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516A - 샤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516A
KR20190132516A KR1020197032997A KR20197032997A KR20190132516A KR 20190132516 A KR20190132516 A KR 20190132516A KR 1020197032997 A KR1020197032997 A KR 1020197032997A KR 20197032997 A KR20197032997 A KR 20197032997A KR 20190132516 A KR20190132516 A KR 2019013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pring
chuck
cushion spring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헤이 카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19013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43K21/20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with writing-cores automatically replaced from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상이한 용수철 정수로 쿠션 작동하는 복수의 쿠션 작동 영역이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 쿠션 스프링을 갖춘 샤프 펜슬을 제공한다.
일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은, 축통과, 상기 축통 내에 수용되는 척 기구로서 필기심을 파지 및 송출 가능한 척 기구와, 상기 척 기구를 상기 축통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을 갖추되, 상기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이 조합됨으로써, 제1의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제1의 쿠션 작동 영역과 제2의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제2의 쿠션 작동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쿠션 작동 영역은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다.

Description

샤프 펜슬
본 발명은, 필기심을 파지(把持)하는 척을 갖추고, 노크 조작에 의해 필기심을 계속 내보낼 수가 있는 샤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통 내에 접동 자재로 설치된 심 탱크와, 이 심 탱크의 앞 부분에 고정 설치된 척과, 이 척에 유동(遊動) 가능하게 감합(嵌合)된 척 링과, 상기 축통과 척과의 사이에 설치된 슬리브(sleeve)와, 이 슬리브와 당접하고 또한 그 일부가 상기 심 탱크와 압착되어 장착된 탄성체와, 이 탄성체를 압축해서 상기 심 탱크를 축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하는 조작 수단으로 구성된 샤프 펜슬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평 7-290880호 공보(예를 들어, 단락 0006, 단락 0017 참조.)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샤프 펜슬에 의하면, 척 고정 스프링과 쿠션 스프링을 일체로 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슬라이더를 밀어내는 스트로크(stroke)를 충분히 얻을 수가 있다. 그렇지만, 종래, 예를 들어 과잉의 필압을 흡수해 필기하기 위해 하나의 용수철 정수로 쿠션 작동하는 하나의 영역과, 필기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나의 용수철 정수와는 상이한 다른 용수철 정수로 쿠션 작동하는 다른 영역 등, 상이한 용수철 정수로 쿠션 작동하는 복수의 쿠션 작동 영역이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 쿠션 스프링을 갖춘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이한 용수철 정수로 쿠션 작동하는 복수의 쿠션 작동 영역이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 쿠션 스프링을 갖춘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 펜슬의 일 태양(態樣)에서는, 샤프 펜슬은, 축통과, 상기 축통 내에 수용되는 척 기구로서, 필기심을 파지 및 송출 가능한 척 기구와, 상기 척 기구를 상기 축통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이 조합됨으로써, 제1의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제1의 쿠션 작동 영역과, 제2의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제2의 쿠션 작동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쿠션 작동 영역은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태양에서는, 상이한 용수철 정수로 쿠션 작동하는 복수의 쿠션 작동 영역이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 쿠션 스프링을 갖춘 샤프 펜슬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중간 부분을 생략하고, 전방 측 부분과 후방 측 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합성 쿠션 스프링에서의, 변위에 대한 출력 하중을 나타낸 선도(線圖)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중간 부분을 생략하고, 전방 측 부분과 후방 측 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1)은, 노크 버튼(5)으로의 노크 조작에 의해 선구(先口, 앞쪽 입구)(3)의 선단으로부터 필기심(T)이 송출되어 돌출하는 후단 노크형의 샤프 펜슬이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샤프 펜슬(1)의 선구(3)가 배치되는 측을 샤프 펜슬(1)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중심 축선 방향(축선 방향)에서의 전방으로 하고, 노크 버튼(5)이 배치되는 측을 후방으로 해서 설명한다.
