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787A - 적층 트레이 스택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 트레이 스택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4787A KR20020014787A KR1020017013082A KR20017013082A KR20020014787A KR 20020014787 A KR20020014787 A KR 20020014787A KR 1020017013082 A KR1020017013082 A KR 1020017013082A KR 20017013082 A KR20017013082 A KR 20017013082A KR 20020014787 A KR20020014787 A KR 200200147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ck
- lift
- support
- support member
- slo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예를 들면 포크의 2개의 프롱과 같은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 평면에서 이동 가능한 리프트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리프트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스택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작업동안,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리프트 부재에 대해 대략 수직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짧은 거리 이상에 걸쳐 상기 리프트 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부재, 및 상기 스택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동작 동안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수직 평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작은 각도 이상에 걸쳐 상기 지지 부재를 자유롭게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류되어진 계란, 채소 혹은 과일과 같은 제품을 운반하기 위해, 트레이가 보통 사용된다. 이 트레이들은 상술한 제품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가요성 소재로 제조된다. 또한, 이러한 소재에 의해 임의의 원하는 형상이 매우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의 네스트(nest)와 에지(edge) 사이에 형성되는 채널은 또한 향상된 방법으로 이러한 트레이들을 쌓아올릴 수 있게 하며, 보통 6개의 적층된 트레이가 형성된다. 또한, 포크들은 하나 이상의 트레이를 상승시키기 위해 채널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보다 덜 균형잡힌, 즉, 전체적으로 수직이 아닌 스택 구조물이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것은 쌓아올릴 때 및 그 후의 몇몇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습기가 일부 트레이를 쳐지게 만들 때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의 스택(stack)을 픽업할 때와 또한 서로의 상면 위에 옮길 때 문제를 일으키게 한다. 후자의 경우는 예를 들면, 받침대(pallet)를 적재하는 경우가 될 수도 있다.
스택을 운반하기 위해 포크(fork)를 사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비스듬하게 쌓여진 스택 특히 적재 상태의 받침대를 이동시키는 것은 DE 2935553에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포크 리프트 장치(fork lifting device)가 도시되어 있는데, 포크를 형성하며 수평으로 고정 지향된 프롱(prong)의 각각은 경사지게 위치된 받침대가 픽업되고 내려놓아질 수 있게, 필요하다면, 이러한 동작을 경사지게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삽입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각 프롱 베어링 아암(prong-bearing arm)은, 잘 규정된 수직 범위를 넘어, 일반적으로 너무 크지 않게, 삽입시 장애가 없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삽입 높이가 정해지도록 대응하는 수직 상승 가이드에 연결된다. 특히, 프롱과 아암의 후크형 구조는 평행 사변형 연결법에 따라 전술한 상승 가이드에 결합된다. 또한, 그 정지 위치 혹은 비작동 위치로부터 프롱이 이동하는 동안 적재된 프롱을 약간 후방으로 위치시키고,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조물 자체의 무게를 크게 보상하는 바이어스 힘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비스듬하게 위치된 받침대의 경우에 있어서는, 불안정한 높이로 삽입된 프롱은 예를 들면 받침대 플랫포옴의 층들 중 하나에 대고 가압되고, 그 후에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상승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롱은 트레이를 픽업하고 내려놓는 것에 대해 부족한 점이 있다. 트레이 스택을, 전체적으로 수직이 아닌 상태로 당해 트레이 스택 아래에 위치된 하부 트레이 스택으로부터 픽업하고, 하부 트레이 스택에 내려놓는 각각의 동안에, 수평 상태로 되어 있고 받침대(pallet)와 같이 대체로 강성이 있는 구조물을 운반하는 데 적절하게 된 프롱은 미끄러지고 빠져버리면서, 불안정한 삽입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품, 포장품 혹은 짐 스택(stack)을 옮기기 위한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상기 스택의 픽업(pick up), 운반, 내려놓기 작업 동안 상기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예를 들면 포크의 2개의 프롱과 같은 것으로서 상기 픽업 동안 상기 스택의 일측의 상기 스택의 하부에서 미끄럼 운동하고, 상기 내려놓기 동안 상기 스택의 일측에서 상기 스택의 하부로부터 빠져 나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체;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 평면에서 이동 가능한 리프트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리프트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이동이 발생하는 수직 평면을 따라 도 1의 I-I선에서 취해진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서로 다르게 배치된 2개의 스택의 측면도.
