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4235A -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4235A
KR20000054235A KR1020000029020A KR20000029020A KR20000054235A KR 20000054235 A KR20000054235 A KR 20000054235A KR 1020000029020 A KR1020000029020 A KR 1020000029020A KR 20000029020 A KR20000029020 A KR 20000029020A KR 20000054235 A KR20000054235 A KR 20000054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vehicle
cli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이재원
대신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원, 대신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재원
Priority to KR102000002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4235A/ko
Publication of KR2000005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4235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에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 사업자로부터 운송 차량의 위치와 상태 정보를 포함한 물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소속된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해당 운송 차량에 관한 물류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앙 관제 센터 및 상기 중앙 관제 센터에 대하여 운송 차량에 관한 물류 데이터를 요구함과 동시에 관제 데이터를 수신받아 소속 운송 차량을 직접 관제하는 다수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관제 센터에서 물류 데이터를 집적하여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므로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는 보다 효율적인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의 연동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A SERVER BASED ADMINISTRATIVE CONTROL SYSTEM OF PHYSICAL DISTRIBUTION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 등을 운송하는 물류 업무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중앙 관제 센터에서 파악하여 이를 가공, 실시간으로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형태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품이나 원재료 등의 화물을 운송하는 물류 업무에 관한 전산화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물류부문에 있어서의 정보 시스템 구축은 물류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화물의 흐름에 반드시 동반되는 것이 정보의 흐름이므로 정보의 원활한 흐름이 전체 물류 환경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물류 시스템은 대부분이 화물운송을 요청하는 화주와 운송 차량을 소유한 차량 소유주와의 개별적인 계약 및 화물 운송으로 이루어지는 단위 관제 시스템에 의존하였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차량 소유주가 화주로부터 운송 요청을 받으면, 자신의 회사에 속한 차량 운전자에게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전화 연락을 취하고, 그 중에서 운송이 가능한 차량이 있을 경우 그 차량을 배차한다. 만약 운송이 가능한 차량이 없으면 타 회사에 지원을 요청하여 타사 차량을 배차하는 업무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 차량 소유주가 개별적인 방식으로 차량에 전화를 걸어 그 위치를 일일이 확인하여 최적의 위치에 있는 차량을 수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으며, 각 차량 소유주의 물류 데이터는 개별적으로 관리 및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타 차량 소유주와의 원활한 정보 교환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단위 물류시스템간의 효율적인 연동 작업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개별적인 단위 관제 물류 시스템이 갖는 비효율적인 시스템 운영 및 타 시스템과의 연동 작업의 어려움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상태 및 운송 정보를 파악하는 하나의 중앙 관제 센터에 개별적인 다수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를 연결시킴으로써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가 효율적인 관리 업무를 수행함과 동시에 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의 연동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각 통신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의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의 업무 흐름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의 인터넷 부가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해도,
도 10은 종래 기술의 물류 시스템의 업무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송 차량 50 : 무선망 사업자
100 : 중앙 관제 센터 110 : 통신서버
120 : 데이터베이스 서버 130 : 웹서버
140 : I-SMS 서버 150 : WAP 서버
200 :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M : 주 클라이언트
S1, S2, S3 : 서브 클라이언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은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에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 사업자로부터 운송 차량의 위치와 상태 정보를 포함한 물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소속된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해당 운송 차량에 관한 물류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앙 관제 센터, 및 상기 중앙 관제 센터에 대하여 운송 차량에 관한 물류 데이터를 요구함과 동시에 관제 데이터를 수신받아 소속 운송 차량을 직접 관제하는 다수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관제 센터는 무선망 사업자 및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버, 및 무선망 사업자 및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차량 데이터 및 관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서버는 논-세션(Non-Session)방식으로 작동되는 메인 통신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통신서버는 상기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및 무선망 사업자로부터의 처리 요구 및 차량 데이터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가공 처리된 결과들을 해당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및 무선망 사업자로 전송하는 메인 통신 모듈, 및 상기 메인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요청 내용에 따라 각 무선망 사업자에 요청 사항을 전송하고, 각 무선망 사업자로부터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통신 모듈로 차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망 통신 모듈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무선망 통신 모듈은 각 무선망 사업자별로 정해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신서버는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중 