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217A -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217A
KR20020006217A KR1020000039728A KR20000039728A KR20020006217A KR 20020006217 A KR20020006217 A KR 20020006217A KR 1020000039728 A KR1020000039728 A KR 1020000039728A KR 20000039728 A KR20000039728 A KR 20000039728A KR 20020006217 A KR20020006217 A KR 2002000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information
vehicle
freight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복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이일복
김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복, 김동호 filed Critical 이일복
Priority to KR102000003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217A/ko
Publication of KR2002000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217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화물차량으로부터 공차정보를 입수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를 자동추적하여 화물주소지에 가장 근접한 화물차량을 자동 산출한 후 화물정보 및 약도를 제공하여 화물주와 화물차량간의 화물운송거래를 알선중개함으로써, 화물차량의 공차운행률 및 화물운송 시간을 감소하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알선 통제시스템과, 화물주와, 무선 단말기 및 모바일 팩시밀리를 구비한 화물차량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계되고 위치추적시스템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뤄지는 것으로서, 통제시스템의 처리장치는 지리정보 관리부와, 화물차량을 회원으로 관리하는 회원관리부와, 화물정보 처리부와, 화물차량 인식부와, 공차정보 처리부와, 위치추적시스템을 이용하여 화물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차량위치 추적부와, 각 공차상태 차량의 위치정보와 화물정보를 비교 판단한 후 후보차량들을 색인하고 최적의 차량을 선별하는 후보차량 자동 색인 및 선택부와, 화물주소지 약도 작성부와, 화물정보와 약도정보를 상기 선택된 후보차량에 송출하는 화물정보 전송부와, 상차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The system for intermediating freight}
본 발명은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화물차량으로부터 공차정보를 입수하고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를 자동추적하여 화물주소지에 가장 근접한 화물차량을 자동 산출한 후 화물정보 및 약도를 제공하여 화물주와 화물차량간의 화물운송거래를 알선중개함으로써, 화물차량의 공차운행률 및 화물운송 비용을 절감하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별 화물차량이 화물을 배정받아 적재 운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즉, 화물을 적재한 차량이 화물 목적지에 도착하여 화물을 하차하고 공차상태가 되면, 상기 화물차량은 공차대기장소(화물터미날, 트럭터미날 등)로 이동하여 화물알선중개 통제소에 유,무선 전화 등의 음성통신수단을 통해 화물중개 알선을 요청한 후 공차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물알선중개 통제소로부터 음성통신수단을 통해 적재통지 및 화물정보를 접수하게 되면, 상기 화물차량은 화물주에게 연락하면서 화물주소지에 도착한 후 화물을 적재하여 해당 목적지로 운송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화물중개 및 운송 방법은 화물차량이 화물을 하차한 후 새로운 화물운송을 접수하기 위하여 공차상태로 화물터미날 등으로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차 운행에 따른 시간적, 금전적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대도시들은 화물차 수요가 많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화물차의 공차운행은 불필요한 교통량의 증가를 유발시키고 화물운송이 지체됨에 따라 화물주로부터 신뢰를 잃게될 수 있다.