도 5는 서로 다르게 배치된 트레이 스택 층들을 갖는 받침대를 도시한 도.
도 6은 동일하게 배치된 2개의 스택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상세도.
도 8은 도 4의 상세도.
트레이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동작 동안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스택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작업동안,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리프트 부재에 대해 대략 수직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짧은 거리 이상에 걸쳐 상기 리프트 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부재; 및
상기 스택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동작 동안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수직 평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작은 각도 이상에 걸쳐 자유롭게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장치에 의해,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위치되어 있지 않은 스택의 상면으로부터의 픽업 혹은 그 상면에 내려놓기를 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 혹은 프롱이 그 후 존재하는 지지면에 접촉하여, 스택의 강제적인 가압 혹은 프롱의 강제 삽입 혹은 제거가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해 새로운 스택 구조물이 추가로 불안정하게 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다른 장점은 계란, 과일 혹은 채소와 같은 부서지기 쉬운 제품으로 채워진 트레이의 경우, 이러한 제품들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프트 장치는 상기 부재들이,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된 2개의 미끄럼 핀과, 미끄럼 슬롯을 포함하여, 상기 스택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동작 동안,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직선 슬롯이 형성되고, 회전 운동에 대해 약간 상측으로 벌어지는 슬롯이 형성되도록, 상기 핀의 이동이 상기 미끄럼 슬롯 내에서 안내되는 것으로 특징된다.
핀과 슬롯의 이러한 조합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및 회전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쉽게 얻어진다. 스택의 픽업 동작 동안 프롱은 쉽게 채널에 맞추어질 수 있고, 스택의 내려놓기 동작 동안, 지지 부재 혹은 프롱은 저항없이 제거될 수 있어서, 그 후 프롱은 그 자중에 의해 비동작 위치 혹은 정지 위치로 천천히 돌아온다.
도 1은 리프트 장치(10), 특히, 예를 들면 조절 스크류(13)에 의해 연결장치(1)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 바(12)를 갖는 수직 리프트 부재(11)의 사시도이다. 설치 블록(4)에 의해, 하우징(3)을 갖는 이 연결장치(1)는 지지 부재(2)에 이동 가능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지지 부재, 즉 프롱(2)은 지지면, 구체적으로는 포크를 구성하며, 이것에 의해 스택 혹은 짐들은 리프트 장치(11)의 이동에 따라 상측 혹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한 수직 평면에 따른 단면을 표시 방향 (I)에서 본 도면을 제공하는데, 이 수직 평면에서는 포크(20), 구체적으로는 단일 지지 부재 혹은 프롱(2)의 대략적인 수직 이동이 화살표 방향(A)으로 일어난다.
지지 바(12)에는 연결장치(1)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장치의 하우징(3)에 위치된 것은 지지 바(12)를 위한 안내 통로로서, 하우징(3)은 지지 바 위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고, 조절 스크류(13)에 의해 원하는 폭방향 거리에 고정될 수 있다. 그 하부 측에는, 지지 부재, 즉 프롱(2)이 설치 블록(4) 상의 자신의 수직 부분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도 2는 이 프롱(2)의 비동작 위치 혹은 정지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수직 부분에는 2개의 안내핀, 즉, 상부 안내핀(5a) 및 하부 안내핀(5b)이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5a, 5b)은 전술한 수직 평면에 수직으로 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4)에는 수직부(6)와 상측으로 넓어지는 혹은 벌어지는 부분(7)을 갖는 미끄럼 슬롯이 형성된다. 핀(5a, 5b)은 이 미끄럼 슬롯에서 자유롭게 상측 및 하측으로 미끄럼 운동 할 수 있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또한, 상측으로 미끄럼 운동하면, 핀(5a)은 부분(7)에서 끝나게 되고, 가압 방향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으로 회전 혹은 기울어질 수 있다. 회전각 혹은 경사각은 부분(7)의 벌어지는 정도와 상부핀(5a)의 크기에 의해 규정된다.
