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070B1 -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070B1
KR101675070B1 KR1020150091275A KR20150091275A KR101675070B1 KR 101675070 B1 KR101675070 B1 KR 101675070B1 KR 1020150091275 A KR1020150091275 A KR 1020150091275A KR 20150091275 A KR20150091275 A KR 20150091275A KR 101675070 B1 KR101675070 B1 KR 10167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ata
delivery
web server
depa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이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이태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Priority to KR102015009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070B1/ko
Priority to PCT/KR2016/006816 priority patent/WO201620905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方桶車)가 제강사에 금속 스크랩을 납품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하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방통차 사업자가 납품을 위한 일체의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강사에서는 납품 관련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웹서버에 의하여 매칭 되는 데이터를 검색, 확정하고 실시간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한 방통차의 제강사 도착 소요 시간을 얻고 이에 기초하여 소팅함으로써 다수의 방통차가 시간차를 두고 도착하여 순차적으로 하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수의 방통차가 일시에 몰려 장시간 대기함에 따른 영업 손실을 방지하고, 방통차의 운행율을 높이고 물류흐름을 최적화시켜서 제강사의 금속스크랩 적기수급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국가적으로도 자원재활용시간을 최소화하는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 Method of Minimize Cargo Truck Unloading Wait Time for Delivery Metal Scrap Delivery }
본 발명은 주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方桶車)가 제강사에 금속 스크랩을 납품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하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제강사에서 고시한 금속 스크랩의 납품 가격이 지정 일자를 기준으로 하락하는 경우 여러 곳에 산재된 많은 방통차가 일시에 몇 시간씩 제강사에 도착하여 줄을 서게 되고 이에 따라 하화를 위하여 몇 시간씩 또는 밤을 지새우며 대기하는 일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경우 방통차와 방통차 운전자가 대기 상태로 시간을 낭비하게 됨에 따라 방통차 사업자의 영업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제강사의 금속스크랩에 대한 수요를 해소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강사에 입고되는 금속스크랩 야적공간의 확대가 요구되는 것이며, 국가적으로도 재원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자원재활용시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통차가 제강사에 금속 스크랩을 납품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제시된 것은 전혀 없는 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응용할 수 있는 다른 기술 분야의 참고 기술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기술 분야 참고 기술의 일례로 보세창고에서의 체류시간기반 트럭 도크 할당 알고리즘(저자: 이후언, 송권섭, 채준재 한국로지스틱스학회 발행 로지스틱스연구 제18권 제1호 pp.57-76; 이하 '인용기술'이라 함)에 기재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출고 차량이 보세창고구역에서 소요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체류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최소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크 위치를 결정하여 차량에 할당하는 단계적 방법을 이용하되 체류시간기반 도크 할당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법의 응용을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강사에서 적재공간 추가확보를 위한 복수의 하화장소를 마련하기 쉽지 않고 정해진 소수의 인원만으로 금속 스크랩 운반 방통차의 납품에 관련된 일체의 업무를 처리하여야하므로 상기한 인용기술을 활용하기 어려운 것이므로 방통차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참고 기술로는 적당하지 않으며 별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합중국 특허출원공개 US 2007/0150375 A1(발명의 명칭: 효율적 음식 배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eal delivery)2007. 6. 28 공개;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은 구매자에게 음식의 주문 접수와 배달 계획을 위한 것으로 이는 MPS(Mobile Pickup Station)서버가 컴퓨터 네트워크와 웹사이트상의 참여 레스토랑의 회원 목록 사이에 위치한다. 구매자가 참여 레스토랑으로부터 주문을 위하여 MPS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며, 서버는 제조를 위하여 참여 레스토랑에 주문을 전송한다. 최적 픽업 위치가 선택되고 참여 레스토랑으로부터 주문이 픽업되어지며 픽업을 위하여 픽업 위치까지 배달된다.
