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706B1 - 샤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706B1
KR102492706B1 KR1020207020142A KR20207020142A KR102492706B1 KR 102492706 B1 KR102492706 B1 KR 102492706B1 KR 1020207020142 A KR1020207020142 A KR 1020207020142A KR 20207020142 A KR20207020142 A KR 20207020142A KR 102492706 B1 KR102492706 B1 KR 102492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pring
tip
lead
mechanical penc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090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다케시 와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20012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rimary Cell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과제]
종래보다 필기감이 뛰어난 쿠션 스프링을 갖춘 샤프 펜슬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일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은, 필기심과, 상기 필기심을 파지하는 척 유니트와, 상기 척 유니트가 필압으로 후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쿠션 스프링을 갖추되, 상기 쿠션 스프링의 쿠션 스트로크에 대한 출력이 비선형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상기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큰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보다 작다.

Description

샤프 펜슬
본 발명은, 필기심을 파지(把持)하는 척(chuck)을 갖추고, 노크 조작에 의해 필기심을 계속 내보낼 수가 있는 샤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통 내에 접동 자재로 설치된 심 탱크와, 이 심 탱크의 앞부분에 고정 설치된 척과, 이 척에 유동(遊動) 가능하게 감합(嵌合)된 척 링과, 상기 축통과 척과의 사이에 설치된 슬리브(sleeve)와, 이 슬리브와 당접하고 또한 그 일부가 상기 심 탱크와 압착되어 장착된 탄성체와, 이 탄성체를 압축해서 상기 심 탱크를 축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하는 조작 수단으로 구성된 샤프 펜슬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7-290880호 공보(예를 들어 단락 0006, 단락 0007, 단락 0017 참조.)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샤프 펜슬에 의하면, 척 체결 스프링과 쿠션 스프링을 일체로 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슬라이더를 밀어내는 스트로크(stroke)를 충분히 얻을 수가 있다. 또, 쿠션 스프링에 의해 과대한 필압이 흡수되어 심의 절손(折損)이 방지된다. 그렇지만, 종래, 심의 절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필기 터치가 부드러운 등, 종래보다 필기감이 뛰어난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보다 필기감이 뛰어난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 펜슬의 일 태양(態樣)에서는, 필기심과, 상기 필기심을 파지하는 척 유니트와, 상기 척 유니트가 필압으로 후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쿠션 스프링을 갖추되, 상기 쿠션 스프링의 쿠션 스트로크에 대한 출력이 비선형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상기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큰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태양에서는, 종래보다 필기감이 뛰어난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샤프 펜슬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중간 부분을 생략하고, 전방측 부분과 후방측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쿠션 스프링을 가지는 슬리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쿠션 스프링에서의, 쿠션 스트로크와 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에 있어서 필기가 계속된 경우에서의 쿠션 스프링의 작동을 설명하는 전방측의 부분 단면도로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에 있어서 필기가 계속된 경우에서의 쿠션 스프링의 작동을 설명하는 전방측의 부분 단면도로서, 쿠션 스프링이 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에 있어서 필기가 계속된 경우에서의 쿠션 스프링의 작동을 설명하는 전방측의 부분 단면도로서, 쿠션 스프링이 복원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쿠션 스프링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쿠션 스프링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샤프 펜슬의 쿠션 스프링의 변형예 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1)은, 노크 버튼(5)으로의 노크 조작에 의해 선구(先口, 앞쪽 입구)(3)의 선단으로부터 필기심(T)이 송출되어 돌출하는 후단 노크형의 샤프 펜슬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샤프 펜슬(1)의 선구(3)가 배치되는 측을 샤프 펜슬(1)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재하는 중심 축선 방향(축선 방향)에서의 전방으로 하고, 노크 버튼(5)이 배치되는 측을 후방으로 해서 설명한다.
샤프 펜슬(1)은, 대략 원통 형상의 축통 본체(2)와, 대략 원추 모양의 앞부분 및 대략 원통 모양의 뒷부분을 갖는 선구(3)를 갖춘다. 축통 본체(2)와 선구(3)를 포함해 축통이 형성된다. 선구(3)는 축통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된다. 선구(3)의 뒷부분에는, 선구(3)의 앞부분의 후단 지름보다 외경이 작은 원통 모양의 원통부(3a)가 형성된다. 축통 본체(2)의 전단부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a)와, 선구(3)의 뒷부분의 원통부(3a)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a1)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선구(3)가 축통 본체(2)에 대해 고정된다.
축통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된, 심 파이프(11)의 후단에는, 바닥이 있는 통 모양으로 형성된 노크 버튼(5)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노크 버튼(5)의 전단 개구의 내주면은 심 파이프(11)의 후단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嵌合)된다. 심 파이프(11)의 후단의 내주면에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지우개 홀더(4)의 앞부분의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어 조립된다. 지우개 홀더(4)는, 전방 측의 작은 직경부(4a)와 후방 측의 큰 직경부(4b)를 가진다. 지우개 홀더(4)의 큰 직경부(4b)의 내주면에는, 지우개(6)의 외주면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어 조립된다.
