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669B1 -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669B1
KR101151669B1 KR1020090125256A KR20090125256A KR101151669B1 KR 101151669 B1 KR101151669 B1 KR 101151669B1 KR 1020090125256 A KR1020090125256 A KR 1020090125256A KR 20090125256 A KR20090125256 A KR 20090125256A KR 101151669 B1 KR101151669 B1 KR 10115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information
user terminal
stop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348A (ko
Inventor
조원범
김용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6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버스의 출발 정류장 도착시간 및 승객 위치에 따른 승객의 출발 정류장까지 소요시간을 활용하여 버스의 대기 또는 출발을 실시간 제어하고, 버스 이용 승객의 다양한 선택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은, 운행제어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류장 정보에 따라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버스 노선을 검색하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의 위치를 확인하여 출발 정류장까지의 도착시간을 산출하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는 운행제어 서버; 및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에 각각 탑재되어 GPS 신호를 수신하며, 운행제어 서버에게 버스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출발 정류장에서 운행제어 서버의 출발 또는 대기 명령을 각각 수신하는 버스 단말을 포함하되, 사용자 단말 및 운행제어 서버는 양방향으로 정보를 제공 한다.
버스 운행제어, 사용자 단말, 운행제어 서버, 출발/대기, 소요시간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Bus runn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passenger using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버스 운행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버스의 출발 정류장 도착시간 및 승객 위치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출발 정류장까지 소요시간을 활용하여 버스 대기 또는 출발을 제어하는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지하철과 버스를 들 수 있는데, 지하철의 경우, 배차간격이 짧고 일정하여 승차를 위한 대기시간으로 인한 승객의 스트레스가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버스의 경우, 도로의 상황에 따라 배차간격이 매우 가변적이며 이로 인해 바로 앞의 버스를 놓칠 경우 예상되는 대기시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높아 버스이용 승객의 불만이 매우 커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스의 경우, 주변의 경관을 즐길 수 있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탑승시간에 대해 승객이 체감하는 지루함은 버스의 경우 더 적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자가용 이용자의 증가와 지하철노선의 확대로 인해 버스 이용객이 급감 함에 따라 버스운송업체들은 운송서비스를 개선하여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버스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구축하고 있는 버스정보 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과 연계하여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버스정보 시스템(BIS)은 버스 운전자와 승객에게 버스운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으로서, 노선정보, 환승정보, 대중교통안내, 버스도착예정시간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버스이용객의 편의를 증진하는 한편, 버스운송업체로 하여금 버스위치 등의 실시간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차량배차 및 운전자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버스정보 시스템(BIS)에서, 이용자는 이동단말기, 유선전화기, 컴퓨터 등의 이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버스운행정보센터에 ARS 접속 또는 유/무선인터넷 접속을 한 후, 자신이 승차할 버스정류장 및 버스의 식별코드를 입력하여 도착버스의 시간정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한, 각 정류장에 버스운행정보센터와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정류장 정보패널을 설치하여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승객에게 버스운행정보를 안내하기도 한다.
버스정보 시스템(BIS)은 개별 버스에 설치된 위성항법장치(GPS)에서 획득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버스정류장에 도착예정인 버스의 위치정보 및 버스 도착예정시간을 계산하고, 이 정보를 개인단말기 또는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디지털 안내판 등을 통해 제공하여, 버스이용 승객의 버스 대기시간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버스정보 시스템(BIS)은 GPS에서 획득되는 동일한 정보를 활용하여 선행 및 후행 버스 간 정류장 도착시간을 계산하고, 배차간격을 조정하여 정시성을 확보하여 버스이용 승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운영방법이다.