주문자 요청에 부응하는 냉장 트럭이 픽업 위치까지 배달하며, 트럭은 주문자의 요청을 픽업하기 위하여 주문자를 위한 미리 규정된 대기 시간 동안 픽업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이러한 인용발명에서와 같이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강사와 금속 스크랩을 납품하는 방통차를 구비한 공급자가 연결되고, 제강사로부터의 주문 발생시 인근의 방통차를 구비한 공급자가 선 납품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공급자만으로는 전기로(전로)에 투입되어야 할 물량을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여러 지역에 산재한 다수의 공급자가 구비한 방통차가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납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별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것이다.
미국합중국 특허출원공개 US 2007/0150375 A1(발명의 명칭: 효율적 음식 배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eal delivery))
저자명(이후언, 송권섭, 채준재), 논문명(보세창고에서의 체류시간기반 트럭 도크 할당 알고리듬), 간행물명(로지스틱스연구), 발행처(한국로지스틱스학회), 발행연월일(2010년. 5월.), 권수(제18권), 호수(제1호), 페이지(pp.57-76)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제강사가 고시한 납품가격이 하락하기 이전에 납품을 원하는 여러 곳에 산재된 다수의 방통차가 미리 지정된 시간에 출발하게 되면 제강사에 도착 후 최단시간 내에 하화를 종료할 수 있는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방통차 사업자가 원활한 납품을 위하여 유, 무선으로 제강사의 웹서버에 방통차의 위치, 출발가능 일시의 범위, 납품 예정 톤수, 납품 예정 스크랩의 재질, 등급 및 스크랩의 형상에 따른 하화예상시간 등의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고, 또한 제강사의 웹서버에서는 금속스크랩 구매수요 발생시 다수의 방통차 사업자에 의하여 웹서버로 전송되어진 방통차의 출발가능 일시의 범위, 납품 예정 톤수, 납품 예정 스크랩의 재질, 등급 데이터가 납품 받을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다수의 방통차에 대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를 활용한 방통차 주행 시간을 반영하여 각 방통차 별로 출발 시간을 지정하여 줌으로써 방통차가 제강사 도착 즉시 하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 방통차의 출발지역, 출발가능일시 범위, 납품예정 톤수, 등급, 재질, 하화예상시간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되는 단계와; 스크랩 납품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해 납품 받을 스크랩 재질, 등급, 납품 예정 톤수, 납품일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되는 단계와; 웹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서 재질, 등급일치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재질, 등급이 일치하는 데이터 중 납품일이 일치하는 데이터를 선정하고 납품받을 톤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데이터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서 확정된 데이터에 ID를 부여하고 통신사 슈퍼컴으로 전송하여 납품받을 곳에 대한 방통차별 도착 소요시간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가 방통차별 도착 소요시간 데이터와 하화예상소요시간 데이터에 의해 각 방통차가 시차를 두고 도착하여 하화 가능한 방통차 출발 스케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가 산출한 방통차 출발 스케줄에 의하여 각각의 방통차별 출발 시간 산출 결과를 메일 서버에 의하여 각각의 방통차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가 각각의 방통차별로 제강사 도착시간을 입력받아 제강사 도착시간지연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웹서버에서 슈퍼컴으로부터 기 전송받은 소요시간과 현 소요시간의 편차만큼 지연된 시간을 출발 전의 방통차 단말로 전송하여 미출발 방통차의 출발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방통차 사업자의 방통차가 하화를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게 됨으로써 인건비 및 연료비를 절감하고 방통차의 운행율을 높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통차의 운행율을 높여 금속스크랩 수요를 충족시키며 제강사의 구내 대기 공간 확장이 불필요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보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에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가 제강사에 도착하는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보상 방법을 포함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도1로 보였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 2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먼저 