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327A -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327A
KR20030047327A KR1020010077791A KR20010077791A KR20030047327A KR 20030047327 A KR20030047327 A KR 20030047327A KR 1020010077791 A KR1020010077791 A KR 1020010077791A KR 20010077791 A KR20010077791 A KR 20010077791A KR 20030047327 A KR20030047327 A KR 20030047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vehicle
destination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오
오흥원
이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농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농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농심
Priority to KR1020010077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7327A/ko
Publication of KR2003004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3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 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고,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이전에 그 목적지까지의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하며, 결정된 배송 계획에 따라 배송하면서 실시간으로 배송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배송 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배송중인 차량 상태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며, 각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것을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배송 완료된 것을 확인하여 각 목적지에 대한 배송을 끝냄으로 해서, 배송 차량 및 최적화된 배송 경로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배송 중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 그 시스템 {Goods sending method available for realtime management usi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물류에 관한 것으로, GPS, GIS,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과 IT등의 발달로 정치, 경제, 사회의 각 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시스템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물류부문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려는 마인드 부재로 인해 하드인프라 뿐만 아니고 소프트 인프라 투자에 인색하며, 그 결과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물류활동수행에 있어 비효율성, 서비스품질 수준의 저하로 결과적으로 고객들의 불만이 높으며, 또한 물류 비용도 턱없이 높은 현실이다. 더구나 물류시장의 개방으로 국내물류는 국제경쟁력 확보가 요구되는 급박한 상황까지 도래하였다.
특히 일반 제조업체의 물류수행의 경우 체계적인 배송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하여 관리의 미숙, 비효율적 물류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물류의 배송의 경우, 고객이 영업사원 등을 통해 주문을 하면 물류부문은 메인 컴퓨터와 연결된 정보를 통해 물류센타에서 접수하고 배송지시를 한다. 그리고 이후의 물류활동 정보는 물류센타와는 완전히 단절된다. 그리고 실시간별 차량의 운행상태나 도로상황, 현재 납품진행상황, 냉동냉장차량의 적재함의 온도 등의 정보를 구하지 못해 운행상의 효율이나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력이 없게 된다. 이런 경우가 발생하면 사후에 통지되거나 혹은 그 상황 발생시에 전화와 같은 수단을 통해 연락이 될 뿐이다. 대부분은 최종적으로 해당 배송차량이 물류 센타에 귀환 후 보고에 의해 모든 상황이 사후 파악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경우 배송상황에 대한 제약조건이 너무 많아서 배차계획을 시스템화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출고지시서 기준으로 출고담당자의 감에 의해 배송경로를 설정하고, 실제 배송경로상의 도로상황 정보를 알지 못하므로 배송차량이 물류센터를 출발하고 나면 배송 운행은 배송기사의 경험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합리적인 배송활동 수행에 대한 여부의 검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배송하는 목적물, 목적지와 일시가 정해지면 배송 차량 및 최적화된 배송 경로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배송 중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송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시스템에 관련되는 데이터베이스간의 연관 관계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은, (a)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 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는 단계; (b)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이전에 그 목적지까지의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에서 결정된 배송 계획에 따라 배송하면서 실시간으로 배송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배송 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배송중인 차량 상태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d) 각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것을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배송 완료된 것을 확인하여 각 목적지에 대한 배송을 끝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시스템은, 배송 목적지, 배송 일시를 포함하는 배송을 위한 주문들이 입력되는 주문입력부; 각 배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도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 배송 차량에 장착되어 배송 차량의 위치와 배송이 완료된 것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배송차량단말부; 상기 배송차량단말부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배송 완료된 것을 파악하는 차량위치수신부; 각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출발 시각, 도착 시각, 목적지별 배송 시간을 포함하는 배송 목적지까지의 기존 운행 이력 자료들이 소정의 양식으로 저장/인출되는 배송이력데이터베이스부;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 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는 차량결정부; 및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상기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상기 배송이력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하여 상기 차량결정부에서 결정된 차량이 배송하도록 하며, 배송중인 차량의 위치정보와 배송 완료된 것을 상기 차량위치수신부로부터 받아서 배송중인 위치 정보와 각 목적지별 배송이 완료된 것을 관리하는 배송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 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고(100 단계),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이전에 그 목적지까지의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하며(110 단계), 참조번호 100 및 110 단계에서 결정된 배송 계획에 따라 배송하면서 실시간으로 배송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배송 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배송중인 차량 상태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며(120 단계), 각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것을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배송 완료된 것을 확인하여 각 목적지에 대한 배송을 끝낸다(130 단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배송 목적지, 배송 일시를 포함하는 배송을 위한 주문들이 입력되는 주문입력부(200), 각 배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도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210), 배송 차량에 장착되어 배송 차량의 위치와 배송이 완료된 것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배송차량단말부(220, 222), 배송차량단말부(220, 