이러한 버스정보 시스템(BIS)에서, 버스 정류장에 대기 중인 승객은 자신이 탑승해야 할 버스의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자신의 예상 대기시간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지며, 또한, 해당 버스정류장을 향해 접근하고 있는 승객은 선택된 버스정류장에 도착 예정인 선택된 노선버스의 도착예정시간을 제공받고, 이 정보를 통해 해당버스에 탑승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버스에 승차할 것인지, 또는 해당버스 다음에 도착하는 버스에 승차할 것인지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95658호(출원일: 2004년 03월 12일)에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하,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통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는, 휴대단말기(10), 이동통신사 시스템(20), 교통서버(40) 및 운수회사(50)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10)는 이동하면서 교통정보를 요청하고 현재 위치정보를 출력하 며 대중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하는 것으로, 무선 접속된 이동통신사 시스템(20)의 기지국(Base Station) 위치정보를 이용하거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한 위치정보 또는 위치추적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의 확인된 현재 위치정보를 교통서버(40)에 제공하고,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대중교통 수단의 해당 운행시간 정보를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통하여 음성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를 통하여 메시지로 수신하고 확인한다.
이동통신사 시스템(20)은 휴대단말기(10)와 무선 접속하여 입력된 교통정보 요청신호와 위치정보를 설정된 통신경로로 전송하고 대중교통정보를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단말기(10)와 무선 접속하여 통신하는 기지국(BS); 호출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Switching)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운용을 제어 감시하는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및 상기 이동교환국(MSC)의 제어에 의하여 교통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10)에 문자메시지로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망(30)은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20)과 접속하여 다른 통신망이나 서버에 접속하는 경로를 설정하여 제공한다.
교통서버(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S 부(41), 홈페이지부(42), 이용자 데이터베이스(DB)(43) 및 대중교통 DB(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ARS 부(41)는 공중망(30)에 접속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의 교통정보 요청을 입력 및 검색하여 요청 시간대의 대중교통수단 운행정보를 통보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단말기(10)가 요청하는 대중교통 운행시간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한다. 홈페이지부(42)는 이용자 DB(43)에 등록된 휴대단말기(10)의 이용자가 인터넷(Internet)으로 접속하여 상기 대중교통 DB(4)의 각종 운행시간 정보를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용자 DB(43)는 휴대단말기(10)의 신원정보와 호출정보를 기록 및 저장한다. 대중교통 DB(44)는 운수회사(50)를 검색하여 각종 대중교통 운행시간 정보를 기록 및 저장한다.
따라서 교통서버(40)는 상기 휴대단말기(10)의 교통정보 요청을 신원정보와 호출정보를 포함하여 입력 등록하고 함께 입력되는 목적지 위치정보와 현재 입력되는 휴대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대중교통수단의 운행정보를 검색하고 ARS로 통보하거나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20)의 문자메시지(SMS) 기능을 이용하여 통보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지정한 시간대이거나 마지막 운행하는 대중교통수단의 운행시간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색된 운행정보를 해당 운행시간의 소정 시간 전에 설정된 주기와 횟수로 반복하여 제공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입력하는 목적지가 현재 위치정보로부터 도보로 이동 가능한 소정 거리 이내이면 교통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운수회사(50)는 상기 공중망(30)에 접속하여 대중교통 수단을 운행하며 해당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일반버스, 좌석버스, 고속버스, 전철, 기차 및 심야운행의 각종 대중교통 수단을 포함하는 각 교통수단의 운행정보를 제공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에 따르면, GPS 위치추적 장치를 부착한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교통정보 서비스 제공업체에 자동으로 통보함으로써,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또는 거주지까지의 마지막 시간대 대중교통 수단의 정보를 지정한 방식으로 통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는, 공중망(30)에 접속하여 대중교통 수단을 운행하며 해당 운행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방적으로 승객이 버스의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활용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한편,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768701호(출원일: 2006년 01월 11일)에는 "양방향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버스운행정보 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운행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단말기(61), 기지국전송기(Transceiver Station: BTS)(62), 기지국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63),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64), 홈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65),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66), 버스운행정보 서버(67), 데이터베이스(68) 등을 포함한다.
이동단말기(61)는 셀룰러폰, PCS폰뿐만 아니라 이동통신기능을 가지는 PDA 등의 전자기기도 포함하는 의미이며, 정확한 위치측위를 위해 GPS 수신기를 내장한 다.