필기심(T)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심 파이프(11)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축통 본체(2) 내에 배치된다. 심 파이프(11)의 앞부분에는, 척(12)이 조립된다. 척(12)은, 그 선단이 둘레방향으로 3분할 되어 형성된 척 편(片)의 각각이 중심축선을 향해 탄성변형한 때에 필기심(T)을 직경 방향으로 끼워 누름으로써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척(12)은, 심 파이프(11)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후단의 기초부(12a)와, 기초부(12a)로부터 전방으로 연재하는 빔 모양부(12b)와, 이 빔 모양부(12b)의 전단에 형성되는 팽출부(膨出部; 12c)를 가진다. 팽출부(12c)의 외주에는, 척 링(13)이 감탈(嵌脫) 자재로 장착된다. 척 링(13)의 후방에는, 척(12)의 빔 모양부(12b)로부터 심 파이프(11)의 앞부분까지의 범위를 외경 방향으로부터 덮도록, 대략 통 모양의 쿠션 부재(7)가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부재(7)의 앞부분에는, 선구(3)의 원통부(3a)로부터 선구(3)의 내주면을 따라 선구(3)내로 삽입되는 원통 모양의 슬리브부(7a)가 형성된다. 쿠션 부재(7)의 뒷부분에는, 선구(3)의 원통부(3a)의 후방에 배치되어 슬리브부(7a)보다 큰 직경의 대략 원통 형상의 스프링부(7b)가 형성된다. 슬리브부(7a)와 스프링부(7b)의 접속 부분에는, 선구(3)의 원통부(3a)의 후방에 배치되되, 스프링부(7b)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부(7c)가 형성된다. 슬리브부(7a)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환상벽(環狀壁; 7a1)이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쿠션 부재(7)는,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외벽의 둘레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긴 구멍(7b1)이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긴 구멍(7b1)의 각 쌍이 축선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축선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긴 구멍(7b1)은, 둘레방향에 있어서, 90도만큼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한 상대적인 위치 관계로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스프링부(7b)의 축선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선방향을 따라 5개의 쌍으로 된 긴 구멍(7b1)이 형성된다. 축선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긴 구멍(7b1) 사이에는, 탄성 빔 모양부(7b2)가 형성된다. 또, 둘레방향에서의 한 쌍의 긴 구멍(7b1) 사이에는, 공간 지주(축선방향 연재부)(7b3)가 형성된다. 탄성 빔 모양부(7b2)는, 앞쪽의 공간 지주(7b3)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인접하는 뒤쪽의 공간 지주(7b3)로 향해 축선방향의 두께가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스프링부(7b)는, 축선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탄성 빔 모양부(7b2)가 긴 구멍(7b1)의 개구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휨으로써, 탄발력을 발생시킨다.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부(7b)의 스트로크(쿠션 스트로크)에 대한 출력이 비선형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1로 돌아와,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의 외주는, 선구(3)의 원통부(3a)의 내주면과 근접해 가이드(안내)된다. 슬리브부(7a)의 내주면은, 심 파이프(11)의 외주면과 근접해 가이드된다.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외주에 대응하는 축통 본체(2)의 내주면에는,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리브(2b)가 형성된다. 복수의 리브(2b)의 각각에 의해, 그 리브(2b)의 전단과 축통 본체(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계단부(2b1)가 형성된다. 계단부(2b1)는, 쿠션 부재(7)의 플랜지부(7c)의 후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후방의 축통 본체(2)의 내주면 상에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환상(環狀)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c)가 형성된다.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후단면은, 돌출부(2c)의 전면과 당접한다.
한편, 척(12)의 빔 모양부(12b)의 외주면과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인 척 스프링(15)이 조립된다. 척 스프링(15)은, 그 전단이 슬리브부(7a)의 환상벽(7a1)의 후면에 당접하고, 후단이 심 파이프(11)의 전단면에 당접한다. 척 스프링(15)은, 쿠션 부재(7)와 심 파이프(11)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조립된다. 척 스프링(15)의 부세력(biasing force, 편향력)에 의해, 심 파이프(11) 및 척(12)은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에 대해 후방으로 부세(biasing, 편향)되므로, 척(12)에 감합한 척 링(13)도 슬리브부(7a)에 대해 후방으로 부세된다. 이 때문에, 척 링(13)의 후단면과 슬리브부(7a)의 환상벽(7a1)의 전면이 당접한다.
선구(3)의 내주면에는,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의 전단면과 대향하도록 환상의 계단부(3b)가 형성된다.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의 전단면은,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에 의해 전방으로 부세된 상태로 계단부(3b)에 당접한다.
