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739B1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739B1
KR101438739B1 KR1020120002931A KR20120002931A KR101438739B1 KR 101438739 B1 KR101438739 B1 KR 101438739B1 KR 1020120002931 A KR1020120002931 A KR 1020120002931A KR 20120002931 A KR20120002931 A KR 20120002931A KR 101438739 B1 KR101438739 B1 KR 10143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container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889A (ko
Inventor
양현석
홍동희
이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팬스스마트로
Priority to KR102012000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7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운전자가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과 물류 반입업무자가 관리하는 장치장서버를 구비하여 수행되는 물류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운전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에 화물 차량의 도착 예정 시간이 예약 입력되면 상기 장치장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장치장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제공받고, 미리 저장된 상기 화물 차량 정보의 탑재된 컨테이너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거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새로 산출하는 단계와, 도착예정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화물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들 각각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포함한 하역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물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hysical distribution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물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 단말을 활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물류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물류 터미널은 화물차량이 컨테이너를 싣고 물류터미널의 게이트에 도착하면 사전에 전송한 컨테이너의 반출입 정보를 확인하여 야드에 적재위치를 선정하게 된다. 따라서, 물류 터미널의 야드에는 많은 수의 컨테이너가 복층으로 적재되며 효율적인 반출입 업무를 위해 사전에 전송된 반출입 정보과 현장에 도착한 컨테이너의 시간대로 적재계획을 수립한다.
그러나, 적재계획을 수립하려면 컨테이너가 현장에 도착해야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도착순서에 따라 그때 그때 계획이 달라지게 된다. 만약 계획을 잘못 세우면 먼저 나가야 할 컨테이너가 아래층에 적재되고 그 위에 나중에 나가야할 컨테이너가 쌓아지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업무처리를 위한 시간과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컨테이너를 반입해야 할 시간이 되어 가는데도 컨테이너를 실은 화물차량이 도착하지 않고 있거나 컨테이너를 반출해야 할 시간이 다 되어 가는데 컨테이너를 싣고 나가야 할 화물차량이 아직 오지 않은 경우 운전기사와 전화를 통해 화물차량의 위치를 파악한 후 컨테이너 반출입의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출항 시간이 다되어 가는데 부두에 컨테이너를 실은 화물 차량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 경우 선박의 출항 여부에 고민을 하게 되며 음성전화로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여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불확실한 정보로 인해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물류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동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고 미공개된 한국특허출원 제2011-8438호는 그 일예이다.
한국특허출원 제2011-8438호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화물 반출입 작업에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화물반출입 작업 상태를 제공하고 전자인수도증을 모바일 전자문서 형태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에 제공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은 종래기술에 의한 물류시스템의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화물차 운전자와 부두에서 물류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통신을 주고 받는 과정은 존재하지 않아서 아쉬운 점이 없지 않았다.
또한, 물류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화물차가 언제 도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방법이 충분하지 않아 물류시스템을 보다 획기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은 여전히 요구되어 오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차량의 운전기사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화물차량이 운반하는 컨테이너의 도착예약정보를 장치장서버에서 전달받고 정확한 도착예정정보를 산출하여 보다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과 물류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물류서버가 보다 효과적으로 통신을 주고 받도록 하여 물류절차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차량운전자가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과 물류 반입 업무자가 관리하는 장치장서버를 구비하여 수행되는 물류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처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운전자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화물 차량의 도착 예약 시간이 예약 입력되면 상기 장치장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장치장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도착 예약 시간 정보를 제공받고, 미리 저장된 상기 화물 차량 정보의 탑재된 컨테이너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거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새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착예정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화물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들 각각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포함한 하역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물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착예정시간은 일정 시간 단위로 산출하여 교통상황 변화를 업데이터할 수 있고, 상기 도착예정시간은 일정 시간 단위로 산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류처리 시스템에는 운송사서버를 더 구비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의해 도착예약시간이 상기 장치장서버에 전송되기 전에, 상기 운송사서버는 화물 차량 