222)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배송 완료된 것을 파악하는 차량위치수신부(230), 각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출발 시각, 도착 시각, 목적지별 배송 시간을 포함하는 배송 목적지까지의 기존 운행 이력 자료들이 소정의 양식으로 저장/인출되는 배송이력데이터베이스부(240),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 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는 차량결정부(250),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210)에 저장된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배송이력데이터베이스부(240)에 저장된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하여 차량결정부(250)에서 결정된 차량이 배송하도록 하며, 배송중인 차량의 위치정보와 배송 완료된 것을 차량위치수신부(230)로부터 받아서 배송중인 위치 정보와 각 목적지별 배송이 완료된 것을 관리하는 배송서버(2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여 배송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통신부(27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의 방법과 도 2의 시스템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주문입력부(200)는 영업사원이나 일반 사용자로부터 물류 배송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 영업사원의 경우는 PDA와 같은 장치를 이용해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주문 내역을 입력할 수 있으며, 주문입력부(200)는 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구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 사용자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 수단을 통해 접속하여 물류 배송을 신청할 수 있다. 이때에는 주문입력부(200)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물론 유선 전화와 같은 수단을 이용해서 배송 요청을 하면 관리자는 그 내용을 키보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주문 내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에는 주문입력부(200)는 키보드 입력을 받아들이는 전자계산기의 구성을 가진다. 주문하는 내역은 배송 물품, 배송할 목적지, 배송 시각, 배송 차량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210)는 전자 지도에 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210)는 GIS(지도 정보 시스템,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은 상용의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배송차량단말부(220, 222)는 배송을 위한 차량에 설치된 차량의 위치를 무선으로 송신하며, 배송이 완료된 경우 배송한 자의 선택에 의해 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송차량단말부(220, 222)는 인공위성을 통해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알 수 있는 GPS(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 단말기를 포함하고 있다. GPS를 통해 파악된 차량의 정확한 위치가, 예를 들면 TRS(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 Trunked Radio System)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된다. 또한 배송이 완료된 것을 알리기 위해, 예를 들면 배송차량단말부에 버튼과 같은 것을 부가하여 배송 목적지에 도착하면 혹은 배송한 물건이 하차 완료되면 그 버튼을 눌러 배송이 완료된 것을 알릴 수 있다. 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것도 TRS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배송차량단말부(200, 222)에서 송신되는 것은 차량의 상태에 관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송차량이 냉동차량인 경우 물품 탑재함에 포함되어 있는 온도 센서의 출력인 온도값을 송신할 수 있다.
차량위치수신부(230)는 배송차량단말부(200, 222)에서 송신된 차량의 위치와 배송 상태에 관한 것을 수신한다. 따라서 TSR 통신망을 통해 정보가 전송된다면 차량위치수신부(230)는 TSR 수신 기능을 포함해야 한다. 배송차량단말부(200, 222)에서 송신되는 정보가 차량 물품 탑재함의 온도라면 차량위치수신부(230)는 이 온도값도 수신하게 된다.
배송서버(260)는 GIS 데이터와 GPS 데이터의 값을 이용하여 지도상에서 차량의 위치, 이동 방향, 차량 이동 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차량의 도착 시각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실시간을 위해서는 G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주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실질적인 실시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배송 목적지까지의 도로가 직선이고 교통이 원활하다면, 예를 들면, 2-3분마다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도 실시간을 달성하기 위한 문제가 없을 것이며, 도로가 복잡하며, 교통이 원활하지 않다면, 예를 들면, 10초 단위로 GPS 데이터를 수신해서 실시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결정부(250)가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면(100 단계), 배송서버(260)는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이전에 그 목적지까지의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한다(110 단계). 이 예는 다음의 실시예에서 설명될 것이다.
배송서버(260)는 결정된 배송 계획에 따라 배송하면서 실시간으로 배송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배송 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배송중인 차량 상태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120 단계).
이때에 배송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GIS 데이터와 GPS 데이터의 값을 이용하여 지도상에서 차량의 위치, 이동 방향, 차량 이동 속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차량의 도착 시각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송 차량이 냉동차량인 경우 배송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차량 화물칸의 온도를 포함하며, 온도가 소정의 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그 배송 차량 운전자에게 그 상태를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도 2의 시스템 관리자에게도 이를 알릴 수 있을 것이다.
배송서버(260)는 배송차량이 각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것을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배송 완료된 것을 확인하여 각 목적지에 대한 배송을 끝내게 된다(130 단계).
이때에 130 단계의 각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시각을 110 단계에서 사용되는 운행 이력 자료로 포함시켜 배송이력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자료는 다음의 배송시에 참조할 자료가 된다.
그리고 상기에 설명된 것처럼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 배송차량단말부(200)를 조작하여 배송이 된 것을 알릴 수도 있을 것이며, 혹은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210)의 GIS 전자 지도에 표시되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배송목적지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면 배송서버(260)는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 배송목적지에 배송이 완료될 것이라는 것을 통지하며, 배송이 완료될 것이라는 것을 미리 판단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배송서버(260)는 배송차량의 현재 위치와 배송목적지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면, 예를 들면 100m 이내,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 배송목적지에 배송이 완료될 것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송이 되면 배송되는 물건들을 하차해야 배송이 실질적으로 완료된다. 따라서 배송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배송차량이 올 것이라는 것이 미리 통보된다면 배송에 따른 배송물 하차 작업이 신속하게 준비될 것이며, 결과적으로는 물류 과정 전체의 흐름이 빨라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송이 완료된 경우에 배송한 사람의 실수로 배송 완료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배송차량단말부(200)를 동작시키는 것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한 대응책이 될 수도 있다.