계단부(3b)의 전방의 선구(3)의 내주면에는, 척 링(13)의 전단면이 전진한 때에 당접 가능한 계단부(3c)가 형성된다. 척 링(13)의 전단면이 이 선구(3)의 계단부(3c)에 당접하면, 척 링(13)이 척(12)으로부터 후방으로 이탈해 필기심(T)이 척(12)에 의한 파지로부터 개방된다. 샤프 펜슬(1)의 일련의 조출 작동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척(12)의 전단면에 근접한 전방의 위치에는, 축선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내측 필기심 커버(31)가 배치된다. 내측 필기심 커버(31)는, 원반 모양의 기단부(31b)와. 필기심(T)이 축선방향으로 삽통되는 중심구멍과, 이 중심구멍의 주위에 기단부(31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복수의 전방 돌출부(31a)를 가진다. 전방 돌출부(31a)의 선단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갈고랑이 모양으로 형성되고, 후에 상술하는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형성된 슬릿(32a)내에 계합됨으로써,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지된다.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기단부(31b)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는 계단부가 형성된다. 또,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기단부(31b)의 계단부와 축선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선구(3)의 내주면에는 선구(3) 내주의 계단부가 형성된다.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기단부(31b)와 선구(3) 내주의 계단부와의 사이에는, 내측 필기심 커버(31)를 선구(3)에 대해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부세하는 압축 코일 용수철인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 36)이 배치된다. 리턴 스프링(36)에 의해 내측 필기심 커버(31)가 후방으로 부세된 상태에서,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기단부(31b)의 후단면이 척(12)의 전단면에 전방으로부터 근접한다. 또, 척(12)이 전진한 때에는,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후단면이 척(12)의 선단면에 전방으로부터 당접한다.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후단면은, 척(12)의 선단면에 전방으로부터 근접 또는 당접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기단부(31b)는, 척(12)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필기심(T)을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지지한다. 이 때문에, 척(12)에 파지된 필기심(T)의 축선방향에서의 척(12)의 선단면 상의 위치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를 경감해, 필기심(T)이 척(12)의 선단면의 위치에서 심이 꺽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전방의 위치에는, 축선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심 보관 유지도구(32)가 배치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슬릿(32a)이 형성된다. 이 슬릿(32a)내에 상술한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전방 돌출부(31a)의 갈고랑이 모양으로 형성된 선단이 접동 가능하게 계합된다. 이것에 의해, 내측 필기심 커버(31)가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계지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에는 축선방향으로 필기심(T)이 삽통되는 중심구멍이 형성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중심구멍의 선단 부분에는, 필기심(T)을 지름 방향 내측으로 향해 끼워넣어 보관 유지하는 보관 유지부(32b)가 형성된다.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전방에는, 선구(3)의 개구부(3d)의 내주면과 접동하는 외주면을 갖고, 필기심(T)을 외경 방향으로부터 지지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구성된 대략 앞쪽이 가는 통 모양의 팁(30)이 배치된다. 팁(30)이 지면과 접촉할 때의 접촉부(30a)(바꾸어 말하면, 팁(30)의 선단부 외주)는, R 단면의 모서리 부분을 사전에 깎아 낸 모양(R 모따기 모양)으로 둥그스름하게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팁(30)의 접촉부(30a)가 지면과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팁(30)이 지면에 걸리는 일 없이 매우 적합하게 팁(30)을 후퇴시키면서 필기할 수가 있다. 심 보관 유지도구(32)는 팁(30)내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팁(30)에 조립된다.
팁(30)의 후단에는 날밑부(차양부)가 형성된다. 날밑부의 외주에는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를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O링(38)이 조립된다. O링(38)은,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소정의 접동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접동 저항은, 계속 내보내진 필기심(T)을 축선방향에 있어서 보관 유지할 수가 있도록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를 보관 유지할 수가 있는 접동 저항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또, 보다 큰 축선방향의 압압력이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가해진 때에는, 팁(30)이 선구(3)로부터 돌출하거나, 혹은 팁(30)이 선구(3)내로 수납되도록,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이동을 허용할 수가 있는 접동 저항으로 된다.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전진 이동은 팁(30)의 날밑부가 선구(3)의 개구부(3c)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단부(3d1)에 당접함으로써 규제된다.
필기심(T)을 파지 및 송출 가능한 척 유니트는, 척(12), 척 링(13), 쿠션 부재(7)의 슬리브(7) 및 척 스프링(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축통 내에 수용된다. 척 유니트는,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즉 쿠션 스프링)에 의해, 필기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생기는 하중(이른바 필압)으로 후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된다.
