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186A - 샤프펜슬 - Google Patents

샤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186A
KR20190094186A KR1020197018606A KR20197018606A KR20190094186A KR 20190094186 A KR20190094186 A KR 20190094186A KR 1020197018606 A KR1020197018606 A KR 1020197018606A KR 20197018606 A KR20197018606 A KR 20197018606A KR 20190094186 A KR20190094186 A KR 20190094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spring
axial direction
writing core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 노구치
타다오 오다카
유이치 카미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19009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43K21/033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with automatic feed by pressure during use of p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때에 척에 의한 상기 필기심의 파지를 느슨하게 해서 상기 필기심을 후퇴시킬 수가 있는 샤프펜슬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샤프펜슬은, 축통과, 필기심의 파지 및 송출을 행하는 파지 송출 기구로서 척과 척 링과 척 스프링을 갖고 상기 축통에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파지 송출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축통은 내주면에 제1의 단차를 갖고, 상기 파지 송출 기구는 상기 제1의 단차에 대향하는 제2의 단차를 가지며, 상기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부하가 가해진 때에, 상기 제1의 단차와 상기 제2의 단차가 축선방향에 있어서 계합하여, 상기 척 스프링의 상기 파지 송출 기구에 대한 출력을 저감하고, 상기 척 및 상기 척 링에 의한 상기 필기심의 파지를 느슨하게 한다.

Description

샤프펜슬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는, 필기심을 척으로 파지시킬 수가 있음과 더불어, 노크 조작에 의해 필기심을 송출할 수가 있는 샤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 도구의 내주면을 접동하는 접동편을 갖고, 그 접동편의 후단의 외주부에 돌기를 더 가지는, 심 가이드를 고착한 슬라이더를 갖추되, 그 심 가이드가 상기 앞 도구의 선단의 구멍으로부터 돌출 및 퇴몰한 위치에서, 상기 돌기가 계합하는 도랑을 상기 앞 도구의 내주면에 형성한 샤프펜슬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이 개시하는 샤프펜슬에 의하면, 상기 심 가이드를, 필기시에는 돌출시킨 위치에 고정하고, 불사용시에는 퇴몰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개평 5-12184호 공보(예를 들어, 단락 0008∼0009, 도 1 참조.)
종래의 샤프펜슬에서는, 필기심 가이드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때에 상기 필기심 가이드가 후퇴하여 그 파손을 막을 수가 있다. 그렇지만, 종래,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때에, 척에 의해 파지된 필기심이 파손해 버리거나 척에 의해 파지된 필기심이 그 외주면을 깎이면서 후퇴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 외주면이 깎인 필기심을 척이 다시 파지시킨 때의 상기 필기심의 보관 유지력이 저하해 버리기 때문에, 필기를 하기 어렵게 되어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때에 척에 의한 상기 필기심의 파지를 느슨하게 해서 상기 필기심을 후퇴시킬 수가 있는 샤프펜슬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때에 척에 의한 상기 필기심의 파지를 느슨하게 해서 상기 필기심을 후퇴시킬 수가 있는 샤프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프펜슬의 한 태양에서는, 축통과, 필기심의 파지 및 송출을 행하는 파지 송출 기구로서, 척과, 척 링과, 척 스프링을 갖고, 상기 축통에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파지 송출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축통은 내주면에 제1의 단차를 갖고, 상기 파지 송출 기구는 상기 제1의 단차에 대향하는 제2의 단차를 가지며, 상기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부하가 가해진 때에, 상기 제1의 단차와 상기 제2의 단차가 축선방향에 있어서 계합하여, 상기 척 스프링의 상기 파지 송출 기구에 대한 출력을 저감하고, 상기 척 및 상기 척 링에 의한 상기 필기심의 파지를 느슨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하면,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때에 척에 의한 상기 필기심의 파지를 느슨하게 해서 상기 필기심을 후퇴시킬 수가 있는 샤프펜슬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샤프펜슬의 중간 부분을 생략하고, 전방측의 부분과 후방측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샤프펜슬을 도 1a에 나타내는 절단면 A-A로 절단하고, 후방으로부터 보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샤프펜슬의 중간 부분을 생략하고, 전방측의 부분과 후방측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샤프펜슬의 중간 부분을 생략하고, 전방측의 부분과 후방측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 1a 및 도 1b에 근거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샤프펜슬(1)은, 노크 버튼(1a)의 노크 캡(11a1)으로의 노크 조작에 의해 선구(先口; 3)의 선단으로부터 필기심(T)이 송출되어 돌출하는 후단 노크형의 샤프펜슬이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샤프펜슬(1)의 선구(3)가 배치되는 측을 중심축선방향(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하고, 노크 버튼(1a)이 배치되는 측을 후방으로 해서 설명한다.