방통차 사업자가 방통차 단말을 통해 도1로 보인 바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웹서버에 연결하면 웹서버는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하여 필요한 방통차 관련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데이터 입력 양식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방통차 사업자는 방통차 단말의 모니터에 표시된 데이터 입력 양식을 보면서 방통차의 출발지역 위치, 출발가능 일시의 범위, 납품 예정 톤수, 납품 예정 스크랩의 재질, 등급 및 스크랩의 형상에 따른 하화예상소요시간, 연락 이메일 주소등의 관련 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송하며, 이러한 일체의 데이터는 웹서버에 의하여 패리티 체크(PARITY CHECK)를 실시한 후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다수의 방통차 사업자들이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다수의 방통차의 위치, 출발가능 일시의 범위, 납품 예정 톤수, 납품 예정 스크랩의 재질, 등급 및 하화예상소요시간, 연락 이메일 주소 등의 관련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축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통차의 위치는 실시간 교통정보 반영을 위하여 상세한 코드를 부여하여야 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서울 00, 경기 북부 10, 경기 남부 11, 인천 20, 충남 30, 충북 31, 경상남도 40, 경상북도 41, 전라남도 50, 전라북도 51, 제주도 60등으로 구분하여 지정한 후 각 구 및 군, 동이나 리 단위까지 세분화된 코드를 부여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방통차가 소재하는 위치가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도곡리'인 경우에 각 지역에 대하여 코드를 부여하여 '경기도(11) 평택시(01) 포승읍(11) 도곡리(12)'와 같이 함으로써 전체 지역 코드는 11011112로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출발가능일시의 범위를 코드화하기 위하여 연월일을 그대로 활용하여 출발가능일시 범위가 2015년 6월 20일 부터 2015년 6월 25일까지 인 경우에는 출발가능일시의 시작일 표시로 시작은 '1'를 사용하여1150620로 하고 출발가능일시의 종료일 표시로 '0'을 사용하여 0150625로 할 수 있다.
아울러, 납품 예정 톤수가 예를 들어 25톤인 경우에는 25로 하고 20톤인 경우에는 20으로 코드를 입력시킨다.
더불어, 납품 예정인 스크랩의 재질이 철인 경우에는 1, 알루미늄 2, 구리 3 등으로 하고 등급은 1,2,3으로 하여 예를 들어 1등급의 철 소재인 경우에는 11, 2등급의 철소재인 경우에는 12, 1등급 알루미늄의 경우에는 21과 같이 코드를 부여한다. 이어서, 방통차의 하화예상소요시간은 분단위로 하여 10분이면 10, 20분이면 20으로 하여 코드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코딩 완료된 상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 1:
11011112(주소비트)1150620(출발가능시작)0150625(출발가능종료)25(방통차 적재량)11(등급, 재질)10(하화예상소요시간)
이와 같이 예시된 형태로 다수의 방통차 단말을 통해 작성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반복 저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후 제강사의 스크랩 납품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면 이 경우에도 웹서버는 스크랩 납품 정보 입력 양식을 납품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크랩 납품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의 모니터를 보면서 스크랩 재질, 등급 및 납품 받을 예정 톤수, 납품단가, 납품일 등 스크랩 납품 정보를 입력한 후 웹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웹서버는 상기 스크랩 재질, 등급을 코드화하게 되는 것이고, 이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코딩하게 되는 것인바, 현재 납품 받을 스크랩이 1등급의 철 소재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11이 되는 것이고, 웹서버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재질 및 등급 데이터 비트가 11인 데이터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해당되는 재질 및 등급 데이터의 검색이 완료된 후에는 납품일을 수치화하여 예를 들면 납품받을 날짜가 2015년 6월 23일인 경우에는 납품150623으로 하고, 아래와 같은 비교식을 충족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
즉, 출발가능일시가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2015년 6월 20일부터 2015년 6월 25일까지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11506200150625'로 되어 있는 데이터 비트를 가져다가 아래 조건식에 넣어 비교함으로써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조건식 1:
150620≤ (입력된 값:150623) ≤ 150625
이와 같이 하여 재질 및 등급 그리고 출발가능일시 조건을 충족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러한 데이터를 지역별로 정렬시키게 된다.