척 유니트의 후퇴는, 쿠션 부재(7)의 플랜지부(7c)의 후면이, 축통 본체(2)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2b)의 전단의 계단부(2b1)와 당접함으로써 규제된다. 쿠션 부재(7)의 세트 상태에서의 플랜지부(7c)와 리브(2b)의 계단부(2b1)의 간격(쿠션 스트로크)은,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긴 구멍(7b1)이 축소되어 탄성 빔 모양부(7b2)가 반복하여 밀착함으로써 스프링부(7b)가 파손하는 일이 없는 소정의 스트로크 길이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더욱이, 쿠션 스트로크는, 필기심(T)이 팁(30)의 선단으로부터 쿠션 스트로크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한 때에 필기심(T)이 필압에 의해 절손해 버리는 일이 없는 소정의 스트로크 길이의 범위내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쿠션 스트로크가 0.8 mm로 설정된 경우, 쿠션 작동에 의해 지면과 접촉해 후퇴한 팁(30)의 선단으로부터는, 그 필압으로부터 해방된 후에, 적어도 쿠션 스트로크와 같은 0.8 mm의 필기심(T)이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필기에 의한 필압이 필기심(T)에 부하되어도, 다시 쿠션 스프링(스프링부(7b))이 휘어 돌출한 필기심(T)이 실질적으로 모두 팁(30)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하면, 필기심(T)이 필압에 의해 절손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기 위해, 쿠션 스트로크(풀 스트로크)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0.8 mm±0.4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쿠션 부재(7)는, 선구(3)의 내주면의 계단부(3b)와 축통 본체(2)의 내주면의 돌출부(2c)에 의해,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가 압축된 상태에서, 임의의 소정의 세트 하중을 가지도록 조립할 수가 있다. 쿠션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부(7b)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자세한 것을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세트 하중은, 팁(30)의 O링(38)에 의한 접동 저항(즉, 팁(30)의 축선방향에서의 후퇴에 따른 저항력) 이하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팁(30)의 선단이 용이하게 지면에 접촉하도록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쿠션 작동을 시킬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 보관 유지도구(32)가 필기심(T)을 보관 유지하는 유지력(그 축선방향에서의 접동 저항)도, 팁(30)의 O링(38)에 의한 접동 저항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팁(30)의 선단이 한층 더 용이하게 지면에 접촉하도록 스프링부(7b)를 쿠션 작동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 형태의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세트 하중은, 심 보관 유지도구(32)가 필기심(T)을 보관 유지하는 유지력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팁(30)의 선단이 한층 더 용이하게 지면에 접촉하도록 스프링부(7b)를 쿠션 작동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샤프 펜슬(1)은, 팁(30)의 선단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가 쿠션 작동해 필기심(T)이 팁(30)내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지면과 접촉한 팁(30)이 필압에 의해 한층 더 후퇴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필기심(T)에 의한 필기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팁(30)에서는, O링(38)과 선구(3)의 내주면과의 마찰 저항에 의해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팁(30)을 축선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스프링의 세트 하중에 의해 소정의 저항력을 발생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샤프 펜슬(1)에 의한 필기심(T)의 송출에 대해 설명한다. 팁(30)이 선구(3)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기단부(31b)와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후단이 당접한다. 이 상태로부터 노크 버튼(5)을 압압하는 노크 조작에 의해, 척(12)의 전진과 더불어 내측 필기심 커버(31)가 전진해, 심 보관 유지도구(32) 및 팁(30)이 선구(3)로부터 돌출하여 도 1의 상태로 된다. 이하는 도 1의 상태에서의 노크 조작을 설명한다.
노크 버튼(5)을 압압하는 노크 조작에 의해, 척 스프링(15)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심 파이프(11), 척 링(13)이 감합된 척(12) 및 척(12)에 파지된 필기심(T)이 전진한다. 전진한 척(12)과 당접한 내측 필기심 커버(31)도 전방으로 압압되어 리턴 스프링(3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전진한다. 내측 필기심 커버(31)가 전진하면,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기단부(31b)의 전면이 심 보관 유지도구(32)의 후단과 당접한다. 이와 같이 해서 내측 필기심 커버(31)의 기단부(31b)에 의해 압압된 심 보관 유지도구(32)는,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조립된 팁(30)과 더불어 팁(30)의 날밑부가 선구(3)의 내주면의 단부(3d1)에 당접할 때까지 전진해, 선구(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척(12) 및 척 링(13)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하면, 척 링(13)의 전단면이 선구(3)의 내주면에 형성된 계단부(3c)의 당접면에 당접하여 척 링(13)이 척(12)의 팽출부(12c)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이탈한다. 척 링(13)이 이탈하면, 척(12)의 척 편의 각각이 탄성에 의해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열려 필기심(T)이 해방된다. 필기심(T)은 샤프 펜슬(1)에서의 1 노크 조작 당의 소정의 송출량만큼 송출되어 해방되고, 그 위치에서 심 보관 유지도구(32)에 의해 끼워넣어진다. 노크 버튼(5)의 압압을 해방해 척 유니트가 노크 조작으로부터 해방되면, 필기심(T)을 그 송출되어 해방된 위치에 남기고 척(12) 및 척 링(13)이 후퇴해, 필기심(T)의 노크 조작 전보다 후방의 위치를 다시 파지한다. 또, 척 유니트가 노크 조작으로부터 해방되어 척(12) 및 척 링(13)이 후퇴하면, 내측 필기심 커버(31)는 리턴 스프링(36)에 부세되어 그 후단이 척(12)에 근접 또는 당접하는 위치까지 후퇴한다.