고속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관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세션 방식의 세션(Session) 통신서버, 및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차량의 위치 데이터만을 전담하여 송신하는 위치 데이터 처리 서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관계하는 관제 정보, 차량 정보, 화물 정보, 공차 정보 및 기타 업무 정보를 저장하는 관제 데이터베이스, 운송 차량에 관계하는 차량의 위치 상태 정보, 업무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정보별로 분류하여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무선망 사업자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정보별로 분류하여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무선망 사업자로 송신하는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단위 관제 관리 데이터 처리 모듈,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를 위한 화물에 관한 제반 정보를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화물 데이터 처리 모듈,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 업무 정보를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차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메세지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위치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그 하위 모듈로서 모든 데이터를 업무 단위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배치 큐 관리 모듈, 각 관제 데이터에 포함된 네트웍 주소를 분리 보관하는 네트웍 주소 관리 모듈, 상기 배치 큐 관리 모듈에서 저장한 데이터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프로세싱 우선 순위 관리 모듈, 및 다른 프로세스의 활동 상태를 감시하고 부적절한 상태에서는 프로세스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관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그 하위 모듈로서 모든 데이터를 업무 단위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배치 큐 관리 모듈, 상기 배치 큐 관리 모듈에서 저장한 데이터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프로세싱 우선 순위 관리 모듈, 및 다른 프로세스의 활동 상태를 감시하고 부적절한 상태에서는 프로세스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앙 관제 센터는 인터넷을 통하여 일반 화주와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간의 운송계약을 중계하는 웹 서버,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에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SMS(Interactive Short Message System) 서버, 및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들은 상기 중앙 관제 센터로부터 전해지는 관제 정보, 차량의 위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이 데이터를 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역할을 하는 주 클라이언트, 및 상기 주 클라이언트가 저장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업무별 모듈에 의해 처리하여 각종 물류를 관리하고, 운송 차량에 대한 업무지령을 상기 주클라이언트를 통해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다수의 서브 클라이언트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서브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속한 주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로 내부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되어 있다.
상기 주 클라이언트는 상기 중앙 관제 센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전국의 위치를 만국 횡메르카토르 투영법(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UTM)에 의해 평면 직각 좌표로 표시한 전자지도를 저장하는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운송 차량의 관제에 필요한 모든 관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클라이언트의 업무별 모듈은 현금 출납 관리, 차정보, 운송 정보, 고객관리, 접수관리, 배차관리, 정산관리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류 시스템은 운송 차량(10)에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20)와, 이 이동 단말기(20)에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 사업자(50)와, 이 무선망 사업자(5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중앙 관제 센터(100)와, 이 중앙 관제 센터(100)와 다시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운송 차량(10)은 화물을 운송하는 트럭 등을 포함한 물류 관련 차량으로서,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를 갖춘 운송업체가 소유하고 있는 차량을 가리킨다. 이동 단말기(20)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셀 트랙킹 휴대폰(Cell Tracking Phone; 20)을 가리키며, 무선망 사업자(50)를 통하여 기존의 무선 전화 뿐만 아니라 각종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셀 트랙킹 휴대폰(20)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기본 서비스 외에도 중앙 관제 센터(100)와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내장 프로그램을 갖는다. 무선망 사업자(50)는 각 지역마다 설치된 기지국을 통하여 각 이동 단말기(20)에 무선 전화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가리킨다.
중앙 관제 센터(100)는 무선망 사업자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간에 각각 허브(H)와 라우터(R)를 포함한 통신장치를 통하여 네트워크망을 형성한다. 중앙 관제 센터(100)는 무선망 사업자 및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서버(110)와, 무선망 사업자(50) 및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에서 발생하는 차량 데이터 및 관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를 포함하며,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일반 화주가 운송계약 등을 인터넷을 통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130)와,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20)에 대한 대화형 단문 메시지의 서비스를 위한 I-SMS(Interactive Short Message System) 서버(140)와,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20)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15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류 시스템을 이루는 중앙 관제 센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서버(110)는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들과 데이터 베이스 서버를 연결하여 각종 물류 VAN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무선망 사업자와의 연동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 데이터 제공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서버(110)는 논-세션(Non-Session)방식으로 작동되는 메인 통신서버(210), 세션(Session) 방식으로 작동되는 세션 통신서버(220),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별도로 처리하기 위한 위치 데이터 처리 서버(230)로 나누어진다.