샤프펜슬(1)은 대략 원통 형상의 축통 본체(2)와, 대략 원추형상의 선구(3)을 갖춘다. 축통 본체(2)와 축통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되는 선구(3)는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통(7)을 매개로 해서 나사 체결된다. 축통 본체(2)의 후단에는, 노크 버튼(1a)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노크 버튼(1a)은, 후술하는 심 파이프(11b)에 착탈 가능하게 감합하는 노크 버튼 본체(11a2)를 가진다.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노크 버튼 본체(11a2)의 뒤부분에는, 지우개 홀더(11a3)가 고정된다. 지우개 홀더(11a3)에는 그 중심축선에 따라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지우개 홀더(11a3)의 관통 구멍 및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된 노크 버튼 본체(11a2)의 내측을 통과시켜 필기심(T)을 샤프펜슬(1)에 보충할 수가 있다. 지우개 홀더(11a3)의 후단에는, 지우개(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노크 버튼(1a)의 후단의 외주에는, 지우개(5)를 덮는 노크 캡(11a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노크 버튼(1a)의 전방에는, 노크 버튼(1a)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는 대략 통 모양의 심 파이프(11b)가 배치된다. 심 파이프(11b)의 앞부분은, 심 파이프(11b)의 더 전방에 배치되는 대략 통 모양의 척 이음매(11c)에 조립된다.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된 심 파이프(11b) 및 척 이음매(11c)의 내측을 통해 필기심(T)을 더 전방으로 공급할 수가 있다. 노크 버튼(1a), 심 파이프(11b) 및 척 이음매(11c)은, 필기심 수용부(11)를 구성한다.
축통 본체(2)의 전방 측에는, 축통 본체(2)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향해 환상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2a)가 형성된다. 환상 돌기(2a)는,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축선방향의 전방에 접하는 계합면을 포함한 제1의 단차를 가진다. 한편, 척 이음매(11c)의 외주면상에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3개의 플랜지(11c1)가 형성된다. 척 이음매(11c)의 플랜지(11c1)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돌기로서 형성된다. 또,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에는, 척 이음매(11c)의 플랜지(11c1)가 축선방향에 대해 통과 가능한 3개의 관통홈(2a1)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척 이음매(11c)의 플랜지(11c1),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의 관통홈(2a1) 및 제1의 단차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척 이음매(11c)의 선단에는, 척(12)이 고정된다. 척(12)은,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해 3방향으로 분할되어 필기심(T)을 지름 방향으로 끼워 누름으로써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척(12)은, 척 이음매(11c)에 고정되는 후단의 기초부(12a)와, 기초부(12a)로부터 전방으로 연재하는 빔(beam) 모양부(12b)와, 이 빔 모양부(12b)의 전단에 형성되는 팽출부(12c)를 가진다. 팽출부(12c)는, 전단면부(12c1)와 최대 외주면부(12c2)와 경사부(12c3)를 더 가진다. 전단면부(12c1)는, 척(12)이 필기심(T)을 파지시킨 때에 중심축선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면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최대 외주면부(12c2)는, 측면에서 볼 때 중심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되는 외주면으로서 형성되어 전단면부(12c1)와 접속된다. 경사부(12c3)는, 최대 외주면부(12c2)와 접속되어 후방으로 향해 외경을 줄이는 경사면으로서 후방에 연재한다. 경사부(12c3)는, 후단에서 빔 모양부(12b)에 접속한다.
척(12)의 팽출부(12c)의 외주에는, 척 링(13)이 감합한다. 척 링(13)은, 그 후단에 내경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존재하는 환상벽을 가지는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팽출부(12c)의 최대 외주면부(12c2)에 후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감합한다. 이 척 링(13)의 팽출부(12c)에 대한 박아넣음과 떨어짐에 의해, 척(12) 및 척 링(13)은 필기심(T)을 파지 또는 해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척(12)은, 척 링(13)이 팽출부(12c)에 감합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빔 모양부(12b)의 탄성에 의해 3분할된 척(12)의 선단의 각각이 외경 방향으로 열어 필기심(T)을 해방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척 링(13)의 선단이 척(12)의 경사부(12c3) 상을 접동하여 척(12)의 팽출부(12c)에 감합하여 척(12)을 닫은 때에는, 척(12) 및 척 링(13)이 필기심(T)을 지름 방향 내측으로 끼워 눌러 파지시킨다.