도시된 상황에서는, 프롱(2)은 그 최하 위치, 정지 위치 즉, 비동작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부분(7)이 대칭이 아니라, 즉 이 높이에서 좌측편이 우측편 보다 빨리 넓어지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구조는 프롱(2)의 끝이 가압 동작에서 면에 접촉하자마자, 핀들이 미끄럼 슬롯에 얹혀져 있지 않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핀(5a)의 높이에서 넓어지는 것이 시작되고, 프롱(2)은 즉시 기울어지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프롱에 부하가 걸리지 않았을 때, 프롱은 자중에 의해 우측으로 기울어 우측 부분에 부딪히고, 직선 부분(6)의 약간 높은 위치에머물게 된다.
도면 및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면, 동작, 예를 들면 내려놓기 동안의 동작이 다음과 같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스택이 포크에 얹혀지면, 프롱(2)은 그 최하측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러한 위치는 대략 이 스택의 무게에 의해 프롱이 슬롯에서 하측으로 가압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가정되는 것이다. 스택이 다음 스택 위에 위치되자 마자, 프롱(2)의 끝은 내려놓기 동작 동안 약간 상승하고, 도 2에 따라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기초를 이루는 트레이 스택이 대략 수직으로 되어 있으면, 그 최상측에 위치된 트레이들은 그 에지에 의해 정확하게 맞춰져 위치되고, 그 후, 프롱(2)은 그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그 자중에 의해, 프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비동작 위치 혹은 정지 위치로 천천히 되돌아 올 것이다.
한편, 기초를 이루는 스택이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예를 들어 5°정도 기울어 있으면, 프롱(2)의 끝은 내려놓기 동작을 하자 마자, 최초에는 약간 상측으로, 또한 허용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을 것이다. 미끄럼 슬롯의 부분(7)에서의 이와 같은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프롱은, 나아가 스택은 기초를 이루는 스택의 경사진 최상면의 방향으로 그 자신들을 맞출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트레이는 그 에지에 의해 맞추어 위치될 것이고, 그 때문에 포크의 프롱은 방해없이 혹은 다른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빠져나올 수 있다.
미끄럼 슬롯의 크기 조정은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2는 부분(7)이 전체적으로 대칭이 아니며, 프롱의 수직 부분의 축에 대해 계산된 발산각이 약 20°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조절 슬롯의 부분(6)의 높이는 수 센티미터(a few centimeters)이고, 부분(7)의 발산각은 40°보다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보다 크지 않는 것이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절 스크류에 의해 지지 바(12)에 설치되는 대신, 하우징(3)은 지지 바(12) 위로 신축자재(telescopically)로 미끄럼 가능한 지지체, 즉 튜브(14) 위에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각각은 이 튜브 상에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튜브(14)가 미끄럼 운동하는 동안 얻어지는 효과는, 하우징 사이에, 나아가 프롱(2) 사이에 불변 상호 거리가 유지되면서, 각 프롱(2)의 삽입 위치가 그에 따라 조절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트레이 혹은 계란용 트레이 스택을 쌓거나 꺼내기에 매우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통상적으로 6개의 트레이로 된 스택이 형성된다.
