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042A - 샤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042A
KR20020015042A KR1020017015170A KR20017015170A KR20020015042A KR 20020015042 A KR20020015042 A KR 20020015042A KR 1020017015170 A KR1020017015170 A KR 1020017015170A KR 20017015170 A KR20017015170 A KR 20017015170A KR 20020015042 A KR20020015042 A KR 20020015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slide member
shim
cor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7156B1 (ko
Inventor
마루야마시게키
헨미도시로
사사키츠카사
Original Assignee
아사베 히로시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베 히로시,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베 히로시
Publication of KR20020015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의 선단에 남아 있는 잔심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의 샤프 펜슬을 제공한다.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의 전방에 구비하고, 그 관축의 내부에는 심 조출 수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심 조출 수단의 적어도 한 부재의 후퇴 동작을 연동시킨 샤프 펜슬이다. 이 구성에 의해 잔심 필기시에도 위화감이 없이 필기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잔심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샤프 펜슬{MECHANICAL PENCIL}
종래예의 일례로서,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6-44191호 공보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축 본체의 내부에는 심 탱크가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그 심 탱크의 전단에는 심을 전방을 향해서 송출하는 척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그 척의 전방 부분에는 척 링이 둘러싸여 있어, 상기 척을 개폐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축 본체의 전단에는 전방 부재가 고정되어 있고, 그 전방 부재에는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또, 심 후퇴 방지 부재가 압입된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전방 부재의 선단부에 대하여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척에서 떨어져 버린 짧은 심(이하, '잔심'이라고 함)의 후단과, 후속하는 새로운 심(이하, '후속심'이라 함)의 전단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었다. 이것은 척의 후퇴 동작이 종료되기 직전에 척 링에 의해 상기 척이 폐쇄되어, 후속심을 파지한 상태로 후퇴하는 데 대하여, 이 때, 짧아진 잔심은 상기 후속심과는 독립된 상태로, 더구나, 전방 부재 내의 심 후퇴 방지 부재에 가볍게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 있어서, 후퇴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틈이 발생되어 버리면, 필기할 때에 그 필압에 의해 잔심이 후퇴되어, 틀리게 쓰게 되어 버리는 동시에, 위화감을 더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 상기한 현상이 싫어서, 잔심을 가이드 부재로부터 빼내 버리고, 이어서 후속하는 새로운 심을 조출하는 사용자도 있어서, 잔심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은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의 전방에 구비하고, 또한, 그 관축의 내부에는 심 조출(繰出) 수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샤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4및 도 5는 제2예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슬라이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예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9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0예를 도시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1예를 도시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외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2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20내지 도 25는 동작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13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26의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28은 심 파지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9는 동작 설명도.
도 30, 도 31 및 도 32는 슬라이드 부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제14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4 내지 도 36은 도 33에 도시하는 구성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37 및 도 38은 심 파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9 내지 도 42는 심 파지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3은 슬라이드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4는 도 43의 슬라이드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6 및 도 47은 슬라이드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8 내지 도 51은 척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2는 척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제15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54는 도 15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55 내지 도 58은 동작 설명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16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60 내지 도 63은 본 발명에 채용하는 척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4는 본 발명의 제17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65 내지 도 67은 도 64의 주요부의 확대도로, 동작 설명도.
도 68은 본 발명의 제18예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69는 제17예의 척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0 내지 도 73은 제17예의 척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일부 삭제한 사시도.
도 74는 본 발명의 제19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5는 도 74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76 내지 도 79는 제19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80은 본 발명의 제19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도.
도 81은 본 발명의 제19예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도.
도 82는 본 발명의 제20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3 내지 도 86은 제20예의 동작 설명도.
도 87 내지 도 89는 본 발명의 제21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며, 도 87은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88은 횡단면도, 도 89는 동작 설명도.
도 90 내지 도 93은 본 발명의 제22예에 따른 구성과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94 내지 도 99는 본 발명의 제22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결함을 불식하여, 잔심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규 구성의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의 전방에 구비하고, 또한, 그 관축의 내부에는 심 조출 수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심 조출 수단의 적어도 한 부재의 후퇴 동작을 연동시킨 것을 제1 요지로 한다.
또, 관축의 선단에 심의 파지·해방을 행하는 제2척이 배치되고, 또한, 그 제2척의 후방에는 제1척이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제2척에 심을 가볍게 유지하는 심 후퇴 방지부를 배치하고, 또한, 그 제1척과 상기 제2척의 후퇴 동작을 연동시키는 동시에, 그 동작을 제1척의 후퇴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한 것을 제2 요지로 한다.
더욱이,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의 전방에 구비하고, 또, 그 관축의 내부에는 심 조출 수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심 조출 수단의 각각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노크 부재에 형성한 것을 제3 요지로 한다.
또,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의 전방에 구비하고, 또, 그 관축의 내부에는 심 조출 수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을 압박함으로써 후퇴시킨 것을 제4 요지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후퇴 동작에 의해서, 잔심이 후속심과 접촉한 상태로 후퇴한다.
제1예를 도 1, 도 2에 나타내어 설명한다. 축 본체(1)의 내부에는 심 탱크(2)가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그 심 탱크(2)의 전단에는 중계 부재(3) 및 심 안내 부재(4)를 통해 개폐 가능한 척(5)이 고정되어 있다. 그 척(5)의 전방부에는 척(5)의 개폐를 행하는 척 링(6)이 둘러싸여 있다.
또, 상기 축 본체(1)의 선단에는, 압입 부재(7)와 연결 부재(8)를 통해 전방 부재(9)가 나사식 결합 수단 등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지만, 그 전방 부재(9)는 축 본체(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전방 부재(9)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부재(10)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부에는 심을 가볍게 유지하고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심 후퇴 방지 부재(11)가 압입되어 있다. 부호 1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심 보호관이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전단에 압입 고정되어 있지만, 슬라이드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부호 S는 상기 척(5)이나 심 탱크(2) 등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이다. 또한, 본 실시 제품에 있어서의 샤프 펜슬의 축 본체는 투명한 재질로 성형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드 부재나 심 후퇴 방지 부재 등도 투명한 재질로 성형하면 좋다. 후술하는 심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어서, 상기 척(5) 및 슬라이드 부재(10)에 관해서 상술한다. 상기 척(5)의 전단 외주에는 외면 플랜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10)의 후방에는 통형부(14)가 연장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통형부(14)의 후단 내면에는 상기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와 접촉하는 내면 플랜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척(5)은 2분할 혹은 3분할 혹은 4분할된 척 부재로 구성된, 소위, 컬렉트식(collect-type) 척이며, 심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강고하게 폐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로부터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가 빠져 나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척(5)과 슬라이드 부재(10)는 분리, 조립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10)는 전방 부재(9)에 대하여 헐겁게 끼워져 있지만, 마찰 저항을 부여하여도 좋다. 그러나, 그 마찰 저항은 상기 심을 가볍게 유지하는 심 후퇴 방지 부재의 심에 대한 마찰보다는 작게 설정하고 있다. 심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본체를 흔들었을 때에 발생하는 슬라이드 부재(10)의 이동음(슬라이드 부재의 중간 단차부가 전방 부재의 내면 단차부에 접촉하는 소리) 등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방 부재(9)의 내면 전방에는 슬라이드 부재(10)의 전단면(16)이 접촉하여, 그 슬라이드 부재(10)의 전진량을 규제하는 내면 단차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상태는 척(5)에서 분리된 잔심(A)이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유지되고, 또, 후속심(B)이 척(5)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심 탱크(2)를 전방으로 누르면, 척 링(6)과 함께 척(5)이 전진하고, 이에 의해서 파지되어 있는 후속심(B)도 전진한다. 그 후속심(B)의 전진에 따라 잔심(A)이 눌려, 그 잔심(A)도 전진하고자 하지만,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10)는 잔심(A)과 함께 전진한다. 여기서, 슬라이드 부재(10)의 중간 단차부(16)가 상기 전방 부재(9)의 내면 단차부(17)에 접촉하면, 슬라이드 부재(10)의 전진 이동이 규제된다. 이 동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에 고정된 심 보호관(12)은 전방 부재(9)에 대하여 전진하게 되므로, 그 전방 부재(9)의 선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초기 상태에 비하여 많아진다.
여기서, 또한 상기 심 탱크(2)를 전진시키면, 잔심(A)은 후속심(B)에 눌려지면서, 이동이 저지된 심 보호관(12) 속을 전진 이동하여, 그 선단으로부터 돌출 조출된다. 이윽고, 상기 척 링(6)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후단에 접촉하여 그 전진 이동이 규제되고, 척(5)이 확대 개방되어 후속심(B)을 해방시킨다.
여기서, 심 탱크(2)의 전진 이동을 해제하면, 척(5)은 후속심(B)을 해방한 상태로 후퇴하지만, 이 후퇴 과정에서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가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부재(10)도 후퇴시킨다. 이때, 잔심(A)은 슬라이드 부재(10)의 심 유지 부재(11)에 가볍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잔심(A)의 돌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부재(10)와 함께 후퇴하고, 또,척(5)으로부터 해방되어 있는 후속심(B)도 후퇴시킨다.
이때, 척(5)은 척 링(6)에 의해서 폐쇄되고, 후속심(B)을 파지하여 후퇴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0)와 함께 잔심(A)이 후퇴하기 때문에,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한 동작에 의해서, 잔심(A)이 후퇴되어 버리지만, 슬라이드 부재(10)와 함께 전방 부재(9)에 대하여 후퇴하기 때문에, 심 보호관(12)[슬라이드 부재(10)]에 대해서는 후퇴하지 않음으로써, 심 보호관(12)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감소되는 일이 없다.
제2예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예의 척과 슬라이드 부재와의 연동 수단의 변형예이다. 본 예의 척(18)의 전방 외주면에는 상기 제1예와 같은 플랜지부(13)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에 대하여 마찰 저항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마찰을 부여하는 예로서는 척(18)의 전방 외주면의 외경을 슬라이드 부재의 내면 플랜지부(15)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하여도 좋고, 또, 적어도 한쪽의 접촉면에 고무형 탄성체 등을 도포하여도 좋으며, 혹은, 주름 가공 등을 행하여도 좋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초기 상태[척(18)이 심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 도 3 참조]에서는 상기 척(18)의 전방 외주면이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의 내측에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척(18)을 [척 링(6)과 함께] 전진시키면, 척(18)과 내면 플랜지부(15)가 마찰 저항에 의해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10)도 전진한다. 물론,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유지되어 있는 잔심(A)이나, 척(18)에 파지되어 있는 후속심(B)도 전진한다.