배송서버(260)는 참조번호 120 단계 및 130 단계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와 배송 결과를 이용하여 배송중인 배송물의 배송 중, 배송물 하역 중, 배송 완료를포함하는 배송물의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배송물의 진행에 대한 실시간 관리가 더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통신부(270)를 이용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방법은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210)에서 인출되는 GIS 전자 지도에 배송 차량의 현 위치, 이동 경로 및 각 배송 목적지별 도착 예정 시각을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배송서버(260)는 각 배송 목적지 별 도착 예정 시각을 산출하며, 사용자통신부(270)를 통해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210)의 도로 지도를 표시하고, 그 도로지도 위에 차량위치수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차량의 현재 위치, 이동 경로 및 산출된 배송 목적지별 도착 예정 시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배송에 따른 결과나 중간 단계를 보기를 원한다면 GIS 데이터에 기반한 지도가 표시된 화면에서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현된 차량의 현재 위치, 이동할 경로, 배송지 도착 예정 시각을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통신망으로는 인터넷과 같은 경우도 가능하며, 무선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하는 것도 가능하며, PDA를 통해 무선 통신망을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배송서버(260)는 각 목적지에 대한 배송이 끝난 후에 배송 차량 출발 시각, 목적지 도착 시각,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형식의 차량 운행 일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별도의 작업없이운행일지가 자동으로 작성되어 관리, 유지의 면에서 자동화가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자료에 근거하여 배송에 소요되는 원가나 요금도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GPS위성(300)을 통해 배송차량(310)의 위치가 구해지며, 이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가 중계소(320)를 거쳐 무선통신 데이터로 수신기(330)에서 수신된다. GPS운영서버(340)는 GPS와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는 서버이다. 배송운영서버(350)는 도 2의 차량결정부(250)와 배송서버(260)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것은 웹서버(360)를 통해 이루어진다. 배송센터(370) 내부의 사용자나 외부의 사용자 모두 인터넷을 통해 배송에 관련된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배송시스템은 영업사원들의 PDA를 통하여 영업활동(P1)에 의한 주문접수를 시작으로 주문확정물량을 접수하고 이에 따라 배송계획처리(P2)를 하게 되는데 배송센터에서 금일 배송 가능한 차량(P2.1)과 거래처의 배송요구사항(P2.2), 배송예정시간, 배송에 필요한 특정차량, 수치지도의 도로정보, 거래처 경도, 위도의 위치정보(P2.3)와 이전의 배송으로 GPS/GIS를 활용하여 집약된 운행 이력자료를 기초로 최적의 배송경로(P2.4)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배송루트, 배송순위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거래처간의 최단거리/운행이력자료의 조합하여 신규거래처는 도로정보의 교차로 정보를 따라 최단거리의 거래처간 거리를 형성하고, 기존거래처는 GPS수신차량의 속도와 이동거리, 이동시간을 운행이력자료로 형성시켜 이 정보를 활용, 조화평균을 산출하여 거래처간 매트릭스 정보(P5.4)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고객에게 도착예정시간(P2.4)과 출고 담당자에게 배송센터로 차량이 귀환하는 시간을 제공하게 된다. 운행이력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요일별 시간대별로 다량의 데이터가 누적되게 되면 더욱 정확한 도착예정시간(P2.5)과 센터귀환 시간을 서비스할 수 있다.
매트릭스정보형성은 다음과 같이 얻어질 수 있다.
매일 배차계획처리(P2)에 의하여 운행되는 차량과 차량에 실린 전표(거래처와 제품)를 기본으로 배송순위에 따라 운행이 된다. 차량은 GPS수신기와 송신기를 부착하여 운행을 한다. 차량에서는 1분단위의 정보(단말기ID, 경위도위치, 순간속도, 평균속도, 차량의 이동방향, 냉동/냉장온도 등)를 송신하며 배송순위에 따른 배송센터에서 거래처, 거래처에서 거래처간 이동한다. 배송서버에서는 전자지도에서 거리를 산출하고 GPS수신기를 통해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이동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거래처간 매트릭스를 산출하게 된다.
산출방법은 발생된 주기적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갱신시킨다. 그리고 구간별 운행시간산출은 조화평균의 방법을 기준으로 한다
거리 데이터 발생예 산술평균 조화평균
10,11,9,12,18 12 11.34
10,11,9,12,29 14.2 11.90
10,11,9,12,50 18.4 12.34
예외데이터에 대한 처리부분이 근사치의 평균으로 접근되므로 조화평균 형태로 계산한다.
산술평균계산 : m =1/n(x1 + x2 + x3 + ... + xn)이며, 조화평균계산 : x = n/(1/a1 + 1/a2 + 1/a3 + ... + 1/an)이다.
구간별 평균거리계산은 월단위별 혹은 주기별로 계산하여 갱신하며, 구간별 평균은 월/화/수/목/금/토의 요일별과 오전/오후의 시간구분으로 산출하고 차량의 배송센터출발시간, 거래처 출발시간을 기준으로 오전/오후로 분리한다.
또한 거래처별로 수주, 물건 탑재, 거래처 소팅(Sorting), 검품 및 실제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표(Time Table)로 작성하여 배송계획에 참조되는 가장 중요한 정보로 활용한다.
산출된 평균은 거래처간 매트릭스정보에 저장되고, 배송계획에 의한 배송 순서별, 도착예측시간 산출에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정보가 시간이 감에 따라 지속적으로 누적되어 근거 정보로서의 활용도가 커지며, 물류서비스의 측면에서 고객에게 도착예정시간(P2.4)과 출고 담당자에게 배송센터로 차량이 귀환하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운행이력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누적 데이터가 많아지면 요일별 시간대별 많은 데이터가 누적되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도착예정시간(P2.5)과 센터귀환 시간을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차량정보와 제품의 중량/체적 환산에 의한 차량 적재율 산출(P2.6) 등 배송 배송계획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연동시켜 배송계획 처리를 하게 된다
배송계획처리는 배송계획에 필요한 주문이 확정된 배송물량, 배송센터에서 가동 차량중 차량의 배송가능회수, 거래처납품요구정보(도착시각이나 특수차량 요구 등), 거래처의 경위도의 위치정보 등의 결정요소들을 배송계획처리를 한다.