메인 통신서버(210)는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 세션 통신서버(220), 위치 데이터 처리 서버(230), 및 무선망 통신 모듈(214a, 214b, 214c)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메인 통신 모듈(212)과, 각 무선망 사업자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다수의 무선망 통신 모듈(214a, 214b, 214c)을 갖춘다.
상기 각 통신 모듈은 서로의 통신을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통신 쓰레드(Thread)를 생성하여 수행하게 된다.
메인 통신 모듈(212)은 저속의 공중망을 사용하는 다수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되어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및 요청 사항을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120)에서 처리된 요청 결과들을 해당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메인 통신 모듈(212)은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부터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관제 수신 전용 쓰레드(3121)와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제 송신 전용 쓰레드(3122)를 생성하여 처리하고, 데이터 베이스 모듈들과의 연결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수신 전용 쓰레드(3123)와 데이터베이스 송신 전용 쓰레드(3124)를 생성한다. 관제 수신 전용 쓰레드(3121)가 수신한 데이터는 내부적으로 정해진 우선 순위에 의해 우선 순위 큐(3129)에 분배되고 데이터베이스 송신 전용 쓰레드(3124)는 이를 데이터베이스 모듈들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 수신 전용 쓰레드(3123)는 데이터베이스 모듈들로부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 전송될 데이터를 받아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 큐(3129)에 분배하고 관제 송신 전용 쓰레드(3122)가 해당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때, 메인 통신 모듈(212)은 송신측이 한 프레임을 전송 완료한 후에는 통신 세션을 종료하는 논-세션(Non-Session)방식으로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와 통신함으로써 수많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비용의 저속 통신 회선을 이용하는 소규모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의 통신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고속 전용 회선의 이용이 가능한 대형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와는 통신 방식을 세션(Session)방식으로 고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세션 통신서버(220)를 추가로 갖추게 되는데, 이 세션 통신서버(220)와의 통신을 위하여 메인 통신 모듈은 세션 전용 송수신 쓰레드(3125)를 생성하여 세션 통신서버에 연결된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들이 논-세션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른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와 마찬가지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인 통신 모듈(212)은 무선망 통신 모듈들(214a,214b,214c)과의 통신을 위해 무선 데이터 수신 쓰레드(3126)와 무선 데이터 송신 쓰레드(3127)를 생성하여 수행하며, 위치 데이터 처리 서버(230)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서 위치 데이터 전용 송신 쓰레드(3128)를 생성하여 수행한다.
무선망 통신 모듈(214a,214b,214c)은 현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서비스하고 있는 무선망 사업자(50)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현재 국내의 무선망 사업자인 SKTelecom과 56Kbps로 연결되어 메인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매개하는 SK 무선망 통신 모듈(214a)과, LGTelecom과 56Kbps로 연결되어 메인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매개하는 LG 무선망 통신 모듈(214b)과, KTFreetel과 56Kbps로 연결되어 메인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매개하는 KT 무선망 통신 모듈(214c)로 나누어진다. SK 무선망 통신 모듈(214a)은 차량 위치 추적을 위해 각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SKTelecom의 MPS(Mobile Positioning System)와의 연동 규격에 따르도록 이루어지며, 메인 통신 모듈과의 연동을 위해 무선 데이터 송신 쓰레드(3141a)와 무선 데이터 수신 쓰레드(3142a)를 생성하여 수행한다. LG 무선망 통신 모듈(214b) 및 KT 무선망 통신 모듈(214c)도 상기 SK 무선망 통신 모듈과 마찬가지로 각각 LGTelecom의 IPS(Information Provider Server)와의 연동 규격 및 KTFreetel과의 기업형 SMS(Short Message System) 연동 규약에 따르도록 이루어지며 메인 통신 모듈(212)과의 연동을 위해 무선 데이터 송신 쓰레드(3141b, 3141c)와 무선 데이터 수신 쓰레드(3142b, 3142c)를 각각 생성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메인 통신 모듈(212)의 논-세션 통신 방식은 비슷한 속도를 갖는 통신 회선을 통해 연결된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 그 수에 관계없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저비용의 저속 통신 회선을 사용하는 수많은 소규모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는 합리적인 방법이나, 고속 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대형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될 경우 저속 회선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때문에 발생하는 통신 지연 현상으로 인하여 투자한 비용에 비해 효율적인 통신을 하기가 어렵다. 