이 트레이들은 직사각형 혹은 정사각형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트레이들은 2개의 서로 다른 측면을 갖는다. 소위 P측으로 불리는 쪽에서, 트레이의 제품군들은 소위 Q측으로 불리는 쪽에서와는 다른 위치에 위치된다. 서로의 상측에 쌓여진 보통 6개의 트레이로 구성된 트레이 스택 내에서, 트레이는 보통 동일한 배치를 갖는다. 구체적인 하나의 측면도로부터, 이러한 스택은 P스택 혹은 Q스택으로 언급된다. 다수의 스택이 나란히 하나의 층을 형성한다. 층에서 스택의 배치에 따라, 층은 PQP층, PPP층 혹은 QQQ층으로 언급된다. 도 5는 PPP층및 QQQ층이 교대로 배치된 6개 층의 스택이 적재된 받침대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쌓아올림은 큰 안정성을 부여한다. 종종, 스택의 한 층은 소위 커버 트레이로 불려지는 채워지지 않은 하나의 트레이와, 보통 주름진 판으로 되어 있고 중간 시트로 기능하여 스택의 층들에 보다 견고함을 제공하는 시트에 의해 추가적으로 덮혀진다. PPP층 및 QQQ층의 교대 배치 혹은 QPQ층 위에 PQP층을 교대로 배치하면 매우 안정적인 트레이 스택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 시트의 휘어짐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2개가 동일하게 배치되는 스택을 쌓아올리는 동안의 중간 시트의 휘어짐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은 도 6에 도시된, 동일하게 배치되는 2개의 P층을 쌓아올리는 것을 상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도 4의 상세도인데, 여기에는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2개의 층들이 서로의 위에 쌓여져 있다. 도 8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반대되는 것으로서 중간 시트가 전혀 휘어지지 않은 것을 분명하게 볼수 있다. 전술한 트레이의 서로 다른 측면(lateral side)에 기인하여, P 트레이 스택이 픽업될 때, 지지체의 핀(2)은 Q 트레이 스택이 픽업될 때와는 다른 위치를 선택하여야만 할 것이다. 핀의 이러한 위치 차가 도 4에 분명히 보여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적층되는 스택을 만들거나 혹은 스택을 해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신축자재식 미끄럼 튜브(14)는 큰 장점을 갖는다.
지지 바(12) 상에서의 튜브(14)의 이동은 튜브에 설치된 핀(15)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스택 다음에 Q스택을 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 각각에 있어서, 핀(15)은 핀이 측방향 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위치결정 슬롯을 통과할 수 있다. 적절하게 설계된 슬롯 패턴으로 된 판들이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리프트 장치가 일부를 구성하는 리프트 스테이션(lift station)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자동제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또한 튜브는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혹은 도시된 핀(15)에 의해서가 아닌 다른 튜브(14) 이동 방법이 뒤따를 수 있다. 또한, 상승 조작 동안 튜브를 제 위치에 두기 위해, 거리에 따른 어느 정도의 마찰이 극복될 수 있게 특정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및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수동 조작 및 자동 제어의 두 가지 모두에 있어, 경고신호 및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높이 혹은 각도가 허용 설정 범위를 벗어났을 때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 상품, 포장품, 혹은 짐의 스택을 옮기기 위한 리프트 장치로서,상기 스택의 픽업(picking up), 운반, 내려놓기 작업 동안 상기 스택을 지지하기 위한 예를 들면 포크의 2개의 프롱과 같은 것으로서 상기 픽업 동안 상기 스택의 일측의 상기 스택의 하부에서 미끄럼 운동하고, 상기 내려놓기 동안 상기 스택의 일측에서 상기 스택의 하부로부터 빠져 나오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고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체;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직 평면에서 이동 가능한 리프트 부재; 및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리프트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상기 연결장치(1)는상기 스택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작업동안, 상기 지지 부재(2)를 상기 리프트 부재에 대해 대략 수직 상측 방향으로 적어도 짧은 거리 이상에 걸쳐 상기 리프트 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부재(5a, 5b, 6); 및상기 스택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동작 동안 상기 지지 부재(2)가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지지 부재(2)를 상기 수직 평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작은 각도 이상에 걸쳐 자유롭게 회전시키기 위한 제2 부재(5a, 5b, 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리프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부재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된 2개의 미끄럼 