샤프 펜슬(1)은, 대략 원통 형상의 축통 본체(2)와, 대략 끝이 가는 원통 모양의 선구(3)를 갖춘다. 축통 본체(2)와 선구(3)를 포함해 축통이 형성된다. 선구(3)는 축통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된다. 선구(3)의 뒷부분은, 외통(3a)과 내통(3b)를 가지는 이중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선구(3)는, 축통 본체(2)에 대해, 축통 본체(2)의 전단부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수나사부(2a)와, 선구(3)의 후방의 외통(3a)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암나사부(3a1)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축통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된,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심 파이프(11)의 후단에는, 바닥이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된 노크 버튼(5)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노크 버튼(5)의 전단 개구의 내주면은 심 파이프(11)의 후단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嵌合)한다. 심 파이프(11)의 후단의 내주면에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지우개 홀더(4)의 앞 부분의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어 조립된다. 지우개 홀더(4)는, 전방 측의 작은 직경부(4a)와 후방 측의 큰 직경부(4b)를 가진다. 지우개 홀더(4)의 큰 직경부(4b)의 내주면에는, 지우개(6)의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어 조립된다.
필기심(T)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심 파이프(11)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축통 본체(2) 내에 배치된다. 심 파이프(11)의 앞 부분에는, 척(12)이 조립된다. 척(12)은, 그 선단이 둘레방향으로 3분할 되어 형성된 척 편(片)의 각각이 중심축선을 향해 탄성변형한 때에 필기심(T)을 직경 방향으로 끼워 누름으로써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척(12)은, 심 파이프(11)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후단의 기초부(12a)와, 기초부(12a)로부터 전방으로 연재하는 빔 모양부(12b)와, 이 빔 모양부(12b)의 전단에 형성되는 팽출부(膨出部; 12c)를 가진다. 팽출부(12c)의 외주에는, 척 링(13)이 감탈(嵌脫) 자재로 장착된다. 심 파이프(11)의 앞 부분의 외주 및 척(12)의 기초부(12a) 및 빔 모양부(12b)의 외주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7)가 배치된다.
슬리브(7)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슬리브(7)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환상벽(環狀壁; 7a)이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한편, 슬리브(7)의 앞 부분의 외주면상에는, 환상의 돌출부(7b)가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슬리브(7)의 돌출부(7b)와 축선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축통본체(2)의 내주면상에는, 환상의 돌출부(2b)가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슬리브(7)의 돌출부(7b)와 축통본체(2)의 돌출부(2b)와의 사이에는, 축선방향으로 압축되는 압축 코일 용수철인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배치된다.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그 축선방향의 전단이 슬리브(7)의 돌출부(7b)에 당접한 상태로 지지되고, 그 후 후단이 축통본체(2)의 돌출부(2b)에 당접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해서,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슬리브(7)와 축통본체(2)와의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연재해서 배치된다. 합성 쿠션 스프링(18)에 의해, 슬리브(7)는 축통본체(2)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향해 부세된다.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그 전방측의 영역(S1)과 그 후방측의 영역(S2)에서 단위길이당의 코일 권회수가 다르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영역(S1)에는, 제1의 쿠션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제1의 권회부(18-1)가 형성되고, 영역(S2)에는, 제2의 쿠션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제2의 권회부(18-2)가 형성된다.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제1의 쿠션 스프링과 제2의 쿠션 스프링이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제1의 권회부(18-1)와 제2의 권회부(18-2)를 가지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그 단위길이당의 코일 권회수가 영역(S2)보다 많은 영역(S1)의 제1의 권회부(18-1)의 용수철 정수는, 그 단위길이당의 코일 권회수가 영역(S1)보다 적은 영역(S2)의 제2의 권회부(18-2)의 용수철 정수보다 작다. 이것은, 제1의 권회부(18-1)의 단위길이당의 권회수가 제2의 권회부(18-2)보다 많아지는 것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소선의 연재 방향(코일권회방향)의 축선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커지는 것으로 되어, 제1의 권회부(18-1)가 축선방향에 대해 보다 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권회부(18-1)는 약 0.1 mm의 권회피치로 감겨져 있다.
척(12)의 빔 모양부(12b)의 외주면과 슬리브(7)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인 척 스프링(15)이 조립된다. 척 스프링(15)은, 그 전단이 슬리브(7)의 환상벽(7a)의 후면에 당접하고, 후단이 심 파이프(11)의 전단면에 당접한다. 척 스프링(15)은, 슬리브(7)와 심 파이프(11)와의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조립된다. 척 스프링(15)의 부세력에 의해, 심 파이프(11) 및 척(12)은 슬리브(7)에 대해 후방으로 부세되므로, 척(12)에 감합한 척 링(13)도 슬리브(7)에 대해 부세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척 링(13)의 후단면과 슬리브(7)의 환상벽(7a)의 전면이 당접한다.