기지국전송기(62)는 이동단말기(61)와 무선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망 종단장치로서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기지국제어기(63)는 이동단말기(61)에 대한 무선채널할당 및 해제, 이동단말기(61)와 기지국전송기(62)의 송신 출력제어, 셀간 핸드오프 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교환국(64)은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핸드오프절차 처리, 타망과의 연동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홈위치등록기(65)는 가입자의 이동성 정보 및 각종 부가서비스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 전화번호, 단말기 고유번호, 단말기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이동단말기(61)가 타 이동교환국의 지역으로 이동하더라도 타 이동교환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최신 데이터를 유지한다. 이때, 이동단말기(61)의 위치정보는 이동단말기(61)에 내장된 GPS 수신기가 GPS 위성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 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한다.
SMSC(66)는 이동단말기(61)에서 이동교환국(64)을 경유하여 전송된 문자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버스운행정보서버(67)로 전송하는 한편, 버스운행정보서버(67)에서 생성된 버스운행정보를 SMS 메시지로 변환한 후, 이동교환국(64)을 거쳐 상기 이동단말기(6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68)는 도로, 버스노선, 버스운행속도, 버스정류장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68)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구축 할 수도 있으나 도로공사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러한 유형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버스운행정보서버(67)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버스정류장의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기초로 다양한 버스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버스정보를 SMSC(66)를 거쳐 상기 이동단말기(6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버스정류장의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61)의 위치를 기준으로 획득된다.
일반적으로 MSC(64)와 연동하는 홈위치등록기(65)는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버스운행 정보서버(67)에서 홈위치등록기(65)에 해당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여 이동단말기(61)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동교환국(64) 및 홈위치등록기(65)와 연동하는 별도의 위치결정 엔티티(Position Determination Entity: PDE)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버스운행정보서버(67)는 이동단말기(61)의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에 이를 바탕으로 이동단말기(61)에서 최단거리에 위치하는 버스정류장의 위치, 주변지역의 버스노선, 버스운행속도 등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68)로부터 수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버스도착시간 등의 버스정보를 생성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61)에서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버스운행정보 서버(67)로 사용자가 원하는 버스정류장 위치에서의 버스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버스운행정보 서버(67)에서 상기 버스정류장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버스운행정보 서버(67)에서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단말기(61)에서 요청한 버스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운행정보 서버(67)에서 생성한 버스정보를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기(61)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이동단말기(61)에 이용하고자 하는 버스의 번호 또는 목적지를 입력하여 버스운행정보 서버(67)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만 하면 필요한 버스정보를 SMS 메시지로 수신함으로써 이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SMS를 이용하기 때문에 ARS 또는 무선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은, 일방적으로 승객이 버스의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활용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정보 시스템(BIS)은 과거의 버스운영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적극적인 정보제공을 통한 이용자 중심의 시스템 운영, 버스의 정시성 확보를 통한 버스배차시간의 일관성 등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버스 이용 만족도를 높인 획기적인 시스템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통한 녹색성장의 실현을 위해서는 버스의 운영시스템을 보다 이용자 친화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정보 시스템(BIS)은 일방적으로 승객이 버스의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활용하는 수준에 불과하므로, 승객의 요구 사항을 최대한 반영한 버스 운행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출발 정류장 도착시간 및 승객 위치에 따른 승객의 출발 정류장까지 소요시간을 활용하여 버스의 대기 또는 출발을 실시간 제어하고, 버스 이용 승객의 선택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은, 승객이 소지한 단말로서, 운행제어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류장 정보에 따라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버스 노선을 검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색된 버스 노선 중에서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도착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는 운행제어 서버; 및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에 각각 탑재되어 GPS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운행제어 서버에게 버스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출발 정류장에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의 출발 또는 대기 명령을 각각 수신하는 버스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행 제어 서버는 양방향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추가적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하고, 상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운행제어 서버로부터 가상머신(Virtual Machine) 다운로드 형식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형식의 