1. 배송가능차량정보
각 출고장을 소속으로하는 차량에서 회사차, 개별화물, 전담용차, 임시차 중 배송 가능한 차량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차량을 기준으로 배송회차별로 배차 순위를 지정한다. 1회차 1순위에 배차된 차량은 가장 먼저 제일 먼 거래처부터 배송계획이 세워진다. 여기에 차량별 제약조건을 추가한다. 예를들어 개별화물은 일일 4회 이상의 배차를 기본으로 하며, 특정 차량은 1회 배송시 3~4 개의 거래처만 배송가능, 배송가능 시간은 10시~12시 등을 입력하여 배송계획시 참고 자료로 한다.
2. 차량적재율 산출
차량의 기본 적재용적과 차량에 실린 제품의 부피에 의해 적재율을 산출하게 되는데 2가지 방식으로 적재율을 산출한다.
하나는 제품 체적대비 적재율로서 차량용적과 각 제품의 부피와 수량을 곱한 것으로 단순한 부피 비율을 계산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제품 중량을 부피로 환산한 적재율로서 제품 중 중량적용 제품은 제품의 중량에 부피환산계수를 곱하여 환산체적을 구한 후 차량용적과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식용 생수 A 제품의 통의 부피는 2L이지만 부피2 에 부피환산계수 4.5를 곱하여 9를 식용 생수 A 제품의 환산체적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보통 적재율 85%를 차량별 만적량으로 본다.
각 배송센터별로 차량의 표준주행시간을 기록한 후 이용가능한 차량의 적재능력과 해당 배송경로상의 화물량을 감안하여 절약할 수 있는 부분이 큰 순서별로차량의 배송망을 구축한다. 이때에 거래처와 거래처별 배송량, 배차가능차량 종류와 차량별 적재능력 및 가동 가능 차량 대수, 배송처별 배송지정시각등의 조건이 사전에 결정가능한 기본 요소들이다.
3. 거래처납품요구접수
특정 거래처에 거래처 요구사항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A거래처엔 1.5t 이하의 차량만이 배송 가능하고, B거래처엔 오전7시~9시 사이만 배송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입력하여 배차계획시 제약조건으로 적용하고 배송순위표에 해당사항을 표시하여 배송기사에게 특이사항을 인지시킨다.
4. 배송루트/순위결정
배송계획의 주요한 요소로서 배송루트와 배송순위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송루트와 배송순위는 다음과 같이 산출되게 된다
배송루트는 센터를 중심으로 계획배송방법 중 다이어그램배송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비교적 배송범위가 협소하고, 배송빈도가 높은 경우에 최적한 방식으로 배송권역을 나누고 거래처간 매트릭스(P5.4: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됨)의 시간표(Time Table)를 활용하여 배송순서(순위)를 정한다. 그 후에 배송시 적용되는 기준은 거래처납품요구정보(P2.2)에 따라 시간기준과 운송경로기준을 적절하게 적용하게 된다.
또한 배송순위는 수배송네트워크 모형 중 최단거리법(NetWork 최소화법)을 사용하여 센터에서 가장 먼 곳부터 가까운 곳으로 최단거리법을 적용하여 다이어그램배송방법에 따라 배송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적용한다.
5. 거래처도착예정시간 산출
상기 4. 에서 배송루트와 배송순위가 결정이 되면 거래처간 매트릭정보에 저장된 월/화/수/목/금/토의 요일별과 오전/오후의 시간구분과 거래처별로 수주, 배송물품 탑재, 분류, 검품 및 실제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시간표로 작성된 정보를 활용하여 도착예정시각을 산출한다.
시작거래처 이동거리Km 요일/오전, 오후별 이동시간(단위 분) 하역시간 도착예정 도착거래처
배송센터출발 11.5 46 48 43 44 39 40 41 44 38 39 45 47 25분 08:15 A거래처
A 거래처 9.5 38 39 37 36 35 35 34 35 32 33 38 42 40분 09:18 B거래처
B 거래처 12.5 50 52 49 50 47 48 48 49 46 48 52 54 30분 10:48 C거래처
C 거래처 18.0 72 74 70 72 71 71 68 68 67 70 70 72 12:30 배송센터도착
각 요일별로 시간이 2개씩 있는 것은 오전과 오후에 걸리는 시간때문이며, 상기의 자료들은 과거 운행 이력 데이터로부터 구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다음은 계산 방법의 예에 대한 것이다.
- 배송차량이 센터에서 출발예정시각 : 2001년 11월 12일 (월) 07:30 분
- 배송센터출발시각 07:30 분 + 월/오전적용시간 (46분) = A 거래처 도착예정시각 : 08:15분
- A거래처 도착예정시각(08:15분) + A거래처 하역시간(25분) + A,B 거래처간 이동시간(38분) = B거래처 도착예정시각 (09시18분)
- B거래처 도착예정시각(09:18분) + B거래처 하역시간(40분) + B,C 거래처간이동시간(50분) = C거래처 도착예정시각 (10시48분)
- C거래처 도착예정시각(10:48분) + C거래처 하역시간(40분) + C거래처, 센터간 이동시간(72분) = 센터도착예정시각 (12시30분)과 같이 계산된다.
