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986A -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986A
KR20020023986A KR1020020000174A KR20020000174A KR20020023986A KR 20020023986 A KR20020023986 A KR 20020023986A KR 1020020000174 A KR1020020000174 A KR 1020020000174A KR 20020000174 A KR20020000174 A KR 20020000174A KR 20020023986 A KR20020023986 A KR 20020023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vehicle
goods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
Original Assignee
배 용
선택에어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 용, 선택에어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 용
Priority to KR102002000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986A/ko
Publication of KR2002002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986A/ko

Link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은 입·출고 및 배송의 현황 실시간 파악으로 이들 각각의 이벤트에 대한 스케줄을 정확히 세워 물류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품 제조 공급자 및 배송차량에 각각 PDA등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구비시켜 물류센터의 관리서버와 무선인터넷망으로 상호 연결하며, 공급자에서 상차시 발생한 상차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물류센터에 실시간 전달되도록 하여 물류센터에서 정확한 입·출고 스케줄을 세우고, 망관리자의 위치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PDA등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구비한 배송차량의 현재 위치 및 이동경로를 물류센터에 실시간 전달되도록 하여 정확한 배송 스케줄을 세워 물품 입·출고 및 배송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재고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여 나갈 수 있고 입·출고 시간을 줄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객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화물을 받을 수 있는 시간과 주문한 물품의 배송 차량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화물 차량의 배차 및 배송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Wireless Mobile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류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차정보 및 배송정보를 실시간(real-time)으로 물류센터에서 전달받아 물품의 입·출고 및 배송 스케줄(schedule)을 정확히 작성하여 효율적인 입·출고 및 배송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 및 교통이 발전하고 복잡화됨에 따라 물건들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물류의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케이블TV 등을 이용하는 전자상거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의 상품들을 안전하며 신속하게 구매자에게 배달하는 문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물류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각 물류의 정보를 항상 갱신하여 최적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과, 각 시간에 대한 교통정보 및 지도에 대한 맵정보를 적용하여 최적의 경로 및 시간등을 판단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물류 시스템에서는 제조업체(이하, "공급자"라 칭함.)가 유통회사(이하, "물류센터"라 칭함.)에 제품을 납품시 전화나 팩스를 통해 납품예정정보를 물류센터에 전달하는 데, 실제로 이 정보는 형식적으로 납품을 하겠다는 의사 전달에 불과했다. 이로 인하여, 납품시 제출한 거래 명세서(입고명세서)를 가지고 입고검수를 할 수 밖에 없었고 또한, 언제 납품차량이 도착할 지 전혀 예측할 수 없어 효율적인 입·출고 업무를 수행하기가 불가능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자문서교환(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이나 인터넷을 통한 ASN(Advanced Shipping Notice) 전송방식등을 채택해 개발 사용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실제 상차정보가 아닌 상차예정정보를 미리 발송함으로서 유통회사(물류센터)측면에서의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현재 약 60∼70%밖에 되질 않아 실제로 그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있다. 또한, 나머지 30∼40%중 약 50%는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나머지 50%는 고가의 비용으로 인하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영세업체가 많은 실정이다.
한편, 전통적인 배송시스템에서는 거래처가 전화로 배차의뢰를 하면 차량관리 회사에서는 수작업 또는 전산작업에 의한 자체의 관리시스템에 의해 거래처의 정보와 화물 및 배차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배차결과를 거래처에 전화나 팩스로 통보하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거래처와 차량관리 회사간의 물류정보가 공유되지 못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비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밖에 없고 운전자 위주의 운행방식에 기인한 체계적이지 못한 물류시스템에 의해 물류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공급자에서부터 물류센터, 고객에 이르기까지 발생되는 모든 물류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배송차량의 이동경로 및 위치를 정확히 파악(tracking)하여 물류센터에서는 입·출고 스케줄을 정확히 세울 수 있어 입·출고 시간을 줄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물류센터에서 수요자에게 화물을 운반하는 이동체에 휴대용 통신기기를 구비시켜 화물 및 차량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하고 차량의 원할한 배차관리를 통하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상차정보 입력을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
도 3은 상차정보 실시간 조회를 위한 화면 상태도,
도 4는 배송관리를 위한 화면 상태도,
도 5a-5b는 물품인도정보 입력을 나타내는 화면 상태도,
도 6은 물품의 현재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화면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객단말기 20 : 물류센터
