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205Y1 -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205Y1
KR940007205Y1 KR92022550U KR920022550U KR940007205Y1 KR 940007205 Y1 KR940007205 Y1 KR 940007205Y1 KR 92022550 U KR92022550 U KR 92022550U KR 920022550 U KR920022550 U KR 920022550U KR 940007205 Y1 KR940007205 Y1 KR 940007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ead
outer cylinder
frictional resistanc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2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212U (ko
Inventor
요시히데 미츠야
쇼우지 야스니시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 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양행 filed Critical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to KR92022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7205Y1/ko
Publication of KR940012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2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43K21/033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with automatic feed by pressure during use of penc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제1도는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필심노출슬라이더의 1실시예 요부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필심안내부가 없는 슬라이더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5도는 필심안내부가 없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선단캡
11 : 슬라이더 11b : 슬라이더부재
11c : 외통부 11d, 11e : 요철부
11g, 11h : 슬릿 12 : 필심안내부
본 고안은 녹크에 의한 필심송출조작으로 필심을 조출시키는 필심안내슬라이드식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샤아프펜슬은 선단캡앞끝부위에 필심안내부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심안내부의 앞끝으로부터 돌출시켜지는 필심의 길이가, 필심이 부러지기 쉽다는 점에서 거의 일정한 양으로 한정되도록 되어 있어서, 장시간 필기를 하는 경우 빈번히 필기부재의 뒷끝에 설치된 버턴 등을 녹크조작할 필요가 있게 되고, 이러한 필심송출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샤아프펜슬몸체를 고쳐잡아야 하게 되어 필기동작을 중단해야만 하게 됨으로써, 필기능률이 떨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심이 닳은 경우 필심의 마모에 대응해서 필심안내부가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더식 샤아프펜슬이라던가 필심을 지면에 대어 압압함으로써 소정량의 필심을 샤아프펜슬몸체를 고쳐잡지 않고 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샤아프펜슬이 제안되어져 있다.
그러한 예로서는 본 출원인이 기히 제안하여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평3-47907호로 개시된 것과 같이, 필심송출슬라이더를 동심상에 직경이 다른 대소 2가지 원통형상체로 구성시켜 큰직경원통형상체에 의해 샤아프펜슬의 선단캡내주면에 대해 충분히 큰 마찰저항으로 확실하게 미끄럼 접촉하면서 걸려지도록 하고, 작은직경원통형상체에 의해 필심이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확실하게 보유지지되도록 한 필심송출슬라이더가 알려져 있는바, 이와같이 구성됨으로써 부품수가 적어지고 제조비용이 낮춰질 수가 있게 되고, 또 내구성과 필심송출의 윤활성도 향상될 수가 있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심송출슬라이더에 의하면, 큰직경원통형상체와 작은직경원통형상체가 동심상(同心上)으로 일체로 구성되게 됨으로써 슬라이더의 뒷끝면에 환상의 간극이 생기게 되고, 그 때문에 필심을 슬라이더에 삽통시킬때 필심이 이 간극내에 들어가 부러질 염려가 있었다. 또 간극내에 찌꺼기 등이 축적되어 슬라이더의 동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염려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줄이고, 장시간 필기를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확실한 필심송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슬라이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필심이 삽통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외통의 선단캡내에 삽통되어 소정범위내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동심상으로 고정되어 상기 필심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삽통되는 필심안내부를 구비한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더부재의 뒷끝외주에 동심상(童心上)으로 접속되면서 축방향으로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선단캡의 내주면에 대해 소정의 마찰저항으로 미끄럼접촉하는 외통부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더부재의 관통구멍 내주면에 상기 외통부의 외주면과 상기 선단캡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저항보다 작은 마찰저항을 상기 필심과의 사이에 부여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슬라이더부재의 외주에 설치된 외통부를 매개로 선단캡 내주면에 대해 충분히 큰 마찰저항으로 확실하게 미끄럼접촉으로 걸려질 수가 있게 되는 한편, 슬라이더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매개로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필심이 확실하게 보유지지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부재와 외통부의 뒷끝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부러진 필심조각이나 닳고 남은 필심 또는 필심가루나 먼지같은 것이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 슬라이더의 1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중 참조부호 1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외통으로서, 이 외통(1)에는 선단캡(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1)내에는 필심파이프(3)의 앞끝에 리이드척(4)이 연장설치되어 있는 한편, 필심파이프(3)의 뒷끝에는 도시되지 않은 받침부재가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맞춰져, 이 받침부재에 지우개고무가 수용되어 있다.