이를 위하여 통신서버에는 세션 통신서버(220)가 추가된다. 세션 통신서버(220)는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부터 고속 통신 연결 요청이 오면 해당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와의 통신을 위한 세션 관제 전용 송수신 쓰레드(3221)가 생성되어 수행된다. 이러한 처리를 위하여 세션 통신서버(220)는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받아 새로운 세션 관제 전용 송수신 쓰레드(3221)를 생성하는 연결 요청 처리 쓰레드(3222)가 생성되고, 메인 통신 모듈의 세션 전용 송수신 쓰레드(3125)와 연결되는 세션 전용 송수신 쓰레드(3221)를 생성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무선망 사업자(5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위치 데이터는 중앙 관제 센터(100)로부터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 보내는 데이터 중 그 양이 가장 많다. 따라서 위치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부하가 많이 걸리므로 이를 위하여 위치 데이터 처리 서버(230)는 위치 데이터만을 전담해서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서버(120)는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와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에 관계하는 관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제 데이터베이스(221)와, 운송 차량에 관계하는 차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222) 등의 2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있으며, 이들 데이터베이스 및 통신서버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223)과,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224)과, 단위 관제 관리 데이터 처리 모듈(225)과, 화물 데이터 처리 모듈(226)과, 메시지 데이터 처리 모듈(227)과, 차량 위치 데이터 처리 모듈(228)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관제 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되는 데이터로는 관제 정보, 차량 정보, 화물 정보, 공차 정보 및 기타 업무 정보가 포함되며, 차량 데이터베이스(222)에 저장되는 데이터로는 위치 정보, 업무 정보 및 기타 차량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6개의 처리 모듈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분담되어 처리되어진다. 이를 위하여,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223)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송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정보별로 분류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각 데이터 처리 모듈을 통하여 가공 처리된 데이터를 메인 통신서버(210)를 통해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 송신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22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위 프로세스 모듈로서 모든 데이터를 업무 단위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배치 큐 관리 모듈(4231)과, 각 관제 데이터에 포함된 네트웍 주소를 분리 보관하는 네트웍 주소 관리 모듈(4232)과, 배치 큐 관리 모듈(4231)에서 저장한 데이터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재작성하는 프로세싱 우선 순위 관리 모듈(4233)과, 다른 프로세스의 활동 상태를 감시하고 부적절한 상태에서는 프로세스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관리 모듈(4234)을 포함한다.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224)은 운송 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정보별로 분류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각 데이터 처리 모듈을 통하여 가공 처리된 데이터를 통신서버를 통해 무선망 사업자 또는 운송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 때,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과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위 프로세스 모듈로서 배치 큐 관리 모듈(5241)과, 프로세싱 우선 순위 관리 모듈(5242)과, 프로세스 관리 모듈(5243)을 포함한다.
단위 관제 관리 데이터 처리 모듈(225)은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223)을 통해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로부터 관리를 위한 정보가 요청되면 관제 데이터베이스(221)에서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 예컨대 관제 정보, 차량, 차량 종류, 사용자 제한 등에 관한 데이터로 가공 처리하여 다시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223)이나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224)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화물 데이터 처리 모듈(226)은 관제 데이터 중 공개 화물 정보나 인터넷을 통하여 화주가 추적하는 화물 추적의 기초가 정보 등 화물에 관한 제반 정보에 관계되는 기초 데이터를 처리하며, 메시지 데이터 처리 모듈(227)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 업무지령 정보를 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처리한다.