아울러, 제강사가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방통차가 출발 후 도착가능한 시간이 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먼저 제강사의 스크랩 납품 데이터에서 지역 데이터를 가져다가 현재 재질 및 등급, 출발가능일시 범위 조건을 충족시켜 선택된 데이터들 중에서 거리를 기준으로 각 데이터에서 납품 가능한 톤수를 합하여 납품받을 예정 톤수에 해당하는 만큼 데이터를 최종 선정하게 된다.
즉, 납품 받을 예정 톤수가 1000톤인 경우에 25톤 방통차 40대로 납품 받을 예정 톤수가 채워지므로 40개의 납품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므로 바, 40개의 납품 데이터를 선정하되, 방통차 데이터의 주소지에서 제강사까지의 주행 소요시간을 실시간 교통정보를 활용 후 산정하여 주행 시간이 가장 짧은 방통차 데이터 40개를 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웹서버가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사의 슈퍼컴퓨터와 연결되어 소요시간 데이터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강사가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동곡리'에 위치하고 있다면 해당 위치 데이터와 상기 방통차 데이터 40개 데이터 중의 주소 데이터에 임시로 ID를 부여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사의 슈퍼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이고, 통신사의 슈퍼컴퓨터는 소요시간을 각 방통차 ID 데이터 별로 산출하여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전송받은 데이터는 소요시간이 짧은 데이터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정리하게 되는 것이다.
웹서버는 이와 같이 전송받은 소요시간이 짧은 데이터를 입력시킨 방통차 사업자 이메일을 메일서버로 전송하며 메일서버는 해당 데이터를 입력시킨 방통차 사업자 이메일로, 예를 들면 현재 시간 보다 1시간 이후로 방통차 출발 시간으로 지정하여 방통차 사업자의 방통차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웹서버가 스케줄링한 방통차 출발 스케줄에 따라 해당 방통차 사업자는 출발 지정 시간에 방통차를 출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웹서버는 해당 방통차 사업자의 지정 출발시간에 상기 전송받은 소요시간을 더하여 하화 완료 시간 이후에 도착할 수 있도록 두 번째 방통차 출발 시간을 산출하고, 두 번째 방통차 출발 시간을 메일서버를 통하여 전송하여, 세 번째 방통차가 두 번째 방통차 하화 완료 시간 이후에 도착할 수 있도록 세 번째 방통차 출발 시간을 메일서버에서 메일을 발송하여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 구체적인 예를 아래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첫 번째 방통차 사업자의 단말기로 전송한 데이터는 현재 시간에 60분을 더한 시간이 되며 이를 오후 1시로 한다.