또한, 척(18)과 슬라이드 부재(10)가 전진하면, 상기 제1예와 동일하게 슬라이드 부재(10)의 중간 단차부(16)가 전방 부재(9)의 내면 단차부(17)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부재(10)의 전진 이동이 저지된다(도 4 참조). 그러나, 척(18)은 더욱 전진할 수 있기 때문에, 척(18)과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의 접촉이 상기 마찰력에 대항하여 해제되게 되지만, 척(18)이 더욱 전진하기 때문에, 잔심(A)은 전진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심 보호관 속을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척 링(6)이 슬라이드 부재(10)의 후단에 접촉하고, 척(18)이 확대 개방되어, 후속심(B)을 해방한다(도 5 참조). 여기서, 척(18)의 전진 동작이 해제되면, 척(18)이 탄발 부재(S)에 의해서 후퇴하는 동시에, 다시 척(18)의 전방 외주면과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가 접촉하여, 마찰 저항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10)도 후퇴한다. 이 슬라이드 부재(10)의 후퇴에 따라서, 상기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유지되어 있는 잔심(A)도 후퇴하지만, 이 잔심(A)은 상기 척(18)으로부터 해방된 후속심(B)도 후퇴시킨다.
이때, 척(18)은 척 링(6)에 의해서 폐쇄되어, 후속심(B)을 파지하여 후퇴시키지만, 잔심(A)도 슬라이드 부재(10)와 함께 후퇴하기 때문에, 후속심(B)과 잔심(A)의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 제2예나 상기 제1예 등에서는 척이 심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척의 전단 외주면의 외경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면 플랜지부의 내경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척의 슬라이드 부재에 대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 자동 조립기 등에 의해서 조립하는 경우에도 척의 전방부를 거의 균일한 외경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공급기 등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3예를 도 6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19)의 후단 외주면에 외면 플랜지부(20)를 형성하는 동시에, 척(21)의 전단에는 통형부(22)를 통해 내면 플랜지부(23)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척을 슬라이드 부재의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이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예나 제2예에서는 척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의 폭에 따라서, 척의 직경을 축소할 수 있는 양이 규제되었지만, 본 예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척을 확대 개방시켜 조립하기 때문에, 상기한 것과 같은 제한이 없어진다.
또, 본 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통형부 속을 충분히 후퇴할 수 있으므로, 사용후에 심 보호관을 전방 부재 내에 수납할 수 있다.
제4예를 도 7, 도 8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예는 상기 제1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지만, 심 후퇴 방지 부재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예의 심 후퇴 방지 부재(24)는 심 보호관(12)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다. 그 심 후퇴 방지 부재(24)는 고무형 탄성체로서, 실리콘 고무나 NBR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심 후퇴 방지 부재(24)는 파이프형의 심 보호관(12)에 끼워 붙여도 좋고, 또, 심 후퇴 방지 부재(24)의 표면에 금속 이온 등을 부착시켜 성형하는, 소위, 전기 주조 가공에 의해서 심 보호관(12)을 심 후퇴 방지 부재(24)의 주위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심 후퇴 방지 부재(24)를 심 보호관(12)에 배치시킴으로써,잔심(A)이 짧아져 버리더라도 그 심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심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제4예와 같이, 잔심(A)을 최대한 유효하게 사용하는 수단으로서는 심 보호관을 전방 부재에 압입하여도 좋고, 또, 심 보호관(25)을 전방 부재(9)에 일체로 성형(도 9 참조: 제5예)하여도 좋다. 어느 예도 복귀 방지 유지부(26)에서 심 보호관(12)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짧아져 버린 잔심(A)도 또한 유지할 수 있어, 이로써, 잔심을 최대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제6예를 도 10, 도 11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제1예에 도시한, 심 후퇴 방지 부재나 심 보호관을, 슬라이드 부재에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상술하면, 슬라이드 부재(28)의 내면 중간부에는 복수의 분할 부재로 구성된 심 후퇴 방지 부재(29)가 형성되어 있고, 그 심 후퇴 방지 부재(29)의 내면에는 심을 실제로 유지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28)의 후방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대향하는 2개의 결합 부재(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 부재(31)의 후단 내면에는 내면 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면 플랜지부(32)가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와 접촉하여, 연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8)의 전방부에는 심 보호관부(33)도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그 심 보호관부(33)의 전방 부분에는 전방을 향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원추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필기시에, 심의 선단이 잘 보여, 정확하게 필기할 수 있다.
또, 본 예와 같이, 심 후퇴 방지나 심 보호관 등을 슬라이드 부재에 일체로성형함으로써, 부품의 제작 비용은 물론, 조립에 드는 비용 등이 삭감되어, 그 결과, 제품을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의 후방부를 2분할된 결합 부재로 함으로써, 척과 슬라이드 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제7예를 도 12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7예는 상기 제6예의 변형예로, 슬라이드 부재(35)의 심 보호관부(36)에 슬릿(37)을 형성하는 동시에, 심 보호관부(36)의 내면에 심을 유지하는 돌기(38)를 형성한 것이다. 즉, 심 후퇴 방지부[돌기(38)]를 심 보호관부(36)에 형성함으로써, 잔심이 짧아지더라도 유지할 수 있어 잔심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8예를 도 13, 도 14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8예는 상기 제1예의 슬라이드 부재의 통형부를 슬라이드 부재와 별개의 부재로 구성하는 동시에, 이들을 마찰 저항을 부여하면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것으로 한 예이다. 상술하면, 슬라이드 부재(39)의 후방 외면에는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O링(40)이 끼워져 부착되어 있고, 또한, 그 O링(40)에 접촉한 상태로, 통형 부재(41)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39)의 후방에서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한, 그 O링(40)은 본 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와 별개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지만, 슬라이드 부재의 외주면에 둘레 모양의 리브 등을 형성함으로써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통형 부재(41)의 후단 내주면에는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와 접촉하는 내면 플랜지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동작은 상기 제1예와 거의 마찬가지이지만, 심을 수납시킬 때, 심 보호관(12)을 필기면 등에 접촉시킴으로써, 그 심 보호관(12)을 완전히 전방부재(9) 내에 수납시킬 수 있다. 심 보호관(12)이 고정된 슬라이드 부재(39)가, O링의 마찰 저항에 대항하여, 통형 부재(41) 속을 후방을 향해 미끄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호 43은 슬라이드 부재(39)의 통형 부재(41)로부터 탈락을 방지하는 규제 링이지만, 상기 O링의 마찰 저항력이 충분한 경우에는 특별히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규제 링을 붙이지 않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와 통형 부재의 조립, 분해가 용이하게 되어, 만일, 심이 막혀 버렸을 때 수정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제9예를 도 15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9예는 상기 제1예의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와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의 표면에, 수나사부(44)와 암나사부(45)를 형성한 예이다. 척(5)과 슬라이드 부재(10)를 조립할 때에는 척(5)을 강하게 닫아 슬라이드 부재(10)에 끼워맞추고, 분해할 때에는, 척과 슬라이드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나사 결합 작용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척과 슬라이드 부재의 조립, 분해의 용이성을 고려한 수단으로서는 도 16(제10예)이나 도 17(제11예)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예는 슬라이드 부재(46)의 통형부(47)에 슬릿(48)을 형성한 예이다. 이 슬릿(48)에 의해서 통형부(47)의 개폐가 용이하게 되어, 척과 슬라이드 부재와의 조립,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제6예의 도 11에 도시한 예와 거의 동일한 예이다. 부호 49는 척의 외면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내면 플랜지부이다.
또, 도 17에 도시하는 예는 상기 슬릿(47)을 더욱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통형부를 막대 형상부(50)로 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46)의 중간부에 오목부(51)를 형성하는 한편, 전방 부재의 내면에는 그 오목부(51)와 결합하는 긴 홈을 형성한 예이다. 전방 부재와 축 본체를 분리시킬 때에, 슬라이드 부재도 척에 잡아 당겨져 전방 부재로부터 빠지려고 하지만, 슬라이드 부재는 전방 부재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히 빠지지 않고, 그 결과, 슬라이드 부재(46)의 아암부(50)에 확대 개방 작용이 일어나, 확대 개방되므로, 슬라이드 부재와 척이 이탈 분리된다. 만일, 심이 슬라이드 부재 내에서 부서져 버렸을 때 등에 수리가 용이하게 된다.
제12예를 도 18, 도 19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방 부재(9)의 내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고무형 탄성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O링(52)이 압입되어 있지만, 원주형 돌기부 등을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일체로 성형하여도 좋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10)의 전방 부재(9)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은 심의 상기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후술하지만, 후속심(B)에 의해서 잔심(A)이 압출되도록 하면, 슬라이드 부재(10)도 압출되려고 하지만, 전방 부재(9)와의 미끄럼 이동 저항력이 강하여, 그 결과, 슬라이드 부재(1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여 잔심(A)이 압출된다.
여기서, 상기 척(5)은 2분할 혹은 3분할 혹은 4분할된 척 부재로 구성된, 소위, 컬렉트식 척이며, 심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강고하게 폐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로부터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가 빠져 나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척(5)과 슬라이드 부재(10)는 분리, 조립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전방 부재(9)의 내면 전방에는 슬라이드 부재(10)의 중간 단차부(17)가 접촉하여, 그 슬라이드 부재(10)의 전진량을 규제하는 내면 단차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0의 상태는 척(5)으로부터 분리된 잔심(A)이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유지되고, 또, 후속심(B)이 척(5)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심 탱크(2)를 전방으로 누르면, 척 링(6)과 함께 척(5)이 통형부(14) 속을 무접촉 상태로 전진하고, 이에 의해서 파지되어 있는 후속심(B)도 전진한다. 그 후속심(B)의 전진에 따라 잔심(A)이 눌리어, 그 잔심(A)도 전진하려고 하지만,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10)도 전진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 슬라이드 부재(10)의 상기 전방 부재(9)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이 심의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10)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잔심(A)이 전진하여, 그 슬라이드 부재(10)의 선단[심 보호관(1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이 역전하면, 슬라이드 부재(10)가 맨처음에 전진하고, 이어서 심이 늦게 슬라이드 부재(1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위화감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또한 척(5)이나 척 링(6) 등의 전진이 진행되면, 그 척 링(6)의 전단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후단면에 접촉하여, 척 링(6)의 전진 이동이 저지된다(도 21 참조).
그러나, 척(5)은 더욱 전진하기 때문에, 여기서, 척(5)은 척 링(6)으로부터 해방되고, 이 때, 상기 후속심(B)의 척(5)에 의한 파지가 해방된다.
여기서, 또한 상기 척(5)이 전진하여, 그 전단이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단차부(10a)에 접촉하면, 이번에는 그 슬라이드 부재(10)를 척(5)이 전진시킨다. 이 때, 잔심(A)은 심 후퇴 방지 부재(11)에 가볍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드 부재(10)의 전진에 따라서 전진하지만, 후속심(B)은 척(5)으로부터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중량에 의해서 낙하하도록, 상기 잔심(A)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진한다(도 22 참조).
이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중간 단차부(16)가 상기 전방 부재(9)의 내면 단차부(17)에 접촉하면, 슬라이드 부재(10)의 전진 이동이 규제된다(도 23 참조).
이들 동작에 의해, 심[후속심(B) 및 잔심(A)]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에 고정된 심 보호관(12)은 전방 부재(9)에 대해서 전진하게 되므로, 그 전방 부재(9)의 선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초기 상태에 비해 많게 된다.