척 이음매(11c)의 선단 부분, 척(12)의 기초부(12a) 및 빔 모양부(12b)의 외주에는,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된 슬리브(sleeve; 14)가 배치된다. 슬리브(14)의 전단에는 내경 방향을 향해 환상으로 돌출하는 환상벽부(14a)가 형성된다. 또, 슬리브(14)의 후방측의 외주면상에는 외경 방향을 향해 환상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14b)가 형성된다. 척 이음매(11c)의 전방측의 외주에 있어서의, 슬리브(14)의 후단면과 척 이음매(11c)의 플랜지(11c1)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인 척 스프링(15)이 축선방향으로 압축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척(12) 및 필기심 수용부(11)는, 척 스프링(15)에 의해 슬리브(14)에 대해 후방으로 밀어붙여진다. 척(12) 및 필기심 수용부(11)는, 척 링(13)을 슬리브(14)의 환상벽부(14a)의 전면으로 향해 압압하고, 이에 따라 척(12)과 척 링(13)이 감합하여 필기심(T)을 파지시킨다.
슬리브(14)의 환상 돌기(14b)의 후면과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인 쿠션 스프링(16)이 축선방향으로 압축되어 배치된다. 슬리브(14) 및 쿠션 스프링(16)은 샤프펜슬(1)의 파지 송출 기구(10)를 축선방향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 때문에, 필기심(T)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필압이 부하된 때는, 필기심(T)을 파지한 파지 송출 기구(10)가 후방으로 후퇴하여 필기심(T)의 압축을 경감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필기심(T)의 절손(折損, 꺽여 파손됨)을 막을 수가 있다.
슬리브(14)의 앞부분의 지름 방향 외측 및 슬리브(14)의 전방에는, 축통 본체(2)와 선구(3)을 접속하는 접속통(7)이 배치된다. 접속통(7)의 외주면상에는, 수나사부(7a 및 7b)가 형성된다. 앞측의 수나사부(7a)는, 선구(3)의 뒤부분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암나사부(3a)와 나합한다. 뒤측의 수나사부(7b)는, 축통 본체(2)의 앞부분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암나사부(2b)와 나합한다. 접속통(7)을 매개로 해서, 축통 본체(2)와 선구(3)가 접속됨으로써, 축통(4)을 구성한다. 접속통(7)은, 그 전방에 배치되어 슬라이더(8)를 수용하는 슬라이더 수용부(7c)와, 슬라이더 수용부(7c)보다 큰 직경의 내부 공간을 가지고 슬라이더 수용부(7c)의 후방에 배치된 척 링 수용부(7d)와, 척 링 수용부(7d)보다 더 큰 직경의 내부 공간을 가지고 척 링 수용부(7d)의 후방에 배치된 슬리브 수용부(7e)를 가진다.
슬리브 수용부(7e)와 척 링 수용부(7d)와의 접속부에는 슬리브(14)(환상벽부(14a))의 전단면과 축선방향으로 당접하는 계단부(7f)가 형성된다. 접속통(7)의 계단부(7f)가 슬리브(14)를 전방으로 향해 밀어붙이는 쿠션 스프링(16)의 부세력(밀어붙이는 힘)을 받아 들여 슬리브(14)의 더 한층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척 링 수용부(7d)와 슬라이더 수용부(7c)와의 접속부에는, 전진한 척 링(13)의 전단이 당접하는 계단부(7g)가 형성된다. 후퇴한 척 링(13)의 전단과 계단부(7g)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비워져 척 링(13)의 전진을 허용한다. 이 소정의 간격만큼 전진한 후에, 척 링(13)의 전단이 계단부(7g)에 당접하고, 척 링(13)이 척(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척(12)으로부터 이탈한다. 척(12)은 슬라이더 수용부(7c)내를 더 전진해 필기심(T)을 해방하고, 이것에 의해 필기심(T)은 샤프펜슬(1)에 있어서의 1 노크 조작당의 소정의 송출량만큼 송출된다. 그 후, 샤프펜슬(1)의 파지 송출 기구(10)가 노크 조작으로부터 해방되면, 송출된 필기심(T)을 남겨 척(12) 및 척 링(13)이 후퇴하고, 필기심(T)의 보다 후방의 위치를 다시 파지한다.