선구(3)의 내통(3b)의 내주면에는,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리브(3b1)가 둘레방향에 있어서 복수 형성된다. 슬리브(7)의 전단면은, 합성 쿠션 스프링(18)에 의해 전방으로 부세된 상태로 리브(3b1)의 후단면에 당접한다.
리브(3b1)의 축선방향의 대략 중앙의 위치에는, 척 링(13)의 전단면이 전진한 때에 당접 가능한 계단부(3b2)가 형성된다. 척 링(13)의 전단면이 이 선구(3)의 내통에 형성된 리브(3b1)의 계단부(3b2)에 당접하면, 척 링(13)이 척(12)으로부터 후방으로 이탈해 필기심(T)이 척(12)에 의한 파지로부터 개방된다. 샤프 펜슬(1)의 일련의 조출 작동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척(12)의 전단면에 근접한 전방의 위치에는, 축선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가이드 파이프(31)가 배치된다. 가이드 파이프(31)는, 원반 모양의 기단부(31b)와, 필기심(T)이 축선방향으로 삽통되는 중심구멍과, 이 중심구멍의 주위에 기단부(31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복수의 삽입다리(31a)를 가진다. 삽입다리(31a)의 선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랑이 모양으로 형성되고, 후에 상술하는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형성된 슬릿(32a)내에 계합됨으로써,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지된다.
가이드 파이프(31)의 기단부(31b)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는 계단부가 형성된다. 또, 가이드 파이프(31)의 기단부(31b)의 계단부와 축선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선구(3)의 내주면에는 선구(3) 내주의 계단부가 형성된다. 가이드 파이프(31)의 기단부(31b)와 선구(3) 내주의 계단부와의 사이에는, 가이드 파이프(31)를 선구(3)에 대해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부세하는 압축 코일 용수철인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 36)이 배치된다. 리턴 스프링(36)에 의해 가이드 파이프(31)가 후방으로 부세된 상태에서, 가이드 파이프(31)의 기단부(31b)의 후단면이 척(12)의 전단면에 전방으로부터 근접한다. 또, 척(12)이 전진한 때에는, 가이드 파이프(31)의 후단면이 척(12)의 선단면에 전방으로부터 당접한다. 가이드 파이프(31)의 후단면은, 척(12)의 선단면에 전방으로부터 근접 또는 당접한 상태에서, 척(12)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필기심(T)을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지지한다. 이 때문에, 척(12)에 파지된 필기심(T)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척(12)의 선단면 상의 위치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경감해, 필기심(T)이 척(12)의 선단면의 위치에서 심이 꺽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가이드 파이프(31)의 전방의 위치에는, 축선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심 보관 유지도구(32)가 배치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슬릿(32a)이 형성된다. 이 슬릿(32a)내에 상술한 가이드 파이프(31)의 삽입다리(31a)의 갈고랑이 모양으로 형성된 선단이 접동 가능하게 계합된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파이프(31)가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지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에는 축선방향으로 필기심(T)이 삽통되는 중심구멍이 형성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중심구멍의 선단 부분에는, 필기심(T)을 지름 방향 내측으로 향해 사이에 두고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가 형성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전방에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선구(3)의 개구부(3c)의 내주면과 접동하는 외주면을 갖고, 축선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구성된 대략 앞쪽이 가는 통 모양의 선단 파이프(30)가 배치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는 선단 파이프(30)내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선단 파이프(30)에 조립된다.
선단 파이프(30)의 후단에는 날밑부(차양부)가 형성된다. 날밑부의 외주에는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를 축선(L)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O링(38)이 조립된다. O링(38)은,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적절한 접동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적절한 접동 저항이란, 계속 내보내진 필기심(T)을 축선방향에 있어서 보관 유지할 수가 있도록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를 보관 유지할 수가 있는 접동 저항을 말한다. 또, 보다 큰 축선방향의 압압력이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가해진 때에는, 선단 파이프(30)가 선구(3)로부터 돌출하거나, 혹은 선단 파이프(30)가 선구(3)내에 수납되도록,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이동을 허용할 수가 있는 접동 저항을 말한다.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전진 이동은 선단 파이프(30)의 날밑부가 선구의 개구부(3c)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단부에 당접함으로써 규제된다.