여기서, 심 탱크(2)의 전진 이동을 해제하면, 척(5)은 후속심(B)을 해방한 상태에서, 또, 외면 플랜지부(13)는 통형부(14) 속을 무접촉 상태로 후퇴 이동하지만, 척(5)과 슬라이드 부재(10)의 접촉 저항보다도 슬라이드 부재(10)와 전방 부재(9)의 접촉 저항을 크게 한 경우에는, 접촉 상태로 이동시켜도 좋다. 즉, 슬라이드 부재(10)가 정지한 상태로 척(5)이 후퇴 이동하면 된다. 이 후퇴 과정에서척(5)의 외면 플랜지부(13)가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에 접촉하면, 슬라이드 부재(10)가 후퇴하지만, 이보다 약간 지연되어 상기 척(5)이 척 링(6)에 의해서 폐쇄되어, 후속심(B)을 다시 파지한다(도 24 참조). 그리고, 이들 동작에 의해서, 잔심(A)은 슬라이드 부재(10)의 심 유지 부재(11)에 가볍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잔심(A)의 돌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부재(10)와 함께 후퇴하고, 또, 후속심(B)은 척(5)에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척(5)의 후퇴 동작과 함께 후퇴한다.
또한, 상기한 동작에 의해서, 후속심(B)이나 잔심(A)이 후퇴되지만, 슬라이드 부재(10)와 함께 전방 부재(9)에 대하여 후퇴하기 때문에, 심 보호관(12)[슬라이드 부재(10)]에 대해서는 후퇴하지 않고, 이에 의해, 심 보호관(12)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감소하는 일이 없다(도 25 참조).
또한, 슬라이드 부재(10)는 O링(52)에 의해서 상기 전방 부재(9)의 내면에 압입된 상태로 미끄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 조작 해제후에 있어서도 그 후퇴 위치를 계속해서 유지하기 때문에, 자신의 중량에 의해 낙하하는 등으로,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이 없다.
제13예를 도 26, 도 27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후단과 연결 부재(8)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5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10)를 전방을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그 슬라이드 부재(10)를 전방을 향해서 가압하는 상기 탄발 부재(53)의 가압력은 상기 척(5)이 확대 개방하고, 그 외면플랜지부(13)가 슬라이드 부재(10)의 통형부(14)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을 때의 미끄럼 접촉력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10)는 외면 플랜지부(13)의 통부 내면(14)으로의 미끄럼 접촉, 혹은 헐거운 끼움에 상관없이, 항상 전방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척의 외면 플랜지부가 슬라이드 부재의 통부 내면에 접촉하지 않는 척을 사용하여도 좋지만, 특히, 수지제의 척에 있어서는 그 탄성력의 시효 열화를 고려하여, 확대 개방량을 많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때문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통부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척의 외면 플랜지부가 통부 내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그 통부의 내경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통부의 외면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결과, 전방 부재 등도 커져 버릴 뿐만 아니라, 확대 개방량이 크기 때문에, 심이 다소 구부러져 있거나, 짧은 심이거나 하면, 척의 심 파지부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심이 파지되어 버려(도 28 참조), 심의 조출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통부를 작게 하는 동시에, 척의 외면 플랜지부를 상기 통부의 내면에 접촉시킴으로써, 그 확대 개방량을 규제하고, 심을 정규의 파지부에서 파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척 및 슬라이드 부재의 전진 동작에 관하여는 그 동작이 상기 제1예나 제12예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상기 심 탱크(2)의 전진 이동을 해제하면, 상기 척(5)이 확대 개방된 상태에서 그 외면 플랜지부(13)를 통부(14)의 내면에 닿게 하면서도 후퇴하지만, 통부(14)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10)는 탄발 부재(53)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10)는 후퇴하지 않는다. 이때,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10)의 내면 플랜지부(15)에 접촉하고, 이때부터 슬라이드 부재(10)의 후퇴 동작이 시작된다(도 29 참조). 물론, 탄발 부재(53)의 탄발력에 대항해서이다.
척(5)은 척 링(6)에 의해서 폐쇄되어, 후속심(B)을 다시 파지한다. 이 때, 후속심(B)을 파지한 상태에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척(5)은 다소 후퇴하지만, 슬라이드 부재(10)도 후퇴되기 때문에,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한 동작에 의해서, 후속심(B)이나 잔심(A)이 후퇴하지만, 슬라이드 부재(10)와 함께 전방 부재(9)에 대하여 후퇴하기 때문에, 심 보호관(12)[슬라이드 부재(10)]에 대해서는 후퇴하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심 보호관(12)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감소되는 일이 없다.
또, 슬라이드 부재(10)는 척(5)의 외면 플랜지부(13)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 조작 해제후에도 그 후퇴 위치를 계속해서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탄발 부재(53)의 가압력이나 자신의 중량에 의해 낙하하는 등으로,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탄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를 별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조립하고 있지만, 도 30,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의 후방에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사출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예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라이드 부재(54)의 후방에는통형부(55)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통형부(55)의 후방부에는 신축이 자유로운 메시형의 탄성 변형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1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54)를 사출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서, 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동시에, 척(57)도 수지 재질로 성형한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수지제의 척(57)은 확대 개방한 상태에서는 그 외주면이 슬라이드 부재(54)의 통형부(55)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그 확대 개방량이 규제되고 있다. 그 확대 개방량은 구체적으로는, 심의 직경보다도 약간 적은 것으로 되어 있다. 물론, 심을 정규의 위치에서 파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의 후방에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형성했지만, 슬라이드 부재의 전방에 인장 스프링을 설치시키더라도 좋고, 또, 자석 등을 개재시켜, 슬라이드 부재를 전방으로 가압하여도 좋다.
제14예를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축 본체(58)의 내부에는 심 탱크(59)가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그 심 탱크(59)의 전단에는 개폐 가능한 척(60)이 고정되어 있다. 그 척(60)의 전방부에는 척(60)의 개폐를 행하는 척 링(61)이 둘러싸여 있다. 또, 축 본체(58)의 후방부에는 클립(62)이 형성된 기초부(62a)가 압입 고정되어 있고, 더욱이, 상기 심 탱크(59)의 후방부에는 지우개(63)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부호 54는 그 지우개(63)를 덮는 노크 캡이며, 상기 심 탱크(59)의 후방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축 본체(58)의 선단에는 전방 부재(65)가 나사식 결합 수단 등에 의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축 본체(58)와 그 전방 부재(65)에걸치도록 피복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그립(66)에 의해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전방 부재(65)의 내부에는 슬라이드 부재(67)가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슬라이드 부재(67)의 내부에는 심을 가볍게 유지하고 고무형 탄성체나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심 후퇴 방지 부재(68)가 압입되어 있지만, 이 심 후퇴 방지 부재를 도시한 예보다 작은 고무형 탄성체로 하고, 그 작은 복귀 방지 부재의 후방에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심 안내 부재 등을 부착하여도 좋다. 부호 69는 심 보호관부이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67)의 선단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지만, 금속 파이프 등으로 형성하여, 압입 고정하여도 좋다. 부호 S는 상기 척(60)이나 심 탱크(59) 등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이다.
이어서, 상기 척(60) 및 슬라이드 부재(67)에 관해서 상술한다. 상기 척(60)의 전단 외면에는 돌기부(70)가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67)의 후방에는 통형부(71)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통형부(71)의 중간부에는 상기 척(60)의 돌기부(70)가 헐겁게 끼워지는 관통 결합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도 35a, 35b 및 35c). 또한, 상기 통형부(71)의 후방부 내면에는 전방을 향하여 순차 경사지는 경사면(73)이 형성되어 있고(도 36 참조), 상기 척(60)의 돌기부(70)가 결합 구멍(72)에 헐겁게 끼워지기 쉽게 되어 있다. 즉, 척(60)의 슬라이드 부재(67)로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67)의 후단과 축 본체(58)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74)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67)를 전방을 향해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그 슬라이드 부재(67)를 전방을 향해서 가압하는 상기 탄발 부재(74)의 가압력은 상기 척(60)이 확대 개방되어, 상기 돌기부(70) 이외의 가장자리부(18)가 슬라이드 부재(67)의 통형부(71)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을 때의 미끄럼 접촉력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67)는 척(60)의 가장자리부(75)의 통형부(71) 내면으로의 미끄럼 접촉, 비(非)미끄럼 접촉에 상관없이, 항상, 전방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척(60)은 2분할 혹은 3분할 혹은 4분할된 척 부재로 구성된, 소위, 컬렉트식 척이다. 또, 전방 부재(65)의 내면 전방에는 슬라이드 부재(67)의 중간 단차부(76)가 접촉하여, 그 슬라이드 부재(67)의 전진량을 규제하는 내면 단차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척(60)의 슬라이드 부재(67)로의 조립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심을 파지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37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척(60)의 돌기부(70)를 슬라이드 부재(67)[통형부(71)]의 후단에 압박하여, 압입하면, 경사면(73)에 의해서 척(60)의 머리 부분의 직경이 축소되고(도 38 참조), 상기 돌기부(70)가 결합 구멍(72)에 이르고, 그 때, 척(60)의 돌기부(70)가 해방되어, 척의 머리 부분이 확대 개방된다. 여기서, 척(60)의 돌기부(70)가 결합 구멍(72)에 헐겁게 끼워지는 동시에, 분리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도 33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상기 심 후퇴 방지 부재(68)에 관해서 상술한다. 이 심 후퇴 방지 부재(68)에는 사용하는 심의 직경보다도 약간 대직경이기는 하지만, 2개는 삽입되지 않는 심 삽입 통과 구멍(68a)이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심 삽입 통과 구멍(68a)의 전방 부분에는 사용하는 심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의 심 후퇴 방지부(6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심 후퇴 방지부(68b)는 심을 가볍게 유지하여, 심의 후퇴를 저지하는 부분이다. 또한, 심이 심 후퇴 방지부(68b)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심이 능선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잔심에 의한 필기시의 심의 회전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심 삽입 통과 구멍(68a)은 축선 방향을 향해서 사용하는 심의 직경보다도 작은 폭의 홈부(68c)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홈부(68c)는 심 후퇴 방지 부재(68)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심 후퇴 방지부(68b)의 부근에서는 상기 홈부(68c)가 심 후퇴 방지 부재(68)의 외주 가장자리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심 후퇴 방지부(68b) 부근의 홈부(68c)는 관통된 슬릿형으로 되어 있다. 심을 유지하는 심 후퇴 방지부(68b)에 탄성 작용을 부여하여, 심 지름의 변동을 흡수하고 있다. 이 홈부(68c)는 본 예에서는 대향하는 2곳에 형성하고 있지만, 방사상으로 3곳, 또는 4곳에 형성하여도 좋고, 또, 단면이 삼각 형상인 홈부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심 삽입 통과 구멍(68a)의 상측에는 원추부(68d)가 형성되어 있다. 심을 심 삽입 통과 구멍(68a)에 도입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 상기 심 후퇴 방지 부재(68)는 수지 재질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사출성형할 때의 게이트(수지가 캐비티로 들어가는 구멍)의 위치는 상기 심 삽입 통과 구멍(68a)의 축선에 대하여 직행하는 방향이며, 또한, 상기 홈부(68c)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하고 있다(도 35a 내지 34c 참조). 코어 핀의 강도가 있는 방향에서 수지를 유입시킴으로써, 수지의 유입 압력에 의한 코어 핀의 만곡, 파손을 최대한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홈부(68c)는 심 후퇴 방지 부재(68)를 슬라이드 부재(67)에 압입 고정할 때, 치수의 변동을 흡수하여, 적절한 고정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즉, 홈부(68c)에 의한 심 후퇴 방지 부재(68)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심 삽입 통과 구멍(68a)과 심 후퇴 방지부(68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심 후퇴 방지부를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여, 본 예와 같은 심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 부재의 전방에 위치시켜도 좋다(예컨대, 도 53에 도시하는 예).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3, 도 34의 상태는 척(60)에서 분리된 잔심(A)이 심 후퇴 방지 부재(68)에 유지되고, 또, 후속심(B)이 척(60)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7)는 탄발 부재(74)에 의해서 전방을 향하여 가압되고 있지만, 통형부(71)의 결합 구멍(72)의 후단부가 척(60)의 돌기부(70)에 접촉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드 부재(67)의] 전진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심 탱크(59)를 전방으로 누르면, 척 링(61)과 함께 척(60)이 통형부(71) 속을 무접촉 상태에서 전진하지만, 탄발 부재(74)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67)가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드 부재(67)도 상기 결합 구멍(72)과 돌기부(71)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진한다. 이에 의해서 척(60)에 파지되어 있는 후속심(B)이나, 심 후퇴 방지 부재(68)에 유지되어 있는 잔심(A)이 슬라이드 부재(67)와 함께 전진한다.