21 : 관리서버 25 : 데이타베이스(DB)
30 : 공급자 31,51 : 운영서버
35,55 : 휴대용통신기기(PDA) 40 : 망관리자
41 : 위치정보시스템 50 : 운송회사
60 : 인터넷(Internet)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은, 원하는 물품을 주문하고, 주문한 물품에 대한 배송상황을 조회하기 위한 고객 단말기와, 입고예정 물품 상차시, 상차정보를 실시간으로 물류센터에 전달하기 위한 공급자 단말기와, 상기 물품이 상차된 배송차량의 위치 및 배송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정보시스템과, 물품 배송시, 배송정보를 실시간으로 물류센터에 전달하기 위한 운송회사 단말기와, 상기 실시간 전달되는 상차정보 및 배송정보에 근거하여 입·출고 스케줄 및 배송스케줄을 작성하고, 작성된 스케줄에 따라 물품 입·출고 및 배송 관리하며, 상기 위치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물품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토록 제공하기 위한 물류센터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들을 서로 인터넷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인터넷망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은 공급자(30)의 운영서버(31),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 운송회사(50)의 운영서버(51) 및 고객 단말기(10)가각각 인터넷(60)에 의해 연결되고, 공급자(30)와 운송회사(50)의 배송차량에는 각각 PDA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35,55)를 구비시켜 CDMA 무선망을 통하여 인터넷(60)에 연결된다. 공급자(30)의 휴대용 통신기기(35)는 상차시 발생한 상차정보 입력에 사용되고, 운송회사(50)의 배송차량에 장착된 휴대용 통신기기(55)는 차량의 위치정보나 화물을 전달한 시간과 고객 등의 정보, 반품등의 정보 입력에 사용된다. 차량의 위치정보는 망관리자(40)의 기지국 및 위치서버로 이루어진 위치정보시스템(41)과 연계되어 위치서버로부터 위치정보가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의 데이타베이스(25)에 링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화물에 관련된 물류정보와 화물의 위치정보를 인터넷(60)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1의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객(customer)은 전화 또는 단말기(10)의 인터넷(60) 접속을 통해 오프라인이나 온라인(Online)상의 상점에 원하는 물품을 주문(order)한다(①). 고객의 주문내역은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에 접수된다.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는 고객의 물품 주문이 접수되면, 데이타베이스(25)를 검색하여 현재 재고를 확인한 후 재고가 부족하거나 없을 시 공급자(30)에게 보충해야 할 물품을 주문한다(②).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는 공급자(30)의 운영서버(31)와 인터넷(60)을 통해 접속하여 물품을 주문한다. 주문을 받은 공급자(30)의 운영서버(31)는 인터넷(60)이나 EDI를 통하여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로 주문에 대한 수주정보 및 납품가능일자등을 통보한다.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는 주문 후 공급자(30)의 운영서버(31)로부터 수주정보 및 납품가능일자가 통보되면 이를 데이타베이스(25)에 일단 기록한다. 그런 다음,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는 데이타베이스(25)에 기록된 정보를 기준으로 입고계획을 수립한다. 한편, 공급자(30)측에서는 물류센터(20)로 납품하기 위하여 차량에 물품을 상차시 PDA등의 휴대용 통신기기(35)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상차정보를 실시간으로 물류센터(20)에 전송한다(③). 즉, 공급자(30)측에서는 휴대용 통신기기(35)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와 인터넷(60)에 접속한다. 이때, 공급자의 휴대용 통신기기(35) 화면에는 도 2에 보여진 바와 같은 브라우저창이 현시된다. 공급자(30)는 도 2에 보여진 휴대용 통신기기(35) 화면상에서 물품의 바코드를 읽고 수량을 입력하는 등의 상차정보를 입력한 후 전송버튼을 클릭하여 입력한 상차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차정보는 도 2의 PDA 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주번호, 납품번호, 발주처, 차량번호, 기사의 휴대전화 번호, 물품번호, 물품명, 발주수량, 납품수량, 주문일자, 납기요구일자, 상차일자, 그리고 도착예상일자등을 포함한다.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는 인터넷(60)을 통하여 공급자(30)의 휴대용 통신기기(35)에서 실시간 전송되는 상차정보를 데이타베이스(25)에 자동 기록한다. 데이타베이스(25)에 기록된 상차정보는 인터넷(60)을 통해 도 3에 보여진 화면등으로 실시간 조회가 가능하다. 물류센터(20)에서는 관리서버(21)를 통해 데이타베이스(25)에 기록된 상차정보를 조회하여 입고예정 물품에 대한 수량을 확인하고 창고에 보관할 물품이면 보관랙 지정을 하고, 납품(cross-docking)할 물품이면 같이 상차할 물품에 대한 피킹을 실시하여 상차할 장소에 미리 출고시켜 대기시킨다.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는 연계된 망관리자(40)의 위치정보시스템(41)을 통해 차량기사가 소지한 휴대전화를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정확한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한다. 휴대전화의 위치추적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물류센터(20)에서는 관리서버(21)상에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은 화면을 띄워 배송스케줄을 계획 수립하고, 현재의 배송현황을 모니터링한다. 우선, 배송스케줄이 완료되면 물류센터(20)에서는 각 해당 운송회사(50)에 배차요구를 하고(④), 무선인터넷(60)을 통하여 차량기사의 휴대용 통신기기(55)에 배송지시를 보내준다(⑤). 차량기사는 휴대용 통신기기(55)로 배송지시가 오면 휴대용 통신기기(55)상의 키버튼을 조작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하고 물류센터(20)로 차량 이동하여 물품을 상차한다. 이때, 차량기사는 휴대용 통신기기(55)를 통해 도 2에 보여진 바와 같이 상차정보를 입력하고 고객에게 배송한다(⑥). 차량기사의 휴대용 통신기기(55)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차정보도 무선인터넷(60)을 통해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로 전달되어 데이타베이스(25)에 기록된다. 또한, 망관리자(40)의 위치정보시스템(41)을 통해 차량기사의 휴대용 통신기기(55)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고,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고객은 PC등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10)를 통해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에 접속하여 주문한 물품의 상차정보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 조회할 수 있어 주문한 물품의 도착시간을 정확히 예측하게 된다. 