슬라이더 수용부(7c)의 내부에는, 후퇴한 슬라이더(8)를 수용할 수가 있다. 슬라이더(8)의 선단부에는, 심 가이드(9)가 고정된다. 슬라이더(8)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외경 방향으로 돌출한 환상의 계합부(8a)가 형성된다. 슬라이더(8)의 계합부(8a)는 접속통(7)의 슬라이더 수용부(7c)의 선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계합부와 계합하여, 슬라이더(8)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대한 소정의 계합력을 슬라이더(8)에 부여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심 가이드(9)에 자를 대고 선을 긋는 경우 등에, 심 가이드(9)에 축선방향 후방으로의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심 가이드(9)는 슬라이더(8)에 의해 축선방으로 소정의 계합력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심 가이드(9)가 후퇴해 버리는 일이 없다. 한편, 접속통(7)과 슬라이더(8)와의 계합에 의해 생기는 소정의 계합력을 넘는 축선방향 후방으로의 하중을 심 가이드(9)에 부하한 경우에는, 접속통(7)과 슬라이더(8)와의 계합은 해제되기 때문에, 심 가이드(9)를 슬라이더 수용부(7c)내에 수용할 수가 있다. 또, 슬라이더(8)의 계합부(8a)의 외주면은 접속통(7)의 슬라이더 수용부(7c)의 내주면에 접촉해 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파지 송출 기구(10)로의 노크 조작에 의해 슬라이더(8)가 척(12)에 압압되어 전방으로 향해 다시 이동되지 않는 한, 심 가이드(9)가 의도하지 않고 선구(3)로부터 돌출해 버리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심 가이드(9)를 축통(4)내에 수용할 수가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샤프펜슬(1)을 옷의 포켓내에 넣어 운반하는 경우 등에도, 심 가이드(9)가 구부러지는 등 해서 파손해 버리는 일이 없다.
슬라이더(8)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로서 형성된 브레이커부(8b)를 더 가진다. 브레이커부(8b)는 필기심(T)을 지름 방향으로 끼워 누름으로써, 필기심(T)의 축선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소정의 저항력을 부하하고, 필기심(T)이 척(12)에 파지되어 있지 않을 때에, 필기심(T)이 의도하지 않고 축선방향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필기심(T)의 파지 및 송출을 행하는 파지 송출 기구(10)는, 필기심 수용부(11), 척(12), 척 링(13), 슬리브(14), 척 스프링(15), 쿠션 스프링(16)을 가진다.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필기심 수용부(11)와 같이, 그 일부(구체적으로는, 노크 버튼(1a)의 일부)가 축통 본체(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도, 파지 송출 기구(10)는, 실질적으로 축통(4)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슬라이더(8)를 축통(4)내에 수용한 샤프펜슬(1)을 노크 조작한 때의 파지 송출 기구(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척 스프링(15)의 탄발력에 대항해 노크 버튼(1a)을 전방으로 노크 조작하여 필기심 수용부(11)을 전진시키면, 필기심 수용부(11)에 고정된 척(12)이 필기심(T)을 파지한 상태로 전진한다. 접속통(7)의 계단부(7g)와 척 링(13)의 전단이 당접하면, 척(12)의 팽출부(12c)로부터 척 링(13)이 후방으로 이탈하여, 필기심(T)은 전방으로 송출된 위치에서 해방된다. 이 때, 슬라이더(8)의 후단이 척(12)의 전단에 압압되어 전진하고, 심 가이드(9)가 선구(3)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접속통(7)의 선단부와 슬라이더(8)의 후단부가 계합한다. 노크 버튼(1a)의 압압(노크 조작)을 해제하면, 척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척(12) 및 필기심 수용부(11)가 후퇴한다. 이 때, 접속통(7)과 계합한 슬라이더(8)의 브레이커부(8b)에 의해, 필기심(T)이 전방으로 송출된 위치에서 끼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해방된 필기심(T)은 후퇴하지 않는다. 더 척(12) 및 필기심 수용부(11)가 후퇴하면, 척(12)의 팽출부(12c)에 척 링(13)이 감합해, 척 링(13)의 후면과 슬리브(14)의 환상벽부(14a)의 전면이 당접한 노크 조작전의 상태로 돌아가고, 필기심(T)은 노크 조작 전보다도 그 후방의 위치를 다시 척(12)에 의해 파지시킨다.
노크 버튼(1a)의 노크 조작을 반복하면, 필기심(T)을 순차 전방으로 송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필기심(T)이 심 가이드(9)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샤프펜슬(1)로 필기를 할 수가 있다. 샤프펜슬(1)의 필기시에 있어서의 필압은, 필기심(T)을 파지하는 척(12) 및 척(12)에 감합한 척 링(13)을 매개로 해서 척 링(13)과 당접하는 슬리브(14)에 전달된다. 더욱이 샤프펜슬(1)의 필기시에 있어서의 필압은, 슬리브(14)를 탄성 지지하는 쿠션 스프링(16)을 매개로 해서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에 의해 축선방향에 있어서 지지된다.
여기서, 필기심(T)에 쿠션 스프링(16)의 설치 하중을 넘는 소정의 필압이 부하된 경우에는, 쿠션 스프링(16)이 압축되어 샤프펜슬(1)의 파지 송출 기구(10)가 후퇴한다. 본 실시형태의 샤프펜슬(1)에서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척 이음매(11c)의 플랜지(11c1)는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의 관통홈(2a1)을 통과해 후퇴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11c1)가 관통홈(2a1)을 통과해 후퇴한 후에는, 척 스프링(15)의 후단은 플랜지(11c1)를 대신해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에 의해 축선방향에 있어서 지지된다.