이윽고, 슬라이드 부재(67)의 중간 단차부(76)가 전방 부재(65)의 내면 단차부(77)에 접촉하여, 그 전진 이동이 저지된다(도 39 참조). 그러나, 상기 척(60)의 돌기부(70)는 결합 구멍(72)에 헐겁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그 척(60)이나 척 링(61), 및 후속심(B)이나 잔심(A)은 더욱더 전진하지만, 그 척 링(61)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67)의 통형부(71)의 후단부에 접촉한 시점에서, 그 이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이 때, 척(60)이 확대 개방되어, 후속심(B)이 해방되는 동시에, 척(60)의 가장자리부(75)가 슬라이드 부재(67)의 통형부(71)의 내면에 접촉한다(도 40 참조).
여기서, 심 탱크(59)의 전진 이동을 해제하면, 상기 척(60)이 확대 개방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부(75)를 통형부(71)의 내면에 닿게 하면서도 후퇴하지만, 통형부(71)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67)는 탄발 부재(74)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67)는 후퇴하지 않는다. 이윽고 척(60)의 돌기부(70)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67)의 결합 구멍(72)의 후단에 접촉하면, 슬라이드 부재(67)의 후퇴 동작이 시작된다(도 41 참조). 물론, 탄발 부재(74)의 탄발력에 대항해서이다.
이윽고, 척(60)은 척 링(61)에 의해서 폐쇄되어, 후속심(B)을 다시 파지한다(도 42 참조). 이 때, 후속심(B)을 파지한 상태에서, 종래 기술과 같이 척(60)은 다소 후퇴하지만, 슬라이드 부재(67)도 후퇴되기 때문에,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한 동작에 의해서, 후속심(B)이나 잔심(A)이 후퇴하지만, 슬라이드 부재(76)와 함께 전방 부재(65)에 대하여 후퇴하기 때문에, 심 보호관(69)[슬라이드 부재(67)]에 대해서는 후퇴하지 않고, 이에 의해, 심 보호관부(69)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감소하는 일이 없다.
또, 슬라이드 부재(67)는 상기 각 예와 마찬가지로, 척(60)의 돌기부(70)에 결합하고 있어서, 압박 조작 해제 후에도 그 후퇴 위치를 계속해서 유지하기 때문에, 자신의 중량에 의해 낙하하는 등으로,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예에서는 탄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를 별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조립하고 있지만,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의 후방에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사출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예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슬라이드 부재(78)의 후방에는 신축이 자유로운 메시형의 탄성 변형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를 도 44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드 부재(80)의 통형부(81)에 결합 구멍(82)을 형성하는 동시에, 척(60)의 돌기부(70)보다도 폭이 좁은 슬릿(83)을 형성한 예이다. 또, 상기 통형부(81)의 후단면에는 상기 돌기부(70)가 결합 구멍(82)에 장착되기 쉽도록 경사면(84)이 형성되어 있다.
척(60)의 돌기부(70)를 상기 경사면(84)으로 압박하면, 슬릿(83)을 중심으로 상기 통형부(81)가 탄성 변형하여(도 45 참조), 상기 돌기부(70)가 용이하게 결합 구멍(82) 내로 유도된다.
또, 상기 경사면(84)과 대향 위치에서, 상기 결합 구멍(82)의 내면에는 내면 경사면(85)이 형성되어 있다. 그 내면 경사면(85)에 의해, 척(60)과 슬라이드부재(67)의 분리가 가능해지고 있다. 즉, 만일, 슬라이드 부재 내에서 심이 꺾여 버렸을 때 등에, 그 수리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결합 구멍의 변형예를 도 46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드 부재(86)의 통형부(87)에는 전례와 같이 결합 구멍(88)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결합 구멍(88)에 연접하여 L형의 안내 홈(8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안내 홈(89)의 단부는 통형부(87)의 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척을 슬라이드 부재에 조립할 때, 척과 슬라이드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조립하는 것이다(도 47 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한층 더 조립이 용이한 것으로 되고, 또, 만일, 슬라이드 부재 내에서 심이 꺾여 버렸을 때에도, 척과 슬라이드 부재의 분해가 용이하고, 수리가 쉽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예서는 척의 척 링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적고, 또한, 상기 탄발 부재가 밀착되는 거리도 있기 때문에, 상기 노크 캡을 눌러 척을 다소 전진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를 회전시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예컨대, 척을 길게 형성하면, 그 척을 전진시키지 않더라도 슬라이드 부재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예에서는 결합부를 관통 구멍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가공이 용이하고, 특히, 사출성형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금형을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치수 정밀도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예의 척의 전단면에는 그 척(60)의 형태에 따른 부채형의 팽출부(90)가 형성되어 있다(도 48, 도 49 참조). 그리고, 이 부채형의 팽출부(90)가, 척(60)을 심 탱크(59)에 압입할 때의 압박부로 되어 있다. 그 구체적인 압입 방법에 관하여는 후에 상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팽출부를 부채형의 돌기부로 하고 있지만,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60)의 전단면의 원주 상의 중앙 부분을 산 형상으로 융기시키더라도 좋고, 또,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70)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척(60)의 전단면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어서, 척(60)의 심 탱크(59)로의 조립 방법에 관해서, 도 5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맨처음에 심 탱크(59)를 세우고, 그 상측(전방)에서부터 탄발 부재(S)를 상기 심 탱크(59)에 끼워 장착한다. 이어서, 축 본체(58)를 상기 심 탱크(60)의 상측에서 씌우는 식으로 장착한다. 계속해서, 그 축 본체(58)의 상측에 척 링(61)을 얹어 놓고, 본 실시예의 척(60)을 삽입한다. 이어서, 압박 부재(91)를 척(60)의 팽출부(90)에 접촉시켜, 그 압박 부재(91)에 힘을 작용시킨다. 물론, 하향의 힘이다. 이에 의해서 척(60)은 팽출부(90)를 통해 상기 압박 부재(91)로부터의 힘을 받는다. 이 힘에 의해서, 척(60)의 하부가 심 탱크(59)에 압입된다. 이 때, 상기 압박 부재(91)에서 척(60)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면, 척(6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팽출부(90)가, 외측 혹은 내측으로 변형하여, 척 전방부의 변형이 저지된다. 즉, 상기 척 링(61)에 내접하는 척의 전방 부분을 팽출시키는 일이 없고, 이에 의해, 정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척(60)의 전방 외주부에 돌기(70)를 형성하고, 그 돌기(70)를 슬라이드 부재(67)에 결함시킴으로써, 그 슬라이드 부재(67)를 후퇴시켜 잔심과 후속심과의 틈을 해소하고 있다. 즉, 돌기(70)의 형상이 매우 중요한 구성 요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돌기(70)를 변형시켜 버리면, 슬라이드 부재(67)의 후퇴 위치 등이 변동되어 버리고, 그 결과, 심 배출 길이(슬라이드 부재의 배출 길이)도 변동되어 버리게 된다. 자칫하면, 돌기(70)가 파손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어, 슬라이드 부재(67)를 후퇴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위험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팽출부(9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5예를 도 53, 도 54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4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축 본체(58)의 내부에는 심 탱크(59)가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그 심 탱크(59)의 전단에는 개폐 가능한 척(60)이 고정되어 있다. 그 척(60)의 전방부에는 척(60)의 개폐를 행하는 척 링(61)이 둘러싸여 있다. 또, 이들 부재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S)가, 상기 심 탱크(59)와 관축(58)의 내면 단차부(9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심 탱크(59)나 척(60), 척 링(61) 및 탄발 부재(S) 등으로 본 발명의 심 조출 수단(94)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축 본체(58)의 전방부에는 전방 부재(65)가 나사식 결합 수단 등에 의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고, 그 전방 부재(65)에는 그 선단에서 돌출되는 슬라이드 부재(67)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슬라이드 부재(67)의 내부에는 심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95)와, 그 안내 부재(95)의 전방으로 심을 가볍게 유지하고, 심의 후퇴를 저지하는 실리콘 고무나 NBR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심 후퇴 방지 부재(96)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 안내 부재와 심 후퇴 방지 부재(96)를 전방 부재와 일체로 성형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슬라이드 부재(67)의 후방에는 통형부(7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통형부(71)에는 창구멍(72)이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창구멍(72)에 연접하여, 통형부(71)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그 통형부(71)에 외부 작용을 부여하면, 탄성 변형력에 의해서 확대 개방 가능한 것으로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창구멍(72)에는 상기 척(60)의 전방 외주에 형성된 돌기부(70)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부재(65)의 내면 후방에는 단차부(9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척 링(61)의 전진 이동이 저지되는 규제부이며, 그 단차부(97)에 척 링(61)이 접촉하면, 척(60)이 확대 개방되어, 파지하고 있는 심이 해방된다.