필기심(T)을 파지 및 송출 가능한 척 기구는, 척(12), 척 링(13), 슬리브(7) 및 척 스프링(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축통 내에 수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척 기구를 축선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인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자유 길이를 가지고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1의 쿠션 스프링(제1의 권회부(18-1))의 용수철 정수에 따라 과잉의 필압을 흡수해 필기를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1의 쿠션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제1의 권회부(18-1)의 용수철 정수를 반영한 질 높은 필기를 행할 수가 있다. 한편, 척 기구가 파지하는 필기심(T)에 한층 더 과대한 필압이 부하된 경우에는, 비교적 용수철 정수가 큰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2의 쿠션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제2의 권회부(18-2)가 휘어져 필기심(T)이 파손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샤프 펜슬(1)에 의한 필기심(T)의 송출에 대해 설명한다. 노크 버튼(5)을 압압하는 노크 조작에 의해, 척 스프링(15)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심 파이프(11), 척 링(13)이 감합된 척(12) 및 척(12)에 파지된 필기심(T)이 전진한다. 전진한 척(12)과 당접한 가이드 파이프(31)도 전방으로 압압되어 리턴 스프링(3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전진한다. 가이드 파이프(31)가 전진하면, 가이드 파이프(31)에 압압된 심 보관 유지도구(32) 및 선단 파이프(30)가 전진해 선구(3)로부터 돌출한다. 척(12) 및 척 링(13)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하면, 선구(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단부(3b2)의 당접면에 척 링(13)의 전단면이 계합하여 척(12)의 팽출부(12c)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척 링(13)이 이탈한다. 척 링(13)이 이탈하면, 척(12)의 척 편의 각각이 탄성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열려 필기심(T)이 해방된다. 필기심(T)은 샤프 펜슬(1)에 있어서의 1 노크 조작 당의 소정의 송출량만큼 송출되어 해방된다. 노크 버튼(5)의 압압을 해방해 척 기구가 노크 조작으로부터 해방되면, 송출되어 해방된 위치에서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의해 협지된 필기심(T)을 남기고 척(12) 및 척 링(13)이 후퇴해, 필기심(T)의 노크 조작 전보다 후방의 위치를 다시 파지한다. 또, 척 기구가 노크 조작으로부터 해방되어 척(12) 및 척 링(13)이 후퇴하면, 가이드 파이프(31)는 리턴 스프링(36)에 부세되어 후퇴한다.
샤프 펜슬(1)은, 선단 파이프(30)로부터 소정량의 필기심(T)이 돌출한 상태로 필기할 수가 있다. 필기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생기는 하중(이른바 필압)은, 필기심(T), 필기심(T)을 파지하는 척(12), 척 링(13) 및 슬리브(7)에 부하된다. 이 필압에 따라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탄성변형해, 필기심(T), 척(12), 척 링(13) 및 슬리브(7)이 축통본체(2)에 대해 후방으로 후퇴하는 쿠션 작동이 생긴다.
본 실시 형태의 쿠션 작동에 대해, 도 2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2는, 샤프 펜슬(1)의 쿠션 작동에 있어서의 필압(하중)과 합성 쿠션 스프링(18)에 탄성 지지된 척(12)이 후퇴하는 변위량(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압축량 혹은 작동량)의 관계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필기심(T)에 필압이 부하되면, 그 초기에는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1의 쿠션 스프링인 제1의 권회부(18-1)가 보다 크게 압축되고, 제2의 쿠션 스프링인 제2의 권회부(18-2)도 약간 압축된다. 이 때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도 2의 O점으로부터 P점까지의 선도(線圖)로 나타낸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에 있어서 작동한다. 필압이 약 150g 부하되면,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약 0.45 mm 줄어든다. 필압이 약 150g을 넘으면, 제1의 스프링인 제1의 권회부(18-1)가 밀착하고 제2의 스프링인 제2의 권회부(18-2)만이 작동하는 도 2의 P점 이후의 선도로 나타낸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에 있어서 작동한다. 필압이 약 350g 부하되면,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약 0.8 mm 줄어든다.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에서는 제1의 용수철 정수를 갖고,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에서는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과는 다른 제2의 용수철 정수를 가진다.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이 조합됨으로써, 제1의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과 제2의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이 구성된다.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과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은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해, 더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다. 바꾸어 말하면,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의 종점에 있어서의 압축량 및 출력과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의 시점에 있어서의 압축량 및 출력이 일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상이한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복수의 쿠션 작동 영역간의 천이를 의식하는 일 없이 샤프 펜슬(1)을 사용할 수가 있다.