버스 운행제어 접속 모듈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위치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정보 수신부;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로부터 각각 상기 버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차중인 버스에게 출발 또는 대기 명령을 전송하는 버스정보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류장 정보로부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정류장 정보 추출부; 상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동일한 모든 버스 노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버스 노선 검색부; 상기 버스 노선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로부터 각각 버스 정보를 추출하는 버스 정보 추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각각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 및 상기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소요시간과 상기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대기시간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는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추가적으로 입력한 경우, 이를 처리하는 사용자 선택사항 분석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는 최적의 버스 결정시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버스 최대 대기 허용시간, 버스정류장 최대 용량 또는 적정 배차시간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처리 결과에 따른 문자 메시지(SMS)로 발송하는 SMS 발송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차중인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현재까지 출발정류장에서 정차한 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근접 버스 및 상기 다음 근접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 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 운행제어 서버 및 버스 단말을 포함하는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이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를 제어하는 버스 운행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운행제어 서버가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위치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정류장 정보로부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모든 버스 노선을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검색된 버스 노선에 따라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에 대한 버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f)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각각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소요시간과 대기시간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의 사용자 입력정보는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 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하고, 상기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g) 단계는 최적의 버스 결정시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버스 최대 대기 허용시간, 버스정류장 최대 용량 또는 적정 배차시간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은, 상기 운행제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처리 결과에 따른 문자 메시지(SMS)로 발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의 정차중인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현재까지 출발정류장에서 정차한 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최대 탑승 정원이 현재 탑승 인원과 승차할 승객수의 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승객의 승차 없이 상기 버스를 출발시키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의 최근접 버스 및 상기 다음 근접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방적으로 승객이 버스의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고 이를 활용하는 수준이 아니라, 버스의 출발 정류장 도착시간 및 승객 위치에 따른 승객의 출발 정류장까지 소요시간을 활용하여 버스의 대기 또는 출발을 실시간 제어하고, 버스 이용 승객의 선택 사항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최적의 버스를 선택하여 승객에게 안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일방적으로 승객이 버스의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활용하는 단계에서 진일보하여, 버스가 승객의 도착시간에 대한 정 보를 제공받고 이를 버스의 출발 및 대기여부 판단에 활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목적지에 도착하고자 하는 버스 승객이 사용자 단말(100a, 100b)을 통해 운행제어 서버(300)에 접속하여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을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a, 100b)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사항은 입석 또는 좌석, 최단거리, 최단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지정, 승차감 차이에 따른 버스종류(신형/구형),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설정 등이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a, 100b) 및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는 양방향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승객의 위치 및 해당 위치에서의 시간정보는 위성항법장치(GPS)를 통해 운행제어 서버(300)에 제공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승객의 출발 정류장까지의 도착 소요시간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단말(100a) 및 제2 사용자 단말(100b)은 각각 소요시간이 다르게 계산된다.
또한, 운행제어 서버(300)는 승객이 입력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 검색 및 추출하며,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여 정차중인 해당 노선버스(200a) 감지하거나, 최근접 버스(200b) 및 다음 근접 버스(200c)를 감지한다.
운행제어 서버(300)는 승객이 출발 정류장에 도착할 소요시간과 정차 중인 버스(200a)가 승객을 기다려야 하는 시간 차이를 계산한다. 이때, 운행제어 서버(300)는 현재 정차중인 버스(200a)를 포함하여 승객 도착 소요시간까지 향후 도착할 버스(200b, 200c)의 도착시간을 계산하고, 이를 소요 버스정류장 길이로 환산할 수 있다. 이후, 운행제어 서버(300)는 예정된 승객들이 탑승할 경우의 버스승차 인원을 계산한다.