척 스프링(15)의 후단이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에서 지지되면, 척(12)을 슬리브(14)에 대해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척 스프링(15)의 부세력의 일부와 척 스프링(15)을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가 전방으로 향해 지지하는 힘이 상쇄된다. 즉, 필기심(T)을 파지하도록 척 스프링(15)이 척(12)을 후방으로 향해 밀어붙이는 부세력(척(12)에 대한 척 스프링(15)의 출력)이 감소된다. 이 때, 척 스프링(15)의 후단면(계합면)을 포함한 파지 송출 기구(10)의 제2의 단차가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가 가지는 제1의 단차와 축선방향에 있어서 계합하고 있다. 척 스프링(15)을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가 전방으로 향해 지지하는 힘은 축통 본체(2)에 대해 부하되는 필압에 의해 제공된다. 이에 따라, 파지 송출 기구(10)에 대한 척 스프링(15)의 출력이 감소되어 척(12) 및 척 링(13)에 의한 필기심(T)의 파지가 느슨하게 된다.
척(12) 및 척 링(13)에 의한 필기심(T)의 파지가 느슨하게 되면, 샤프펜슬(1)에 의한 필기심(T)의 심 보관 유지력이 저하하여 필기심(T)이 축선방향 후방으로 후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척(12) 및 척 링(13)에 의한 필기심(T)의 파지는 적어도 통상보다 느슨하게 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필기심(T)을 통상 대로 파지한 상태에서 심 미끄럼이 생겨 버리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기심(T)의 외주면이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그 후 다시 필기심(T)을 송출해 사용할 때의 샤프펜슬(1)에 의한 필기심(T)의 심 보관 유지력의 저하를 막을 수가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심 가이드(9)도 선구(3)내에 몰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샤프펜슬(1)의 필기심(T)에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때에는 심 가이드(9) 및 필기심(T)을 모두 샤프펜슬(1)내에 수용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샤프펜슬(1)에서는, 필기심(T)에 의도하지 않고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경우에 심 가이드(9) 및 필기심(T)의 파손을 막을 수가 있다. 더욱이, 필기심(T)에 의도하고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을 부하한 경우에는 노크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심 가이드(9) 및 필기심(T)을 용이하게 샤프펜슬(1)내에 수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소정의 하중이란, 예를 들어 쿠션 스프링(16)이 소정의 거리만큼 축선방향으로 압축되는 하중으로 할 수가 있고, 또 예를 들어 샤프펜슬(1)이 파지한 필기심(T)의 심 미끄럼을 일으켜 버리는 하중 미만의 하중으로 할 수가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샤프펜슬(1A)에 대해 도 2에 근거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14) 및 척 이음매(11c)의 형상을 변경하고, 척 스프링(15)의 배치를 변경했다. 여기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나 개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슬리브(14a)는,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단에 환상벽부(14Aa)가 형성되고 후단의 외주면상에는 외경 방향을 향해 환상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14Ab)가 형성된다. 척 스프링(15)은, 슬리브(14a)내에 있어서의 척(12)(빔 모양부(12b))의 외주에 압축하여 배치된다. 척 스프링(15)의 전단은 환상벽부(14Aa)의 후면에 당접하여 지지된다. 척 스프링(15)의 후단은, 척 이음매(11Ac)의 전단면과 당접하여 지지된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척(12) 및 필기심 수용부(11)의 슬리브(14a)에 대한 후방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은, 척 링(13)의 후면과 환상벽부(14Aa)의 전면이 당접함으로써 규제된다.
척 이음매(11Ac)의 외주면상에는,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의 제1의 단차에 축선방향으로 대향하는 제2의 단차를 가지는 척 이음매(11Ac)의 환상 돌기(11Ac1)가 외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의 제1의 단차와 척 이음매(11Ac)의 환상 돌기(11Ac1)의 제2의 단차는 축선방향으로 이간하여, 필기심 수용부(11) 및 척(12), 척 링(13) 및 슬리브(14a)의 소정의 후퇴 스트로크 S(후퇴지로 S)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노크 버튼(1a)으로의 노크 조작에 의해 필기심(T)을 계속 내보낼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샤프펜슬(1A)을 사용중에 필기심(T)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경우에는, 척(12), 척 링(13), 슬리브(14a) 및 척 이음매(11Ac)는, 쿠션 스프링(16)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해, 후방으로 후퇴 스트로크 S만큼 후퇴한다. 파지 송출 기구(10A)가 후퇴 스트로크 S만큼 후방으로 이동하면,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의 전면(계합면)을 포함한 제1의 단차에 척 이음매(11Ac)의 환상 돌기(11Ac1)의 후면(계합면)을 포함한 제2의 단차가 전방으로부터 당접하여 계합한다.