핀(5a, 5b)과 미끄럼 슬롯(6, 7)을 포함하여, 상기 스택의 픽업 혹은 내려놓기 동작 동안,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직선 슬롯(6)이 형성되고, 회전 운동에 대해 약간 상측으로 벌어지는 슬롯(7)이 형성되도록, 상기 핀의 이동이 상기 미끄럼 슬롯 내에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방향에 대해 계산된 상기 벌어지는 슬롯(7)의 발산각은 0°내지 20°사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슬롯(6, 7)은 상기 리프트 부재(11)의 상기 지지체(12)에 설치된 하우징(3)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4항에 있어서,하우징(3)이 상기 지지체(12)에 대해 이동 가능한 튜브(14)에 설치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 제5항에 있어서,핀(15)이 상기 튜브(14)에 설치되어, 위치결정 슬롯을 통해 미끄럼 운동하는 동안 상기 지지체(12)에 대해 상기 튜브의 측방향 변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99201110.6 | 1999-04-14 | ||
EP99201110 | 1999-04-14 | ||
EP99202719.3 | 1999-08-24 | ||
EP99202719 | 1999-08-24 | ||
PCT/NL2000/000242 WO2000061487A1 (en) | 1999-04-14 | 2000-04-14 | Lifting device for layers of tray stack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4787A true KR20020014787A (ko) | 2002-02-25 |
Family
ID=2615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3082A KR20020014787A (ko) | 1999-04-14 | 2000-04-14 | 적층 트레이 스택 리프트 장치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6502878B1 (ko) |
EP (1) | EP1169260B1 (ko) |
JP (1) | JP4815056B2 (ko) |
KR (1) | KR20020014787A (ko) |
CN (1) | CN1110443C (ko) |
AU (1) | AU772588B2 (ko) |
CA (1) | CA2369571A1 (ko) |
DE (1) | DE60005322T2 (ko) |
DK (1) | DK1169260T3 (ko) |
MY (1) | MY125525A (ko) |
PL (1) | PL197923B1 (ko) |
RU (1) | RU2238237C2 (ko) |
WO (1) | WO200006148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5923B1 (ko) * | 2002-03-25 | 2007-02-2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07772B1 (fr) * | 2006-10-31 | 2009-01-16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Dispositif de suspension muni d'un systeme anti rotation |
US8282075B2 (en) * | 2009-09-30 | 2012-10-09 | Gray Manufacturing Company, Inc. | Adjustable carriage assembly |
WO2011129699A1 (en) | 2010-04-15 | 2011-10-20 | Fps Food Processing Systems B.V. | Fork for transporting a load, and a robot and a use |
JP6124855B2 (ja) * | 2014-09-30 | 2017-05-10 | 株式会社ナベル | 卵の出荷管理システム、卵の選別施設及び卵の出荷管理方法 |
CN105384116A (zh) * | 2015-12-12 | 2016-03-09 | 陕西中汽专用汽车有限公司 | 油田小型多功能工程车 |
CN105329814A (zh) * | 2015-12-12 | 2016-02-17 | 陕西中汽专用汽车有限公司 | 油田小型抓举车 |
CN107363824A (zh) * | 2017-07-21 | 2017-11-21 | 重庆奥沃斯机器人有限公司 | 机械手臂 |
US10654545B1 (en) * | 2017-09-14 | 2020-05-19 | Coastal Cargo Company,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plurality of cargo units with cavities |
JP6693982B2 (ja) * | 2018-02-23 | 2020-05-13 | ファナック株式会社 | 物体の輸送に用いられる輸送具 |
CN116002570B (zh) * | 2023-03-23 | 2023-06-20 | 射阳县高新科技创业园有限公司 | 一种物料堆垛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14150A (en) * | 1965-08-17 | 1968-12-03 | Eaton Yale & Towne | Scissors extender |
FR2305385A1 (fr) * | 1975-03-24 | 1976-10-22 | Fenwick Manutention Ste Indle | Chariot transporteur a fourche a prise laterale |
US4024973A (en) * | 1975-08-28 | 1977-05-24 | Tci Power Products, Inc. | Forklift truck with selectively connectable mast |
JPH0675435B2 (ja) * | 1985-12-23 | 1994-09-21 | 松下電工株式会社 | 負荷制御システム |
JPS62147696U (ko) * | 1986-03-12 | 1987-09-18 | ||
DE3840748A1 (de) * | 1988-12-03 | 1990-06-07 | Dickertmann Ag | Vorrichtung zum einstellen von lastaufnehmenden gabelzinken in eine schraeg nach oben gerichtete tragstellung |
DE19539947B4 (de) * | 1995-10-26 | 2005-03-31 | Linde Ag | Flurförderzeug mit einem Hubgerüst |