운행제어 서버(300)는 출발 정류장으로부터 도착 정류장까지 운행하는 다수의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각각의 버스의 정류장 도착시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운행제어 서버(300)는 정차중인 버스 이후의 최근접 버스(200b) 및 다음 근접 버스(200c) 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운행제어 서버(300)는 탑승 예정자인 승객의 최초 검색위치 및 출발 정류장까지의 도착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버스 탑승인원과 탑승 정원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행제어 서버(300)는 상기 시간 차이가 버스 최대 대기 허용시간보다 길거나, 소요 버스정류장 길이가 실제 버스정류장 길이(d1)보다 길거나, 또는 버스승차 인원이 적정 승차인원 이상일 경우, 버스를 출발시키게 된다.
운행제어 서버(300)는 현재 정차중인 버스(200a) 및 다음에 도착하는 버스(200b, 200c) 중 사용자 선택사항에 적합한 버스를 추출할 수 있고, 만약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내에 도착하는 후행 버스(200b, 200c)가 승객이 설정한 사용자 선택사항에 더 적합하면, 현재 정차중인 버스(200a)를 출발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정차중인 버스를 대기시킬 수 있다.
이때, 운행제어 서버(300)는 버스 대기/출발을 결정하기 위해서, 선행버스와 후행버스의 번호, 경유지, 목적지 도착 예정시간을 비교하며, 동일 노선일 경우 좌석/입석 정보를 제공하고, 출발 정류장의 길이에 따른 버스정류장 최대 버스대기 용량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버스(200), 운행제어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200)는 정차중인 버스(200a), 출발 정류장의 최근접 버스(200b) 및 다음 근접 버스(200c)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승객이 소지한 단말로서, 운행제어 서버(30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로부터 가상머신(Virtual Machine) 다운로드 형식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형식의 버스 운행제어 접속 모듈(129)을 제공받게 되며, 또한, 정류장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형식의 입력부(117)를 포함한다.
운행제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정류장 정보에 따라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버스 노선을 검색하 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로부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색된 버스 노선 중에서 정차중인 버스(200a), 최근접 버스(200b) 및 다음 근접 버스(200c)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도착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버스들(200a, 200b, 200c)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200a), 최근접 버스(200b) 및 다음 근접 버스(200c)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하고, 상기 버스들(200a, 200b, 200c)의 출발 또는 대기를 결정한다.
버스 단말은 상기 정차중인 버스(200a), 최근접 버스(200b) 및 다음 근접 버스(200c)에 각각 탑재되어 GPS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에게 버스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출발 정류장에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의 출발 또는 대기 명령을 각각 수신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는 서로 양방향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버스의 출발 정류장 도착시간 및 승객 위치에 따른 승객의 출발 정류장까지 소요시간을 활용하여 버스의 대기 또는 출발을 실시간 제어하고, 버스 이용 승객의 선택 사항을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운행제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 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운행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입력정보 수신부(310), 버스정보 송수신부(320), 정류장 정보 추출부(330), 버스 정보 추출부(340), 버스 노선 검색부(350),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360), 사용자 선택사항 분석부(370),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380),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390) 및 SMS 발송부(395)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정보 수신부(3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위치정보, 시각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선택사항을 수신한다. 여기서, 정류장 정보는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도착 정류장 정보 대신에 버스 노선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버스정보 송수신부(320)는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로부터 각각 상기 버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버스들에게 출발 또는 대기 명령을 전송한다. 실질적으로, 버스정보 송수신부(320)는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이외의 모든 버스들로부터 버스 정보를 수신하여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정류장 정보 추출부(330)는 상기 수신된 정류장 정보로부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버스 노선 검색부(350)는 상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동일한 모든 버스 노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
버스 정보 추출부(340)는 상기 버스 노선 검색부(350)에 의해 검색된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로부터 각각 버스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출발 정류장 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36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한다. 이때, 동일한 거리에 대해서 사용자마다 소요시간이 다를 수 있지만, 평균적인 소요시간을 산출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의 이동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 이에 따라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이전에 동일한 출발 정류장에서 동일한 사용자의 소요시간을 산출한 경우,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택사항 분석부(37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가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를 처리 및 분석하게 된다. 여기서, 버스 종류는 구형 또는 신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보다 양호한 승차감이 있는 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380)는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각각의 대기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380)는 상기 정차중인 버스에 대해서 현재까지 출발정류장에서 정차한 시간을 포함하여 대기시간을 산출하며, 또는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에 대해서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시간에 따라 대기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390)는 상기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360)에서 산출된 소요시간과 상기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380)에서 산출된 대기시간을 각각 비교 하여 상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390)는 상기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390)는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버스 최대 대기 허용시간, 버스정류장 최대 용량 또는 적정 배차시간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정 배차시간을 고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결정된 최적 버스가 대기하게 되어 상기 최적 버스 바로 이전에 지나간 동일노선 버스와의 배차시간이 적정 배차시간보다 길어지게 될 경우, 상기 결정된 최적 버스는 대기하지 않고 출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차시간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버스가 결정된 후, 상기 버스 바로 전에 지나간 동일노선 버스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적정 배차간격은 이미 정해져 있는 값이므로, 상기 적정 배차간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의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390)가 데이터베이스(400) 등을 통해 추출한다.
