (zh) 风琴式连衣裙
CN220174518U (zh) 一种具有打鼓功能的飘带与西服结合礼服
CN211747084U (zh) 一种跆拳道服
CN215455501U (zh) 一衣两穿的运动上衣
CN218605184U (zh) 一种具有可拆卸式外套的裙装礼服
CN210581084U (zh) 一种多功能针织外套
CN210538944U (zh) 波点衬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