정보와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상기 장치장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운송사서버는 상기 화물차량과 매칭된 컨테이너 정보들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차량운전자가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과 물류업무 관계자가 관리하는 물류처리서버를 구비하여 수행되는 물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류처리 서버는, 상기 물류처리 서버는 차량운전자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화물 차량의 도착 예약시간 정보를 제공받고, 미리 저장된 상기 화물 차량 정보의 탑재된 컨테이너들 정보를 확인하고,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거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착예정시간을 새로 산출하며, 도착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화물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들의 야드 적재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물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류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전에 물류가 도착하는 정보를 통지받음으로써 물류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송사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전에 화물차 정보와 이에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장치장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통지하게 하고 화물차 운전기사는 이에 기반하여 도착예약시간 정보를 문류반입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물류처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사전정보를 확인하는 스마트폰용 어플의 도면이고, 각 컨테이너별 도착예정 시간을 입력하여 예약을 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물류처리 시스템은 차량운전자가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100)과 물류 반입 업무자가 관리하는 장치장서버(110), 및 물류반출 업무자가 관리하는 운송사서버(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화물차에 컨테이너를 실어 보내는 물류반출 담당 관련 전산 처리를 담당하는 서버는 운송사서버로 칭하고, 화물차의 컨테이너를 받아서 적재하는 부두 등에서 물류반입을 담당하는 전산 처리를 담당하는 서버를 장치장서버라 한다. 장치장서버(110)와 운송사서버(130)는 하나의 서버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설명에서는 그 기능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칭은 해당 물류반입과 반출을 수행하는 기능적 측면에서 명명한 것으로 지리적 위치 등에 기반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운송사서버(130)는 화물 차량 정보와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장치장서버(110)에 전달한다. 전달하는 시점은 화물차 운전자가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에 의해 도착예약시간이 장치장서버(110)에 전송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물차량 정보와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오류의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운송사서버(130)는 직접 화물 차량 정보와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물류 반입 서버(110)에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컨테이너를 탑재하여 물류반입 부두에 전달하는 화물차는 통상 각 화물차에 1개 또는 2개의 컨테이너들이 탑재하게 되므로 화물차와 컨테이너들은 일반적으로 1:N (N은 2이하의 자연수) 형태로 매칭된다. 한편, 컨테이너가 반입되는 부두 등에서는 화물선에 화물차 단위로 탑재되는 위치와 순서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고 컨테이너들 단위 별로 탑재되는 위치와 순서가 달라진다. 즉, 시간에 맞춰 컨테이너들을 적재하고 출발해야 하는 화물선에는 각 컨테이너들에 따라 적재여부가 결정된다. 아래 표 1은 컨테이너들이 화물차와 매칭된 정보의 간단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컨테이너 번호 화물차 번호 반입날짜
ABCD1234560 화물차A 20110901
ABCD1234561 화물차A 20110901
ABCD1234562 화물차B 20110901
ABCS1234563 화물차C 20110901
예를 들어 A화물차에 ABCD1234560, ABCD1234561 컨테이너가 탑재되어 부두에 오는 경우 C 화물선에는 ABCS1234560 컨테이너, B 화물선에는 ABCD1234561 컨테이너가 탑재된다고 가정할 경우 A화물차가 어떤 컨테이너를 먼저 내리고 어떤 컨테이너를 나중에 내리느냐에 따라 또는 A, C 화물선은 언제 각각 출항할 예정인지에 따라 물류 처리 속도는 판이하게 다를 수 있다. 한편, 통상 화물선이 위치한 장소는 부두에서 서로 다른 위치이므로 어디를 먼저 가느냐에 따라 물류처리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화물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들 각각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포함한 하역 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은 매우 높다.
한편, 각 화물차는 배차를 1건 뿐 아니라 여러 건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물차는 1-10건 배차를 받고 각 건당 1-2개의 컨테이너를 미리 받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각 컨테이너들은 장치장 별로 도착되어야 할 장소가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컨테이너별로 도착예약 시간을 설정하여 도착예약 정보를 송부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운송사서버(130)는 직접 화물 차량 정보와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장치장서버(110)에 전달하고, 장치장서버(110)는 화물차량 정보와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구비하고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장치장서버(110)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100)에 화물 차량의 도착 예약 시간이 예약 입력되면, 이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달받는다. 도착예약 시간 정보는 화물차가 하역장(부두)에 도착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의미도 있지만 실제 화물차가 물류반입을 예약하는 개념으로 활용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실제 화물차의 도착예정 시간은 실시간 교통사정 상황 정보를 반영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산출될 수 있다.
장치장서버(110) 입장에서는 운송사서버(130)로부터 화물차량과 매칭된 컨테이너들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확보하여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각 컨테이너들이 언제 출발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차량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100)에서 도착예정 시간을 알려오면 이로써 출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장치장서버(11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제공받는 것에 더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거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한다.