SMS 발송부(395)는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처리 결과에 따른 문자 메시지(SMS)를 생성하여 발송하게 된다. 예를 들면, 버스의 도착시간과 사용자 소요시간이 비슷할 경우,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이를 통지할 수 있고, 또는 버스가 출발 정류장에서 대기하지 않고 출발한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선택사항이 입력된 경우, 이를 반영하여 최적의 버스를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버스와 운행제어 서버 간의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버스는 광역버스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버스(200)는 정차중인 버스(200a), 출발 정류장에 최근접한 버스(200b) 및 다음 근접 버스(200c)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정차중인 버스(200a)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현재까지 출발정류장에서 정차한 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근접 버스(200b) 및 상기 다음 근접 버스(200c)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제어 서버(300)는 검색된 버스 노선 중에서 정차중인 버스(200a), 최근접 버스(200b) 및 다음 근접 버스(200c)의 위치를 확인하여 출발 정류장까지의 도착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버스들(200a, 200b, 200c)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여, 각각 출발/대기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버 스 운행제어 접속모듈이 사용자 단말 내에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예를 들면, 휴대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PDA, 스마트폰,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신되어 온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등으로 구성된 저잡음 증폭부, 상기 저잡음 증폭부를 통해 입력된 주파수 신호로부터 본래의 코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복조부(113)와 변조부(111)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통신 규격에 따라 인터리빙(Interleaving)과 블록 코딩(Block Coding) 및 컨벌루션 코딩(Convolution Coding)을 실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09), 기지국과 소정 규격에 따라 송수신하게 되는 제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대방 단말부터의 음성 신호를 가청 음성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03)와 수신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서 변환 입력하는 마이크로폰(101), 상기 마이크로폰(101)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09)를 통해서 인가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03)로 출력하는 등의 음성 처리를 실행하는 음성 처리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09)를 통해 출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소정의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111)와 상기 변조부(111)에서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구비한 키입력부(117), 사용자 단말(100)의 각종 동작 상태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부(123), 상기 데이터 처리부(107)를 통한 기지국과의 송수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 상태를 동작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19), 상기 제어부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125), 상기 제어부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처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복조부(113)에서 복조되어 출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디지털 변환하여 그 수신 데이터의 크기에 대응하는 데이터값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를 더 포함하며, 이는 사용자 단말(100)의 기지국 선택이나 핸드 오버(Hand Over)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키입력부(117)는 자동 저장된 발신 번호의 조회 및 선택을 위한 기능 키를 구비하며, 제어부(119)는 수신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수신자의 필요에 따라 재접속을 실행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메모리(125)는 상기 제어부(119)의 발신자 전화 번호 기록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버스 운행제어 접속모듈(129) 을 구비하며,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버스 운행제어 접속모듈(129)을 프로그램 형태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운행제어 접속모듈(129)은 상기 운행제어 서버(3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정보 입력 및 전송을 지원하도록 프로그램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VM(Virtual Machine) 다운로드 방식의 버스 운행제어 접속모듈(129)은 사용자 단말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는 방식이며, 도면부호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쉬운 키 조작과 화려한 그래픽과 함께 아이콘 형태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WAP 서비스 형식의 버스 운행제어 접속모듈(129)은, 도면부호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Text) 방식의 서비스로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식은VM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는 구형 휴대폰이나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100), 운행제어 서버(300) 및 버스(200a, 200b, 200c) 단말을 포함하는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이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를 제어하는 버스 운행제어 방법으로서, 먼저, 운행제어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위치정보, 시각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수신한다(S11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는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류장 정보로부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S120), 다음으로, 상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모든 버스 노선을 검색한다(S130).
