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58Y1 -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58Y1
KR970003358Y1 KR2019940030145U KR19940030145U KR970003358Y1 KR 970003358 Y1 KR970003358 Y1 KR 970003358Y1 KR 2019940030145 U KR2019940030145 U KR 2019940030145U KR 19940030145 U KR19940030145 U KR 19940030145U KR 970003358 Y1 KR970003358 Y1 KR 970003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lider
rear end
sliding contact
penc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728U (ko
Inventor
요시오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940030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358Y1/ko
Publication of KR9600167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7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가 쓰여진 샤이프펜슬의 요부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필심안내부재가 제거된 슬라이더의 확대정면도.
제3도는 제2도 슬라이더의 좌측면도.
제4도는 제2도 슬라이더의 우측면도.
제5도는 제2도 슬라이더의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슬라이더 A-A선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 슬라이더의 좌측면도.
제9도는 제7도 슬라이더의 우측면도.
제10도는 제7도 슬라이더의 B-B선단면도.
제11도는 제7도 슬라이더의 C-C선단면도.
제12도는 제7도 슬라이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샤이프펜슬의 요부단면도.
제13도는 종래의 샤프펜슬에 쓰여지던 슬라이더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 슬라이더의 우측면도.
제15도는 제13도 슬라이더의 D-D선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1a : 걸림구멍
2 : 선구 2a : 계단부
3 : 필심탱크 4 : 리이드척
5 : 척링 6 : 쿠션슬리이브
6a : 플렌지 6b : 몸통부
6c : 걸림부 6d : 절결부
7 : 척스프링 8 : 걸림면
9 : 슬라이더 9a : 스토퍼면
9b : 슬라이더본체 9c : 미끄럼접촉부
9d : 관통구멍 9e : 필심유도부(필심유도수단)
9f : 슬릿 9g : 필심보유지지돌출부
9h : 볼록부 9i : 필심보유지지편
9j : 필심유도용 기구 9k : 접속편
10 : 필심안내부재
본 고안은 녹크식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심안내 부재를 이동시켜 필심을 조출시키도록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선구(先具)의 앞끝부위에 파이프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필심안내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샤아프펜슬에서는, 필심안내부재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켜지는 필심의 길이가, 필심이 부러지지 않게 한다는 점에서 제한을 받고 있었다. 그 때문에 장시간 필기를 하는 겨우에는, 필심이 소모됨에 따라 빈번하게 필심탱크 뒤 끝에 설치된 녹크부를 조작해서 필심을 조출시켜 내보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심을 조작함에는 필기를 하는 도중 샤아프펜슬을 고쳐잡고 녹크조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필기능률이 떨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기도중 필심이 마모된 경우, 필심을 종이 같은 곳에다 누름으로써 필기구를 고쳐잡지 않고서도 소정량만큼의 필심을 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샤아프펜슬이 제안되어 있기도 하다. 즉 예컨대 본 출원인이 기히 제안하여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에 실개 평3-47907호로 개시된 것과 같이, 필심송출용 슬라이더를 뒤쪽을 향해 동심상으로 직경을 달리하는 큰 직경·작은직경원통형상부로 구성시켜, 큰직경원통형상부에 의해 샤아프펜슬의 선구 내주면에 대해 충분한 크기의 마찰저항으로 확실하게 접촉해서 걸어맞춰지도록 하는 한편, 작은 직경원통형상부에 의해 필심이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확실하게 보유지지되도록 한 필심송출용 슬라이더가 제안되어 있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이상과 같은 종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외통의 선구내에 장착되어 소정범위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필심안내부재(11)와, 이 필심안내부재(11)의 뒷 끝에 고정되어 그 내주면에서 필심을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접속하는 슬라이더부재(12)가 설치된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슬라이더부재(12)가 동축상으로 직경을 달리하는 큰 직경·작은 직경원통형상체(13,14)로 일체로 이루어지고서, 그 작은 직경원통형상체(13)에 복수의 절결부(15)가 각각 축방향으로 형성되고서, 상기 필심안내부재(11)내를 미끄럼이동하는 필심을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받쳐 지지하는 필심유도부(15)를 향해 점차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탄성을 가진 안쪽 미끄럼접촉편(16)과, 큰 직경통형상체(14)에 복수의 절겸부(17)가 각각 형성되고서, 상기 마찰저항보다 큰 마찰저항으로 상기 선구의 내주면에 미끄럼접촉해서 걸어맞춰지는 바깥쪽 미끄럼접촉편(18)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라이더에 의하면, 뒤쪽을 향해 큰직경원통형사부와 작은직경원통형상부가 동심상으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필심이 송출되어 오는 뒷끝에는 뒤쪽이 벌어진 환상의 간극이 생기게 되고, 그 때문에 필심이 슬라이더를 관통할 때 필심이 이 간극내에 들어가기가 쉬워 필심이 앞쪽으로 유도되기가 어렵게 되고, 그 결과 필심이 부러질 염려가 있었다. 