차량 위치 데이터 처리 모듈(228)은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각종 정보를 차량 데이터베이스(222)로부터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각 이동 단말기(20)에 기 설정된 전송 주기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20)의 기지국 좌표가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로 전송되면 차량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차량이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에 등록된 차량인지를 확인한 후 등록된 차량이면 최종 위치를 갱신하고, 차량이 소속된 전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를 위한 전송 리스트를 작성하고, 해당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는 모든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차량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223)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를 전달한 후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색 가능한 정보로 바꾸기 위하여, 차량이 위치한 동명(洞名)을 검색하고 관계된 데이터 필드를 최종 갱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처리를 마무리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물류 시스템을 이루는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200)는 중앙 관제 센터(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는 주 클라이언트(M)와, 이 주 클라이언트(M)에 내부 네트워크로 각각 연결되어 단위별 관제 업무를 수행하는 다수의 서브 클라이언트(S1,S2,S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주 클라이언트(M)와 다수의 서브 클라이언트(S1,S2,S3)는 내부적으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즉, 다수의 서브 클라이언트(S1,S2,S3)들은 자신이 속한 주 클라이언트와의 네트워크상에 서로 공유되어 있어 각 서브 클라이언트(S1,S2,S3)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는 서로가 이용 가능하다.
주 클라이언트(M)는 중앙 관제 센터(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610)과,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전자지도를 저장하기 위한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620)와, 각 서브 클라이언트의 관제 업무에 필요한 관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제 데이터베이스(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610)은 일반적인 통신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며, 접속시에 로그인 체크(640)가 실행되며,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620)에 저장되는 전자지도는 만국 횡메르카토르 투영법(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UTM)에 의한 평면 직각 좌표로 작성되며, 서브 클라이언트의 각 단말기에는 차량의 현재 위치 뿐만 아니라 차량의 위치를 추적한 시간, 차량의 화물 적재 상태, 차량의 연락처, 차량의 운행 상태 등이 전자지도상에 함께 표시된다. 다수의 서브 클라이언트(S1,S2,S3)는 각각 현금 출납 관리, 공차 정보, 운송 정보, 고객관리, 접수관리, 배차관리, 정산관리 등의 단위 업무별 모듈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는 등의 관제 업무를 실질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주 클라이언트(M)와 서브 클라이언트(S1,S2,S3)와의 내부 데이터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각 서브 클라이언트(S1,S2,S3)는 주 클라이언트로부터 전해지는 최신의 정보를 자체 단말기에 표시하며, 자체적으로 통신 모듈을 갖추고 있지 아니하므로 각 서브 클라이언트에서 일어난 자료의 변경은 자체내의 메인 프로그램 모듈로 집결된 후에 주 클라이언트 및 공유된 타 서브 클라이언트로 전해지고, 주 클라이언트는 변경 사항을 다시 중앙 관제 센터의 통신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변경된 사항을 반영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중앙 관제 센터(100)로부터 전해지는 외부 데이터의 흐름은 먼저 주 클라이언트(M)로 전송되며, 주 클라이언트(M)는 외부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주 클라이언트(M)는 다시 각 서브 클라이언트에 변경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서브 클라이언트는 변경된 데이터를 단말기상에 표시한다. 이 때, 중앙 관제 센터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의 데이터 송수신은 그 내용과 종류가 다양하므로 통신규약을 별도의 파일로서 통신 설정, 패킷 종류 및 각 패킷의 내용, 그리고 변경 자료의 송신 패킷 구성방법에 대한 정보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이 운영되는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류 시스템의 기본적인 운영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가 화주로부터 운송 요청을 받으면(S700), 중앙 관제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 데이터 및 각종 관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차량을 수배하고(S710), 선택된 차량에 대해서는 문자 메시지 등으로 배차 명령을 전송하며(S720), 만약 운송이 가능한 차량이 없으면 중앙 관제 센터에서 전송되는 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의 관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 회사에 차량 배차 지원을 요청하여(S730), 타사의 차량을 배차하는 단계(S740)로 운영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물류 시스템에서 웹서버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 을 참조하면, 일반 화주가 웹서버에 갖춰진 홈페이지를 통해 견적을 요청하면(S800), 이 요청 사항은 중앙 관제 센터를 통해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공지되게 되고(S810), 화주에게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는 중앙 관제 센터로 견적서를 전송하면(S820), 화주는 웹서버를 통하여 견적서를 확인하고(S830),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연락하여 화물의 운송 신청을 할 수 있게 된다(S840).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화물을 운송한 운송 차량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화물의 배송 여부를 무선망 사업자를 통하여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할 수 있으며(S900,S910), 중앙 관제 센터는 이 화물 정보를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 전송함과 동시에(S920), 인터넷을 통하여 화주가 화물의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S930).