다음으로, 상기 검색된 버스 노선에 따라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에 대한 버스 정보를 추출한다(S140).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한다(S150).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선택사항이 수신된 경우, 이를 처리 및 분석한다(S160).
다음으로,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각각의 대기시간을 산출한다(S170).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소요시간과 상기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대기시간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한다(S180). 이때, 상기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하고, 상기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차중인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현재까지 출발정류장에서 정차한 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최대 탑승 정원이 현재 탑 승 인원과 승차할 승객수의 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승객의 승차 없이 상기 버스를 출발시키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근접 버스 및 상기 다음 근접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할 때,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버스 최대 대기 허용시간, 버스정류장 최대 용량 또는 적정 배차시간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운행제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처리 결과에 따른 문자 메시지(SMS)로 발송하거나(S190), 또는 상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를 제어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은, 먼저, 승객이 사용자 단말(100), 예를 들면, 휴대폰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한다(S201). 이때, 입력 정보는 위치정보, 출발 정류장, 도착 정류장, 승객이 지정한 출발 정류장 도착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선택사항으로서,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버스 종류(신/구/저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행제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출발 정류장의 정보 및 도착 정류장의 정보, 예를 들면, 위치정보를 추출한 다(S202). 이때, 출발 정류장의 정보는 위치정보, 정차 가능 버스 수 및 최대 버스대기 허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도착 정류장의 정보는 위치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운행제어 서버(300)는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동일한 모든 버스 노선을 추출한다(S203).
다음으로, 운행제어 서버(300)는 버스 이용자들의 현재 위치로부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계산한다(S204).
다음으로, 운행제어 서버(300)는 출발 정류장에 정차중인 버스가 있는지 확인한다(S205). 이하의 단계는 상기 정차중인 버스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운행제어 서버(300)는 출발 정류장에서 정차중인 버스 정보, 최근접 버스 정보 및 다음 근접 버스 정보를 추출한다(S206, S207, S218, S219).
이때, 정차중인 버스 정보는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현재까지 출발정류장에서 정차한 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 및 경유 구간 및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발 정류장으로 접근 중인 최근접 버스 정보 및 다음 근접 버스 정보는 각각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및 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행제어 서버(300)는 정차중인 버스의 현재 출발 정류장에서의 대기시간, 즉, 승객들이 출발 정류장에 도착할 때까지 정차중인 버스가 출발 정류장에서 대기해야 할 총 시간(현재까지 누적 정차시간 포함) 계산을 산출하 고(S208), 또한, 최근접 버스의 출발 정류장에서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며(S209, S220), 또한 다음 근접 버스의 출발 정류장에서의 대기시간을 산출한다(S221).
다음으로, 운행제어 서버(300)는 상기 각각의 대기시간이 승객의 소요시간을 넘지 않는지 확인하고(S210, S211, S222, S223), 또한, 최대 탑승 정원이 현재 탑승 인원 및 승객수의 합보다 큰지 각각 확인한다(S212, S213, S224, S225).