도착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공지된 방식을 활용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도착예정 시간은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 시간 단위 또는 30분 단위, 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GPS 등을 활용하여 계산한 시간은 실제 차량 운전자가 예약한 시간에 비해 더욱 정확할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교통상황 변화에 따라 실제 계산되는 도착예정 시간도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변하는 실제 도착 예정시간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들 각각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포함한 하역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어플 등과 같은 수단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하는 도착예정 시간 정보를 차량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100)과 장치장서버(110)가 함께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는 차량운전자의 단말에 스마트폰용 네비게이션을 설치하고 이 네비게이션을 활용하면 운행 중 실시간으로 변하는 도착예정 시간 정보는 장치장서버(110)에 바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간 정보들은 장치장서버(110)가 해당 컨테이너들의 하역 순서 등을 정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통상 컨테이너의 하적은 수십분이 소요될 수 있는 작업이고, 각 컨테이너들의 하역 장소도 서로 다르며, 어떤 컨테이너를 먼저 하역할 것인지에 따라 전체 하역 소요시간이 달라지고, 화물선의 출항 시간은 항상 세밀하게 관리되고 지체시 많은 비용이 초과로 들 수 있으므로 정교하게 해당 컨테이너의 하역 순서와 하역 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비용절감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운송사서버(130)는 화물차량과 매칭된 컨테이너 정보들을 이동통신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스마트폰의 어플 형태로 본 시스템을 구현하여 해당 화물차 운전자별로 로그인을 하여 사전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때 자신의 차량에 적재된 컨테이너 정보들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차량에 적재된 컨테이너들 정보는 운송사서버(130)가 장치장서버(110)에 화물차와 이에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전달할 때 화물차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에 함께 전달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화물차 운전자는 이 정보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오류를 줄일 수도 있고 자신이 처리해야할 업무에 대하여 확인을 받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다른 변형에 의하면, 장치장서버(110)는 운송사서버(130)와 이동통신 단말(100)을 통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화물차량과 이에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전달받아 서로 일치할 경우 하역계획을 진행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재확인을 운송사서버(130)와 이동통신 단말(100) 각각에 요청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차량 운전자가 도착예정 시간을 장치장서버에 알려줄 때도 상기 스마트폰 어플을 활용하면 각 컨테이너별로 도착예약시간을 입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장치장서버가 복수개 존재하고 각 컨테이너들이 각기 다른 장치장서버에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화물차는 배차를 1건 뿐 아니라 여러 건도 가능하므로, 이 경우 각 컨테이너들은 장치장 별로 도착되어야 할 장소가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컨테이너별로 도착예약 시간을 설정하여 도착예약 정보를 송부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사전정보를 확인하는 스마트폰용 어플의 도면과 각 컨테이너별 도착예약 시간을 입력하여 예약을 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스마트폰 어플은 화물 반출입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면 이 관련 정보를 장치장서버(1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100)은 컨테이너 관련 정보들을 확인하고 서버에 수정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화물운전자의 이동통신단말(100)이 장치장서버(110)에 화물 반출입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면, 이 정보를 운송사서버(130)에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물류처리방법은 차량운전자가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과 물류 반입업무자가 관리하는 장치장서버를 구비하여 수행되는 물류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먼저, 운송사서버(130)는 장치장서버(110)에 화물차량 정보와 이에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전송한다(S001, S003단계).
다음으로, 차량운전자가 가지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100)에 화물 차량의 도착 예약 시간이 예약 입력되면 이 정보는 장치장서버(110)로 전송된다(S101).
장치장서버(11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제공받고, 미리 저장된 화물 차량 정보의 탑재된 컨테이너들 정보를 확인한다(S103 단계).
이어서, 장치장서버(11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거나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착예정 시간을 새로 산출한다(S105).
다음으로, 실제 산출 도착예정 시간을 기준으로 해당 화물차량에 탑재된 컨테이너들 각각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포함한 하역 계획을 수립한다(S107단계).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 이동통신 단말 110 : 장치장서버
130 : 운송사서버

Claims (10)

  1. 컨테이너들을 탑재한 화물차량들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들과, 운송사 서버와, 탑재된 컨테이너들을 화물선에 선적하기 위해 하역장에 설치된 장치장 서버를 구비하여 수행되는 물류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 서버는 화물 차량 정보와 이에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상기 장치장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들에서 화물차량의 도착 예약 시간이 상기 장치장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장치장 서버는 상기 도착 예약 시간을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응되는 화물 차량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탑재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장치장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과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착 예정시간을 새로 산출하는 단계;
    새로 산출된 도착 예정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장 서버는 화물차량들에 탑재된 컨테이너들 각각을 선적할 화물선의 위치와 출항시간에 따라, 상기 각 컨테이너들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결정하는 하역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장 서버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과 상기 컨테이너들 각각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포함한 하역 계획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착예정 시간은 상기 장치장서버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되어 변경사항이 반영되고 이를 이용하여 하역 계획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서버는 상기 화물차량과 매칭된 컨테이너 정보들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사전에 전달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이를 기초로 화물 차량과 매칭된 각 컨테이너들의 도착 예약 시간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처리 방법.