또한, 화물차량의 불필요한 이동으로 말미암아 도로의 수명이 짧아지고 국가 경제적 손실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물주로서는, 화물 터미날 등의 대기장소와 화물주소지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화물차량 요청 후 화물을 상차하기까지 장시간동안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차상태의 화물차량을 자동추적하고 화물주소지에 대한 약도를 작성한 후 모바일팩시밀리 등의 무선 문서전송기기를 통해 화물현장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최적의 차량에게 통보하여 회물운송거래를 알선중개함으로써, 개별 화물차량의 공차운행률을 감소하고 화물인수 및 운송 시간을 절감시키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알선중개 및 운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통제시스템 20. 처리장치
21. 지리정보 관리부 22. 회원관리부
23. 화물정보 처리부 24. 단말기 자동 인식부
25. 공차정보 처리부 26. 차량위치 추적부
27. 후보차량 자동 색인 및 선택부 28. 화물주소지의 약도 작성부
29. FAX 송출부 40. 시스템 DB
50. 통신 네트워크 52. 위치추적 시스템
54. 화물차량 시스템 55. 무선 단말기
56. 모바일 팩시밀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은 화물알선 통제시스템과, 화물주와,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화물차량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계되어 화물주와 화물차량간에 화물운송거래를중개알선하는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물알선 통제시스템은 처리장치와, 표시/입력 수단과, 통신 인터페이스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입력 수단은 상기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처리장치가 상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화물알선중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처리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처리장치는 각 지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시스템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지리정보를 독출하여 처리하는 지리정보 관리부와, 화물차량으로부터 무선 단말기 번호, 차량번호, 차종 정보을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입수하여 회원으로 등록시키고, 상기 시스템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회원정보를 독출하여 처리하는 회원관리부와, 화물주로부터 화물주소지를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접수하여 이를 상기 시스템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화물정보 처리부와, 상기 통제시스템에 접속되는 화물차량을 식별하는 화물차량 인식부와, 상기 식별된 화물차량으로부터 공차상태 정보를 입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리하는 공차정보 처리부와, 상기 통신네트워크에 연계된 단말기 위치추적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화물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리하는 차량위치 추적부와, 상기 입수된 공차상태 화물차량들의 정보와 각 공차의 위치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접수된 화물정보와 비교 판단한 후 해당 화물에 적합한 후보차량들을 색출하여 상기 표시/입력 수단에 디스플레이하여 최적의 후보차량을 선택하도록 처리하는 후보차량 자동색인 및 선택부와, 상기 입수된 지리정보로부터 화물주소지의 지리도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지리도에 화물현장의 위치를 표기하여 화물주소지의 약도를 작성하는 화물주소지 약도 작성부와, 상기 화물정보와 화물현장의 약도정보를 상기 선택된 화물차량에게 전송하는 화물정보 전송부와, 상기 화물차량으로부터 화물상차 정보를 입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해당 공차정보와 화물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상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은 화물알선중개 통제소와, 화물주와, 개별 화물차량이 상호 연계되면서 이뤄지는 것이다.
상기 화물알선중개 통제소는 상기 화물주와 상기 개별 화물차량간의 화물운송거래를 알선중개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물주로부터 화물종류, 화물량, 화물목적지, 화물주소지, 희망차종, 화주 연락처 등의 화물정보를 접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한, 상기 개별 화물차량을 회원으로 가입시키면서 무선 단말기 번호, 차량번호, 차종 등의 기본 정보를 입수하여 관리한다.
한편, 상기 화물차량은 공차상태가 되면 무선 송수신 기능을 갖는 무선 단말기(휴대폰, PDA, 모바일 인터넷 단말기 등)(56)를 통해서 공차정보 및 희망행선지 정보를 상기 화물알선중개 통제소에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통제소는 차량의 신원을 자동 파악하고 상기 차량의 현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하면서 상기 접수된 화물에 대한 최적의 후보차량(공차상태 차량)을 자동 색출한 후 해당 후보차량에게 상기 접수된 화물정보뿐만 아니라 화물주소지의 약도를 함께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별 화물차량은 해당 화물주소지로 이동하여 화물을 확인한 후 화물을 상차하여 해당 목적지로 운송하고, 상기 화물주는 그에 대한 운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중개 시스템은 크게 통제시스템(10)과, 화물주 시스템(51)과, 화물차량 시스템(54)이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해서 상호 연계되는 것으로서, 상기 통제시스템(10)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추적 시스템(52) 및 지리정보 시스템(53)으로부터 차량위치 정보와 화물주소지의 지리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이용하여 화물주와 화물차량간의 화물운송 거래를 원활하게 중개알선하게 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50)는 인터넷망과, 전화망 또는 이동 통신망이 함께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터넷망과 상기 이동 통신망 사이에는 프락시 또는 게이트웨이가 구축되어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프로토콜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 프로토콜를 상호 변환하여 데이터의 전송에 있어 호환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통제시스템(10)은 상기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운영되고 상기 화물차량 시스템(54)은 상기 무선단말기(55)를 통해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어상기 통제시스템(10)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위치추적 시스템(52)은 휴대전화사업자가 무선 단말기 가입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시스템이 될 수 있다. 또한, GPS 등의 사용자 위치확인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물주 시스템(51)은 표시/입력 수단과 웹 브라우저 및 통신수단을 갖춘 개인용 컴퓨터가 가능하며, 이 경우 화물주는 인터넷상에서 상기 통제시스템에 접속하여 화물종류, 화물주소지 등의 화물정보를 접수하게 된다. 또한, 화물주는 일반 유선 전화 또는 무선 전화를 통해서 화물정보를 상기 통제시스템에 접수할 수 있다.