차량기사는 물품을 고객에게 인도한 후 휴대용 통신기기(55)를 통해 도 5a에 보여진 바와 같이 물품인도정보를 입력하고 도 5b에 보여진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기기(55)의 화면상에 고객의 자필 사인을 받아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로 전송하면(⑦), 배송이 완료된다. 이때, 물류센터(20)에서는 관리서버(21)에 도 6에 보여진 화면을 띄워 물품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볼 수 있다. 배송 중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해도 물류센터(20)의 관리서버(21)에 즉시 상황이 보고되어 다시 스케줄을 변경하여 지시가 가능하며, 특히 배송중인 경로에서 발생한 반품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배송업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즉, 고객이 전화나 인터넷 접속을 통해 반품을 요청시 관리서버(21)가 그 반품정보를 화물을 운반하는 기사의 휴대용 통신기기(55)에 실시간으로 지시하여 배송중이거나 배송완료후에라도 그 고객을 방문하여 즉시 반품 화물을 접수하여 물류센터(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은, 공급자측에서 상차시 발생한 상차정보 및 배송차량의 현재 위치를 PDA등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무선인터넷망 접속하여 물류센터측에 실시간 전달하여 물류센터에서 크로스-독킹(cross-docking)을 가능케 하고 입·출고 스케줄을 정확히 세워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값싼 PDA등을 이용한 시스템 구축 비용 감소로 영세업체에서도 사용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배송스케줄과 배송경로를 작성할 수 있고, 돌발상황이 발생시에도 차량에게 실시간으로 작업지시를 내릴 수 있으므로 배송횟수를 줄여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화주 입장에서는 별도의 화물관리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물류센터의 관리서버와의 인터넷 접속을 통해 차량관리를 할 수있어 이중투자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8)

  1. 물류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원하는 물품을 주문하고, 주문한 물품에 대한 배송상황을 조회하기 위한 고객 단말기;
    입고예정 물품 상차시, 상차정보를 실시간으로 물류센터에 전달하기 위한 공급자 단말기;
    상기 물품이 상차된 배송차량의 위치 및 배송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정보시스템;
    물품 배송시, 배송정보를 실시간으로 물류센터에 전달하기 위한 운송회사 단말기;
    상기 실시간 전달되는 상차정보 및 배송정보에 근거하여 입·출고 스케줄 및 배송스케줄을 작성하고, 작성된 스케줄에 따라 물품 입·출고 및 배송 관리하며, 상기 위치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물품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토록 제공하기 위한 물류센터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들을 서로 인터넷으로 연결하기 위한 무선인터넷망을 포함하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단말기는
    상기 물류센터 단말기의 주문 수주에 대한 정보와 납품가능일자를 포함하는입고예정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운영서버; 및
    납품할 물품을 차량에 상차시 물품번호, 수량, 상차차량번호, 차량기사 휴대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상차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휴대용 통신기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시스템은 망관리자측에 마련되며, 차량에 장착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추적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회사 단말기는
    상기 물류센터 단말기의 배차요구에 따라 차량을 배차하기 위한 운영서버; 및
    배차된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물류센터 단말기와 무선인터넷망으로 접속되어 배송지시를 받아 상차한 물품의 상차정보를 입력하고, 고객에게 인도한 물품인도정보를 고객 사인과 함께 입력하여 전송하기 위한 휴대용 통신기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센터 단말기는
    상기 입고예정정보를 기준으로 입고계획을 수립한 후 실시간 입력되는 상차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시스템의 위치추적에 따른 배송차량의 위치정보로부터 입·출고 및 배송스케줄을 관리하고, 위치정보를 근거로 물품의 도착예정시간을 산출하여 물품의 현재 상태를 인터넷 접속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실시간 전달되는 상차정보 및 배송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타베이스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배송차량에 장착된 휴대용 통신기기로 배송과 관련한 업무지시 및 상황보고를 실시간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고객의 반품 요청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에 실시간으로 지시하여 배송중이거나 배송완료후라도 즉시 그 고객으로부터 물품을 반품 접수토록 하고,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반품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달하여 여부를 즉시 확인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KR1020020000174A 2002-01-03 2002-01-03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KR20020023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174A KR20020023986A (ko) 2002-01-03 2002-01-03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174A KR20020023986A (ko) 2002-01-03 2002-01-03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986A true KR20020023986A (ko) 2002-03-29

Family

