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8341B1 -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8341B1
KR100708341B1 KR1020060055423A KR20060055423A KR100708341B1 KR 100708341 B1 KR100708341 B1 KR 100708341B1 KR 1020060055423 A KR1020060055423 A KR 1020060055423A KR 20060055423 A KR20060055423 A KR 20060055423A KR 100708341 B1 KR100708341 B1 KR 100708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ain body
tip
mechanical pencil
pe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마사히로 안자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한
Priority to KR102006005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심의 지름의 격차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 필심에 적절히 마찰력을 부여할 수가 있는 샤프펜슬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이 슬라이더(20)는 축방향으로 뻗어 필심이 삽통되는 관통구멍(24)을 가지는 통형의 본체(22)와, 이 본체(22)의 축방향 중간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떨어져 복수로 형성된 내경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26), 각 오목부(26)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28), 각 오목부(26)의 저부에서 상기 개구(28)에 인접해 형성된 얇은 부분(30) 및, 이 얇은 부분(30)의 내경측에 형성되어 내경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2)를 갖추어, 상기 오목부(26)가 형성된 부분에서 돌출부(32)가 본체(22)의 관통구멍(24)을 삽통하는 필심에 탄발접촉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Slider of sharp-penc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펜슬의 슬라이더가 샤프펜슬 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샤프펜슬의 선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펜슬의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펜슬의 슬라이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펜슬의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펜슬의 슬라이더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선에 따라 본 필심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샤프펜슬의 미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10 : 샤프펜슬 12 : 선구
20 : 슬라이더 22 : 본체
24 : 관통구멍 26 : 오목부
28 : 개구 30 : 얇은 부분
32 : 돌출부 36 : 확장부
38 : 외측부 40 : 돌출부(제2돌출부)
L : 필심
본 발명은, 샤프펜슬의 선구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심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샤프펜슬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슬라이더로서는, 일본국 특개평8-118883호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는바, 이 슬라이더는 필심이 삽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추고서 축통의 선구 내에 설치되어 소정 범위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한 슬라이더 본체와, 이 슬라이더 본체의 단부에 설치된 필심에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확장개방가능한 필심유도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필심유도수단은, 슬라이더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어 확장개방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그 확장개방정도에는 한도가 있어 필심의 지름의 격차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심의 지름의 격차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 필심에 적절히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샤프펜슬의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샤프펜슬의 선구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필심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일체형의 슬라이더에서, 축 방향으로 뻗어 필심이 삽통되는 관통구멍을 갖춘 통형의 본체와, 이 본체의 축방향 중간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떨어져 복수로 형성되고 내경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 각 오목부의 저부(底部)에 형성된 개구 및, 각 오목부의 저부에서 개구에 인접하게 형성된 얇은 부분 및, 이 얇은 부분의 내경 쪽에 형성되어 내경 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추어,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가 본체의 관통구멍을 삽통하는 필심에 탄발접촉하여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로부터 외경방향으로 늘어나는 확장부와, 이 확장부의 외경측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어 있어 그 선단이 자유단으로 된 복수의 외측부 및, 각 외측부의 외경측에 형성되어 외경측으로 돌출하는 제2돌출부를 추가로 갖추어, 상기 제2돌출부가 샤프펜슬의 선구의 내면에 탄발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관통구멍을 삽통하는 필심이,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관통구멍에 포위되면서 상기 돌출부에 탄발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선단부가, 필심과 함께 샤프펜슬의 선구의 선단개구보다 돌출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본체의 선단부가 선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펜슬의 슬라이더가 샤프펜슬 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샤프펜슬이며, 이 샤프펜슬(10)은 그 선단부에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을 함과 동시에 선단개구를 갖춘 선구(12)를 갖추고 있다. 이 선구(12)는, 샤프펜슬(10)의 본체를 구성하는 외통(14)과 별도의 부품으로 된 것이어도 좋지만, 일체로 된 부품으로 되어도 좋다.
샤프펜슬(10)의 내부에는, 공지의 필심송출기구(16)가 배치된다. 이 필심송출기구(16)의 척(18) 및 척(18)의 외주에 설치된 척링(19)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필심의 송출 및 필심의 조임이 행해지고 있다. 또, 필심송출기구(16)는 그 슬리이브(17)의 걸림편(17a)이 선구(12)의 걸림구멍(12a)에 걸려 있다.