제1의 단차와 제2의 단차가 축선방향에 있어서 계합하면, 축통 본체(2)로부터 제1의 단차 및 제2의 단차를 매개로 해서 축선방향의 전방으로 향해 부하되는 필압과 척 스프링(15)이 척(12)을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밀어붙이는 부세력이 상쇄되어 척 스프링(15)의 부세력이 저감된다. 본 실시형태의 척 스프링(15)이 척(12)을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밀어붙이는 부세력은, 척 스프링(15)의 척(12)에 대한 출력으로서, 바꾸어 말하면 척 스프링(15)의 파지 송출 기구(10A)에 대한 출력이다. 이 척 스프링(15)의 출력에 의해 파지 송출 기구(10A)는 필기심(T)을 파지한다.
척(12)에 대한 척 스프링(15)의 출력이 저감되면, 척(12) 및 척 링(13)에 의한 필기심(T)의 파지가 느슨하게 된다. 이 때문에,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필기심(T)은, 파손하는 일 없이 슬라이더(8) 및 심 가이드(9)와 함께 선구(3)내에 몰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심 가이드(9) 및 필기심(T)의 파손을 막을 수가 있고, 더욱이 심 가이드(9) 및 필기심(T)을 노크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선구(3)내에 수용할 수가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도 3에 근거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샤프펜슬(1A)의 제1의 단차 및 제2의 단차를 샤프펜슬의 후단부에 배치하도록 변경한 샤프펜슬(1B)을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나 개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실시형태의 샤프펜슬(1B)은, 제2 실시형태의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 및 척 이음매(11Ac)의 환상 돌기(11Ac1)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축통 본체(2)는, 그 후단에 장착되는 후단 커버(6)을 가진다. 후단 커버(6)는, 대략 통 모양의 후단 커버 본체(6a)와, 후단 커버 본체(6a)의 후단에 형성된 지름 방향 내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환상벽부(6b)를 가진다. 후단 커버(6)의 환상벽부(6b)는 제2 실시형태의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에 상당하고, 축선방향에 접하는 전면(2B)를 포함한 제1의 단차를 가진다. 후단 커버 본체(6a)의 내주면과 축통 본체(2)의 후단의 외주면의 각각에는 한 쌍의 나사가 형성되어, 축통 본체(2)와 후단 커버(6)는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통 본체(2)의 환상 돌기(2a)에 상당하는 부분을 축통 본체(2)와는 별체로서 형성하여 축통 본체(2)에 조립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심 파이프(11b)의 후단에는, 노크 버튼(11Ba)이 후방으로부터 감합되어 조립된다. 본 실시형태의 노크 버튼(11Ba)은, 노크 캡(11Ba1)과 노크 버튼 본체(11Ba2)를 가진다. 노크 캡(11Ba1)은, 노크 캡(11Ba1)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 향해 돌출한 복수의 당접 돌기(11Ba4)를 더 가진다. 복수의 당접 돌기(11Ba4)의 전단을 노크 버튼 본체(11Ba2)의 후단에 당접한 상태에서, 노크 캡(11Ba1)이 노크 버튼 본체(11Ba2)의 후단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노크 캡(11Ba1)의 후단은, 후단 커버(6)의 환상벽부(6b)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돌출한다. 노크 캡(11Ba1)의 전단에는, 노크 캡(11Ba1)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플랜지부(11Ba11)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1Ba11)의 후면과 후단 커버(6)의 환상벽부(6b)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노크 스프링(11Bb)이 축선방향으로 압축되어 배치된다.
노크 캡(11Ba1)의 외주면에는, 제2의 단차를 가지는 큰 직경부가 형성되고, 제2의 단차의 후면(당접면; 11Ba3)은 제1의 단차의 전면(당접면; 2B)에 축선방향으로 대향한다. 노크 캡(11Ba1)은 노크 스프링(11Bb)으로 축선방향의 전방으로 향해 탄성 지지되고, 후단 커버(6)의 제1의 단차의 전면(2B)과 노크 캡(11Ba1)의 제2의 단차의 후면(11Ba3)은,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후퇴 스트로크 S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노크 버튼(11Ba)으로의 노크 조작에 의해 필기심(T)을 계속 내보낼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샤프펜슬(1B)을 사용중에 필기심(T)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경우에는, 척(12), 척 링(13), 슬리브(14a) 및 척 이음매(11Bc)는, 쿠션 스프링(16) 및 노크 스프링(11Bb)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해, 후방으로 후퇴 스트로크 S만큼 후퇴한다. 파지 송출 기구(10B)가 후퇴 스트로크 S만큼 후방으로 이동하면, 후단 커버(6)의 제1의 단차의 전면(2B)과 노크 캡(11Ba1)의 제2의 단차의 후면(11Ba3)이 축선방향으로 당접하여 계합한다.