샤프 펜슬(1)은, 팁(30)으로부터 소정량의 필기심(T)이 돌출한 상태 또는 팁(30)에 필기심(T)이 수용된 상태로 필기에 사용된다. 필기 중의 필압은, 필기심(T), 필기심(T)을 파지하는 척(12)과 척 링(13) 및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에 부하된다. 이 필압에 따라 쿠션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스프링부(7b)가 탄성변형해, 필기심(T), 척(12), 척 링(13) 및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가 축통 본체(2)에 대해 후방으로 후퇴하는 쿠션 작동이 생긴다. 팁(30)의 선단이 지면에 접촉한 경우에는, 필압에 의해 선구(3)와의 접동 저항에 대항하여 팁(30)이 축선방향 후방으로 후퇴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쿠션 스트로크와 필압과의 관계 선도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쿠션 부재(7)가 축통내에 소정의 세트 하중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쿠션 스트로크 x(mm)가 0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소정의 세트 하중은 실질적으로 0이다. 그리고, 선도 상의 A점에서는, 필압이 약 48 g에서 쿠션 스트로크가 약 0.3 mm로 되도록 쿠션 부재(7)의 탄성이 구성되므로, 필압이 약 48 g일 때에 척 유니트가 약 0.3 mm 후퇴한다. 마찬가지로 B점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필압이 약 180 g일 때에 척 유니트가 약 0.6 mm 후퇴하도록 쿠션 부재(7)의 탄성이 구성된다. 여기서,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는, 도 3의 관계 선도 상의 임의의 점의 접선의 기울기로서 정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는, 쿠션 스트로크 x(mm)가 비교적 작은 영역(예를 들면 0∼0.4 mm 미만)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쿠션 스트로크 x(mm)가 비교적 큰 영역(예를 들면 0.4 mm 이상)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A점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는 θ1이고, B점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는 θ2이며, θ1<θ2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쿠션 스프링인 스프링부(7b)는, 통상의 필압(300 g 전후가 표준적이라고 생각된다)보다 극히 작은 하중이어도 쿠션 작동하여 소정의 쿠션 스트로크 x(mm)를 발생시킬 수가 있는 한편으로, 통상의 필압에 가까운 하중에서는, 통상의 필압보다 작은 하중의 영역과 비교해 쿠션 스트로크가 발생하기 어렵게(즉 필기감이 딱딱하게)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쿠션 스트로크와 함께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비교적 작은 필압으로 쿠션 작동을 발생시킬 수가 있는 한편으로, 쿠션 스트로크가 과대(過大)로 되지 않도록 억제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필기 터치가 부드러운 한편으로, 또한 제대로 된 반응(느낌)이 있는, 뛰어난 필기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쿠션 스트로크의 증대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단조 증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더욱이 쿠션 스트로크한 때의 쿠션 스프링의 출력을 용이하게 예측 가능으로 할 수가 있다.
샤프 펜슬(1)로 필기를 계속하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팁(3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필기심(T)은 소비되어 마모한다. 이 때, 팁(30)의 선단에서의 지면과의 접촉부(30a)가 지면과 접촉한다. 그러면,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와 더불어 필기심(T)이 지면으로부터 축선방향 후방으로 향한 힘(즉 필압)을 받는다.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가 필압을 받으면,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는, 팁(30)의 O링(38)이 선구(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저항력에 대항해 후퇴한다. 이 때, 내측 필기심 커버(31)는, 리턴 스프링(36)에 의해 후방으로 부세되어 있으므로,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필기심(T)이 필압을 받으면,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가 휘어 척 유니트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즉, 필기심(T)이 필압을 받으면, 척(12), 척 링(13),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 및 척 스프링(15)과 심 파이프(11)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4b는,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와 함께 필기심(T)이 필압을 받아,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나 척 유니트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팁(30)의 선단의 접촉부(30a)가 지면으로부터 멀어지면,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가 그 탄성에 의해 복원하여, 척 유니트를 전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의 선단이 선구(3)의 내주면의 계단부(3b)에 다시 당접해, 척(12), 척 링(13), 쿠션 부재(7)의 슬리브부(7a) 및 척 스프링(15)과 심 파이프(11)가 도 4a와 같은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팁(30) 및 심 보관 유지도구(32)는, 도 4b에서 나타낸 필압을 받아 후퇴한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가 복원할 때는,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출력(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심 보관 유지도구(32)에서의 필기심(T)을 유지하는 힘보다 크고, 또 팁(30)의 선구(3)에 대한 저항력이 심 보관 유지도구(32)에서의 필기심(T)을 유지하는 힘보다 크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샤프 펜슬(1)의 노크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 팁(30)의 선단으로부터 필기심(T)을 돌출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1회의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 가능 거리가 종래보다 긴 샤프 펜슬(1)을 제공할 수가 있다. 