상기 화물차량 시스템(54)은 무선 송수신 기능과 표시/입력 수단을 갖는 무선 단말기(55)와, 소형의 모바일 팩시밀리(56)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화물차량 운송자는 상기 무선 단말기(55)를 통해 상기 통제시스템(10)에 접속하여 공차정보 및 희망행선지 정보, 상차정보 등을 전송하게 되고, 상기 모바일 팩시밀리(56)를 통해서 상기 통제시스템(10)으로부터의 화물정보 및 약도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팩시밀리(56)는 상기 무선 단말기(55)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통제시스템(10)으로부터 정보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제시스템(10)은 화물정보와 화물차량 정보 및 공차정보를 입수하여 관리하고 화물주소지에 근접한 최적의 화물차량을 산출하여 화물주와 화물차 운송자간의 화물운송거래을 알선중개하는 것으로서, 처리장치(20)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와, 통신 인터페이스(30), 표시/입력 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제시스템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화물주 또는 화물차량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화물중개 업무를 웹상에서 처리하는 웹서버로서의 기능을 갖을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0)는 상기 처리장치(2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인터넷망 또는 이동 통신망)(50)를 통해서 클라이언트(화물주시스템 또는 화물차량시스템)에게 전송하거나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50)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입력 수단(33)은, 상기 화물주 또는 상기 화물차량 운송자가 일반 전화망을 통해 상기 통제소 관리자에게 접속하는 경우, 관리자가 화물정보, 공차정보 및 희망 행선지 정보, 상차정보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는 회원DB(41), 화물정보DB(42), 공차 및 행선지DB(43), 위치추적DB(44), 지리정보DB(45), 상차정보DB(46), 수수료DB(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해당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처리장치(20)의 필요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처리장치(20)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거나 상기 시스템 DB(4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변환 가공한 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0)를 통해서 상기 화물차량 시스템(54)에 적절한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리정보 관리부(21), 회원관리부(22), 화물정보 처리부(23), 화물차량 자동 인식부(24), 공차정보 처리부(25), 차량위치 추적부(26), 후보차량 자동 색인 및 선택부(27), 화물주소지 약도 작성부(28), FAX 송출부(29), 상차정보 관리부(31), 수수료 산출부(3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리정보 관리부(21)는 인터넷망에 구축된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53)으로부터 도심의 주요부분 및 도로망 등의 정보를 갖춘 지리정보를 입수하여 이를 상기 지리정보DB(45)에 지역별 또는 주소지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상기 회원관리부(22)는 상기 화물차량시스템(54)으로부터 무선 단말기 번호(휴대전화 번호), 차량번호, 차종, 차고지, 차주 인적사항 등의 정보를 입수하여 이를 상기 회원DB(41)에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화물차량의 회원등록, 회원정보 수정, 탈퇴 등을 관리한다.
상기 화물정보 처리부(23)는 화물주로부터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입수되는 화물정보(화물 목적지, 화물주소지, 화물종류, 희망차종, 화주 연락처 등)를 상기 화물정보DB(42)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단말기 자동 인식부(또는 화물차량 인식부)(24)는 상기 화물차량이 접속하는 경우 단말기 사업자(휴대전화 사업자)의 시스템으로부터 접속된 단말기의 번호를 입수하고 상기 회원DB(41)에 저장된 단말기 번호와 비교하여 해당 단말기(55)에 대한 화물차량 및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원관리부(22)는 상기 단말기 번호들을 비교함으로써 화물차량의 회원인증을 하게 된다.