척(18)보다 전방위치에, 척(18)보다 앞쪽에 있는 필심의 부분을 보유지지하는 슬라이더(20)가 배치된다. 이 슬라이더(20)는 선구(12) 내에서 소정의 범위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구(12)의 선단개구로부터 돌출하여 필심가이드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며, 일체로 된 부품인 일체형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더(20)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통형의 본체(22)를 갖추고 있다. 이 본체(22)는 그 선단부에서 끝이 가늘어진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게다가, 본체(22)에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축방향으로 뻗어서 필심이 삽통되는 관통구멍(24)이 형성된다. 이 관통구멍(24)의 후단부는, 필심이 삽입하기 쉽게 후단을 향해 갈수록 점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확장되는 깔때기모양으로 되어 있다.
본체(22)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내경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6)는 원주방향으로 떨어져 이 예에서는 180도의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6)를 2개로 한 경우에, 일체형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슬라이더(20)를 성형할 때, 상하방향으로 갈라지는 분할몰드를 이용해 간단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오목부(26)의 수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목부(26) 및 아래에 설명되는 얇은 부분(30)은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오목부(26)의 저부에는,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개구(28,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8)는, 본체(22)의 지름방향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개구(28,28)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에 다른 본체(22)의 부분보다 상당히 얇게 된 얇은 부분(30)이 형성된다. 각 얇은 부분(30)의 내경측 표면에는, 내경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2)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22)의 뒷부분에는, 본체(22)로부터 외경방향으로 늘어나는 확장부(36)가 설치된다. 그리고, 확장부(36)의 외경측단으로부터 축방향 앞쪽으로 뻗어 있는 외측부(38)가 원주방향으로 떨어져 복수로 설치된다. 외측부(38)에 대해서도, 이 예에서는 180도의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지만,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개 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어느 경우에서도 복수로 된 외측부(38)의 배치는 본체(22)에 대하여 동심적이고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외측부(38)의 선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각 외측부(38)의 자유단 부근의 외경측 표면에는 외경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0)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더(20)에서, 샤프펜슬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0) 전체가 선구(12)에 후퇴하여 들어가 있게 된다.
샤프펜슬을 사용할 때에는, 도시하지 않는 조작부를 조작해 필심송출기구(16)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척(18)이 필심과 함께 전진해 슬라이더(20)가 전방으로 밀려나온다. 선구(12)의 내경이 앞쪽에서 줄어들기 때문에, 외측부(38)의 자유단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외측부(38)의 돌출부(40)가 선구(12)의 내면에 탄발접촉해서, 선구(12)와 슬라이더(20)의 사이에 마찰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필심송출기구(16)의 작동에 의해 내보내어진 필심(L)은, 슬라이더(20)의 본체(22)의 관통구멍(24)을 삽통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슬라이더의 오목부(26)가 형성된 부분에서, 필심(L)은 관통구멍(24)에 포위되면서도 얇은 부분(30)의 돌출부(32)에 탄발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20)와 필심(L)의 사이에 마찰저항이 발생한다.
이 마찰저항에 의해 필심(L)은 슬라이더(20)에 의해 보관되기 때문에, 필심송출기구(16)가 해제되어 척(18)이 돌아올 때, 척(18)과 함께 필심(L)이 후퇴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필심(L)이 소모에 의해 짧아져 척(18)에 의해 단단히 조여지지 않은 상태가 되어도, 짧은 필심(L)을 슬라이더(20)가 보유지지할 수가 있다.
필심(L)의 지름에 대해서는, 통상 같은 호칭지름에 대해 실제의 치수에는 허용폭이 정해져 있고, 제품마다 격차가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20)는 얇은 부분(30)이 얇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구(28)에 인접하고 있으며, 얇은 부분(30)의 외경측은 오목부(26)의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얇은 부분(30)은 비 교적 자유롭게 휘어져 변형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필심의 지름이 굵은 경우에도, 적절히 휘어나갈 수 있어, 필심에 대해서 항상 적절히 마찰력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외측부(38)의 단부가 자유단으로 되어 외측부(38)는 외팔보식으로 지지되고 있으며, 외측부(38)와 본체(22)의 사이가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부(38)도 비교적 자유롭게 휘어져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돌출부(40)와 돌출부(32)에 의한 각각의 마찰력의 조정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필심은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돌출부(32)에 의해 탄발접촉됨과 동시에, 관통구멍(24)에 의해 포위되고 있기 때문에, 그 편심이 방지되어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필기중에, 필심(L)이 소모되거나 필심이 부러져서, 필심(L)의 선단이 슬라이더(2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지 못하고 그 끝이 같게 될 때에는, 필심(L)의 선단과 슬라이더(20)의 선단을 함께 지면(紙面)에 누르면, 필심(L)을 통해서 필심송출기구(16)에 그 압력이 전달되어 필심송출기구(16)는 그 걸림편(17a)이 걸림구멍(12a)에 대해 약간 변위하여 후퇴하게 된다. 그 다음에, 그 누르고 있는 힘을 해제하면, 걸림편(17a)이 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전진한다. 이때에, 선구(12)와 슬라이더(20)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저항이 슬라이더(20)와 필심(L)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저항보다 커지도록 각 돌출부(32,40)의 돌출높이가 적절히 설정되어 있으면, 필심송출기구(16) 및 필심(L)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전진하는 한편, 슬라이더(20)만 선구(12)에 대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필심(L)이 슬라이 더(2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필기를 계속할 수가 있다.