또 이 간극내에 필심가루나 부러진 필심토막 또는 잔존필 심등이 축적되어 슬라이더의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고 하는 결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필심찌꺼기 같은 것이 끼이지 않아 필심의 유도와 필심의 보유지지 및 필심의 송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과 더불어, 고쳐잡지 않고서도 장시간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필심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갖고서 외통의 선구내에 설치되어 소정범위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더본체와, 이 슬라이더본체에 동심상으로 고정되고서, 상기 필심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하게 되는 필심안내부재, 상기 슬라이더본체의 뒤끝외주면에 앞쪽을 향해 동심상으로 접속되고서 상기 선구의 내벽면에 대해 소정의 마찰저항으로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부 및 상기 선구의 내벽면 사이의 마찰저항보다 작은 마찰저항을 상기 필심과의 사이에 부여하는 벌려질 수 있도록 된 필심유도수단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이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슬라이더가 슬라이더본체의 외주에 동심상으로 설치된 미끄럼접촉부를 매개로 선구의 내주면에 대해 충분한 크기의 마찰저항으로 확실하게 미끄럼접촉되어 걸려질 수가 있게 되고, 또 슬라이더본체에 설치된 필심유도부를 매개로 필심이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확실하게 보유지지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슬라이더의 뒷끝면과 미끄럼접촉부의 뒷끝면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간극이 없기 때문에 필심가루나 부러진 필심 또는 잔여 필심같은 것이 들어가는 일이 없어 필심이 원활히 앞쪽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 슬라이더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에서 외통(1)의 앞쪽부위에는 선구(2)가 일체로 설치되고, 또 외통(1)내에는 필심탱크(3)가 동축적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면서 이 필심탱크(3)의 앞끝에는 리이드척(4)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필심탱크(3)의 뒤쪽부위에 접속되어 녹크캡이 외통(1)에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또 리이드척(4)의 앞끝부위에는 척링(5)이 느슨하게 끼워지면서 이 척링(5)의 뒷끝이 외통(1)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쿠션슬리이브(6)의 앞쪽부위에 안쪽을 향해 형성된 플렌지부(6a)와 마주보도록 되어 있다.
이 쿠션슬리이브(6)는 변형될 수 있는 탄성부재로 만들어져 전체가 대략 원통형상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쿠션슬리이브(6)의 뒤끝부위에는 그 몸통부(6b) 외경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걸림부(6c)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걸림부(6c)는 몸통부(6b)에 대해 적당한 탄발력을 발생시키도록, 몸통부(6b)에는 직경방향으로 절결부(6d)가 형성되는 한편, 뒷끝부위에는 축방향으로 긴 절결부(6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걸림부(6c)의 형상은, 쿠션슬리이브(6)를 필심송출기구와 함께 외통(1)내에다 조립할 때 원터치 누름조작으로 외통(1)에 뚫려진 걸림구멍(1a)에 대해 확실하고 원활하게 조립해 넣을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흔들림이 일어나지 않게 걸려지도록 하는 빠짐방지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부(6b)가 걸림구멍(1a)에 지지된 걸림부(6c)에 대해 상기 절결부(6d)의 축방향간극(G)만큼을 한도로 해서 탄성변형되어져, 통상적으로 몸통부(6b)가 앞쪽으로 밀어부쳐져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필심탱크(3)의 앞끝과 쿠션슬라이브(6)의 플랜지부(6a) 사이에는 필심탱크(3)를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척스프링(7)이 장착되어 있다.
또 선구(2)는 앞끝부위에서 원추형상으로 가늘게 되어 있고, 이 앞끝부위에 내주에는 그 내주직경을 달리하기 위한 계단형상으로 되어 단추를 달리하는 걸림면(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앞끝부위의 내주에는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으나 걸림면(8)에 닿게 됨으로써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지는 스토퍼부(9a)를 가진 슬라이더(9)가 수용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9)는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원통형상을 한 슬라이더본체(9b) 및 미끄럼접촉부(9c)로 구성되고서 그 각각의 뒷끝이 동심상으로 일체로 접속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9)는 예컨데 ABS수지나 폴리아세틸과 같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 슬라이더본체(9b)의 중심에는 필심이 관통하는 관통구멍(9d)이 형성되어 필심을 확실하게 안내함과 더블어, 필기도중 그 앞끝이 지면 등에 닿아도 마모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팁부재로 이루어진 필심안내부재(10)가 압입으로 끼워져 있다.