여기서, 상기 척 링(61)이 단차부(97)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V)는 상기 척(60)의 돌기부(70)가 슬라이드 부재(67)의 창구멍(72)의 전단부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W)보다도 적게 설정되어 있다. 즉, 척 링(61)이 단차부(97)에 접촉하여, 척(60)이 확대 개방된 후에, 척(60)의 돌기부(70)가 창구멍(72)의 전단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거리(V)는 거리(W)보다도 0.1 mm만큼 짧게 설정되어 있지만, 0.05 mm∼1.0 mm 정도의 차이라면, 충분히 기능을 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1.0 mm라도 기능은 하지만, 심의 돌출량이 많아져 버려, 후에 심의 돌출량의 조정이 번거로워진다.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67)의 통형부(71) 부근과 축 본체(58) 사이에는 틈(X)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틈(X)은 상기 척(60)과 슬라이드 부재(67)의 끼워맞춤 거리(Y)보다도 적게 설정되어 있다. 즉, 척(60)의 돌기부(70)를 슬라이드 부재(67)의 창구멍(72)에 헐겁게 끼울(조립할) 때에는 창구멍(72) 근방의통형부(71)가 확대 개방되지만, 전방 부재(65)를 관축(1)에 조립한 후에는, 통형부(71)의 확대 개방이 규제되어, 돌기부(70)와 창구멍(72)의 헐겁게 끼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즉, 돌기부(70)가 창구멍(72)으로부터 빠져 나와 버리는 식의 일이 없다. 또한, 본 예의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14예의 변형예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슬릿(83)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로 되어 있고, 그 슬릿의 폭은 슬라이드 부재를 전방 부재에 장착했을 때, 설령, 그 슬릿이 확대 개방되더라도 척의 돌기부가 빠져 나오지 않는 폭으로 되어 있다. 즉, 척의 돌기부의 폭과 슬릿의 폭의 차는 전방 부재의 내경과 슬라이드 부재의 통형부의 외경의 차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부호 98은 상기 전방 부재(65)의 내면 리브(65a)와 슬라이드 부재(67)의 사이에 개재된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O링으로, 그 O링(98)에 의해서 미끄럼 이동 저항을 부여하고 있다. 그 슬라이드 부재(67)의 전방 부재(65)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은 심의 상기 심 후퇴 방지 부재(96)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척(60)과 함께 심이 전진하더라도, 슬라이드 부재(67)는 전방 부재(65)에 대하여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기 심 후퇴 방지 부재의 심 유지력은 20 gf 내지 100 gf가 적합한 값이며, 이 값보다 작으면 심이 미끄러 떨어져 버릴 위험성이 있고, 반대로, 높으면 심이 조출되지 않게 되어 버릴 위험성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O링(98)을 전방 부재(65)에 형성한 내면 리브(65a)에 미끄럼 접촉시키고 있지만, 내면 리브 대신에, 단순히 통 형상의 내면에 미끄럼 접촉시키더라도 좋지만, O링의 뜻하지 않은 변형이나 미끄럼 이동에 의한 공기의 압축 등을 고려하면, 리브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축 본체(1)의 후방부에는 클립(62)이 형성된 기초부(62a)가 압입·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심 탱크(59)의 후방부에는 지우개(63)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부호 64는 그 지우개(63)를 덮는 노크 캡이며, 상기 심 탱크(59)의 후방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관축(58)의 전방에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립 부재(66)가 장착되어 있다. 그 그립 부재(66)는 관축(1)에 형성된 오목부(58a)와 전방 부재(65)에 형성된 오목부(65b)에 걸치도록 장착되어 있고, 전방 부재(65)가 관축(1)에 대해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는 동시에, 전방 부재(65)의 전방까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구성은 상기 제14예와 동일하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3의 상태는 척(60)으로부터 분리된 잔심(A)이 심 후퇴 방지 부재(96)에 유지되고, 또, 후속심(B)이 척(60)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 슬라이드 부재(67)는 척(60)의 돌기부(70)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까이 당겨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 심 탱크(59)를 전방으로 누르면, 척 링(61)과 함께 척(60)과, 그 척(60)에 파지되어 있는 후속심(B) 그리고 그 후속심(B)에 눌려 잔심(A)이 전진한다. 이 때, 잔심(A)은 슬라이드 부재(67)의 심 후퇴 방지 부재(96)에 가볍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드 부재(67)도 전진하고자 하지만, 슬라이드 부재(67)의 전방 부재(65)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이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67)는 이동하지 않고, 잔심(A)이 상기 복귀 방지 부재(96) 속을 미끄럼 이동하여, 슬라이드 부재(67)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윽고, 척 링(61)은 전방 부재(65)의 단차부(97)에 접촉하여, 그 전진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 척(60)의 돌기부(70)와 슬라이드 부재(67)의 창구멍(72)의 전단부 사이에는 틈(Z)이 형성되어 있다(도 55 참조). 여기서, 더욱 심 탱크(59)가 전진하면, 척(60)은 약간 후속심(B)[및 잔심(A)]을 전진시키면서, 그 척(60)의 돌기부(70)를 창구멍(72)의 전단부에 접촉시킨다(도 56 참조). 이 때, 척(60)이 확대 개방되어, 파지하고 있던 후속심(B)을 해방하지만, 상기 척 링(61)이 단차부(97)에 접촉한 순간에 척(60)이 확대 개방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심 탱크(59)가 전진하면, 척(60)의 돌기부(70)는 슬라이드 부재(67)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윽고, 슬라이드 부재(67)의 중간 단차부(76)가 전방 부재(65)의 내면 리브(65a)의 후단부(77)에 접촉하여, 그 전진 이동이 저지된다(도 57 참조).
여기서, 심 탱크(59)의 전진 이동을 해제하면, 상기 척(60)이 확대 개방된 상태에서 후퇴하지만, 슬라이드 부재(67)는 O링(98)에 의해서 저항을 부여받고 있기 때문에 후퇴하지 않는다. 이윽고, 척(60)의 돌기부(70)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67)의 창구멍(72)의 후단부에 접촉하면(도 58 참조), 슬라이드 부재(67)의 후퇴 동작이 시작된다.
이윽고, 척(60)은 척 링(61)에 의해서 폐쇄되어, 후속심(B)을 다시 파지한다(도 53 참조). 이 때, 후속심(B)을 파지한 상태에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척(60)은 다소 후퇴하지만, 슬라이드 부재(67)도 후퇴되기 때문에,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후속심(B)이나 잔심(A)이 후퇴하여 버리지만, 슬라이드 부재(67)와 함께 전방 부재(65)에 대하여 후퇴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67)에 대해서는 후퇴하지 않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67) 선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감소하는 일도 없다.
또, 슬라이드 부재(67)의 창구멍(72)은 척(60)의 돌기부(70)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 조작 해제후에도 그 후퇴 위치를 계속해서 유지하여, 자신의 중량에 의해 낙하하는 등으로,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여 버리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척 링(61)을 단차부(97)에 접촉시킨 후, 즉, 척(60)이 확대 개방된 후에, 척(60)의 돌기부(70)를 창구멍(72)의 전단부에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척(60)이 아무런 규제도 받지 않고서 확대 개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기분 좋은 척 링 소리를 얻을 수 있다.
제16예를 도 59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16예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67)의 통형부를 별개의 부재로 구성한 예이다. 본 예에서의 통형 부재(99)에도 창구멍(10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창구멍(100)에는 척(60)의 돌기부(70)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또, 통형 부재(99)는 슬라이드 부재의 본체부에 대하여 압입 고정되어 있고, 조립시에 있어서, 그 압입 거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동작에 관하여는, 상기 제15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지만, 본 예에서는 통형 부재(99)의 슬라이드 부재의 본체부에 대한 압입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치수 변동이나 심의 돌출 길이를, 상기 통형부의 슬라이드 부재에 대한 압입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제15예나 제16예에 있어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후단을 전방 부재(65)의 단차부(97)보다도 전방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의 후단과 척 링 전방면 사이에는 틈을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후단을 전방 부재의 단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슬라이드 부재의 후단과 척 링 전방면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요는, 척이 후속심을 파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부재가 후퇴할 수 있는 틈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만일, 이 틈이 없으면, 필기압에 의해서 척이 후퇴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심을 파지하는 쐐기 효과가 약해져, 심이 상기 필기압에 의해서 후퇴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척을 정확히 성형하는 금형 장치의 일례를 든다. 도 60 내지 도 62를 기초로 설명한다. 금형(101)의 내부에는 상기 척(60)의 외형을 형성하는 복수로 분할된 캐비티(102)와, 척(60)의 내형을 형성하는 코어 핀(10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로 분할된 캐비티(102)는 척(60)의 후방부(60a)와 전방부(60c)를 형성하는 캐비티(102a)와, 상기 척 링(61)이 접촉하는 경사면(60b)을 형성하는 캐비티(102b)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캐비티(102a)의 경사면(60b)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관통 구멍(102d)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 구멍(102d)에 상기 경사면(60b)을 형성하는 캐비티(102b)가 채워져 있다(특히, 도 62 참조). 즉, 적어도 척(60)의 경사면(60b)을 형성하는 캐비티(102b)만을 교체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척(60)의 경사면(60b)의 각도나, 그경사면(60b)의 외형을 미세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102b)만을 떼어, 그 부분만을 수정거나, 또는 바꿔 만들면 된다.
또, 상기 예에서는 척(60)의 후방부(60a)와 전방부(60b)를 형성하는 캐비티를 일체로 했지만,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분할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척(60)의 후방부(60a)를 형성하는 캐비티(102a)와, 경사면(60b)을 형성하는 캐비티(102b), 및 전방부(60c)를 형성하는 캐비티(102c)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즉, 전례의 캐비티(102a)를 2분할한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예와 같이, 척과 슬라이드 부재가 연동하는 예에서는 척이 후퇴하여 슬라이드 부재를 후퇴시키는 시점과, 척 링에 의해서 척이 폐쇄되는 시점의 타이밍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그 때문에, 척의 경사면의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래서, 전술한 금형에 의한 척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또한 저렴하게 척의 경사면을 정밀도 좋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17예를 도 64, 도 65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드 부재의 선단에 심의 파지 기구를 구비한 예이다. 축 본체(104)의 내부에는, 심 탱크(105)가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그 심 탱크(105)의 전단에는 개폐 가능한 제1척(106)이 고정되어 있다. 그 제1척(106)의 전방부에는 제1척(106)의 개폐를 행하는 척 링(107)이 둘러싸여 있다.
또, 상기 축 본체(104)의 선단에는 전방 부재(108)가 나사식 결합 수단 등에 의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지만, 그 전방 부재(108)는 축 본체(10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 전방 부재(108)의 내부에는 상기 제1척(106)과마찬가지로 개폐 가능한 제2척(109)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제2척(109)의 심 파지부(110)의 내면에는 심을 가볍게 유지하는 심 유지부(111)가 일체로 혹은 별개 부재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2척(109)이 완전히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심을 강하게 파지하고 있고, 확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심을 가볍게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일체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심 유지부(110)의 내면에 주름 가공을 실시하거나, 탭을 세우는 등의 수단을 들 수 있고, 또, 별개 부재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고무나 NBR 등의 탄성체를 부착되는 등의 수단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제2척(109)의 전방 부분은 전방 부재(108)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전방 부재(108)의 선단 부분이, 제2척(109)의 개폐를 행하는 척 링부(112)로 되어 있다.
또, 부호(S)는 상기 제1척(106)이나 심 탱크(105) 등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이다.