제1의 단차의 전면(2B)과 제2의 단차의 후면(11Ba3)이 축선방향에 있어서 계합하면, 축통 본체(2)로부터 제1의 단차 및 제2의 단차를 매개로 해서 축선방향의 전방으로 향해 부하되는 필압과 척 스프링(15)이 척(12)을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밀어붙이는 부세력이 상쇄되어 척 스프링(15)의 부세력이 저감된다. 본 실시형태의 척 스프링(15)이 척(12)을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밀어붙이는 부세력은, 척 스프링(15)의 척(12)에 대한 출력으로서, 바꾸어 말하면 척 스프링(15)의 파지 송출 기구(10B)에 대한 출력이다. 이 척 스프링(15)의 출력에 의해 파지 송출 기구(10B)는 필기심(T)을 파지한다.
척(12)에 대한 척 스프링(15)의 출력이 저감되면, 척(12) 및 척 링(13)에 의한 필기심(T)의 파지가 느슨하게 된다. 이 때문에, 축선방향으로 소정의 하중이 부하된 필기심(T)은, 파손하는 일 없이 슬라이더(8) 및 심 가이드(9)와 함께 선구(3)내에 몰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심 가이드(9) 및 필기심(T)의 파손을 막을 수가 있고, 더욱이 심 가이드(9) 및 필기심(T)을 노크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선구(3)내에 수용할 수가 있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펜슬(1B)은 슬리브(14) 및 쿠션 스프링(16)을 갖추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14) 및 쿠션 스프링(16)을 갖추는 일 없이, 노크 캡(11Ba1) 및 노크 스프링(11Bb)만에 의한 쿠션 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척 스프링(15)은 척 링(13)에 대해 척(12)을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술한 샤프펜슬(1B)과 같은 작동을 실현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제1의 단차를 가지는 환상 돌기(2a)(제1 및 제2 실시형태) 및 환상벽부(6b)(제3 실시형태)는 축통 본체(2)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내측으로 향해, 제2의 단차를 가지는 척 스프링(15)의 후단(제1 실시형태), 환상 돌기(11Ac1)(제2 실시형태) 및 노크 버튼의 큰 직경부(제3 실시형태)는 파지 송출 기구(10, 10A 및 10B)의 각각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종단면에서 본 때에 있어서 한쪽을 축선방향으로 제1의 계합면을 가지는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다른쪽을 축선방향으로 제2의 계합면을 가지는 볼록한 모양 또는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각각 계합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의 단차는 축선방향으로 계합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으면 좋다. 또, 축선방향으로 계합할 수가 있는 한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계합면은 임의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 제1의 단차와 제2의 단차는, 각각 하나씩 형성하여 조합시킬 뿐만 아니라, 각각 복수를 형성해 복수를 조합시켜 샤프펜슬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척 스프링(15)은 슬리브(14)에 대해 척(12)을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향해 밀어붙이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필기심을 파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척 스프링의 파지 송출 기구에 대한 출력 방향은 축선방향의 후방으로 향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펜슬은 임의의 출력 방향으로의 척 스프링의 파지 송출 기구에 대한 출력을 축통에 부하되는 필압으로 상쇄해 필기심의 파지를 느슨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파지 송출 기구를 갖추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노크 버튼은 후단에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사이드 노크, 사이드 슬라이드 혹은 회전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노크 기구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필기심에 축선방향으로 부하되는 하중은 정하중이어도 좋고 충격 하중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샤프펜슬을 필기심을 하부로 향한 상태로 낙하시켜 버린 경우에는,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통에 부하되는 것으로 설명한 필압을 대신해 샤프펜슬의 낙하의 관성이 축통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와 같은 샤프펜슬의 작동을 얻을 수가 있다.