이어서 두 번째로 출발하게 되는 방통차 사업자의 출발시간은 첫 번째 방통차 하화완료시간인 출발시간에 첫 번째 방통차가 제강사에 도달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1시간 20분과 첫 번째 방통차의 하화예상소요시간인 10분을 더하여 첫 번째 방통차 하화 완료시간인 2시 30분(0230=0100+0120(80분)+10)이후 도착되도록 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첫 번째 방통차 하화완료시간인 2시 30분에 10분 정도의 여유 시간을 두어 2시 40분에 두 번째 출발 방통차 실시간 소요시간인 1시간 30분을 감산하면 1시 10분(0110=0240-0130)이 되며, 1시 10분을 두 번째 방통차 출발시간으로 산정되어 메일서버를 통하여 두 번째 방통차 사업자의 단말기로 통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두 번째 방통차가 1시 10분에 출발하여 제강사에 도착하면 2시 40분이 되어 첫 번째 방통차가 하화 완료 후 10분이 경과한 후 여유 있게 하화를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두 번째 방통차가 10분간 하화를 실시하고 복귀하게 되는 것이며, 세 번째 방통차 사업자의 단말기로는 메일서버에서 새로운 출발시간을 통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두 번째 방통차 하화완료시간인 2시 40분에 10분 정도의 여유 시간을 두어 2시 50분에 세 번째 출발 방통차 실시간 소요시간인 1시간 50분을 감산하면 1시 00분(0100=0250-0150)이 되며, 1시 00분을 세 번째 방통차 출발시간으로 산정하여 메일서버를 통하여 세 번째 방통차 사업자의 단말기로 통보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두 번째 방통차가 하화를 완료한 시간인 2시 40분에 10분 정도의 여유 시간을 경과한 2시 50분에 세 번째 방통차가 도착하여 하화를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 정보를 활용하여 다른 위치에 있는 방통차들이 순차적으로 시차를 두고 도착하여 하화 후 즉시 복귀함으로써 영업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순차로 도착하도록 출발시간을 배정받은 방통차들이 제강사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교통 정체가 발생하여 예정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통신사의 슈퍼컴퓨터에 의하여 전송되는 ID 데이터 별 소요시간이 방통차 별 출발시간 산정에 활용된 ID 데이터 별 소요시간과 대비할 때 예를 들면 10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두 대의 방통차가 동시에 제강사 하화장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방통차의 하화 후 다음 방통차의 하화 까지 시간 간격을 10분 이상으로 하는 방법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방통차들이 예정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하는 경우 아직 출발하지 않은 방통차들에 대하여 출발 시간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도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웹서버에서 통신사의 슈퍼컴퓨터로부터 현재 전송되는 ID 데이터 별 소요시간이 상기 슈퍼컴퓨터로부터 이미 통보되었던 ID 데이터 별 소요시간과 대비할 때 10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지연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출발 통보 시간에 지연된 소요시간 만큼 시간을 더하여 지연된 출발 시각을 산출하고 이를 웹서버에서 메일서버, 문자 메시지, SNS를 통하여 재 통보함으로써 도착순서가 바뀌거나 동시간대에 도착하여 혼란을 겪지 않도록 배려할 수도 있다. 웹서버에서 메일서버, 문자메시지, SNS를 통하여 방통차 사업자의 단말기로 출발 시간 데이터 및 지연 출발 시간 데이터 등을 전달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기타 다양한 수단을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방통차의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에 관련하여 언급하고 있으나, 상기 방통차는 소위 하이카(집게차, 수입컨테이너 차량)로 대체되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기타 덤프, 트레일러, 카고 등 금속 스크랩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이면 동일한 수단으로 이해되고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 1을 비롯하여 여러 부분에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수치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5)

  1. 각 방통차의 출발지역, 출발가능일시 범위, 납품예정 톤수, 등급, 재질, 하화예상시간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되는 단계와,
    스크랩 납품관리자의 단말기를 통해 납품 받을 스크랩 재질, 등급, 납품 예정 톤수, 납품일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되는 단계와,
    웹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서 재질, 등급일치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재질, 등급이 일치하는 데이터 중 납품일이 일치하는 데이터를 선정하고 납품받을 톤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데이터를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서 확정된 데이터에 ID를 부여하고 통신사 슈퍼컴으로 전송하여 납품받을 곳에 대한 방통차별 도착 소요시간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가 방통차별 도착 소요시간 데이터와 하화예상소요시간 데이터에 의해 각 방통차가 시차를 두고 도착하여 하화 가능한 방통차 출발 스케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가 산출한 방통차 출발 스케줄에 의하여 각각의 방통차별 출발 시간 산출 결과를 메일 서버에 의하여 각각의 방통차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가 각각의 방통차별로 제강사 도착시간을 입력받아 제강사 도착시간지연이 설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웹서버에서 슈퍼컴으로부터 기 전송받은 소요시간과 현 소요시간의 편차만큼 지연된 시간을 미 출발 상태의 방통차 단말로 전송하여 미출발 방통차의 출발을 제어하는 단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 출발 상태의 방통차 단말로 재 산출 시간을 통보하는 수단이 메일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 출발 상태의 방통차 단말이 스마트폰으로 제한되고, 재 산출 시간을 통보하는 수단이 문자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 