또, 리이드척(4)의 앞끝부위는 척링(7)의 중심을 관통하게 되면서 이 척링(7)의 뒷끝이 외통(1)내에 축방향이동할 수 있는 쿠션슬라이브(8)의 앞부위인 플렌지부(8a)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쿠션슬리이브(8)는 변형될 수 있는 예컨대, 폴리아세탈이나 기타의 변형가능한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전체가 원통형상을 하게 되고, 뒷끝부위에는 그 몸통부(8b)의 외경보다 바깥으로 돌출된 스톱퍼부(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톱퍼부(8c)가 몸통부(8b)에 대해 적당한 가요탄발력을 발생하도록 몸통부(8B)에 절결부(8d)가 형성되는 한편, 뒷끝부위에는 축방향으로 길게 절결된 절결부(8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톱퍼부(8c)의 형상은, 쿠션슬리이브(8)를 필심송출기구와 함께 외통(1)내에 조립해 넣을 때, 한번의 밀어넣는 조작으로 외통(1)에 뚫려진 걸림구멍(1a)에 대해 확실하고 쉽게 끼워짐과 더불어 흔들림도 생기지 않도록 걸려져 빠지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부(8b)는 걸림구멍(1a)에 지지된 스톱퍼부(8c)에 대해 상기 절결부(8d)의 축방향간격 G만큼을 한도로 탄발변위되고, 통상시에는 몸통부(8b)가 앞쪽으로 밀어부쳐지게 된다. 또 필심파이프(3)의 앞끝과 쿠션슬리이브(8)의 플렌지부(8a) 사이에는 필심파이프(3)를 앞쪽으로 밀어부치는 척조임용 스프링(9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선단캡(2)은 앞끝부위가 원추형상으로 가늘어지도록 되면서 그 앞끝부위내주면에는 내주직경을 달리하는 경사형상의 계단부인 걸림면(10)이 형성되고, 또 이 앞끝부위 내주에는 축방향으로의 미끄럼이동은 할 수 있으나 걸림면(10)에 의해 앞쪽방향변위가 규제되어지는 스톱퍼면(11a)을 가진 슬라이더(11)가 수용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1)는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략 원통형상을 한 슬라이더부재(11b) 및 외통부(11c)로 구성되면서, 이들 각각의 뒷끝이 동축상에서 일체로 접속시켜진 합성수지제의 일체성형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의 합성수지로서는 ABS 수지나 폴리아세탈등이 쓰여지게 된다. 또 슬라이더부재(11b)의 중심운 필심이 삽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부재(11b)의 앞끝쪽에는 소정길이의 리브(11bb)가 돌출형성되어, 필심을 통과시키기 위한 필심안내부(12)가 압입등에 의해 끼워맞춰져 있다. 여기서 리브(11bb)는 슬라이더부재(11b)의 전체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슬라이더부재(11b)와 필심안내부(12)가 극히 원활하게 끼워맞춰질 수 있게 된다.
또 슬라이더부재(11b)의 내주면에는 나사형상의 요철부(11e, 11d)가 형성되어 있어서, 삽통되는 필심의 축방향 이동에 대해 소정의 마찰저항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부재(11b)의 뒷끝면에는 중심을 향해 경사진 테이퍼면(11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부재(11b)의 뒷끝면에는 외통부(11c)의 뒷끝이 동심상으로 일체로 접속되어져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외통부(11c)에는 3개의 슬릿(11g)이 축방향으로 앞끝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 슬라이더부재(11b)에도 3개의 슬릿(11h)이 축방향으로 뒷끝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슬릿(11g, 11h)에 의해 슬라이더부재(11b) 및 외통부(11c)가 반경방향으로의 탄발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 외통부(11c)의 외주에는 간격을 두고 돌기(11i)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부(11c)의 외주면이 선단캡(2)의 내주면에 닿아 발생하는 마찰저항은 슬라이더부재(11b)의 요철부(11e, 11d)의 내주면과 필심사이의 마찰저항보다 훨씬 크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슬라이더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필심파이프(3)의 뒷쪽부위에 앞쪽으로 외력이 작용되고 있지않은 상태에서는, 쿠션슬리이브(8)가 그 이동가능영역의 앞끝에 유지되는 한편, 후퇴방향으로 밀어부쳐져 있는 리이드척(4)이 척링(7)에 후퇴하기 때문에, 리이드척(4)의 앞끝부위가 필심을 물어잡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도의 상태에서 지우개 고무쪽에서 필심파이프(3)를 녹크하면, 리이드척(4)도 마찬가지로 척링(7)과 함께 앞쪽으로 이동해서 척링(7)이 선단캡(2)의 계단부(2a)에 닿게 되어, 이 척링(7)을 남겨두고 리이드척(4)만 전진하여 필심의 물어잡음을 해제하게 된다.