상기 공차정보 처리부(25)는 상기 접속된 화물차량시스템(54)으로부터 공차상태, 희망행선지 등의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공차 및 행선지 DB(43)에 저장한다.
상기 차량위치 추적부(26)는 상기와 같이 화물차량이 공차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동작되는 것으로서, 휴대전화사업자의 상기 위치추적시스템(52)으로부터 해당 단말기(55)의 위치정보(즉, 화물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입수하고 이를 상기 위치추적DB(44)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제시스템(10)은 공차상태의 화물차량에 대한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게 됨으로써 근처의 화물현장에 최적의 화물차량을 알선중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보차량 자동 색인 및 선택부(27)는 상기 화물정보DB(42)로부터 화물주소지, 화물종류, 희망차종 등의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공차 및 행선지 DB(43)로부터 공차상태의 차량과 희망 행선지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위치추적DB(44)로부터 각 공차상태 화물차량의 현재 상태 위치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정보들을 토대로 상기 화물주소지에 근접한 최적의 공차상태 화물차량(후보차량)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색출하여 상기 표시/입력수단(33)을 통해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관리자가 적정한 화물차량을 선택하게 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화물주소지 약도 작성부(28)는 상기 화물정보DB(42)에서 화물주소지 정보를 독출하고 해당 주소지의 지리도 정보를 상기 지리정보DB(45)로부터 독출한 후 화물현장의 위치를 표기하여 화물주소지의 약도를 작성한다.
상기 FAX 송출부(또는 화물정보 전송부)(29)는 상기 화물차량 시스템(54)에 상기 입수 또는 작성된 화물정보 및 약도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일종의 문서송출부로서, 상기 후보차량 자동 색인 및 선택부(27)에서 선택된 후보차량의 화물정보와 상기 작성된 화물주소지의 약도정보를 문서전송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화물차량에구비된 모바일 팩시밀리(56)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상차정보 관리부(31)는, 상기 알선된 화물차량이 화물현장으로 이동하여 화물 확인 및 운임 협상을 하고 화물을 적재(상차)한 후 상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제시스템(10)에 통보하게 되면, 이에 대한 상차정보를 상기 상차정보 DB(46)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공차정보DB(43)에서 해당 화물차량을 삭제하여 공차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화물정보 DB(42)의 화물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상기 수수료 산출부(32)는 상기 상차정보를 통해 적정의 중개수수료를 산출하여 상기 수수료DB(47)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이러한 수수료는 웹상의 대금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에 대한 중개수수료를 결제할 수 있다. 또한, 결제된 수수료에 대한 영수증을 발급하여 상기 모바일 팩시밀리(56)을 이용하여 상기 화물차량에게 발송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알선중개 및 운송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상기된 바와 같은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을 통한 화물알선중개 및 운송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뤄질 수 있다.
먼저, 개별 화물차량이 상기 화물알선중개 통제소를 이용하여 화물을 알선받기 위해서는 무선 단말기(55) 및 모바일 팩시밀리(56)를 구비한 후, 차량번호, 소지한 무선 단말기 번호, 차종 등의 정보를 등록하여 회원가입하여야 한다.
상기 회원으로 등록된 화물차량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제시스템(10)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통제시스템(10)은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를 통해서 해당 차량을 자동 인식하고 회원여부를 인증하게 된다.
또한, 회원으로 인증된 상기 화물차량은 공차상태 및 희망 행선지 정보를 상기 통제시스템(10)에 전송하고 화물알선을 요청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제시스템(10)은 상기 위치추적시스템(52)을 이용하여 상기 화물알선을 요청한 화물차량에 대한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관리한다.