1, 1a, 1b 샤프펜슬
2 축통 본체
2b 암나사부
2a 환상 돌기
2a1 관통홈
2B 제1의 단차의 전면
3 선구
3a 암나사부
3b 계단부
4 축통
5 지우개
6 후단 커버
6a 후단 커버 본체
6b 환상벽부
7 접속통
7a 수나사부
7b 수나사부
7c 슬라이더 수용부
7d 척 링 수용부
7e 슬리브 수용부
7f 계단부
7g 계단부
8 슬라이더
8a 계합부
8b 브레이커부
9 심 가이드
10, 10A, 10B 파지 송출 기구
11 필기심 수용부
11Ac 척 이음매
11Ac1 환상 돌기
11Ba 노크 버튼
11Ba1 노크 캡
11Ba11 플랜지부
11Ba2 노크 버튼 본체
11Ba3 제2의 단차의 후면
11Ba4 당접 돌기
11Bb 노크 스프링
11Bc 척 이음매
11a 노크 버튼
11a 노크 캡
11a2 노크 버튼 본체
11a3 지우개 홀더
11b 심 파이프
11c 척 이음매
11c1 플랜지
12 척
12a 기초부
12b 빔 모양부
12c 팽출부
12c1 전단면부
12c2 최대 외주면부
12c3 경사부
13 척 링
14, 14A 슬리브
14a, 14Aa 환상벽부
14b, 14Ab 환상 돌기
15 척 스프링
16 쿠션 스프링

Claims (4)

  1. 축통과,
    필기심의 파지 및 송출을 행하는 파지 송출 기구로서, 척과 척 링과 척 스프링을 갖고, 상기 축통에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파지 송출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축통은 내주면에 제1의 단차를 갖고,
    상기 파지 송출 기구는 상기 제1의 단차에 대향하는 제2의 단차를 가지며,
    상기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부하가 가해진 때에, 상기 제1의 단차와 상기 제2의 단차가 축선방향에 있어서 계합하여, 상기 척 스프링의 상기 파지 송출 기구에 대한 출력을 저감하고, 상기 척 및 상기 척 링에 의한 상기 필기심의 파지를 느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단차는, 상기 척 스프링의 후단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송출 기구는, 상기 척 스프링을 수용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상기 축통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밀어붙이는 쿠션 스프링과, 상기 필기심에 축선방향의 소정의 부하가 가해진 때에 상기 슬리브를 후퇴할 수 있는 후퇴지로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송출 기구는, 노크 버튼을 더 가지고, 상기 제2의 단차는 상기 노크 버튼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펜슬.
KR1020197018606A 2016-12-15 2017-12-15 샤프펜슬 KR20190094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3070 2016-12-15
JP2016243070 2016-12-15
PCT/JP2017/045013 WO2018110682A1 (ja) 2016-12-15 2017-12-15 シャープペンシ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186A true KR20190094186A (ko) 2019-08-12

Family

ID=6255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606A KR20190094186A (ko) 2016-12-15 2017-12-15 샤프펜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08442A1 (ko)
EP (1) EP3556568A1 (ko)
JP (1) JP6806794B2 (ko)
KR (1) KR20190094186A (ko)
CN (1) CN110087892A (ko)
WO (1) WO20181106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8517A (zh) * 2021-12-08 2022-05-13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后按压式防误触开关双头眉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84A (ja) 1991-06-28 1993-01-22 Sharp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84Y2 (ja) * 1979-07-20 1985-07-10 パイロツトプレシジヨン株式会社 シヤ−プペンシル
JP2523704Y2 (ja) 1991-07-24 1997-01-29 株式会社壽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構造
JPH07132678A (ja) * 1993-11-09 1995-05-2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方法
JP3493638B2 (ja) * 1999-01-08 2004-02-03 ミクロ株式会社 自動繰出式シャ−プペンシル
JP6256151B2 (ja) * 2014-03-28 2018-01-10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84A (ja) 1991-06-28 1993-01-22 Sharp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110682A1 (ja) 2019-11-14
JP6806794B2 (ja) 2021-01-06
WO2018110682A1 (ja) 2018-06-21
US20190308442A1 (en) 2019-10-10
EP3556568A1 (en) 2019-10-23
CN110087892A (zh)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528B1 (ko) 샤프펜슬
US7207738B2 (en) Writing instrument
KR102572065B1 (ko) 샤프펜슬 유닛 및 그 샤프펜슬 유닛을 구비한 필기구
KR20190120185A (ko) 샤프 펜슬
KR20190094186A (ko) 샤프펜슬
CN114714794B (zh) 自动铅笔
US6783292B2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JP548990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20190132516A (ko) 샤프 펜슬
JP7218849B2 (ja) 芯折れ防止機構付き筆記具
JP6748248B2 (ja) 筆記具
JP5489903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173760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495113B2 (ja) 筆記具
JP5671913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12106452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26103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並びに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535091B2 (ja) 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3493638B2 (ja) 自動繰出式シャ−プペンシル
JP2017030197A (ja) 芯繰出具
JP6700381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5246871A (ja) 複合軸体保持具
JP3188602U (ja) シャープペンシル
CN110997344A (zh) 书写用具
KR100708341B1 (ko) 샤프펜슬의 슬라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