또한, 본 발명의 물류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웹서버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외에도, I-SMS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중앙 관제 센터간의 양방향 대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WAP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가장 실질적으로 고려되고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서 균등한 해석 및 대등한 장치를 포함하는 여러 시스템에 해당되도록 의도하였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관제 센터에서 물류 데이터를 집적하여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므로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는 보다 효율적인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타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의 연동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가 하나의 중앙 관제 센터로 모이므로 전체적인 물류 업무의 표준화를 이룰 수 있으며, 공차 운행과 같은 물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밖에도 휴대폰을 통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운송 차량의 위치 파악을 위해 GPS를 이용한 장치와 같은 값비싼 장비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각 운송 차량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물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5)

  1.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에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망 사업자로부터 운송 차량의 위치와 상태 정보를 포함한 물류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공하여 소속된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해당 운송 차량에 관한 물류 데이터를 송신하는 중앙 관제 센터; 및
    상기 중앙 관제 센터에 대하여 운송 차량에 관한 물류 데이터를 요구함과 동시에 관제 데이터를 수신받아 소속 운송 차량을 직접 관제하는 다수의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센터는
    무선망 사업자 및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서버; 및
    무선망 사업자 및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차량 데이터 및 관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3. 청구항 2에서, 상기 통신서버는
    논-세션(Non-Session)방식으로 작동되는 메인 통신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통신서버는
    상기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및 무선망 사업자로부터의 처리 요구 및 차량 데이터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가공 처리된 결과들을 해당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및 무선망 사업자로 전송하는 메인 통신 모듈; 및
    상기 메인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요청 내용에 따라 각 무선망 사업자에 요청 사항을 전송하고, 각 무선망 사업자로부터 차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통신 모듈로 차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수의 무선망 통신 모듈
    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다수의 무선망 통신 모듈은
    각 무선망 사업자별로 정해진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5. 청구항 3에서, 상기 통신서버는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중 고속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관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세션 방식의 세션(Session) 통신서버; 및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차량의 위치 데이터만을 전담하여 송신하는 위치 데이터 처리 서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6. 청구항 2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에 관계하는 관제 정보, 차량 정보, 화물 정보, 공차 정보 및 기타 업무 정보를 저장하는 관제 데이터베이스;
    운송 차량에 관계하는 차량의 위치 상태 정보, 업무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정보별로 분류하여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무선망 사업자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정보별로 분류하여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차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서버를 통해 무선망 사업자로 송신하는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단위 관제 관리 데이터 처리 모듈;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를 위한 화물에 관한 제반 정보를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화물 데이터 처리 모듈;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 업무 정보를 상기 관제 데이터베이스 또는 차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메세지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위치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기초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차량 위치 데이터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7. 청구항 6에서, 상기 단위 관제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그 하위 모듈로서 모든 데이터를 업무 단위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배치 큐 관리 모듈;
    각 관제 데이터에 포함된 네트웍 주소를 분리 보관하는 네트웍 주소 관리 모듈;
    상기 배치 큐 관리 모듈에서 저장한 데이터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프로세싱 우선 순위 관리 모듈; 및
    다른 프로세스의 활동 상태를 감시하고 부적절한 상태에서는 프로세스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8. 청구항 6에서, 상기 무선망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그 하위 모듈로서 모든 데이터를 업무 단위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배치 큐 관리 모듈;
    상기 배치 큐 관리 모듈에서 저장한 데이터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조정하는 프로세싱 우선 순위 관리 모듈; 및
    다른 프로세스의 활동 상태를 감시하고 부적절한 상태에서는 프로세스를 재시작하도록 하는 프로세스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센터는
    인터넷을 통하여 일반 화주와 상기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 간의 운송계약을 중계하는 웹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센터는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에 대화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SMS(Interactive Short Message System)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에서, 상기 중앙 관제 센터는