US6062620A (en) * | 1998-08-25 | 2000-05-16 | Eaton Corporation | Spreader bar |
-
2000
- 2000-04-14 CN CN00808995A patent/CN1110443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14 KR KR1020017013082A patent/KR20020014787A/ko active IP Right Grant
- 2000-04-14 MY MYPI20001595A patent/MY125525A/en unknown
- 2000-04-14 CA CA002369571A patent/CA236957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4-14 PL PL351174A patent/PL197923B1/pl unknown
- 2000-04-14 EP EP20000921170 patent/EP116926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14 JP JP2000610772A patent/JP4815056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14 WO PCT/NL2000/000242 patent/WO2000061487A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0-04-14 AU AU41515/00A patent/AU772588B2/en not_active Ceased
- 2000-04-14 DE DE60005322T patent/DE60005322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14 US US09/958,485 patent/US6502878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14 DK DK00921170T patent/DK1169260T3/da active
- 2000-04-14 RU RU2001130691A patent/RU2238237C2/ru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5923B1 (ko) * | 2002-03-25 | 2007-02-2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238237C2 (ru) | 2004-10-20 |
JP4815056B2 (ja) | 2011-11-16 |
EP1169260B1 (en) | 2003-09-17 |
EP1169260A1 (en) | 2002-01-09 |
DE60005322T2 (de) | 2004-06-24 |
DE60005322D1 (de) | 2003-10-23 |
AU4151500A (en) | 2000-11-14 |
CA2369571A1 (en) | 2000-10-19 |
AU772588B2 (en) | 2004-04-29 |
PL351174A1 (en) | 2003-03-24 |
WO2000061487A1 (en) | 2000-10-19 |
PL197923B1 (pl) | 2008-05-30 |
CN1110443C (zh) | 2003-06-04 |
DK1169260T3 (da) | 2004-01-05 |
JP2002541042A (ja) | 2002-12-03 |
CN1355765A (zh) | 2002-06-26 |
MY125525A (en) | 2006-08-30 |
US6502878B1 (en) | 2003-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02195A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piling up flat elements | |
US4592692A (en) | Pallet loading apparatus | |
JP5886436B2 (ja) | トレイ把持部ヘッド | |
US478781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tacks of loose sheet material | |
KR20020014787A (ko) | 적층 트레이 스택 리프트 장치 | |
EP0960843B1 (en) | Depalletizer collector belt assembly | |
US5079903A (en) | Gripping head for loading packages into crates | |
US5788461A (en) | Automatic depalletizer | |
US500778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stacks of trays | |
US4917559A (en) | Method and apparatus of loading or unloading a plurality of stacks of trays from a container | |
US4684308A (en) | Stacker assembly for a conveyor system | |
US20150013084A1 (en) | Unloading and loading device | |
US4536119A (en) | Palletizing apparatus with layer level detecting means | |
CA2215759A1 (en) | Pallet stacking and dispensing unit | |
NL1017656C2 (nl) |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testen van circuit modules. | |
US1109133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palletizing a loaded pallet | |
JP6421143B2 (ja) | 植物搬送装置 | |
KR102619775B1 (ko) | 팔레트의 적층 또는 분배를 위한 팔레트 핸들링 장치 | |
AU2006324387A1 (en) | Turf guide for automatic turf harvesters | |
JP2012201432A (ja) | 把持装置 | |
JP3021114B2 (ja) | パレットに対する曲げ製品集積方法及び装置 | |
GB2457156A (en) | Load Palletising Device | |
JP6493303B2 (ja) | 移載装置 | |
JPH0784255B2 (ja) | ピッキング装置 | |
CN115783693A (zh) | 一种物料提取装置及堆垛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