한편 뒤에 설명되듯이 슬라이더(9)의 앞끝에서 필심이 보유지지되도록 된, 구조상 슬라이더본체(9b)의 바깥 쪽에만 필심안내부재가 부착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본 제1실시예의 필심안내부재(10)로서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팁부재로 된 것이 가장 적합하다 하겠다.
또 슬라이더본체(9b)의 앞끝부위에는 필심을 보유지지하기 위한 필심유도부(9e)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 필심유도부(9e)는 앞쪽을 행해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서 그 앞끝에서부터 뒤쪽을 향해 복수의 슬릿(9f)이 형성되고, 앞끝부위 내측에 각각 필심보유지지용 돌출부(9g)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본체(9b)의 뒷끝과 미끄럼접촉부(9c)의 뒷끝이 동심상으로 일체로 접속되어 있는바, 본 제1실시예에서는 미끄럼접촉부(9c)가 앞쪽을 향해 형성된 2개의 미끄럼접촉편으로 이루어져 직경방향으로서의 탄발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미끄럼접촉부(9c)의 뒷끝외경이 선구(2)내에 조립되기전인 자유상태에서는 선구(2)의 내경보다 조금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미끄럼접촉부(9c)의 외주에는 블록부(9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끄럼접촉부(9c)의 외주면이 선구(2)에 내면에 닿아 발생하게 되는 마찰저항이, 필심유도부(9e)의 필심보유지지용 돌출부(9g) 내주면과 필심상이 마찰저항보다 훨씬 크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동작에 대해 제1도를 중심으로 해서 설명한다.
먼저 필심탱크(3)의 뒤쪽부위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쿠션슬리이브(6)가 이동가능영역의 앞 끝에 보유지지되고서, 한쪽 후퇴방향으로 밀려져 있는 리이드척(4)이 척링(5)에 대해 후퇴해 있기 때문에, 리이드턱(4)의 앞끝부위가 필심을 조여 물어잡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도의 상태에서 뒤쪽의 녹크캡(도시되지 않음)으로 필심탱크(3)를 녹크하면, 리이드척(4)도 마찬가지로 척링(5)과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척링(5)이 선구(2)의 계단부(2a)에 닿게 되면, 척링(5)이 벗겨진 상태로 리이드척(4)만 전진해서 필심을 놓아주게 된다.
또 상기 녹크조작을 해제하면, 필심탱크(3)가 리이드척(4)과 함께 후퇴해서 척링(5)이 쿠션슬리이브(6)의 앞끝가장자리에 닿아, 이 위치에서 리이드척(4)의 앞끝을 조여 필심을 보유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조작을 되풀이 하면 필심이 순차적으로 송출하게 되나, 1회의 필심송출조작으로 송출하는 필심의 길이는 척링(5)의 앞끝에서 계단부(2a)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게 된다.
이와 같은 필심송출조작으로 필심을 전진시키는 과정에서는, 필심과 필심유도부(9e)의 필심보유지지용 돌출부(9g)의 마찰저항이 미끄럼접촉부(9c)의 볼록부(9h)와 선구(2)내주사이의 마찰저항보다 작기 때문에, 필심이 필심안내부(10)로부터 전진해서 통상적인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되어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필기도중 필심의 앞끝이 마모되거나 부러진 경우에는, 외통(1)을 그대로 잡은 상태로 나머지 필심을 용지면같은 곳에다 누르면, 필심을 보유지지하고 있는 리이드척(4) 및 필심탱크(3)에 후퇴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해서 이들 부재가 척링(5) 및 쿠션슬리이브(6)와 함께 상기 스토퍼부(6c)가 휘어짐에 따라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하게 된다. 이 후퇴방향으로서의 이동범위는 예컨대 0.5∼1.0mm정도가 되도록 설정해 놓는다.
그런데 미끄럼접촉부(9c) 앞끝의 스토퍼부(9a)가 외통(1)의 걸림면(8)에 걸려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각 부재의 후퇴영역은 그 최대칫수가 G로 된다.