출발 상태의 방통차 단말이 스마트폰으로 제한되고, 재 산출 시간을 통보하는 수단이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임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KR1020150091275A 2015-06-26 2015-06-26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KR10167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275A KR101675070B1 (ko) 2015-06-26 2015-06-26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PCT/KR2016/006816 WO2016209052A1 (ko) 2015-06-26 2016-06-27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275A KR101675070B1 (ko) 2015-06-26 2015-06-26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070B1 true KR101675070B1 (ko) 2016-11-10

Family

ID=5748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275A KR101675070B1 (ko) 2015-06-26 2015-06-26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5070B1 (ko)
WO (1) WO20162090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8003A (zh) * 2020-11-06 2021-02-02 中冶赛迪重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废钢货车装载状态识别方法、系统、设备及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9300A (zh) * 2023-11-03 2024-03-12 广州瑞基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工智能的提货任务智能管理方法、系统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327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농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KR20130082774A (ko) * 2011-12-19 2013-07-2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화주중심의 물류거점 최적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3892A (ja) * 2000-12-12 2002-06-28 Sharp Corp 車両の運行経路選出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配車管理方法、配車管理システム
KR20040086677A (ko) * 2003-04-03 2004-10-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량운행 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151669B1 (ko) * 2009-12-16 2012-06-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327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농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배송 방법 및그 시스템
KR20130082774A (ko) * 2011-12-19 2013-07-22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화주중심의 물류거점 최적화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합중국 특허출원공개 US 2007/0150375 A1(발명의 명칭: 효율적 음식 배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meal delivery))
저자명(이후언, 송권섭, 채준재), 논문명(보세창고에서의 체류시간기반 트럭 도크 할당 알고리듬), 간행물명(로지스틱스연구), 발행처(한국로지스틱스학회), 발행연월일(2010년. 5월.), 권수(제18권), 호수(제1호), 페이지(pp.57-7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8003A (zh) * 2020-11-06 2021-02-02 中冶赛迪重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废钢货车装载状态识别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2308003B (zh) * 2020-11-06 2023-04-28 中冶赛迪信息技术(重庆)有限公司 一种废钢货车装载状态识别方法、系统、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9052A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3539B (zh) 用于订单规定路线的机器人库存更新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CN107194628B (zh) 处理调拨请求的方法及装置
CN107278312A (zh) 用于管理和优化送货网络的系统和方法
CN106203923A (zh) 供应链信息管理系统及管理方法
CN103985024A (zh) 用于管理货物集散终端站处货物转移操作的系统和方法
CN105488750A (zh) 一种智能物流方法和系统
CN104102991A (zh) 货物运输过程管控实现方法、终端及系统
US20070221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transport of freight
US20180075547A1 (en) Proppant tracking system
KR101867456B1 (ko)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CN106529857A (zh) 一种物流配送业务管理方法
JPWO2015111224A1 (ja) 配送スケジュール選択システム、配送スケジュール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58196A (ko) 모바일 물류관리시스템
CN105069592A (zh) 物流信息处理方法与装置
KR20140114804A (ko)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JP2006221360A (ja) 集配支援システム、集配支援方法、集配支援サーバ、及び集配支援プログラム
CN111598264A (zh) 商砼物流电子送货单管理系统
KR101675070B1 (ko)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KR20170096141A (ko) 물류 지원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10334976B (zh) 一种计算机实现的行李取送系统和方法
RU2673388C1 (ru)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заказов
CN103473637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网络化外协加工物流实时管控方法
CN116432880B (zh) 一种共享云仓物流城配路线智能选择及运费报价系统
CN111476623A (zh) 处理装置、处理方法和程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