또 상기 녹크조작을 해제하면 필심파이프(3)가 리이드척(4)과 함께 후퇴해서 척링(7)이 쿠션슬리이브(8)의 앞가장자리에 닿게 되고, 이 위치에서 리이드척(4)의 앞끝을 조여 필심을 보유지지하게 됨으로써, 필심파이프(3)의 후퇴가 저지되게 된다. 이러한 조작을 되풀이하게 되면 필심이 순차로 송출되고, 1회의 필심송출조작으로 송출되는 필심의 길이는 척링(7)의 앞끝에서 계단부(2a)까지의 거리와 대략 같게 된다.
이와 같은 필심송출조작으로 필심을 전진시키는 과정에서는, 필심과 요철부(11e, 11d)의 마찰저항이 돌기(11i)와 선단캡(2)의 내주면의 마찰저항보다도 자기 대문에, 필심이 펄심안내부(12)로부터 앞으로 나가 통상의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후단녹크를 해제할 때 리이드척(4)이 척링(7)에 맞춰지는 순간 필심이 약간 뒤로 움직이려 할 경우 슬라이더(11)에 돌기(11i)가 존재하기 때문에 슬라이더(11)가 흔들리지 않게 되는바, 즉 후단녹크시에 슬라이더(11)가 전후로 움직이는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한편, 필기도중 필심의 앞끝이 마모되거나 부러진 경우에는, 외통(1)을 그대로 잡은 상태에서 나머지 필심을 지면등에 대고 누르면, 필심을 보유지지하고 있는 리이드척(4) 및 필심파이프(3)에 후퇴방향의 힘이 작용해서, 이들 부재가 적링(7) 및 쿠션슬라이브(8)와 함께 상기 스톱퍼부(8c)의 휘어짐에 의한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하게 된다. 이 후퇴방향으로의 이동범위는 예컨대 0.5∼1.0㎜ 정도로 설정해 놓는다.
그런데 상기 스톱퍼부(8c)는 외통(1)의 걸림구멍(1a)에 걸어맞춰져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각 부재의 후퇴영역은 최대한의 칫수가 G가 된다. 또 필심의 후퇴과정에서 필심의 앞끝이 필심안내부(12)의 앞끝위치까지 후퇴한 다음 필심안내부(12)에도 지면으로부터의 압압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 필심안내부(12)도 슬라이더(11)와 함께 후퇴하게 된다. 그리고 필심이 그 이동범위의 후단까지 이동한 단계에서는 필심과 필심안내부(12)의 위치가 일치해 있게 된다.
이에 외통(1)을 지면으로 향한 압압력을 해제하면, 스톱퍼부(8c)의 휘어짐에 따른 복원언반발력으로 쿠션슬리이브(8)의 몸통부(8b)가 이동가능 범위의 앞끝까지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척링(7)이 리이드척(4) 및 이 보유지지된 필심과 함께 전진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게 된다.
그러나 필심안내부(12)는 돌기(11i)와 선단캡(2)과의 콘마찰저항 때문에 전진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필심의 앞끝이 필심안내부(12)의 상기 후퇴량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필심안내부(12)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 동작은 필심안내부(12)가 그 이동범위의 뒷끝에 도달할 때까지 되풀이될 수 있게 된다.
펄심안내부(12)가 그 이동범위의 뒷끝에 도달한 다음 다시 필심을 돌출시킬 필요가 생기는 경우에는, 필심파이프(3)를 녹크조작해서 통상의 필심송출조작을 행하게 되는바, 이러한 조작에 따라 리이드척(4)이 필심의 물어잡음을 해제하고나서 다시 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11)의 뒷끝에 접촉하여 이를 이동범위의 앞끝까지 전진시킨다. 이때 필심이 슬라이더(11)와 함께 같은량으로 전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필심의 앞끝이 필심안내부(12)의 앞끝과 일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 상기 녹크조작상태를 해제하면 리이드척(4)이 필심 및 필심안내부(12)를 그 위치에 남긴채 후퇴해서 척링(7)과 걸어맞춰진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녹크조작하게 되면 앞에서의 설명과 같이 동작하여 필심을 소정길이만큼 전진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슬라이더가 채용된 샤아프펜슬은, 필심안내부(12)가 후퇴한 위치에 있을대는 녹크조작하지 않고 단지 필심의 앞끝을 지면등에 대고 누르는 것만으로 필심을 소정길이로 돌출시킬 수가 있고, 또 종래와 같이 원통체 및 고무와 같은 마찰부재를 사용치 않고 1개의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된 슬라이더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져서 조립작업이 간편해지게 된다.