또 필심의 후퇴과정에서 필심의 앞끝이 필심안내부재(10)의 앞끝위치까지 후퇴한 다음 필심안내부재(10)에도 용지면으로 부터 압압력이 작용해서 이 필심안내부재(10)로 슬라이더(9)와 함께 후퇴하게 된다.
그리고 필심이 그 이동범위의 뒷끝까지 이동한 단계에서는 필심과 필심안내부재(10)의 위치는 일치하게 된다.
이어 외통(1)을 용지면에 대한 압입으로부터 해제하면, 걸림부(6c)의 휘어짐에 따른 복원반발력으로 쿠션슬리이브(6)의 몸통부(6b)가 이동가능범위의 앞끝까지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그에 따라 척링(5)이 리이드척(4) 및 이에 보유지지된 필심과 함께 전진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된다.
그러나 필심안내부재(10)는 미끄럼접촉부(9c)의 블록부(9h)와 선구(2)의 내주벽과의 큰 마찰저항 때문에 전진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필심의 앞끝이 필심안내부재(10)의 상기 후퇴량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필심안내부재(10)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필심안내부재(10)가 그 범위의 뒷 끝에 도달할때까지 되풀이될 수 있게 된다. 필심안내부재(10)가 그 이동범위의 뒷 끝에 도달한 후 다시 필심을 돌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필심탱크를 녹크조작해서 통상적인 필심송출조작을 행하게 되는바, 이러한 조작에 따라 리이드척(4)이 필심을 조여 물어잡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고나서 다시 전진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9)의 뒷 끝에 접촉하여 이를 이동범위의 앞끝까지 전진시킨다. 이때 필심은 슬라이더(9)와 함께 같은 양만큼 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필심이 그 앞끝이 필심안내부재(10)의 앞끝과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 상기 녹크조작을 해제하면, 리이드척(4)이 필심 및 필심안내부재(10)를 그 자리에 남겨둔채 후퇴하여 척링(5)과 걸려지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녹크조작하게 되면 앞에서 설명한 동작에 따라 필심을 소정의 길이만큼 전진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제1실시예의 슬라이더는, 필심유도부(9e)가 슬라이더본체(9b)의 앞끝부위에 위치하고 또 관통구멍(9d)내에 요철이 없이 앞끝부위의 필심유도부(9e)까지 내벽이 매끈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자중으로 떨어져 내려온 필심이 관통구멍(9d) 내를 쉽게 전진해서 유도되는 잇점이 있게 된다.
제7도 내지 제1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슬라이더(9)가 필심을 앞끝에서 보유지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반하여 뒷끝에서 보유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본체(9b)가, 필심이 통과하는 관통구멍(9d)를 갖고서 외통(1)의 선구(2)내에 끼워져 소정범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필심안내부(10)는 슬라이더본체(9b)의 뒷끝이 중심으로 고정되고서 상기 필심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더(9)는 슬라이더본체(9b)의 뒷끝외주면에 앞쪽을 향해 동심상으로 접속되면서, 축방향으로 복수의 슬릿(9f)을 갖는 한편, 선구(2)의 내주면에 대해 소정의 마찰저항으로 미끄럼접촉되는 미끄럼접촉부(9c)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본체(9b)의 관통구멍(9d) 앞끝부위에 미끄럼접촉부(9c)와 상기 선구(2)의 내면사이의 마찰저항보다 작은 마찰력을 필심과의 사이에 부여하는 필심보유지지편(9i)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본체(9b) 뒤끝부위의 내주에 형성된 필심유도부(9e)는, 미끄럼접촉부(9c)와 뒷끝에서 연결된 복수의 접속편(9k; 제10도)과, 뒤쪽을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하고서 뒤쪽으로부터 앞쪽을 향하는 복수의 슬릿(9f)이 형성되어, 접속편과(9k)과 구분되어져 그 뒷끝이 미끄럼접촉부(9c)와는 연결되지 않고 정결되어 있는 복수의 필심보유지지편(9i; 제11도)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들 접속편(9k)과 필심보유지지편(9i)이 슬릿(9f)에 의해 갈라져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필심보유지지편(9i)의 뒷끝에는 안쪽을 향해 원호형성을 한 필심보유지지용 돌출부(9g)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필심이 뒤쪽에서 슬라이더(9) 내로 도입될 때 필심이 끼이지 않도록 필심보유지지편(9i)의 외경이 필심유도부(9e) 뒷끝의 필심유도용개구(9j)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필심보유지지편(9i)의 뒷 끝외벽부가 상기 필심유도부(9e)의 뒷 끝에 형성된 필심유도용 개구(9j)의 내주면과 축방향으로 동일면상으로 또는 직경방향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필심이 필심유도용 개구(9j)에 쉽게 유도됨으로써 끼이는 일이 없게되고, 또 필심보유지지편(9i)이 그 뒷끝이 갈라져 있기 때문에, 직경방향으로 쉽게 개구되어 필심을 자연스럽게 보유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동작은, 필심유도부(9e)가 뒷끝부위에 있지만, 필심유도부(9e)가 앞쪽부위에 있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9)의 동작과 거의 마찬가지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필심안내부재(10)로 팁부재는 몰론이고 파이프부재를 쓸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더본체(9b)와 필심안내부재(10)가 별개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본체(9b)에 형성된 슬릿(9f)의 숫자가 도시된 3개 또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또 미끄럼접촉부(9c)의 미끄럼접촉편의 숫자도 2개로 한정되지 않음은 몰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샤이프펜슬용 슬라이더는,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본체의 뒷끝면과 미끄럼접촉부의 뒷끝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간극이 없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필심이 들어가 부러진다거나 필심가루, 부러진 필심, 잔여필심등이 들어가 슬라이더의 작동에 지장을 준다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된다. 