    운송 차량의 이동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12. 청구항 1에서, 상기 각 단위 관제 클라이언트들은
    상기 중앙 관제 센터로부터 전해지는 관제 정보, 차량의 위치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동시에 이 데이터를 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역할을 하는 주 클라이언트; 및
    상기 주 클라이언트가 저장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업무별 모듈에 의해 처리하여 각종 물류를 관리하고, 운송 차량에 대한 업무지령을 상기 주클라이언트를 통해 중앙 관제 센터로 전송하는 다수의 서브 클라이언트
    를 각각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다수의 서브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속한 주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로 내부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14. 청구항 12에서, 상기 주 클라이언트는
    상기 중앙 관제 센터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전국의 위치를 만국 횡메르카토르 투영법(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UTM)에 의해 평면 직각 좌표로 표시한 전자지도를 저장하는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운송 차량의 관제에 필요한 모든 관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관제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15. 청구항 12에서, 상기 서브 클라이언트의 업무별 모듈은 현금 출납 관리, 차정보, 운송 정보, 고객관리, 접수관리, 배차관리, 정산관리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KR1020000029020A 2000-05-29 2000-05-29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KR20000054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020A KR20000054235A (ko) 2000-05-29 2000-05-29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020A KR20000054235A (ko) 2000-05-29 2000-05-29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4235A true KR20000054235A (ko) 2000-09-05

Family

ID=1967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020A KR20000054235A (ko) 2000-05-29 2000-05-29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423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606A (ko) * 2001-05-26 2001-07-27 김준연 양방향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개별 소화물 운송방법 및 그시스템
KR20020003335A (ko) * 2001-12-06 2002-01-12 박익서 알에프 아이디 동시 판독을 이용한 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13175A (ko) * 2000-08-11 2002-02-20 이형진 물류자동화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3986A (ko) * 2002-01-03 2002-03-29 배 용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KR20020071174A (ko) * 2001-03-05 2002-09-12 동부건설 주식회사 물류운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WO2006098529A1 (en) * 2005-03-16 2006-09-21 Joo Seok Kim A method of trade-related data exchanging and service providing among different kinds of systems
KR20070070442A (ko) * 2005-12-29 2007-07-04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Rfid 태그를 이용한 배전자재 입출고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175A (ko) * 2000-08-11 2002-02-20 이형진 물류자동화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71174A (ko) * 2001-03-05 2002-09-12 동부건설 주식회사 물류운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010070606A (ko) * 2001-05-26 2001-07-27 김준연 양방향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개별 소화물 운송방법 및 그시스템
KR20020003335A (ko) * 2001-12-06 2002-01-12 박익서 알에프 아이디 동시 판독을 이용한 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23986A (ko) * 2002-01-03 2002-03-29 배 용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WO2006098529A1 (en) * 2005-03-16 2006-09-21 Joo Seok Kim A method of trade-related data exchanging and service providing among different kinds of systems
KR20070070442A (ko) * 2005-12-29 2007-07-04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Rfid 태그를 이용한 배전자재 입출고 감시장치 및감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59915B (zh) 位置业务服务系统及其提供位置信息的方法
US8442848B2 (en) Automatic optimal taxicab mobile location based dispatching system
WO2000041104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e workers
KR100324400B1 (ko) 물류운송정보의 처리방법
CN101616132B (zh) 一种数据获取方法及其装置和系统
US8788618B2 (en) Leveraging presence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web service delivery and deployment
CN101222374B (zh) 一种实现业务升级的系统、装置及方法
US20040039683A1 (en) Trading system
CN102568070A (zh) 一种实现移动终端排号业务的系统、方法及装置
JP2008219863A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情報管理サーバ
CN103795793A (zh) 一种基于双服务器集群的道路车辆监控平台系统
CN102387156A (zh) 设备登录网络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2004038242A (ja) 電車内ダウンロードサービスシステム
CN105427020A (zh) 一种基于微信的车辆调度系统及方法
CN110166982A (zh) 一种车路协同网络的切换方法及相关产品
KR20000054235A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KR102314420B1 (ko) Qr 코드를 이용한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10086611A (ko)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CN103220636A (zh) 终端应用客户端注册方法和系统、以及设备
CN100442718C (zh) 一种多级分布式网络系统
KR20000036623A (ko) 휴대폰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개인 차주와 화주를 연결시켜 주는 공차 중계 시스템
JP3529357B2 (ja) 最適車両配車方法および最適車両配車システム
US20160163195A1 (en) Transportation location and alert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CN105721584A (zh) 一种状态信息查询系统及其方法
KR20120014085A (ko) 대리운전 서비스 중개 방법 및 시스템과, 이에 적합한 모바일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