6. 상차작업지시
배송계획에 의해 차량별 배차결과정보가 산출되면, 상차작업지시서에 의하여 상차작업을 하게 된다. 권역별 분류 및 차량의 정지점(Stop Point)별로 분류하여 적재할 수 있는 작업지시서에 의하여 작업자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GPS추적방식에 의한 실시간 차량관리(P5), 실시간 배송물량관리(P6), 실시간 냉장/냉동온도관리(P5.5),배송계획을 위한 최적의 실시간 정보제공과 축적된 운행이력정보, 실시간 수배송관제 프로세스에 의하여 관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단위 프로세스별 구성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시간 차량 관리(P5)는 차량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예를 들면, 3분 단위의 위치정보, 방향, 속도, 냉동차량인 경우에는 배송물품 탑재함의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 등이 실시간으로 무선망(TRS)을 통하여 서버(340)에 접수된다. 그 결과 전국적인 규모의 배송센터에서 실시간적으로 차량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프로세스는 배송계획자료와 연계되어 배송결과접수(P4)을 통하여 차량에 따른 회차 단위로 배송물량(거래처단위, 거래처의 제품단위)에 대한 배송완료 처리를 한다.
1차로는 배송 목적지에 일정 거리 이내에 배송차량이 접근하는 도착과 2차적으로 GPS 단말기인 MDT의 버튼을 눌러서 도착을 확인토록 하여 정확한 배송완료 정보를 받게된다. 이에 따라 거래처별 하역시간을 산출하여 기간별 하역시간을 분석자료로 활용하며, 평균의 거래처별 하역시간은 도착 예정시간을 산출하는데 반영시키게 된다.
배송계획결과에 따라 차량이 배송순위에 따라 배송을 하면서 거래처에서 도착 후 정확한 하역시간의 산출을 위하여 도착버튼을 누르도록 하는데, 배송 기사의 버튼입력이 착오로 누락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차량의 실위치정보와 거래처위치정보를 파악하여 거래처반경 100m 내에 진입하게 되면 자동으로 1차 도착처리를 한다. 최종기사의 도착버튼이 입력되게되면 모든 이동시간과 하역시간들의 산출은 MDT의 도착버튼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활용하여 운행이력(상기 설명된 거래처간 매트릭스)정보가 얻어진다.
실시간 냉장/냉동온도관리(P5.5)는 차량의 단말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관리되어 이동경로에 따라 실시간 온도관리를 하게 되는데 거래처납품시점에 온도상태를 관리하여 냉동/냉장제품의 특성인 납품온도차이를 분석하여 고객서비스를 만족시키며 일정한 기준온도를 관리함으로 냉동제품의 제품 특성을 고려한 품질관리 등으로 고품질 물류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간 배송물량추적 (P6)은 차량이 배송중인 배송물량과 배송물량의 진행상태(배송 중, 하역 중, 배송완료 등)를 일괄 관리하여 출고담당자가 현재의 차량들의 배송물량에 대한 현시점의 배송센터 전반적인 배송진행상태 주시하여 배송차량을 관제 관리하게 된다.
배송 실시간 정보제공(P5)에서는 거래처에서 주문한 주문량과 배송량, 차이수량, 영업담당자의 전화번호 등을 서비스할 수 있고, 전자지도 상에 차량의 현 위치와 현재의 이동경로를 보여주고 도착예정시간과 센터에서 출발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서비스한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PDA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배송실명제 제공(P5.7)에서는 다음 배송 목적지인 거래처에 납품 중 또는 예정인 차량의 차량번호, 기사 이름, 기사의 사진, 전화번호를 제공하여 배송을 실명화시킨다.
주문진행 상태 제공(P1.2)은 영업담당자에게 담당거래처 관리, 거래처에서 센터로 유선 배송 진행상태 요구 시 차량의 실시간 위치, 도착예정시간 , 배송물량 등을 제공하고, 필요시 핸드폰으로 주문진행상태를 SMS서비스(P1.1)를 이용하여 통보한다.
운행일지자동생성(P5.6)에서는 배차계획에 따라 배송이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상태를 차량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접수된 자료를 기준으로 운행일지가 자동 생성되는데 여기는 배송센터 출발시간과 최종도착시간 배송 순위에 따른 도착시각, 타거래처 출발시각, 배송물량 거래처간 이동거리, 이동시간, 평균이동속도, 하역시간, 총 이동거리, 총 이동시간, 총 하역시간을 산출하여 차량의 운행상황을 일지로 발행할 수 있다
수배송차량 운임자동산출은 운행일지자동생성의 프로세스의 운행일지자료와 기본계약의 기본자료를 통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운임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 가능한 수송시스템은 GPS에 의하여 공장근접 입문 수송차량의 위치를 포착(기준의 예로 10Km 범위내)하여, 이를수송계획배차시스템에 자동으로 송신한다. 우선 입문수송차량순으로 영업에서 생성하여 물류에 접수된 수송오더를 수송계획 배차시스템에서 도착지별, 폼목별로 상호 연관시키고, 이를 수송을 위한 지게차에 부착된 R/F(Radio Frequency)터미널에 송신한다. 지게차는 수신된 내용의 수송품목을 일정장소에 사전에 피킹(picking)하면 해당차량이 입문하였을 시 즉시 상차하여 출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수송차량 도착지에서도 차량의 위치 및 도착예정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배송에까지 연결하여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는 수송시스템이다.
이러한 수송시스템의 상세 구성의 예는 다음과 같다. 본 시스템은 수송계획 배차시스템이 중심역할을 수행하는데, 영업에서 생성하는 수송오더는 각 공장의 품목별 현 재고량, 생산계획량, 각 물류거점별 재고량 데이터를 포함하여 각 물류거점별 판매목표물량과 매일의 판매주문량을 대비시켜 물류거점별 품목별 수송계획량을 근거리 수송엔진에서 산출한다. 이 자료는 매일의 최단거리 최적수송비용을 가능하게 하는 수송계획에 의해 생성된다. 이때에 수송계획 배차시스템에서 소정의 생성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생산 예정량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현재 수불상 실물재고와 생산 예정량의 공장 내 실물재고에 분단위로 자동 반영하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접목하여 구현 가능하다.