이어서, 상기 제1척(106) 그리고 제2척(109)에 관해서 상술한다. 상기 제1척(106)의 전단 외주에는 외면 플랜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척(109)의 후방에는 통형부(114)가 연장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통형부(114)의 후단 내면에는 상기 제1척(106)의 외면 플랜지부(113)와 접촉하는 내면 플랜지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척(109)의 전방 외주에는 중간 단차부(116)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방 부재(108)의 내면에 형성된 내면 단차부(117)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척(106)은 2분할 혹은 3분할 혹은 4분할된 척 부재로 구성된, 소위, 컬렉트식 척이며, 심을 파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강고하게 폐쇄시키면, 상기 제2척(109)의 내면 플랜지부(115)에서 제1척(106)의 외면 플랜지부(113)가 빠져 나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1척(106)과 제2척(109)은 분리, 조립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5의 상태는 제1척(106)에서 분리된 잔심(A)이 제2척(109)에 파지되어 있다. 또, 후속심(B)이 제1척(106)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심 탱크(105)를 전방으로 누르면, 척 링(107)과 함께 제1척(106)이 전진하고, 이에 의해서 파지되어 있는 후속심(B)도 전진한다. 그 후속심(B)의 전진에 따라 잔심(A)이 눌려, 그 잔심(A)도 전진하고자 하지만, 제2척(109)의 심 파지부(110)에 의해서 파지되어 있기 때문에, 또, 제2척(109)의 내면 플랜지부(115)가 제1척(106)의 외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제2척(109)은 잔심(A)과 함께 전진한다.
이 때, 제2척(109)이 다소라도 전진하면, 그 제2척(109)이 확대 개방되지만, 제2척(109)이 확대 개방하더라도 심은 심 유지부(111)에 가볍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잔심(A)의 전진에 의해서 제2척(109)도 전진한다. 여기서, 제2척(109)의 중간 단차부(116)가 상기 전방 부재(108)의 내면 단차부(117)에 접촉하면, 제2척(109)의 전진 이동이 규제된다.
여기서, 또한 상기 심 탱크(105)를 전진시키면, 잔심(A)은 후속심(B)에 눌리면서, 이동이 저지된 제2척(109)의 심 유지부(111)를 미끄러지면서 전진 이동하여,그 선단으로부터 돌출 조출된다. 이윽고, 상기 척 링(107)은 제2척(109)의 후단에 접촉하여, 그 전진 이동이 규제되고, 제1척(106)이 확대 개방되어 후속심(B)을 해방한다(도 66 참조).
여기서, 심 탱크(105)의 전진 이동을 해제하면, 제1척(106)은 후속심(B)을 해방한 상태에서 후퇴하지만, 이 후퇴 과정에서 제1척(106)의 외면 플랜지부(113)가 제2척(109)의 내면 플랜지부(115)에 접촉하여, 제2척(109)도 후퇴시킨다. 이 때, 잔심(A)은 제2척(109)의 심 유지부(111)에 가볍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잔심(A)의 돌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척(109)과 함께 후퇴하고, 또, 제1척(106)으로부터 해방되어 있는 후속심(B)도 후퇴시킨다(도 67 참조).
이윽고, 제1척(106)은 척 링(107)에 의해서 폐쇄되어, 후속심(B)을 파지하여 후퇴시킨다.
또, 상기한 동작에 의해서, 잔심(A)이 전방 부재(108)에 대해서는 후퇴되어 버리지만, 제2척(109)과 함께 후퇴하기 때문에, 제2척(109)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감소하는 일이 없다.
제18예를 도 68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1척(118)의 제2척(119)의 내면 플랜지부(120)가 접촉하는 외주부의 원추 각도(121)를, 제2척(119)의 선단부 외주면에 있어서의 원추 각도(22)보다도 크게 설정한 예이다. 이와 같이, 제1척과 제2척의 원추 각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파지되는 심의 각각의 척의 파지 위치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상기 제1척을 수지로 성형한 경우에는, 시효 탄성 피로 등에 의해 그 제1척의 폐쇄시에 있어서의 외경이 작아져 버리고, 그 결과, 전방에위치하는 제2척을, 초기 설정 이상으로 후퇴시켜 버리게 되는 것으로, 결국, 심의 파지력에도 영향을 주는 것이었다. 이 문제를 각각의 척의 원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해결한 것이다.
각각의 척의 원추 각도에 차이를 주는 예로서는, 상기 제18예의 각각의 척의 원추 각도를 역전시켜도 좋다. 즉, 제1척(15)의 원추 각도(121)를 작게 하고, 제2척(119)의 원추 각도(22)를 크게 설정하더라도 좋다. 이 제18예는 제1척을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다른 쪽의 제2척을 수지 재질로 성형한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 이에 따라, 제1척보다도 제2척의 심 파지력이 높아져, 선단부에 있어서의 심의 진동을 방지하는 효과도 발생한다.
또, 그 밖의 예로서는 도 69에 도시하는 것도 예로 들 수 있다. 즉, 제2척(123)의 내면 플랜지부(124)의 그 내면에, 원추부(125)를 형성하고, 제1척(126)의 외면 플랜지부(127)를 접촉한 예이다. 그리고, 물론, 그 원추 각도(128)와 제2척(123)의 원추 각도(129)는 그 각도를 달리하고 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들 수 있다. 도 70에 도시하는 예는 제2척(131)의 통부(132)의 중간부에 신축성의 메시부(133)를 형성한 예이지만, 그 메시부 대신에, 2색 성형법(상이한 재질의 성형법) 등의 성형 기술에 의해서 신축 가능한 고무형 탄성체(134)를 형성하더라도 좋고(도 71 참조), 또한, 신축 가능한 벨로즈부(135) 등을 형성하더라도 좋다(도 72 참조). 또한, 도 7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부재(108)의 선단 근방에 슬릿(136)을 형성하고, 그 선단 부근을 확대 개방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척의 폐쇄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심의 파지 위치의 변동을 흡수하여도 좋다.
이상의 각 예는 슬라이드 부재(제2척)를 척(제1척)에 의해서 후퇴시켰지만, 그 외에도 여러 가지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심 탱크로부터 아암부를 전방을 향하여 형성하고, 그 아암부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를 후퇴시키는 방법이다. 이하, 도 74, 도 75를 기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제19예). 축 본체(137)의 내부에는 심 탱크(138)가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그 심 탱크(138)의 전단에는 개폐 가능한 척(139)이 고정되어 있다. 그 척(139)의 전방부에는 척(139)의 개폐를 행하는 척 링(140)이 둘러싸여 있다. 또, 이들 부재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5)가, 상기 심 탱크(138)와 관축(137)의 내면 단차부(14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심 탱크(138)나 척(139), 척 링(140) 및 탄발 부재(141) 등으로 본 발명의 심 조출 수단(143)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축 본체(137)의 전방부에는 전방 부재(148)가 나사식 결합 수단 등에 의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고, 그 전방 부재(148)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슬라이드 부재(149)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슬라이드 부재(149)의 내부에는 심을 가볍게 유지하여, 심의 후퇴를 저지하는 심 후퇴 방지 부재(150)가 배치되어 있지만, 전방 부재와 일체로 성형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149)의 대향한 2곳의 외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홈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그 홈부(151)에는 슬라이드 부재(149)의 후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도중까지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걸림부(15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심 탱크(138)의 전방 부분에는 아암부(152)가 대향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그 전단부에는 내측 돌기(15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아암부(152)는 심 탱크(138)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일체적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 내측 돌기(153)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149)의 홈부(151)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채워져 있다. 또, 아암부(152)는 상기 축 본체(137)의 내측 직경 축소부(154)에 형성된 슬릿(155)에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채워져 있고, 원주 방향에 대한 진동이나 굴곡 등이 방지되어 있다(특히 도 75 참조).
부호 156은 상기 축 본체(137)와 슬라이드 부재(149)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이며, 슬라이드 부재(149)를 항상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4의 상태는 척(139)에서 멀어진 잔심(A)이 심 후퇴 방지 부재(150)에 유지되고, 또, 후속심(B)이 척(139)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 슬라이드 부재(149)는 탄발 부재(156)에 의해서 전방을 향하여 가압되고 있지만, 심 탱크(138)로부터의 아암부(152)의 내측 돌기(153)가 슬라이드 부재(149)의 홈부(151)의 후방부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드 부재(149)의] 전진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심 탱크(138)를 전방으로 누르면, 척 링(140)과 함께 척(139)이 전진하지만, 탄발 부재(156)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149)가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드 부재(149)도 상기 아암부(152)의 내측 돌기(153)와 홈부(151) 후방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진한다. 이에 의해서 척(139)에 파지되어 있는 후속심(B)이나, 심 유지 부재(150)에 유지되어 있는 잔심(A)이 슬라이드 부재(149)와 함께 전진한다. 이윽고, 슬라이드 부재(149)의 중간 단차부(157)가 전방 부재(148)의 경사벽(158)에 접촉하여, 그 전진 이동이 저지된다(도 76 참조).
그러나, 상기 아암부(152)의 내측 돌기(153)는 슬라이드 부재(149)의 홈부(151)에 헐겁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그 아암부(152)의 내측 돌기(153)나 척(139), 척 링(140) 및 척(139)에 파지되어 있는 후속심(B)이나 잔심(A)은 더욱더 전진할 수 있다(도 77 참조). 그러나, 상기 척 링(140)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149)의 후단부에 접촉한 시점에서, 그 이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이 때, 척(139)이 확대 개방되어, 후속심(B)이 해방된다(도 78 참조).
여기서, 심 탱크(138)의 전진 이동을 해제하면, 상기 척(139)이 확대 개방된 상태에서 후퇴하지만, 슬라이드 부재(149)는 탄발 부재(156)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149)는 후퇴하지 않는다. 이윽고 아암부(152)의 내측 돌기(153)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149)의 홈부(151)의 걸림부(151a)에 접촉하면, 슬라이드 부재(149)의 후퇴 동작이 시작된다(도 79 참조). 물론, 탄발 부재(156)의 탄발력에 대항해서이다.
이윽고, 척(139)은 척 링(140)에 의해서 폐쇄되어, 후속심(B)을 다시 파지한다(도 74 참조). 이 때, 후속심(B)을 파지한 상태에서, 종래 기술과 같이 척(139)은 다소 후퇴하지만, 슬라이드 부재(149)도 후퇴되기 때문에,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예에서도 상기한 동작에 의해서, 후속심(B)이나 잔심(A)이 후퇴되어 버리지만, 슬라이드 부재(149)와 함께 전방 부재(148)에 대하여 후퇴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9)에 대해서는 후퇴하지 않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149)의 선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감소하는 일도 없다.
또, 슬라이드 부재(149)는 아암부(152)의 내측 돌기(153)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 조작 해제후에도 그 후퇴 위치를 계속해서 유지하여, 자신의 중량에 의해 낙하하는 등으로, 후속심(B)과 잔심(A) 사이에 틈을 형성하는 일도 없다.