짧은 쿠션 스트로크 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노크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 팁(30)의 선단으로부터 필기심(T)을 돌출하도록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본 실시 형태의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와 같이,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쿠션 스트로크와 함께 증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 펜슬(1)에 의해 행해지는 문자 등의 필기에 있어서는, 샤프 펜슬(1)의 선단(필기심(T) 또는 팁(30))은, 지면에 접촉하거나 떨어지거나가 반복해서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압보다 충분히 낮은 하중으로 팁(30) 및 척 유니트가 후퇴하고, 지면으로부터 필기심(T) 및 팁(30)이 멀어진 때에 팁(30)을 후퇴한 위치에 남긴 채로, 필기심(T)을 유지한 척 유니트가 전방으로 복귀하므로, 샤프 펜슬(1)의 필기심(T)을 계속 내보내는 노크 조작을 실행하지 않아도, 소정 길이의 필기심(T)을 이용해 계속 필기가 가능하다. 이 경우의 계속 필기가 가능하게 되는 필기심(T)의 소정 길이는, 팁(30)의 돌출 한도(즉, 팁(30)의 날밑부와 선구(3)의 단부(3d1)가 당접하는 위치)로부터 팁(30)의 몰입 한도(즉, 팁(30)의 선단이 선구(3)의 선단과 대략 동일면으로 되는 위치까지 팁(30)이 선구(3)내에 몰입한 위치)까지의 길이에 상당하는 필기심(T)의 길이이다.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세트 하중은, 팁(30)의 축선방향에서의 후퇴에 따른 저항력 이하로 설정하면, 팁(30)의 후퇴와 함께 필기심(T) 및 필기심(T)을 유지하는 척 유니트를 후퇴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7b)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스트로크에 대한 출력이 비선형이도록 구성되어,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는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를 작게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작동을 의식하는 일 없이, 필기 중에 있어서 자연스럽게 팁(30)과 함께 필기심(T)을 후퇴시켜, 필기심(T)이 팁(30)으로부터 노출하도록 도 4a∼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작동을 실행한다. 더욱이,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큰 영역에서는,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를 크게 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짧은 쿠션 스트로크의 범위 내에서,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의 필압에 의한 쿠션 효과를 체감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필기심(T)이 절손해 버리기 전에, 필압을 적당히 저하시킬 수가 있다.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작은 영역이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의 선도의 전반 부분인 쿠션 스트로크 x(mm)가 0∼0.4 mm 미만이지만,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도의 앞부분인 0∼0.2 mm 미만으로 정의해도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선도의 0 mm의 전단부 혹은 쿠션 스프링(스프링부(7b))의 초동부(初動部)를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큰 영역이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의 선도의 후반 부분인 쿠션 스트로크 x(mm)가 0.4 mm 이상이지만,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도의 뒷부분인 0.6 mm 이상으로 정의해도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선도의 0.8 mm의 후단부 혹은 쿠션 스프링(스프링부(7b))의 종동부(終動部)를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해도 좋다. 예를 들어 초동부에서의 쿠션 스프링(스프링부(7b))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는, 종동부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할 수가 있다. 혹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정의된 임의의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의 평균값에 의해,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의 평균값이,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큰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의 평균값보다 작아지도록 쿠션 스프링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쿠션 스트로크의 증대에 따라,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임의로 감소하는 영역 부분을 포함한 쿠션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도 포함하여, 다양한 쿠션 스프링을 이용해 바람직한 샤프 펜슬을 구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쿠션 스프링인 스프링부(7b)(쿠션 부재(7))의 변형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변형예 1)
도 5에 변형예 1의 쿠션 부재(71)를 나타낸다. 변형예 1의 쿠션 부재(71)는,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쿠션 부재(7)와 마찬가지로, 슬리브부(71a)와, 쿠션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부(71b), 플랜지부(71c)를 갖춘다. 스프링부(71b)는, 한 쌍의 긴 구멍(71b1)과, 빔 모양 탄성부(71b2)와, 공간 지주(71b3)가 형성된다. 본 변형예 1에서도, 쿠션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부(71b)의 출력이 비선형인 출력으로 되도록, 원통면 상에 있어서 앞쪽이 가늘게 된 한쪽 지지 빔 형상의 빔 모양 탄성부(71b2)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 1의 쿠션 부재(71)의 스프링부(71b)는, 더욱이 공간 지주(71b3)로부터 축선방향 전방의 긴 구멍(71b1)을 매개로 해서 인접하는 공간 지주(71b3)를 향해 돌출하는 규제 돌기(71b4)를 복수 포함해 구성된다. 이 규제 돌기(71b4)는, 축선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규제 돌기(71b4)끼리가 축선회전의 둘레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된다.
변형예 1의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1b)에 의하면, 스프링부(71b)가 압축되어 긴 구멍(71b1)이 축선방향으로 축소되어도, 규제 돌기(71b4)가 규제 돌기(71b4)의 선단이 대향하는 부위(변형예 1에서는 공간 지주(71b3))와 당접하므로, 긴 구멍(71b1)의 축소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인접하는 빔 모양 탄성부(71b2)끼리가 밀착해 버리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해서, 쿠션 스프링으로 되는 스프링부(71b)의 축선방향으로 연재하는 돌기로서 규제 돌기(71b4)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의 밀착(즉, 빔 모양 탄성부(71b2)끼리의 밀착)을 포함한 과대한 쿠션 스트로크 작동에 의한 스프링부(71b)의 성능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변형예 1의 쿠션 부재(71)를 이용하면, 도 1에서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축통 본체(2)의 내주면의 계단부(2b1)와 쿠션 부재(7)의 플랜지부(7c)의 당접에 의한 스프링부(7b)의 압축 규제를 생략하여 기구를 간략화할 수가 있다.