상기 수송계획 배차시스템에서 소정의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해당일자 계획실행 시점의 수송 의뢰된 전표를 수송지역별, 거래처별로 구분하여 모두 읽어서 수송지역별 순위로 나열한다. 그리고 수송지역별로 순위가 결정된 전표의 거래처 거래처간, 출고장 거래처간 거리를 읽어 거리별 순위로 나열한다. 해당일자 계획실행 시점 수송가능한 모든 차량을 수송 회차별, 배차순으로 차량을 나열한다. 그리고 나열된 전표를 배차순으로 나열된 차량의 적재용적, 거래처 납품요구, 차량별 제약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배분함으로써 차량 배차순별, 거래처 거리별 배송계획이 완료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최소의 오차 범위내에서 실물재고로 당일 예외수송처리 물량을 제외한 재고를 PC와 같은 계산 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영업생성 수송오더와 차량을 매치시켜 배차하게 된다. 차량과 전표의 매치순서는 1순위 긴급수송의뢰전표, 2순위는 현재 실물재고가 있는 전표, 3순위는 동일장소에 수송하는 서로 다른 전표가 품목별 실물재고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찾아 재고가 있는 품목끼리 조합하여 수송전표를 새로 생성하는 방법으로 배차를 하게 된다.
그리고 GPS에 접목하여 수송효율 향상을 기할 수 있다. 전자지도 상의 공장에서 반경10Km 이내에 수송차량을 자동으로 포착하여 수송차량 공장 입문순으로 수송계획 배차시스템에 전송하고, 차량을 인식하여 인식된 차량순번대로 자동배차 된다. 이 정보가 지게차에 장착된 R/F 터미널에 전송되어 지게차 기사는 일정장소에 사전에 도착지별로 품목별로 피킹하여 보관하여 두면 차량 입문 즉시 수송차량에 싣고 공장을 출발하게 된다. R/F의 도입으로 수송계획 배차시스템과 지게차간 원격조정, 리얼타임 작업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도착지 물류창고에 차량 도착예고가 되고 수송정보, 도착예정시간, 차량의 현위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수송시스템은 배차시스템과 GPS활용 및 R/F터미널 활용에 의한 시스템 상호 연동 및 접목을 통하여 물류의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송시스템은 인공위성을 통해 현재 차량위치의 정밀한 추적과 추적된 차량을 GIS의 디지털 전자지도 위에 차량의 위치, 차량의 상태 즉 현재의 수배송 물품의 내역 차량의 속도, 차량의 진행 방향, 주변의 주요건물, 기사의 인물사진, 차량번호, 차종, 기사전화 번호, 담당영업사원 성명과 전화번호, 이동경로, 각 거래처별 도착예정시간 등을 표시하고 해당 고객에게는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배차시스템은 수배송 경로를 GIS최단거리 정보를 활용하여 최단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수배송 계획을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에 의해 최적의 운행스케쥴링으로 수배송 회전율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도착지 위치는 전자지도 상에서 즉시 확인이 가능하며 차량 귀환 순번과 시간을 자동으로 산출함으로써 물류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송 시스템에 관련되는 데이터베이스간의 연관 관계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각 구성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의 설명에서는 통신망의 예로 인터넷을 주로 들었으나, 이는 PSTN과 같은 공중 전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서비스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각 단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부 단계들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CD-RW,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HDD, 광 디스크, 광자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 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고,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이전에 그 목적지까지의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하며, 결정된 배송 계획에 따라 배송하면서 실시간으로 배송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배송 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배송중인 차량 상태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며, 각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것을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배송 완료된 것을 확인하여 각 목적지에 대한 배송을 끝냄으로 해서, 배송 차량 및 최적화된 배송 경로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배송 중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나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이다.
첫째로 물류활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해당 물류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차별화 된 물류서비스를 관련 사용자들에게 제공 할 수 있다.