한편, 상기 통제소는 화물주로부터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화물목적지, 화물주소지, 화물종류, 희망차종 등의 화물정보와 함께 화물이동요청을 접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통제시스템(10)은 상기 파악된 공차상태 차량들의 현 위치정보와 해당 차량정보(차종, 희망 행선지 등)를 토대로 상기 접수된 화물(화물주소지 및 희망차종, 화물종류 등을 고려)에 적합한 후보차량들을 색출하게 되고, 이를 상기 표시/입력 수단(33)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후보차량들은 관리자가 용이하게 화물정보와 비교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위치, 차종, 희망 행선지별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제시스템(10)은 화물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지리정보DB(45)를 기초로 상기 화물의 주소지에 대한 약도를 자동으로 작성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통제시스템(10)의 관리자가 상기 색인된 후보차량들중 적절한 후보차량을 선택하게 되면, 화물정보 및 화물주소지의 약도정보를 상기 화물차량시스템(54)의 모바일 팩스밀리(56)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약도정보의 전송 여부는 화물차량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정보를 수신한 화물차량은 그 수락여부를 결정하게 되고, 수락거절을 상기 통제소에 통보하면 상기 통제소의 관리자는 다른 후보차량을 선택하여 화물을알선하게 되고, 수락을 하는 경우는 상기 화물차량은 상기 약도 및 화물주의 연락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화물현장에 도착하게 되고 화물을 확인한 후 운임 등에 관해 상기 화물주와 협상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협상과정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상기 통제소에 상차거절정보를 통보하게 되고, 관리자는 새로운 후보차량에 알선하게 된다. 그리고, 상차 합의가 이뤄지면, 화물차량은 상기 통제시스템(10)에 상차정보를 통보하여 입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차정보 및 화물정보는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이로써, 화물차량은 해당 화물을 목적지로 운송하여 합의된 운송비를 받게 되고, 상기 통제시스템(10)은 상기 상차정보를 토대로 적정의 중개알선 수수료를 결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물차량의 공차상태 및 현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근접한 화물현장에 곧바로 알선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공차 운행률을 감소하게 되고 이로말미암아 화물차량은 시간적 금전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화물주로서는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화물차가 배정됨으로써 화물차 요청 후 화물적재까지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화물운송 시간을 단축할수 있다.
셋째, 화물차량의 불필요한 운행이 감소됨으로써, 대도시의 교통체증, 대기오염, 도로파손 등의 문제 해소를 기대할 수 있다.
넷째, 화물정보 관리 및 화물차량의 중개알선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처리하게 됨으로써, 화물알선중개 통제소로서는 인력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화물알선 통제시스템과, 화물주와,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화물차량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계되어 화물주와 화물차량간에 화물운송거래를 중개알선하는 화물알선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물알선 통제시스템은 처리장치와, 표시/입력 수단과, 통신 인터페이스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표시/입력 수단은 상기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처리장치가 상기 통신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는 화물알선중개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처리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관련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처리장치는
    각 지역에 대한 지리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시스템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필요한 지리정보를 독출하여 처리하는 지리정보 관리부와,
    화물차량으로부터 무선 단말기 번호, 차량번호, 차종 정보을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입수하여 회원으로 등록시키고, 상기 시스템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회원정보를 독출하여 처리하는 회원관리부와,
    화물주로부터 화물주소지를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접수하여 이를 상기 시스템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화물정보 처리부와,
    상기 통제시스템에 접속되는 화물차량을 식별하는 화물차량 인식부와,
    상기 식별된 화물차량으로부터 공차상태 정보를 입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리하는 공차정보 처리부와,
    상기 통신네트워크에 연계된 단말기 위치추적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화물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리하는 차량위치 추적부와,
    상기 입수된 공차상태 화물차량들의 정보와 각 공차의 위치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접수된 화물정보와 비교 판단한 후 해당 화물에 적합한 후보차량들을 색출하여 상기 표시/입력 수단에 디스플레이하여 최적의 후보차량을 선택하도록 처리하는 후보차량 자동색인 및 선택부와,
    상기 입수된 지리정보로부터 화물주소지의 지리도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지리도에 화물현장의 위치를 표기하여 화물주소지의 약도를 작성하는 화물주소지 약도 작성부와,
    상기 화물정보와 화물현장의 약도정보를 상기 선택된 화물차량에게 전송하는 화물정보 전송부와,