  6. 컨테이너들을 탑재한 화물차량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과, 운송사 서버와, 탑재된 컨테이너들을 화물선에 선적하기 위해 하역장에 설치된 장치장 서버와 를 구비하여 수행되는 물류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장 서버는,
    화물 차량 정보와 이에 매칭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상기 운송사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장 서버에 전달받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화물차량의 도착 예약 시간이 상기 장치장 서버로 전송되어 오면,
    상기 도착 예약 시간을 제공받아 미리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대응되는 화물 차량 정보를 파악하고 이에 탑재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네비게이션과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도착 예정시간을 새로 산출하여,
    새로 산출된 도착 예정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장 서버는 화물차량들에 탑재된 컨테이너들 각각을 선적할 화물선의 위치와 출항시간에 따라, 상기 각 컨테이너들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결정하는 하역 계획을 수립하며,
    상기 도착예정 시간과 상기 컨테이너들 각각의 하역 위치와 하역 순서를 포함한 하역 계획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통지하되,
    상기 도착예정 시간은 상기 장치장서버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되어 변경사항이 반영되고 이를 이용하여 하역 계획정보가 변경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처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02931A 2012-01-10 2012-01-10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3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931A KR101438739B1 (ko) 2012-01-10 2012-01-10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931A KR101438739B1 (ko) 2012-01-10 2012-01-10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89A KR20130089889A (ko) 2013-08-13
KR101438739B1 true KR101438739B1 (ko) 2014-10-30

Family

ID=4921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931A KR101438739B1 (ko) 2012-01-10 2012-01-10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753A (ko) 2021-05-10 2022-11-17 (주)옵스네트웍스 수입화물 사전반출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533181B1 (ko) * 2021-11-29 2023-05-17 주식회사 컨테인어스 컨테이너 야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987B1 (ko) 2019-05-10 2021-03-30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전광판 연동방식의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102544350B1 (ko) * 2021-11-30 2023-06-16 주식회사 컨테인어스 인공 지능을 이용한 화물 장치 및 리핸들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986A (ko) * 2002-01-03 2002-03-29 배 용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KR20090116526A (ko) * 2008-05-07 2009-11-11 (주) 후인텔레콤 물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986A (ko) * 2002-01-03 2002-03-29 배 용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KR20090116526A (ko) * 2008-05-07 2009-11-11 (주) 후인텔레콤 물류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물류정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753A (ko) 2021-05-10 2022-11-17 (주)옵스네트웍스 수입화물 사전반출 중계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533181B1 (ko) * 2021-11-29 2023-05-17 주식회사 컨테인어스 컨테이너 야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89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8404B (zh) 仓库和供应链协调器
KR102101814B1 (ko)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US72129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apacity to a provider of services
CN104102991A (zh) 货物运输过程管控实现方法、终端及系统
KR101754300B1 (ko) 화물운송 중개 관리시스템
KR102095735B1 (ko) 화물차를 이용한 권역기반 물류 시스템 및 분배 방법
KR102327188B1 (ko)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복수 운송장비의 배차 전략 다원화를 위한 운영 관리 방법
JP6332887B2 (ja) コンテナ管理システム、コンテナ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38739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물류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3985024A (zh) 用于管理货物集散终端站处货物转移操作的系统和方法
JP6670517B2 (ja) コンテナ位置管理システム
KR101867456B1 (ko)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WO2013108211A1 (en) Terminal resources and traffic flow management
JP5520448B2 (ja) コンテナ搬送トラックの運行管理システム
KR102435722B1 (ko) 항공 화물 배송을 위한 스마트 화물 차량 배차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JP2012166869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その運用方法、および荷役管理装置
JP5006119B2 (ja) 積み出し作業管理システム
CN111695859A (zh) 一种急速配送系统的数据处理方法
AU2013300094A1 (en) Mobile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019960A1 (en) UniTOS Universal Transportation Operating System
CN111191986A (zh) 一种港口货物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US20180040092A1 (en) Logistic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bjects in a space
CN105293103B (zh) 一种运输车辆用行李集装箱自动化输送方法及其装置
KR20210095013A (ko) IoT 데이터 기반 항만 외부 작업자를 위한 지능형 항만 물류 시스템
Kuśmińska-Fijałkowska et al. The Land Trans-Shipping Terminal In Processes Flow Stream Individuals Intermodal Trans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