필기심(T)은 통상은 선단 파이프(30)로부터 0.45±0.15 mm의 범위에서 돌출되어 사용되는 일이 많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압이 150±5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0.45±0.15 mm의 범위에서 줄어들도록 구성하면, 필기심(T)을 선단 파이프(30)로부터 돌출시켜 일어나는 통상의 필기 상태를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에 거의 일치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썩 알맞다. 이 경우에는,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과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은, 필압이 150±5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조합된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이 0.45±0.15 mm의 범위에서 줄어드는 하나의 작동점에 도약 없이 접속된다. 더욱이, 예를 들어 필압이 150±3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0.45±0.09 mm의 범위에서 줄어들도록 구성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필압이 150±1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0.45±0.03 mm의 범위에서 줄어들도록 구성하면 가장 바람직하다.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작동량(압축량)이 필기심(T)의 선단 파이프(30)로부터의 돌출량보다 큰 경우에는, 필기면에 그 선단이 접촉한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가 후퇴할 수가 있는 한에 있어서,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가 후퇴해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작동량(압축량)이 확보된다. 선단 파이프(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는 필기심(T)을 보호한 상태로 후퇴하고, 필압이 제거되어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그 자유 길이로 복원한 때에는, 필기심(T)은 다시 선단 파이프(30)로부터 돌출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압이 350±5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0.8±0.11 mm의 범위에서 줄어들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 경우에는,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에 있어서의 통상의 필기를 위해서 상정되는 종점을, 사용자가 쿠션 스트로크의 증대를 용이하게 의식할 수가 있는 변위량으로 할 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필기심(T)의 파손을 막을 수가 있는 필압으로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썩 알맞다. 이 경우에는,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은, 필압이 350±5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조합된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이 0.8±0.11 mm의 범위에서 줄어드는 하나의 작동점을 포함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필압이 350±3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0.8±0.07 mm의 범위에서 줄어들도록 구성하면 보다 바람직하고, 필압이 350±1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0.8±0.02 mm의 범위에서 줄어들도록 구성하면 가장 바람직하다.
덧붙여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의 용수철 정수를 본 실시 형태보다 작게 구성하여, 합성 쿠션 스프링(18)이 약 1.5 mm 압축된 때에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에 있어서의 통상의 필기를 위해서 상정되는 종점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보다 긴 쿠션 스트로크를 가지는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에 있어서, 필기심(T)의 파손을 막을 뿐만 아니라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제2의 쿠션 스프링(제2의 권회부(18-2))의 용수철 정수를 반영한 질 높은 필기를 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상이한 용수철 정수로 쿠션 작동하는 복수의 쿠션 작동 영역이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 쿠션 스프링을 갖춘 샤프 펜슬을 제공할 수가 있다.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권회수가 상이한 제1의 권회부(18-1)와 제2의 권회부(18-2)를 가지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므로, 부품 점수를 줄여 썩 알맞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 합성 쿠션 스프링(18)은, 자유 길이를 가지고 장착되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O점을 포함한 합성 쿠션 스프링(18)의 전 작동 영역에서 쿠션 작동을 시킬 수가 있다.