상기 제19예의 변형예를 도 80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전례에서는 심 탱크에 아암부를 고정하여 슬라이드 부재에 결합시켜 연동시키고 있지만, 본 예에서는 탄발 부재(141)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를 연동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탄발 부재(141)의 후단부에서는 전방을 향하여 굴곡 형성된 아암부(159)가 연장 설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아암부(159)의 전단부(내측 돌기160)를 슬라이드 부재(149)의 홈부(151)의 걸림부(151a)에 결합시키고 있다. 탄발 부재 자체를 가공함으로써 아암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동작은 전례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다른 변형예를 도 81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161)의 후방에 아암부(162)를 연장 설치하고, 그 아암부(162)를 심 탱크(163)의 슬릿(16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각각을 연동시키고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상기 제19예와 동일한 동작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심 탱크(163)를 누르면, 척(139)이나 척 링(140)이 전진하지만, 이 때, 슬라이드 부재(161)도 탄발 부재(156)의 탄발 작용에 의해서 전진한다. 슬라이드부재(161)의 전진 이동이 저지되면, 척(139)과 척 링(140)만이 전진하고, 이윽고는, 척(139)이 확대 개방된다. 이 때, 심 탱크(163)의 슬릿(164)이 상기 아암부(162)의 내측 돌기(165)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전진한다. 여기서, 심 탱크(163)의 압박 조작을 해제하면, 심 탱크(63)는 물론, 척(139)도 후퇴를 시작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161)는 탄발 부재(156)에 의해서 후퇴는 하지 않지만, 이윽고는 심 탱크(163)의 슬릿(164)의 전방부에 아암부(165)가 접촉하여, 그 접촉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161)도 후퇴하게 된다.
제20예를 도 82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사이드 노크식 샤프 펜슬에 적용한 예이다. 축 본체(166)의 후방부는 심을 수용하는 심 탱크부(167)로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심 조출 수단의 후방에 연장 설치하여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 축 본체(166)의 전방의 내부에는 테이퍼 슬라이드(168)가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그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전단에는 개폐 가능한 척(169)이 고정되어 있다. 그 척(169)의 전방부에는 척(169)의 개폐를 행하는 척 링(170)이 둘러싸여 있다. 또한,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후단에는 상기 심 탱크부(167)로부터의 복수의 심을 1개마다 분리하는 심 수납 부재(171)가 고정, 혹은 일체로 성형되어 있지만,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심 삽입 통과 구멍(172)의 내경은 사용하는 심의 직경보다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성형시에 발생되어 버리는 테이퍼 슬라이드의 만곡이나, 심의 만곡에 의한 심의 삽입 통과 불량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 상기 테이퍼 슬라이드(168)나 척(169) 등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173)가, 상기 테이퍼 슬라이드(168)와 축 본체(1)의 내면 단차부(174)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테이퍼 슬라이드(168)나 척(169), 척 링(170) 및 탄발 부재(173) 등으로 본 발명의 심 조출 수단(175)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축 본체(166)의 전방부에는 전방 부재(176)가 나사식 결합 수단 등에 의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고, 그 전방 부재(176)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슬라이드 부재(178)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슬라이드 부재(178)의 내부에는 심을 가볍게 유지하여, 심의 낙하를 저지하는 심 후퇴 방지 부재(179)가 배치되어 있지만, 슬라이드 부재(178)와 일체로 성형하거나 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중간부의 외면에는 경사면(18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 부재(178)의 후방부에는 아암부(181)가 고정되어 있고, 그 아암부(181)의 후단에는 상기 경사면(180)보다도 짧은 경사면(18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본체(166)의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노크 부재(183)에는 상기 각각의 경사면(180, 182)에 접촉하는 제1 접촉부(184)와 제2 접촉부(1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노크 부재(183)의 각각의 접촉부(184, 185)는 테이퍼 슬라이드(168)를 걸치도록 형성 배치되어 있어, 각각의 경사면(180, 182)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호 186은 상기 전방 부재(176)와 슬라이드 부재(178)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이며, 슬라이드 부재(178)를 항상 후방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또, 부호 187은 상기 축 본체(166)의 전방부와 전방 부재(176)의 후방부에 걸쳐 피복된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립 부재이다. 또한, 이 그립 부재(187)와 상기 축 본체(166)의 합치된 중간부에는 상기 노크 부재(183)가 그 전단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창구멍(188)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2에 도시하는 상태는 척(169)으로부터 분리된 잔심(A)이 심 후퇴 방지 부재(179)에 유지되고, 또, 후속심(B)이 척(169)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178)는 탄발 부재(186)에 의해서 후방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지만, 그 후단[경사면(182)]이 상기 노크 부재(183)의 제2 접촉부(185)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슬라이드 부재(178)의] 후퇴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노크 부재(183)의 제1 접촉부(184)와 테이퍼 슬라이드의 경사면(180)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접촉하지 않고 이격된 위치에 있다. 또한, 이격된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생산시에 생기는 변수에 의해서 심 직경이 다소 작아져 버리더라도, 척의 파지력이 손상되지 않고, 양호한 필기를 할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덧붙여서 말하면, 테이퍼 슬라이드가 노크 부재에, 항상, 접촉 압박 상태에 있으면, 심의 파지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필기시에 심이 몰입되어 버릴 위험성이 있다.
상기 상태에서 노크 부재(183)를 축 본체(1)의 축심 방향(직경 방향)으로 누르면, 노크 부재(183)의 제2 접촉부(185)가 슬라이드 부재(178)의 경사면(182)을 눌러, 이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178)가 전진한다. 이 때, 잔심(A)은 슬라이드 부재(178)의 심 후퇴 방지 부재(179)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잔심(A)도 슬라이드 부재(178)와 함께 전진한다. 또한, 상기 노크 부재(183)를 누르면, 그 노크 부재(183)의 제1 접촉부(184)가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경사면(180)에 접촉하여, 그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전진이 시작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상기 노크 부재(183)의 제2 접촉부(185)는 슬라이드 부재(178)의 경사면(182)의 정점부를 타고 넘기 때문에, 이 이상, 슬라이드 부재(168)는 전진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노크 부재(183)가 더욱 압박되더라도 그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가 된다(도 83 참조).
그리고,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전진이 시작되면, 그 동작에 따라, 후속심(B)을 파지한 척(169)나 척 링(170)이 전진한다. 이 척(169)의 전진 과정에서, 그 척(169)에 파지된 후속심(B)이 상기 잔심(A)에 접촉하는 동시에 압박하고, 이에 의해서 잔심(A)이 슬라이드 부재(17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한다(도 84 참조). 그리고, 이윽고는 상기 척 링(170)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178)의 후단에 접촉하고, 척(169)이 확대 개방되어, 후속심(B)이 해방된다. 또, 이 과정에서도 상기 슬라이드 부재(178)는 탄발 부재(186)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고 있지만, 노크 부재(183)의 제2 접촉부(185)에 경사면(182)의 정점부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으로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노크 부재(183)의 제1 접촉부(184)에 의한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전진 이동량은 상기 제2접촉부(185)에 의한 슬라이드 부재(178)의 전진 이동보다도 많아지고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보다도 테이퍼 슬라이드 쪽이 많이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 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는 테이퍼 슬라이드(168)의 경사면(180)의 길이는 슬라이드 부재(178)의 경사면(182)의 길이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때문에 전진 이동 거리가 많아지고 있다.
여기서, 노크 부재(183)의 압박 조작을 해제하면, 맨처음에 테이퍼 슬라이드(168)가 후퇴하고, 이에 의해서 척(169)이나 척 링(170)도 후퇴하고, 다시, 후속심(B)을 파지하여, 그 후퇴 동작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노크 부재(183)의 제2 접촉부(185)는 경사면(182)을 압박하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178)는 그 전진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 때, 종래 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후속심(B)은 척(169)이 완전히 폐쇄 후퇴하기 직전에 파지되기 때문에, 약간 후퇴하고, 그 결과, 잔심(A)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도 85 참조).
여기서, 또한, 상기 노크 부재(183)의 압박 조작을 해제하면, 그 노크 부재(183)의 제2 접촉부(185)가, 경사면(182)의 정점부를 다시 타고 넘어, 상기 탄발 부재(186)의 탄발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부재(178)도 잔심(A)과 함께 후퇴한다. 이 때, 잔심(A)의 후단과 후속심(B)의 선단이 접촉한다(도 86 참조).
또한, 본 예에서는 슬라이드 부재의 전진이 규제된 후에, 테이퍼 슬라이드의 이동이 시작되어, 척이 확대 개방되도록 했지만, 슬라이드 부재의 전진 과정에서 테이퍼 슬라이드의 이동이 시작되어, 슬라이드 부재의 후단에 척 링이 따라 붙어 접촉하여, 척이 확대 개방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즉, 척이 심을 유지할 때에, 심을 후퇴시키는 양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거리를 척이 닫힌 후에 슬라이드 부재를 후퇴시키도록 설정하면 슬라이드 부재의 전진을 규제하는 기구는 없어도 좋다.
제21예를 도 87, 도 88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관축에 배치되어 있는 그립 부재를 압박함으로써 슬라이드 부재를 후퇴시킨 예이다. 이하 상술한다. 관축(189)의 전방 외주면에는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립 부재(19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관축(189)의 전단에는 전방 부재(191)가 나사식 결합 수단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고, 그 전방 부재(191)에는 심 후퇴 방지 부재(192)를 안에 설치한 슬라이드 부재(193)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 부재(193)의 후방에는 상기 관축(198)의 슬릿(198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는 아암부(19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아암부(194)의 후방부에 결합 구멍(195)을 갖고 있다. 그 결합 구멍(195)의 후단 변에는 경사면(195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 결합 구멍(195)에 대응할 정도로 상기 관축(189)에는 관통 구멍(196)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 구멍(196)에는 상기 그립 부재(190)의 내면 돌기(197)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부호 198은 심 탱크이며, 그 심 탱크(198)의 전단에는 척(199)이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사용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7은 심 탱크(198)를 눌러, 심의 조출 조작을 한 상태이다.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잔심(A)과 후속심(B) 사이에는 틈(20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필기하려고 그립 부재(190)를 쥐면, 그 악력으로 그립 부재(190)가 내측 변형하는 동시에, 내면 돌기(197)가, 아암부(194)의 경사면(195a)을 따라서, 그 아암부(194)를 후퇴시킨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193)도 후퇴되고, 그 결과, 잔심(A)의 후단이 후속심(B)의 전단에 접촉한다(도 89 참조).
제22예를 도 90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5예의 변형예이다. 척 링이 단차부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P)를, 상기 척의 돌기부가 슬라이드 부재의 창구멍의 전단부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Q)보다도 크게 설정한 예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상기 제15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201)의 후방부에는 창구멍(20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창구멍(202)에는 척(204)의 돌기부(205)가 헐겁게 끼워져 있다.
한편, 관축(58)의 전단에 고착된 전방 부재(65)의 내면에는 척 링(61)이 접촉하는 단차부(9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척 링(61)의 이동 거리(P)는 상기 척(204)의 돌기부(205)가 슬라이드 부재(201)의 창구멍(202)의 전단부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Q)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201)의 전방 부재(65)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은 심이 심 후퇴 방지 부재(96)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심 탱크(59)를 누르면, 척(204)과 함께, 후속심(B)이 압박되고, 이에 따라, 잔심(A)도 압박 전진한다. 이윽고, 척(204)의 돌기부(205)는 슬라이드 부재(201)의 창구멍의 전단부에 접촉하고(도 91 참조), 슬라이드 부재(201)도 전진된다(도 92 참조). 더욱이, 심 탱크(59)가 압박되면, 척 링(61)이 단차부(97)에 접촉하는 동시에, 척(204)이 슬라이드 부재(201)를 압박 전진시키면서도, 그 척(204)이 확대 개방되고, 이 때, 후속심(B)이 해방된다(도 93 참조).