둘째는 물류차량의 도착예정시간 제공을 할 수 있다. 구간별/시간대별 운행속도, 거리정보, 주행시간, 하역시간 등 운행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지리정보 데이타베이스를 활용하여 배송처 도착예정시간을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셋째는 차량운행 활동 내역의 자동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차량의 물류활동 시작시점, 납품처별 납품량 및 납품물량 내역, 주행거리, 주행시간, 각 거래처별 하역소요시간 등 운행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자동 생성하여 본 발명을 응용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할 수 있으며, 넷째로 차량의 적재함의 온도관리체계 구축하여 차량 적재함 내의 냉동/냉장 온도를 확인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주문물량 배송차량의 출발시각 및 도착예정 시각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제공되며, 배송센타 내 출고진행 상황파악이 가능하고, 배송 진행중인 물량의 처음 주문량과 실제 배송물량의 차이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차량의 위치 및 이동경로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자신의 주문물량을 배송하고 있는 차량의 기사 사진, 기사 이름, 전화번호, 차량번호 제공 등 배송차량의 실명제를 운용할 수 있으며, 담당 영업사원과 직접연락 할 수 있도록 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운전자는 물류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운행일보 및 관련자료를 자동으로 작성되며, 다음 배송 준비작업을 위한 운행차량의 배송센타 귀환 예정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간 차량위치 및 납품물량 추적과 차량의 이동궤적 확인 및 거래처의 위치의 신속한 파악이 가능하며, 영업사원 등 담당자에게 배송진행 정보제공을 통해 영업활동을 지원하고, 배송 시에 발생될 수 있는 돌발상황에 신속한 파악 및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의 적재함 냉동/냉장온도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냉동냉장 사업을 위한 고품질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며, 기간별 차량이동시간 및 속도분석을 통해 배송효율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 거래처 납품시간 분석 등을 통해 납품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찾고, 실시간 배송진행상황 확인 및 납품처관련 지리정보를 제공하여 배송의 편의성을 추구하고,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거점, 거래처간 거리/시간 DB를 구축하여 이를 활용한 최적배송경로 설정을 실현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물류의 혁신과 첨단화를 위해 GPS와 GIS를 기반으로, 정보시스템을 접목한 관련 응용프로그램을 개발의 기반 환경을 제공하고, 활용함으로써 현 물류정보시스템을 한 단계 더 고도화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a)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 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는 단계;
    (b)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이전에 그 목적지까지의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에서 결정된 배송 계획에 따라 배송하면서 실시간으로 배송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배송 차량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배송중인 차량 상태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d) 각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것을 무선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배송 완료된 것을 확인하여 각 목적지에 대한 배송을 끝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송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송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배송 차량이 냉동차량인 경우 차량 화물칸의 온도를 포함하며, 온도가 소정의 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그 배송 차량 운전자에게 그 상태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각 배송 목적지에 도착한 시각을 상기 (b) 단계에서 사용되는 운행 이력 자료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d) 단계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와 배송 결과를 이용하여 배송중인 배송물의 배송 중, 배송물 하역 중, 배송 완료를 포함하는 배송물의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전자 지도 상에 배송 차량의 현 위치, 이동 경로 및 각 배송 목적지별 도착 예정 시각을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각 목적지에 대한 배송이 끝난 후에 배송 차량 출발 시각, 목적지 도착 시각, 이동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형식의 차량 운행 일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8. 배송 목적지, 배송 일시를 포함하는 배송을 위한 주문들이 입력되는 주문입력부;
    각 배송 목적지를 포함하는 도로에 대한 지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
    배송 차량에 장착되어 배송 차량의 위치와 배송이 완료된 것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배송차량단말부;
    상기 배송차량단말부에서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배송 완료된 것을 파악하는 차량위치수신부;
    각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출발 시각, 도착 시각, 목적지별 배송 시간을 포함하는 배송 목적지까지의 기존 운행 이력 자료들이 소정의양식으로 저장/인출되는 배송이력데이터베이스부;
    배송할 일시, 배송 목적지에 따라 정해지는 배송 차량의 종류와 배송 목적지 별 배송 가능 시간대, 배송 차량에 대한 적재 능력과 배송할 제품의 중량과 체적에 따라 결정되는 차량 적재율을 산출하여 배송에 사용될 차량을 결정하는 차량결정부; 및
    배송 목적지의 위치, 배송 요일, 목적지까지의 도착 시각, 상기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목적지까지의 도로 정보 및 상기 배송이력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운행 이력 자료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배송경로 및 그 배송목적지의 배송순위를 산출하여 상기 차량결정부에서 결정된 차량이 배송하도록 하며, 배송중인 차량의 위치정보와 배송 완료된 것을 상기 차량위치수신부로부터 받아서 배송중인 위치 정보와 각 목적지별 배송이 완료된 것을 관리하는 배송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서버는 상기 차량위치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차량의 위치와 배송 결과를 이용하여 배송중인 배송물의 배송 중, 배송물 하역 중, 배송 완료를 포함하는 배송물의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여 배송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사용자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서버는 각 배송 목적지 별 도착 예정 시각을 산출하며, 상기 사용자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의 도로 지도를 표시하고, 그 도로지도 위에 상기 차량위치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차량의 현재 위치, 이동 경로 및 산출된 배송 목적지별 도착 예정 시각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시스템.
  12. 제8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도데이터베이스부의 전자 지도에 표시되는 상기 차량위치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차량의 현재 위치와 배송목적지가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면 상기 배송서버는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 배송목적지에 배송이 완료될 것이라는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시스템.