필기가 종료된 후에는, 척(18)을 해방한 상태로 필심(L)과 함께 슬라이더(20)를 선구(12) 내에 밀어넣으면, 선구(12) 내에 슬라이더(20)가 후퇴하여 들어간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에 인접해 오목부의 저부에 형성된 얇은 부분이, 가요성(可撓性)을 가질 수 있으며, 오목부에 의해 외경방향으로 크게 변위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얇은 부분의 내경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필심에 탄발접촉할 때, 필심의 지름에 격차가 있더라도, 적당히 오목부의 공간을 이용해 얇은 부분이 휘어지기 때문에, 필심에 대해서 항상 적절히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측부의 외경측에 돌출하는 제2돌출부가 샤프펜슬의 선구의 내면에 탄발접촉함으로써, 선구에 대하여 슬라이더가 보유지지될 수 있다. 외측부는, 이 외측부와 본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해 내경방향으로 크게 변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가 편심하려고 해도 제2돌출부가 선구의 내면에 탄발접촉하여서, 슬라이더의 중심맞춤을 행할 수 있다. 외측부는, 선단이 자유단으로 된 외팔보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성이 뛰어나고 슬라이더가 선구에 대해서 미끄럼이동할 때에 원활히 미끄럼이동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필심은 돌출부에 탄발접촉됨과 동시에, 관통구멍에 의해서도 그 주위가 포위되고 있기 때문에, 필심의 편심을 막아 필심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형의 슬라이더가 필심의 가이드를 행하는 필심가이드로서도 기능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샤프펜슬의 선구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여 필심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일체형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뻗어 필심이 삽통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는 통형의 본체와, 이 본체의 축방향 중간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떨어져 복수로 형성된 내경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 각 오목부의 저부에 형성된 개구, 각 오목부의 저부에서 상기 개구에 인접해 형성된 얇은 부분 및, 이 얇은 부분의 내경측에 형성되어 내경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추어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가 본체의 관통구멍을 삽통하는 필심에 탄발접촉해서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외경방향으로 늘어나는 확장부와, 이 확장부의 외경측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뻗어 그 선단이 자유단으로 된 복수의 외측부 및, 각 외측부의 외경측에 형성되어 외경측으로 돌출하는 제2돌출부를 추가로 갖추어,
    상기 제2돌출부가 샤프펜슬의 선구의 내면에 탄발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관통구멍을 삽통하는 필심은,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서 관통구멍에 포위되면서 상기 돌출부에 탄발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선단부는, 필심과 함께 샤프펜슬의 선구의 선단개구보다 돌출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본체의 선단부가 선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KR1020060055423A 2006-06-20 2006-06-20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KR100708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423A KR100708341B1 (ko) 2006-06-20 2006-06-20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423A KR100708341B1 (ko) 2006-06-20 2006-06-20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341B1 true KR100708341B1 (ko) 2007-04-18

Family

ID=3818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423A KR100708341B1 (ko) 2006-06-20 2006-06-20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3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28U (ko) * 1994-11-15 1996-06-17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200379290Y1 (ko) * 2004-12-29 2005-03-21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728U (ko) * 1994-11-15 1996-06-17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200379290Y1 (ko) * 2004-12-29 2005-03-21 주식회사 크라운볼펜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7920B2 (en) Writing instrument or applicator having resin molded parts
JP201504244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中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29485A (ja) シャ−プペンシル
KR100708341B1 (ko)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JP2010201813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1900111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ユニット及びこの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を用いた筆記具
JPH08118883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JPH0347907Y2 (ko)
JP5750886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576148B2 (ja) 筆記具
JP5373359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KR100227962B1 (ko) 필기구
CN111801227A (zh) 自动铅笔
JP256081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KR880002379Y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JP6612082B2 (ja) 複式筆記具
KR20190132516A (ko) 샤프 펜슬
JP617376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448420B2 (ja) 出没式筆記具
JP681690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中芯の製造方法
JP3788341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970003358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JP200310398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JP3982386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