ID=1971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174A KR20020023986A (ko) 2002-01-03 2002-01-03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98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83B1 (ko) * 2006-05-23 2008-03-2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 정보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40988B1 (ko) * 2003-03-27 2010-02-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랜을 이용한 물류 정보 수집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8739B1 (ko) * 2012-01-10 2014-10-30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26916B1 (ko) * 2021-04-05 2021-11-1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납품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2001998B2 (en) 2021-04-05 2024-06-04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for item delivery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001A (ko) * 1997-06-03 1997-09-12 송상섭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물류정보 처리 시스템
KR20000030795A (ko) * 2000-03-17 2000-06-05 민경욱 온라인 물류운송 정보시스템
KR20000030645A (ko) * 2000-03-09 2000-06-05 김병호 인터넷상의 수송운행 일정을 연결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KR20000054235A (ko) * 2000-05-29 2000-09-05 이재원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KR20010044414A (ko) * 2001-02-20 2001-06-05 방인규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KR20010102870A (ko) * 2001-09-11 2001-11-17 박영철 휴대폰을 이용한 배송관리시스템 및 배송관리방법
KR20030047327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농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001A (ko) * 1997-06-03 1997-09-12 송상섭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물류정보 처리 시스템
KR20000030645A (ko) * 2000-03-09 2000-06-05 김병호 인터넷상의 수송운행 일정을 연결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KR20000030795A (ko) * 2000-03-17 2000-06-05 민경욱 온라인 물류운송 정보시스템
KR20000054235A (ko) * 2000-05-29 2000-09-05 이재원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중앙 관제식 물류 시스템
KR20010044414A (ko) * 2001-02-20 2001-06-05 방인규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KR20010102870A (ko) * 2001-09-11 2001-11-17 박영철 휴대폰을 이용한 배송관리시스템 및 배송관리방법
KR20030047327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농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988B1 (ko) * 2003-03-27 2010-02-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랜을 이용한 물류 정보 수집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6983B1 (ko) * 2006-05-23 2008-03-27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선 정보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438739B1 (ko) * 2012-01-10 2014-10-30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26916B1 (ko) * 2021-04-05 2021-11-17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납품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WO2022215786A1 (ko) * 2021-04-05 2022-10-13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납품을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2001998B2 (en) 2021-04-05 2024-06-04 Coupang Corp.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for item delivery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8196A (ko) 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US8219503B2 (en) Estimated time of arrival (ETA) systems and methods
Yao et al. The impact of real-time data communication on inventory management
KR102378606B1 (ko) 전자적 재고 추적 시스템 및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0700110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inventory management in a supply chain
CN112330242A (zh) 货物的管理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20240005657A (ko) 인바운드 제품의 지능적인 분배를 통해 제품 인벤토리를 최적화하는 컴퓨터-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0529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20100062848A (ko)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49636A (ko)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101767185B1 (ko) 실시간 자산관리서버를 구비하는 통합형 복화운송시스템
KR20020023986A (ko)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CN111738695A (zh) 一种工程项目材料管理系统
KR20210033869A (ko) 응답적이고 자동 예측적인 패키징 획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24919B1 (ko) 보장된 배달 시간 선택의 표시 및 결정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61904A (ko) 물류 공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3893A (ko) 4자 물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20220057501A (ko) 커스텀 풀필먼트 센터를 위한 최상위 아이템을 결정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4441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KR20210157676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20210087633A (ko) 공급망 관리 시스템
KR20210087636A (ko) 공급망 관리 시스템
KR20010034959A (ko)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자간 공동 차량관리방법 및 장치
KR20040034321A (ko)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KR102578121B1 (ko) 실시간 배송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화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