(변형예 2)
도 6에 변형예 2의 쿠션 부재(72)를 나타낸다. 변형예 2의 쿠션 부재(72)는, 도 2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를 변경한 것이다. 변형예 2의 쿠션 부재(72)는, 대략 원통형의 슬리브부(72a)와, 쿠션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부(72b)와, 플랜지부(72c)를 갖춘다. 변형예 2의 스프링부(72b)는, 나선 모양으로 형성된 수지 스프링으로 되어 축방향의 탄발력을 일으키게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쿠션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부의 출력이 비선형인 출력으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면, 본 변형예 2의 쿠션 부재(72)와 같이 의장성이 뛰어난 쿠션 부재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스프링부의 출력이 비선형인 출력으로 되도록, 지름 방향의 두께 등의 스프링부의 형상을 임의로 변경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변형예 3)
도 7에 변형예 3의 쿠션 부재(73)를 나타낸다. 변형예 3의 쿠션 부재(73)는, 도 2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의 쿠션 부재(7)의 스프링부(7b)를 변경한 것이다. 변형예 3의 쿠션 부재(73)는, 대략 원통형의 슬리브부(73a)와, 쿠션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부(73b)와, 플랜지부(73c)를 갖춘다.
스프링부(73b)는, 전측 원통부(73b1)와 후측 원통부(73b2)를 갖춘다. 전측 원통부(73b1)와 후측 원통부(73b2) 사이에는, 양자를 접속하는 2개의 비틀림 용수철(73b3)이 축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연재하도록 형성된다. 쿠션 부재(73)는, 축선방향으로 압축력이 걸리면, 전측 원통부(73b1)와 후측 원통부(73b2)가 축선회전의 둘레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비틀림 용수철(73b3)을 비틀도록 해서 축선방향을 따라 압축되어, 탄발력이 생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의해 제한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태양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슬리브와 쿠션 스프링을 일체로 해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했지만, 슬리브부(7a)와 스프링부(7b)를 별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 이 때, 쿠션 스프링을 금속제의 코일 용수철 등의 여러 가지의 탄성 부재로 할 수가 있다.
1 샤프 펜슬 2 축통 본체
2a 암나사부 2b 리브
2b1 계단부 2c 돌출부
3 선구 3a 원통부
3a1 수나사부 3b 계단부
3c 계단부 3d 개구부
3d1 계단부 4 지우개 홀더
4a 작은 직경부 4b 큰 직경부
5 노크 버튼 6 지우개
7 쿠션 부재 7a 슬리브부
7a1 환상벽 7b 스프링부
7b1 긴 구멍 7b2 탄성 빔 모양부
7b3 공간 지주 7c 플랜지부
11 심 파이프 12 척
12a 기초부 12b 빔 모양부
12c 팽출부 13 척 링
15 척 스프링 30 팁
30a 접촉부 31 내측 필기심 커버
31a 전방 돌출부 31b 기단부
32 심 보관 유지도구 32a 슬릿
32b 보관 유지부 36 리턴 스프링
38 O링 71 쿠션 부재
71a 슬리브부 71b 스프링부
71b1 긴 구멍 71b2 빔 모양 탄성부
71b3 공간 지주 71b4 규제 돌기
71c 플랜지부 72 쿠션 부재
72a 슬리브부 72b 스프링부
72c 플랜지부 73 쿠션 부재
73a 슬리브부 73b 스프링부
73b1 전측 원통부 73b2 후측 원통부
73b3 용수철 73c 플랜지부

Claims (11)

  1. 필기심과,
    상기 필기심을 파지하는 척 유니트와,
    상기 척 유니트가 필압으로 후퇴 가능하도록 상기 척 유니트를 탄성 지지하는 쿠션 스프링 및,
    상기 필기심을 외경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심 보관 유지도구를 갖추고,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팁을 포함하되,
    상기 쿠션 스프링의 쿠션 스트로크에 대한 출력(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비선형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상기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큰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보다 작고,
    상기 척 유니트에 조립된 세트 상태에서의 상기 쿠션 스프링의 세트 하중은, 상기 팁이 축선방향으로 후퇴하는 경우의 접동 저항력 이하이며,
    상기 필기심을 유지하는 심 보관 유지도구의 유지력이 상기 팁의 접동 저항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는, 상기 쿠션 스트로크의 증대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단조 증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스프링의 쿠션 스트로크는 상기 필기심이 상기 팁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쿠션 스트로크와 동일한 길이로 돌출한 때에 상기 필기심이 필압에 의해 절손해 버리는 일이 없는 소정의 스트로크 길이의 범위 내로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스프링은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 스프링의 쿠션 스트로크는 상기 쿠션 스프링이 압축되어 성능 저하하는 일이 없는 소정의 스트로크 길이의 범위 내로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6. 제1항에 있어서, 팁이 지면과 접촉할 때 얻어지는 팁의 접촉부는 둥글게 모따기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7. 제1항에 있어서, 초동부에서의 쿠션 스프링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는, 종동부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8. 제1항에 있어서,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작은 복수의 영역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의 평균값이,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큰 복수의 영역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의 평균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9. 제1항에 있어서, 쿠션 스프링에 축선방향으로 압축력이 걸리면, 쿠션 스프링의 전측 원통부와 후측 원통부가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0. 필기심과,
    상기 필기심을 파지하는 척 유니트와,
    상기 척 유니트가 필압으로 후퇴 가능하도록 상기 척 유니트를 탄성 지지하는 쿠션 스프링 및,
    상기 필기심을 외경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심 보관 유지도구를 갖추고,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팁을 포함하되,
    상기 쿠션 스프링의 쿠션 스트로크에 대한 출력(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비선형이도록 구성되고, 상기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가 상기 쿠션 스트로크가 비교적 큰 영역에서의 용수철 정수의 기울기보다 작고,