더구나 필심의 전진을 쉽게 하도록 필심유도부가 유연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심의 유도와 필심의 보유지지 및 필심의 송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필심이 통과하는 관통구멍(9d)을 갖고서 외통(1)의 선구(2)내에 설치되어 소정범위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본체(9b)와, 이 슬라이더본체(9b)에 동심상으로 고정되고서 상기 필심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관통하는 필심안내부재(10), 상기 슬라이더본체(9b)의 뒷끝외주에 앞쪽을 향해 동심상으로 접속되고서 상기 선구(2)의 내벽면에 대해 소정의 마찰저항으로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부(9c)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9b)의 끝부위에 상기 미끄럼접촉부(9c)와 상기 선구(2)의 내벽면 사이의 마찰저항보다 작은 마찰저항을 상기 필심과의 사이에 부여하는 벌려질 수 있도록 된 필심유도수단(9e)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유도수단(9e)이 상기 슬라이더본체(9b)의 앞끝부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유도수단(9e)이, 앞쪽을 향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서 앞끝이 개방되는 한편 복수의 슬릿(9f)이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유도수단(9e)의 앞끝부위에 안쪽을 향해 필심보유지지용 돌출부(9g)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유도수단(9e)이, 상기 슬라이더본체(9b)의 뒷끝부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유도수단(9e)이, 뒷끝이 상기 미끄럼접촉부(9c)와 접속된 접속편(9k)과 뒷끝을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고서, 그 뒷끝이 갈라져 있는 필심보유지지편(9i)이 교대로 복수개 형성되면서, 이들 필심보유지지편(9i)의 뒷끝외벽부가 상기 필심유도수단(9e)의 뒷 끝에 형성된 필심유도용 개구(9j)의 내주면과 축방향으로 동일면상으로 또는 직경방향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보유지지편(9i)의 뒷끝부위에 안쪽을 향해 원호형상을 한 필심보유지지용 돌출부(9g)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8. 제5항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본체(9b)와 상기필심안내부재(1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2019940030145U 1994-11-15 1994-11-15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970003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145U KR970003358Y1 (ko) 1994-11-15 1994-11-15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145U KR970003358Y1 (ko) 1994-11-15 1994-11-15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728U KR960016728U (ko) 1996-06-17
KR970003358Y1 true KR970003358Y1 (ko) 1997-04-16

Family

ID=1939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145U KR970003358Y1 (ko) 1994-11-15 1994-11-15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3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41B1 (ko) * 2006-06-20 2007-04-18 주식회사 수한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728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707A (en) Side knock type mechanical pencil
US5988913A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JP3466739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KR970003358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US5827000A (en) Writing instrument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US4165941A (en) Mechanical pencil
JP3761504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880002379Y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JPH0347907Y2 (ko)
JP256081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KR940007205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JP2002192881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7368852B2 (ja) ノックリング式筆記具
JPH0440953Y2 (ko)
EP0863023A2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JP202305555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S5855032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H0530945Y2 (ko)
JPS591839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870002713Y1 (ko) 샤아프 펜슬
KR880001861B1 (ko) 필기구
KR100708341B1 (ko) 샤프펜슬의 슬라이더
KR930003576Y1 (ko) 플로터용 샤아프펜슬
KR830001001Y1 (ko) 쌍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