여기서, 상기 심 탱크(59)의 압박 조작을 해제하면, 척(204)이 후퇴하여, 약간 늦게 슬라이드 부재(201)와 함께 후퇴하고, 이윽고는 척 링(61)에 의해서 폐쇄된다.
상기 제22예의 변형을 도 94 내지 도 99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드 부재(201)의 후방부에는 창구멍(20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창구멍(202)의 전단 변에는 경사면(20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창구멍(202)에는 상기 예와 마찬가지로 척(204)의 돌기부(205)가 헐겁게 끼워져 있지만, 그 척(204)의 전단면에는 상기 창구멍(202)의 경사면(203)과 접촉 미끄럼 이동하는 경사면(20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축(58)의 전단에 고착된 전방 부재(65)의 내면에는 척 링(61)이 접촉하는 단차부(9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척 링(61)의 이동 거리(P)는 상기 척(204)의 돌기부(205)가 슬라이드 부재(201)의 창구멍(202)의 전단부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Q)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심 탱크(59)를 누르면, 척(204)과 함께, 후속심(B)이 압박되고, 이에 따라, 잔심(A)도 압박 전진한다. 이윽고, 척(204)의 경사면(206)은 슬라이드 부재(201)의 경사면(203)에 접촉하여(도 95 참조), 슬라이드 부재(201)도 전진된다(도 96 참조). 더욱이, 심 탱크(59)가 압박되면, 척 링(61)이 단차부(97)에 접촉하는 동시에, 서로의 경사면에 의해서, 상기 척(204)이 확대 개방되고, 이 때, 후속심(B)이 해방된다(도 97 참조).
여기서, 상기 심 탱크(59)의 압박 조작을 해제하면, 척(204)이 후퇴하여(도 98 참조), 약간 늦게 슬라이드 부재(201)와 함께 후퇴하고, 이윽고는 척 링(61)에 의해서 폐쇄된다(도 99 참조).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의 부재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척을 확대 개방시키고, 이에 의해, 척의 확대 개방 동작을 확실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잔심 필기시에도 위화감이 없이 필기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잔심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의 전방에 구비하고, 그 관축의 내부에는 심 조출 수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심 조출 수단의 적어도 한 부재의 후퇴 동작을 연동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조출 수단의 적어도 한 부재를 심 척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조출 수단의 적어도 한 부재를 심 탱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조출 수단의 적어도 한 부재를 탄발 부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척과 슬라이드 부재의 연동을, 서로의 부재에 형성된 단차부끼리의 결합에 의해서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탄발 부재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의 가압력을, 상기 척과 슬라이드 부재의 미끄럼 이동 저항력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외면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후방부에는 상기 돌기부가 결합하는 결합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척을 척 링에 의해서 개폐하고, 그 척의 척 링이 접촉하는 부분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경사면을 형성하는 캐비티를,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적어도 별개의 부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전방에 척의 개폐를 행하는 척 링을 둘러싸는 동시에, 그 척 링의 이동 거리를 상기 척의 돌기부가 슬라이드 부재의 창구멍을 이동하는 거리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관축 사이에 틈을 형성하고, 그 틈을 척과 슬라이드 부재의 끼워맞춤 거리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2. 관축의 선단에 심의 파지 및 해방을 행하는 제2척이 배치되고, 그 제2척의 후방에는 제1척이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제2척에 심을 가볍게 유지하는 심 후퇴 방지부를 배치하고, 그 제1척과 상기 제2척의 후퇴 동작을 연동시키는 동시에, 그 동작을 제1척의 후퇴 동작에 의해서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척과 제2척의 연동을, 서로의 부재에 형성된 단차부끼리의 결합에 의해서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4.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의 전방에 구비하고, 그 관축의 내부에는 심 조출 수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심 조출 수단의 각각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노크 부재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부재의 각각의 접촉부를, 심 조출 조작의 최초에는 슬라이드 부재에, 이어서, 심 조출 수단에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 부재를 관축의 측면에 배치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7. 심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의 전방에 구비하고, 그 관축의 내부에는 심 조출 수단이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관축을 압박함으로써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KR1020017015170A 2000-03-30 2001-03-28 샤프 펜슬 KR100707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5124 2000-03-30
JPJP-P-2000-00095124 2000-03-30
JPJP-P-2000-00129164 2000-04-28
JP2000129164 2000-04-28
JP2000161347 2000-05-31
JPJP-P-2000-00161347 2000-05-31
JP2000190932 2000-06-26
JPJP-P-2000-00190932 2000-06-26
JPJP-P-2000-00227844 2000-07-27
JP2000227844 2000-07-27
JP2000354336 2000-11-21
JPJP-P-2000-00354336 2000-11-21
JP2000363822 2000-11-29
JPJP-P-2000-00363822 2000-11-29
JPJP-P-2001-00022541 2001-01-31
JP2001022541 2001-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042A true KR20020015042A (ko) 2002-02-27
KR100707156B1 KR100707156B1 (ko) 2007-04-16

Family

ID=2757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170A KR100707156B1 (ko) 2000-03-30 2001-03-28 샤프 펜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05789B2 (ko)
EP (1) EP1184201B1 (ko)
KR (1) KR100707156B1 (ko)
CN (1) CN1294031C (ko)
BR (1) BR0105564B1 (ko)
CA (1) CA2371267C (ko)
HK (1) HK1048970A1 (ko)
WO (1) WO2001074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4909B2 (en) * 2003-01-14 2005-02-15 Mitsubishi Pencil Co., Ltd. Lead propelling device
JP4453067B2 (ja) * 2003-08-29 2010-04-21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と事務用品の結合構造
FR2861331B1 (fr) * 2003-10-22 2006-03-03 Bic Soc Porte-mine
FR2874855B1 (fr) * 2004-09-08 2006-12-08 Bic Sa Soc Instrument d'ecriture
US7806615B1 (en) 2007-10-26 2010-10-05 Mitsubishi Pencil Co., Ltd. Mechanical pencil
JP4847487B2 (ja) * 2008-03-26 2011-12-28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WO2017002731A1 (ja) * 2015-06-29 2017-01-0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ャープペンシル
JP6618143B2 (ja) * 2015-11-16 2019-12-11 株式会社壽 筆記具
US10464260B2 (en) * 2017-04-24 2019-11-05 Desktop Met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 rod of build material using a pusher in a 3D printing system
TWI783114B (zh) * 2018-03-02 2022-11-11 日商壽股份有限公司 自動鉛筆
EP3988322A4 (en) * 2019-06-20 2023-07-26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PENCIL PENCIL
CN114987087B (zh) * 2022-06-16 2024-02-02 深圳楠凯科技有限公司 自动铅笔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30448A (fr) * 1937-04-29 1938-07-29 Fend Geb Porte-mine à poussoir
JPS52126936U (ko) * 1976-03-17 1977-09-27
JPS52126936A (en) 1976-04-19 1977-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Ultrasonic atomizer
JPS579101Y2 (ko) * 1977-05-31 1982-02-22
CH613407A5 (en) * 1977-09-05 1979-09-28 Caran D Ache Fabrique Suisse D Propelling pencil
JPS54144222A (en) * 1978-04-28 1979-11-10 Iwasaki Kosei Pusheddout writing implement
JPS5832959Y2 (ja) * 1978-06-09 1983-07-22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細芯用シヤ−プペンシルの芯保護装置
JPS579101A (en) 1980-03-13 1982-01-18 Furuno Electric Co Ltd Protective device for excessive input in radar device
EP0231893A1 (en) * 1986-01-30 1987-08-12 Ancos Co., Ltd. Writing instrument
JPH0450156Y2 (ko) * 1987-05-18 1992-11-26
JPH077197Y2 (ja) * 1988-05-15 1995-02-22 株式会社寿 シヤープペンシル
DE3910546C1 (en) * 1989-04-01 1990-10-11 J. S. Staedtler Gmbh & Co, 8500 Nuernberg, De Fillable pencil with resiliently mounted lead clamping device
JPH03109891A (ja) * 1989-09-25 1991-05-09 Hitachi Ltd 携帯用無線電話装置
JP2530088Y2 (ja) 1990-02-28 1997-03-26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CN2111195U (zh) * 1991-05-28 1992-07-29 万宝电器集团广州灯饰电器厂 自动铅笔
JP3466739B2 (ja) * 1994-10-28 2003-11-17 株式会社壽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JPH10166783A (ja) * 1996-10-07 1998-06-23 Kotobuki 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TW363522U (en) * 1997-05-13 1999-07-01 Kotobuki & Co Ltd Double chucks type mechanical pencil
CN2359125Y (zh) * 1997-07-10 2000-01-19 株式会社寿 双夹头式自动铅笔
PE20001435A1 (es) * 1998-11-16 2000-12-14 Paques Bio Syst Bv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sulfuro de hidrogeno a partir de azufre en su condicion elemental y uso del mismo en la recuperacion de metales pesados
JP2001171288A (ja) * 1999-10-07 2001-06-26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1270283A (ja) * 2000-01-20 2001-10-02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及びその内部筆記機構
JP3109891U (ja) * 2005-01-18 2005-06-02 肯尼實業有限公司 折畳み可能な多機能型健康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5789B2 (en) 2004-03-16
HK1048970A1 (en) 2003-04-25
EP1184201A1 (en) 2002-03-06
EP1184201B1 (en) 2011-12-28
EP1184201A4 (en) 2009-09-23
WO2001074603A1 (fr) 2001-10-11
BR0105564B1 (pt) 2010-06-15
BR0105564A (pt) 2002-04-02
CN1366493A (zh) 2002-08-28
CA2371267A1 (en) 2001-10-11
CA2371267C (en) 2008-05-20
KR100707156B1 (ko) 2007-04-16
CN1294031C (zh) 2007-01-10
US20020154934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156B1 (ko) 샤프 펜슬
US20150063893A1 (en) Writing instrument or applicator having resin molded parts
JP201504244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中芯及びその製造方法
KR850002099Y1 (ko) 샤아프펜슬용 이중필심파이프식 카트리지
US6602011B2 (en) Ball point pen
KR0148084B1 (ko) 샤프펜슬
JP4736219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EP0709233A1 (en) Slider for mechanical pencil
JP4642281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US5882132A (en) Side knock-type mechanical pencil
JP2013014100A (ja) 筆記具
JP4419297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チャック体
JP2002067574A (ja) 細い孔を有する筒体
JP681690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中芯の製造方法
JP3931451B2 (ja) シャ−プペンシル
KR880002379Y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JPS591839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19980059197U (ko) 봉상물조출용기
JP3649773B2 (ja) 触指繰り出し式のシャープペンシル
KR200200743Y1 (ko) 화장용 펜슬 카트리지의 심 홀더
JP2607579Y2 (ja) 棒状体繰り出し装置
KR100708341B1 (ko)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JP2976375B1 (ja) 先端チャ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JP200310398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JP3342207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