KR1020010077791A 2001-12-10 2001-12-10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KR20030047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91A KR20030047327A (ko) 2001-12-10 2001-12-10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791A KR20030047327A (ko) 2001-12-10 2001-12-10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327A true KR20030047327A (ko) 2003-06-18

Family

ID=2957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791A KR20030047327A (ko) 2001-12-10 2001-12-10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7327A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986A (ko) * 2002-01-03 2002-03-29 배 용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KR101136235B1 (ko) * 2009-07-14 2012-04-17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상품체적정보를 활용한 피킹 방법 및 차량 적재율의 관리 시스템
KR101143848B1 (ko) * 2010-06-23 2012-05-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물 유통의 위생관리 시스템 및 위생관리 방법
KR101421616B1 (ko) * 2012-06-04 2014-07-23 주식회사 녹십자랩셀 검사 관리 장치 및 검사 관리 방법
KR101480374B1 (ko) * 2010-05-24 2015-01-09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벌크 분배 방법
KR101675070B1 (ko) * 2015-06-26 2016-11-10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WO2016204307A1 (ko) * 2015-06-15 2016-12-22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배송 정보를 처리하고 출근을 확인하는 방법과 서버
CN109993475A (zh) * 2018-01-02 2019-07-09 家乐宝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冷链物流定时配送方法、系统及设备
KR102030623B1 (ko) 2019-03-21 2019-10-10 김정현 농축수산물 입출고 관리 시스템
KR20190130160A (ko) * 2017-08-04 2019-11-2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시뮬레이션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KR20200032322A (ko) * 2018-09-18 2020-03-26 (주)플리즈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00511A (ko) * 2019-02-18 2020-08-26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 밸런싱된 배달 루트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0512A (ko) * 2019-02-18 2020-08-26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 밸런싱된 배달 루트 사전-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1798180A (zh) * 2020-07-04 2020-10-20 苏州信泰中运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管理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WO2020241935A1 (ko) * 2019-05-30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형 냉장 장치와 그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93961B1 (ko) * 2019-10-01 2020-12-23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US20220138669A1 (en) * 2020-11-03 2022-05-05 Effectus Partners LLC Communication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on of products and a method thereof
KR102435722B1 (ko) * 2021-07-07 2022-08-24 주식회사 카짱 항공 화물 배송을 위한 스마트 화물 차량 배차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20167188A (ko) * 2021-06-11 2022-12-20 쿠팡 주식회사 물품 주문 및 분배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화된 방법
US11994339B2 (en) 2019-05-30 2024-05-28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t refrigerator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thereof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986A (ko) * 2002-01-03 2002-03-29 배 용 무선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KR101136235B1 (ko) * 2009-07-14 2012-04-17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상품체적정보를 활용한 피킹 방법 및 차량 적재율의 관리 시스템
KR101480374B1 (ko) * 2010-05-24 2015-01-09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벌크 분배 방법
KR101143848B1 (ko) * 2010-06-23 2012-05-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산물 유통의 위생관리 시스템 및 위생관리 방법
KR101421616B1 (ko) * 2012-06-04 2014-07-23 주식회사 녹십자랩셀 검사 관리 장치 및 검사 관리 방법
WO2016204307A1 (ko) * 2015-06-15 2016-12-22 주식회사 메쉬코리아 배송 정보를 처리하고 출근을 확인하는 방법과 서버
WO2016209052A1 (ko) * 2015-06-26 2016-12-29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KR101675070B1 (ko) * 2015-06-26 2016-11-10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US11603198B2 (en) 2017-08-04 2023-03-14 Omron Corporation Simulator, contro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90130160A (ko) * 2017-08-04 2019-11-2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시뮬레이션 장치, 제어 장치 및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CN109993475A (zh) * 2018-01-02 2019-07-09 家乐宝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冷链物流定时配送方法、系统及设备
CN109993475B (zh) * 2018-01-02 2024-03-22 家乐宝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冷链物流定时配送方法、系统及设备
KR20200032322A (ko) * 2018-09-18 2020-03-26 (주)플리즈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00511A (ko) * 2019-02-18 2020-08-26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 밸런싱된 배달 루트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126940B2 (en) 2019-02-18 2021-09-21 Coupang Corp. Balancing package delivery sub-route assignments amongst delivery workers based on worker efficiencies and attendance
KR20210122743A (ko) * 2019-02-18 2021-10-12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 밸런싱된 배달 루트 사전-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7654A (ko) * 2019-02-18 2021-10-22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 밸런싱된 배달 루트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0512A (ko) * 2019-02-18 2020-08-26 쿠팡 주식회사 컴퓨터 밸런싱된 배달 루트 사전-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30623B1 (ko) 2019-03-21 2019-10-10 김정현 농축수산물 입출고 관리 시스템
WO2020241935A1 (ko) * 2019-05-30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형 냉장 장치와 그의 온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994339B2 (en) 2019-05-30 2024-05-28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t refrigerator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thereof
KR102193961B1 (ko) * 2019-10-01 2020-12-23 주식회사 클린베딩 침구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N111798180A (zh) * 2020-07-04 2020-10-20 苏州信泰中运物流有限公司 一种物流管理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20220138669A1 (en) * 2020-11-03 2022-05-05 Effectus Partners LLC Communication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on of products and a method thereof
KR20220167188A (ko) * 2021-06-11 2022-12-20 쿠팡 주식회사 물품 주문 및 분배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화된 방법
KR102435722B1 (ko) * 2021-07-07 2022-08-24 주식회사 카짱 항공 화물 배송을 위한 스마트 화물 차량 배차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3656B2 (en) Informed mobility platform for an item processing supervisor or user within a distribution facility
KR20030047327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US10380534B2 (en) Autonomous supply and distribution chain
US8219503B2 (en) Estimated time of arrival (ETA) systems and methods
US58809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ight transportation using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US6937992B1 (en) Transport vehicle capacity maximization logistics system and method of same
US7353181B2 (en) Allocating freight haulage jobs
US7085775B2 (en) Database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integrated dispatching
CN101160601B (zh) 动态地更新调度计划的系统和方法
US5933354A (en) System for controlling physical distribution pallets
US7385529B2 (en) Dynamic and predictiv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ipping assets and transport
US201502787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elivery Tracking Service
US20050251330A1 (en) Internet package tracking system
US20030004747A1 (en) Delivery control system
JPH1131177A (ja) 宅配システム
JP2003089426A (ja) 輸送業務取引代行サーバ及びそれを用いた輸送業務取引システム及び輸送業務取引方法並びに輸送業務取引プログラム
JP2020187620A (ja) 物流管理システム、物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171020A (ja) 商品等の物品の物流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2024349A (ja) 物流業務支援システム、物流業務支援方法、及び物流業務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4441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물류관리 시스템
KR20050068114A (ko) 웹기반 수배송 관리 시스템 및 수배송 방법
AU4582702A (en) Delivery controlle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