도 3을 참조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1A)을 설명한다. 샤프 펜슬(1A)은, 합성 쿠션 스프링(18A)의 구성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상술한 샤프 펜슬(1)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샤프 펜슬(1A)에 대해서는, 합성 쿠션 스프링(18A)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샤프 펜슬(1A)의 합성 쿠션 스프링(18A)은, 각각 별체로 형성된 비교적 지름의 작은 제1의 쿠션 스프링(18A-1)과, 제1의 쿠션 스프링(18A-1)의 외주에 배치된 비교적 지름의 큰 제2의 쿠션 스프링(18A-2)을 가진다. 이와 같이, 각각 별체로 형성된 제1의 쿠션 스프링(18A-1)과 제2의 쿠션 스프링(18A-2)을 병렬적으로 배치해 합성 쿠션 스프링(18A)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1)의 합성 쿠션 스프링(18)에서는, 그 제1의 쿠션 스프링(제1의 권회부(18-1))과 제2의 쿠션 스프링(제2의 권회부(18-2))은 직렬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쿠션 스프링(18A)의 제1의 쿠션 스프링(18A-1)과 제2의 쿠션 스프링(18A-2)은 각각 다른 용수철 정수를 가진다. 하나의 소정의 등간격 피치로 감겨진 제1의 쿠션 스프링(18A-1)은, 그 축선방향의 전단이 슬리브(7)의 돌출부(7b)에 당접한 상태로 지지되고, 그 후단이 축통본체(2)의 돌출부(2b)에 당접한 상태로 지지된다. 다른 소정의 등간격 피치로 감겨진 제2의 쿠션 스프링(18A-2)은, 그 축선방향의 후단이 축통본체(2)의 돌출부(2b)의 전면에 접착된 상태로 지지되지만, 그 전단은 슬리브(7)의 돌출부(7b)에 당접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합성 쿠션 스프링(18A)의 작동의 초기에는 제1의 쿠션 스프링(18A-1)만이 작동한다. 더 필압이 가해지면, 제1의 쿠션 스프링(18A-1)이 소정량만큼 탄성변형해 작동한 후에, 제2의 쿠션 스프링(18A-2)의 선단이 슬리브(7)의 돌출부(7b)의 후면에 당접한다. 그 후, 더 필압이 가해지면, 제1의 쿠션 스프링(18A-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18A-2)이 모두 탄성변형해 작동한다. 이 때문에, 상이한 용수철 정수로 쿠션 작동하는 복수의 쿠션 작동 영역이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 쿠션 스프링을 갖춘 샤프 펜슬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쿠션 스프링(18A)의 쿠션 작동에 있어서의 필압(하중)과 합성 쿠션 스프링(18A)에 탄성 지지된 척(12)이 후퇴하는 변위량(합성 쿠션 스프링(18A)의 압축량 혹은 작동량)과의 관계는, 상술한 도 2에 나타낸 샤프 펜슬(1)의 경우와 같다. 필기심(T)에 필압이 부하되면, 합성 쿠션 스프링(18A)은, 그 초기에는 제1의 쿠션 스프링(18A-1)만이 압축되고, 제2의 쿠션 스프링(18A-2)은 작동하지 않는다. 이 때 합성 쿠션 스프링(18A)은, 도 2의 O점으로부터 P점까지의 선도로 나타낸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에 있어서 작동한다. 필압이 약 150g까지 부하되면, 합성 쿠션 스프링(18A)은 약 0.45 mm 줄어든다. 필압이 약 150g를 넘으면, 제1의 쿠션 스프링(제1의 권회부(18-1))과 더불어 제2의 쿠션 스프링(제2의 권회부(18-2))이 작동하므로, 합성 쿠션 스프링(18A)은 도 2의 P점 이후의 선도로 나타낸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에 있어서 작동한다. 합성 쿠션 스프링(18A)의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에 있어서의 용수철 정수는 제1의 쿠션 작동 영역(CR1)에 있어서의 용수철 정수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제2의 쿠션 작동 영역(CR2)에 있어서의 합성 쿠션 스프링(18A)의 작동을, 필기할 때의 필압의 상승률(용수철 정수)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필압이 약 350g 부하되면, 합성 쿠션 스프링(18A)은 약 0.8 mm 줄어든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해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합성 쿠션 스프링(18)으로서 제1의 권회부(18-1)와 제2의 권회부(18-2)를 가지는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갖춘 것으로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체로 형성한 제1의 쿠션 스프링과 제2의 쿠션 스프링을 직렬적으로 배치해 합성 쿠션 스프링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예를 들어 제1의 권회부(18-1)의 용수철 정수가 제2의 권회부(18-2)의 용수철 정수보다 커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직렬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은 바꾸어 넣어 임의로 배치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술한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에만 한정되지 않고, 합성 쿠션 스프링은 2 이상의 임의의 복수의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그들이 조합되어 작동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합성 쿠션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가지는 수지나 고무 등을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해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 1A 샤프 펜슬 2 축통본체
2a 수나사부 2b 돌출부
3 선구 3a 외통
3a1 암나사부 3b 내통
3b1 리브 3b2 단부
3c 개구부 4 지우개 홀더
4a 작은 직경부 4b 큰 직경부
5 노크 버튼 6 지우개
7 슬리브 7a 환상벽
7b 돌출부 11 심 파이프
12 척 12a 기초부
12b 빔 모양부 12c 팽출부
13 척 링 15 척 스프링
18 합성 쿠션 스프링 18-1 제1의 권회부
18-2 제2의 권회부 18A 합성 쿠션 스프링
18A-1 제1의 쿠션 스프링 18A-2 제2의 쿠션 스프링
30 선단 파이프 31 가이드 파이프
31a 삽입다리 31b 기단부
32 심 보관 유지도구 32a 슬릿
36 리턴 스프링 38 O링

Claims (5)

  1. 축통과,
    상기 축통 내에 수용되는 척 기구로서, 필기심을 파지 및 송출 가능한 척 기구와,
    상기 척 기구를 상기 축통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을 갖추되,