    상기 척 유니트가 후퇴하고, 상기 팁이 지면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쿠션 스프링이 탄성에 의해 복원될 때, 쿠션 스프링의 출력은 필기심을 유지하는 상기 심 보관 유지도구의 유지력보다 크고, 팁의 접동 저항력은 필기심을 유지하는 심 보관 유지도구의 유지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11. 제10항에 있어서, 팁이 지면과 접촉할 때 얻어지는 팁의 접촉부는 둥글게 모따기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둥그스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KR1020207020142A 2018-03-02 2019-03-04 샤프 펜슬 KR102492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7032 2018-03-02
JPJP-P-2018-037032 2018-03-02
PCT/JP2019/008269 WO2019168194A1 (ja) 2018-03-02 2019-03-04 シャープペンシ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090A KR20200123090A (ko) 2020-10-28
KR102492706B1 true KR102492706B1 (ko) 2023-01-26

Family

ID=6780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142A KR102492706B1 (ko) 2018-03-02 2019-03-04 샤프 펜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90109B2 (ko)
JP (1) JP7116779B2 (ko)
KR (1) KR102492706B1 (ko)
CN (2) CN114714794B (ko)
TW (1) TWI783114B (ko)
WO (1) WO20191681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878A1 (ar) * 2020-09-02 2022-03-10 لعبان، نورة عوضة سعيد ال قلم تظليل
CN113427930A (zh) * 2021-07-23 2021-09-24 温州天骄笔业有限责任公司 自动铅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6950A (ja) 2014-08-06 2016-03-22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90004A (fr) * 1953-07-22 1955-03-25 Ressort
DE2815695C2 (de) * 1978-04-12 1983-08-11 Fa. A.W. Faber-Castell, 8504 Stein Füllminenstift mit Minen-Vorschubmechanik und Bremselement
JPS58171392U (ja) * 1982-05-10 1983-11-16 株式会社寿 シヤ−プペンシル
US4620811A (en) * 1984-01-26 1986-11-04 Kotobuki & Co., Ltd. Mechanical pencil
JPH07290880A (ja) 1994-04-22 1995-11-07 Kotobuki:Kk シャープペンシル
JPH09272293A (ja) * 1996-02-09 1997-10-21 Kotobuki:Kk 筆記具
JPH1091314A (ja) * 1996-09-17 1998-04-10 Hitachi Seiko Ltd 座標入力装置の筆圧ペン
JP3388432B2 (ja) * 1999-08-04 2003-03-24 ミクロ株式会社 シャ−プペンシル
JP2001270283A (ja) * 2000-01-20 2001-10-02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及びその内部筆記機構
KR100707156B1 (ko) * 2000-03-30 2007-04-16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샤프 펜슬
JP4847946B2 (ja) * 2007-12-28 2011-12-28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9269335A (ja) * 2008-05-09 2009-11-19 Kotobuki & Co Ltd シャープペンシル
CN102107571A (zh) * 2009-12-28 2011-06-29 美久卢股份有限公司 自动铅笔
JP6053680B2 (ja) * 2011-06-21 2016-12-27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5996219B2 (ja) * 2012-03-07 2016-09-21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KR102214859B1 (ko) * 2013-12-26 2021-02-09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필기구
US9573410B2 (en) * 2014-08-06 2017-02-21 Zebra Co., Ltd. Writing utensil
US10500891B2 (en) * 2015-06-29 2019-12-10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Mechanical pencil
TW201832947A (zh) * 2017-03-08 2018-09-16 日商壽股份有限公司 自動鉛筆
KR20190132516A (ko) * 2017-04-10 2019-11-27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샤프 펜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6950A (ja) 2014-08-06 2016-03-22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14794B (zh) 2022-11-18
JPWO2019168194A1 (ja) 2021-02-12
JP7116779B2 (ja) 2022-08-10
TWI783114B (zh) 2022-11-11
US11390109B2 (en) 2022-07-19
TW201938401A (zh) 2019-10-01
WO2019168194A1 (ja) 2019-09-06
US20200391539A1 (en) 2020-12-17
CN111801227A (zh) 2020-10-20
KR20200123090A (ko) 2020-10-28
CN114714794A (zh)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706B1 (ko) 샤프 펜슬
KR102572065B1 (ko) 샤프펜슬 유닛 및 그 샤프펜슬 유닛을 구비한 필기구
TW201529357A (zh) 書寫工具
KR20190120185A (ko) 샤프 펜슬
CN111942061A (zh) 书写工具和用于制造书写工具的方法
JP6555948B2 (ja)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648678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20190132516A (ko) 샤프 펜슬
JP677976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26103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6589415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5671913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17376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20190094186A (ko) 샤프펜슬
JP721593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681690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中芯の製造方法
US10603948B2 (en) Mechanical pencil
JP721960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2019010844A (ja) ボールペン
JP202010446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2019181811A (ja) ボールペン
JP2020110928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2020116837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並びに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9181810A (ja) ボールペン
JP2003127585A (ja) キャップ付きシャ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