    상기 화물차량으로부터 화물상차 정보를 입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해당 공차정보와 화물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상차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량 인식부는 무선 단말기사업자의 시스템으로부터 접속된 화물차량의 무선 단말기의 번호를 입수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회원 단말기 번호와 비교하여 해당 단말기에 대한 화물차량을 자동으로 식별하며 화물차량의 회원 여부를 인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주가 표시/입력 수단과, 통신 인터페이스와, 웹 브라우져를 구비한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웹상에서 상기 통제시스템에 접속된 후 인터넷망을 통해 화물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량은 모바일 인터넷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통제시스템에 접속되어 공차상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통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화물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량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 모바일 팩시밀리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통제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문서형식의 화물정보 및 약도정보를 프린팅하여 확인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차정보를 통해 적정의 중개수수료를 산출하고 이를 해당 화물차량에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일정 기간에 대한 중개수수료를 결제한 후 이에 대한 영수증을 발급하여 상기 모바일 팩시밀리을 이용하여 상기 화물차량으로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KR1020000039728A 2000-07-11 2000-07-11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KR20020006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728A KR20020006217A (ko) 2000-07-11 2000-07-11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728A KR20020006217A (ko) 2000-07-11 2000-07-11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217A true KR20020006217A (ko) 2002-01-19

Family

ID=1967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728A KR20020006217A (ko) 2000-07-11 2000-07-11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2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392A (ko) * 2000-07-12 2002-01-19 최덕호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09296A (ko) * 2000-07-25 2002-02-01 황신봉 인터넷이용 화물운송방법
KR20020041658A (ko) * 2000-11-28 2002-06-03 윤경중 운송업자와 소비자가 최적의 조건으로 물품을 운송하는 방법
KR20030044350A (ko) * 2001-11-29 2003-06-09 (주)한국정밀전자 맞춤물류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392A (ko) * 2000-07-12 2002-01-19 최덕호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09296A (ko) * 2000-07-25 2002-02-01 황신봉 인터넷이용 화물운송방법
KR20020041658A (ko) * 2000-11-28 2002-06-03 윤경중 운송업자와 소비자가 최적의 조건으로 물품을 운송하는 방법
KR20030044350A (ko) * 2001-11-29 2003-06-09 (주)한국정밀전자 맞춤물류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6836B2 (en)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CN201181988Y (zh) 出租车即时呼叫分派管理系统
US9026454B2 (en) System for procuring services
JP6935165B2 (ja) 乗物の手配支援サーバ、乗物の手配支援方法
US20070083410A1 (en) Method of scheduling delivery of goods
US200601892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CN101520950A (zh) 出租车即时呼叫分派管理系统及呼叫分派管理方法
US20020011940A1 (en)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JP2009020608A (ja) 配達支援システム、配達支援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1072078A1 (en) Ordering of vehicle, such as taxi, or car pool
KR101492176B1 (ko) 택시요금의 협상 및 안심택시 운영에 관한 시스템과 그방법
JPH0936798A (ja) 端末利用通信システム
JP2001307281A (ja) タクシー配車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20006217A (ko)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KR20130013079A (ko) 통합 온라인 화물배차 서비스 시스템과 화물배차 서비스 방법
KR20060094398A (ko) 모바일을 이용한 공차 또는 화물 등록 시스템 및 그 등록방법
JP3529357B2 (ja) 最適車両配車方法および最適車両配車システム
JP3707677B2 (ja) 配送・集荷指示情報伝送システム
JP2002169922A (ja) 最適経路情報の通知サービス方法とシステム及び検索サービスセンター装置
KR20000054235A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JP2003256981A (ja) 回送レンタカー運用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12585653A (zh) 与基于地理位置的服务和移动服务请求应用程序相关联的服务提供者系统
JP2001312788A (ja) 共同運行管理サーバ、共同運行管理システム、共同運行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KR20010103302A (ko) 네트워크와 통신망을 이용한 운송 서비스 알선방법 및시스템
JP7005682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