    상기 제 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이 조합됨으로써, 제1의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제1의 쿠션 작동 영역과 제2의 용수철 정수를 가지는 제2의 쿠션 작동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2의 쿠션 작동 영역은 도약하는 일 없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은, 제1 및 제2의 권회부를 가지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은 자유 길이를 가지고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쿠션 작동 영역과 전기 제2의 쿠션 작동 영역은, 필압이 150±5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상기 조합된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이 0.45±0.15 mm의 범위에서 줄어드는 하나의 작동점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쿠션 작동 영역은, 필압이 350±50g의 범위에서 부하된 때에, 상기 조합된 제1 및 제2의 쿠션 스프링이 0.8±0.11 mm의 범위에서 줄어드는 하나의 작동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KR1020197032997A 2017-04-10 2018-04-10 샤프 펜슬 KR20190132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7578 2017-04-10
JP2017077578 2017-04-10
PCT/JP2018/014977 WO2018190311A1 (ja) 2017-04-10 2018-04-10 シャープペンシ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516A true KR20190132516A (ko) 2019-11-27

Family

ID=6379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997A KR20190132516A (ko) 2017-04-10 2018-04-10 샤프 펜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375230A1 (ko)
JP (1) JPWO2018190311A1 (ko)
KR (1) KR20190132516A (ko)
CN (1) CN110546015A (ko)
WO (1) WO20181903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090A (ko) * 2018-03-02 2020-10-28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샤프 펜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880A (ja) 1994-04-22 1995-11-07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90004A (fr) * 1953-07-22 1955-03-25 Ressort
JPS5290598U (ko) * 1975-12-29 1977-07-06
JPS5419031U (ko) * 1977-07-08 1979-02-07
JPS5938663U (ja) * 1982-09-02 1984-03-12 星崎電機株式会社 オ−ガ式製氷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880A (ja) 1994-04-22 1995-11-07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090A (ko) * 2018-03-02 2020-10-28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샤프 펜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46015A (zh) 2019-12-06
US20190375230A1 (en) 2019-12-12
JPWO2018190311A1 (ja) 2020-02-20
WO2018190311A1 (ja)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065B1 (ko) 샤프펜슬 유닛 및 그 샤프펜슬 유닛을 구비한 필기구
KR20190120185A (ko) 샤프 펜슬
KR20190132516A (ko) 샤프 펜슬
KR102492706B1 (ko) 샤프 펜슬
JP541214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16221814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48678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555948B2 (ja)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20190094186A (ko) 샤프펜슬
JP726103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TW202003276A (zh) 自動鉛筆
JP5671913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670137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該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を具備した出没式筆記具
JP6700381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17376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21593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202010446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4385346B1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109621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型リフィール
JP2020116913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並びに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0708341B1 (ko)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TW201914839A (zh) 自動鉛筆
JP2020131468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並びに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20116837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並びに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2009004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