또 본 고안 슬라이더(11)는 대략으로 값싸게 제조할 수 있음과 더불어 짧아도 되기 때문에 샤아프펜슬의 전체길이를 짧게 하는데에도 역할하고, 특히 필심안내부(12)의 이동가능영역만큼 필심이 소비되는 사이에 녹크조작으로 필심을 송출해야할 필요가 없어서, 고쳐잡지 않고 계속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기중에 과도한 압력이 필심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스톱퍼부(8c)의 탄발작용으로 필심이 탄성적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필심의 부러짐이 유효하게 방지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1)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부재(11b)와 외통부(11c)의 각 뒷끝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필심이 들어가 부러진다거나 찌꺼기등이 들어가 슬라이더(11)의 작동에 지장이 생긴다던가 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부재(11b) 및 외통부(11c)에 각각 형성된 슬릿(11h, 11g)의 숫자는 제3도에 도시된 3개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에 의하면, 슬라이더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부재와 외통부의 각 뒷끝면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필심이 들어가 부러진다거나 찌꺼기가 들어가 슬라이더의 작동에 지장이 생긴다던가 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특히 실수로 샤아프펜슬올 떨어뜨린 경우 그 충격으로 필심이 부러진다 하더라도 부러진 필심이 슬라이더에 끼어 다음의 필심이 나오지 않게 되는 일도 없게 된다.

Claims (2)

  1. 필심이 삽통되는 관통구멍을 갖고서 외통(1)의 선단캡(2)내에 삽통되어 소정범위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더(11)와, 이 슬라이더(11)에 동심상으로 고정되어 상기 필심이 미끄럼이동하도록 삽통되는 필심안내부(12)를 구비한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스라이더(11)가, 슬라이더부재(11b)의 뒷끝외주에 동심상으로 접속되면서 축방향으로 다수의 슬릿(11g)이 형성되어 상기 선단캡(2)의 내주면에 대해 소정의 마찰저항으로 미끄럼 접촉하는 외통부(11c)가 설치됨과 더블어, 상기 슬라이더부재(11b)의 관통구멍 내주면에 상기 외통부(11c)와 상기 선단캡(2)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저항보다 작은 마찰저항을 상기 필심과의 사이에 부여하는 요철부(11e, 11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1)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부재(11b)의 관통구멍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11e, 11d)가 나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92022550U 1992-11-17 1992-11-17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KR940007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550U KR940007205Y1 (ko) 1992-11-17 1992-11-17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2550U KR940007205Y1 (ko) 1992-11-17 1992-11-17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212U KR940012212U (ko) 1994-06-18
KR940007205Y1 true KR940007205Y1 (ko) 1994-10-14

Family

ID=1934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2550U KR940007205Y1 (ko) 1992-11-17 1992-11-17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72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212U (ko) 199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0870A (en) Mechanical pencil with chuck closing by normal writing grip
US4382706A (en) Mechanical pencil
US4171170A (en) Automatic pencil
KR940007205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US4275971A (en) Mechanical pencil
JP3466739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US7588383B2 (en) Mechanical pencil
JP256081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KR880002379Y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 슬라이더
KR970003358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JPH0347907Y2 (ko)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US4165941A (en) Mechanical pencil
JPH0344549Y2 (ko)
KR900003504B1 (ko) 필심자동송출식 샤아프펜슬
JPH061833Y2 (ja) 自動繰り出し式シャープペンシルの芯ガイドパイプ間歇移動装置
JPS641106Y2 (ko)
JP7209162B2 (ja) 消しゴム付きノック式筆記具
JPH081908Y2 (ja) 出没式筆記具
JPH0118386Y2 (ko)
JPS591839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830000485Y1 (ko) 샤프펜슬
JPS63319200A (ja) シヤ−プペンシル
EP1018441A1 (en) Autommatic mechanical pencil
KR830001001Y1 (ko) 쌍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