다음으로, 운행제어 서버(300)는 정차중인 버스가 최근접 버스보다 사용자 선택사항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고(S214), 또한, 최근접 버스가 다음 근접 버스보다 사용자 선택사항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226). 이때, 운행제어 서버(300)가 적합한 버스를 결정할 때, 전술한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버스 최대 대기 허용시간 및 버스정류장 최대 용량 이외에도 적정 배차시간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정 배차시간을 고려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결정된 최적 버스가 대기하게 되어 상기 최적 버스 바로 이전에 지나간 동일노선 버스와의 배차시간이 적정 배차시간보다 길어지게 될 경우, 상기 결정된 최적 버스는 대기하지 않고 출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차시간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버스가 결정된 후, 상기 버스 바로 전에 지나간 동일노선 버스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적정 배차간격은 이미 정해져 있는 값이므로, 상기 적정 배차간격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해 추출한다.
이에 따라, 운행제어 서버(300)는 승객 승차 없이 정차중인 버스를 출발시킬지(S215), 승객 승차후 정차중인 버스를 출발시킬지(S216), 승객 승차 없이 최근접 버스를 출발시킬지(S217), 승객 승차후 최근접 버스를 출발시킬지(S227), 승객 승 차 없이 다음 근접 버스를 출발시킬지(S228), 아니면 승객 승차후 다음 근접 버스를 출발시킬지(S229)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버스의 출발 정류장 도착시간 및 승객 위치에 따른 승객의 출발 정류장까지 소요시간을 활용하여 버스의 대기 또는 출발을 실시간 제어하고, 버스 이용 승객의 선택 사항을 반영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통 서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운행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 운행정보가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운행제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버스와 운행제어 서버 간의 신호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에서 버스 운행제어 접속모듈이 사용자 단말 내에 구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동작흐름도이다.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사용자 단말
200: 버스
200a: 정차중인 버스
200b: 최근접 버스
200c: 다음 근접 버스
300: 운행제어 서버
400: 데이터베이스
310: 사용자 입력정보 수신부
320: 버스정보 송수신부
330: 정류장 정보 추출부
340: 버스 정보 추출부
350: 버스 노선 검색부
360: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
370: 사용자 선택사항 분석부
380: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
390: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
395: SMS 발송부

Claims (19)

  1. 승객이 소지한 단말로서, 운행제어 서버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입력 및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류장 정보에 따라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버스 노선을 검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검색된 버스 노선 중에서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도착시간을 산출하며, 상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는 운행제어 서버; 및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에 각각 탑재되어 GPS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운행제어 서버에게 버스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출발 정류장에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의 출발 또는 대기 명령을 각각 수신하는 버스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행제어 서버는 양방향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운행제어 서버는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하고, 상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운행제어 서버로부터 가상머신(Virtual Machine) 다운로드 형식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형식의 버스 운행제어 접속 모듈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위치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정보 수신부;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로부터 각각 상기 버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버스들에게 출발 또는 대기 명령을 전송하는 버스정보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류장 정보로부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정류장 정보 추출부;
    상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이 동일한 모든 버스 노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버스 노선 검색부;
    상기 버스 노선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로부터 각각 버스 정보를 추출하는 버스 정보 추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각각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 및
    상기 사용자 소요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소요시간과 상기 버스 대기시간 산출부에서 산출된 대기시간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버스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는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추가적으 로 입력한 경우, 이를 처리하는 사용자 선택사항 분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출발/대기 결정부는 최적의 버스 결정시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버스 최대 대기 허용시간, 버스정류장 최대 용량 또는 적정 배차시간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처리 결과에 따른 문자 메시지(SMS)로 발송하는 SMS 발송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중인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 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현재까지 출발정류장에서 정차한 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근접 버스 및 상기 다음 근접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12. 사용자 단말, 운행제어 서버 및 버스 단말을 포함하는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이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를 제어하는 버스 운행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운행제어 서버가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위치정보 및 정류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정류장 정보로부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출발 정류장 및 도착 정류장에 대한 모든 버스 노선을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검색된 버스 노선에 따라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에 대한 버스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출발 정류장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f)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각각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소요시간과 대기시간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사용자 입력정보는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입석/좌석, 최단 거리, 최단 시간,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선택사항을 포함하고,
    상기 g) 단계는 상기 사용자 선택사항을 반영하여 상기 정차중인 버스, 최근접 버스 및 다음 근접 버스 중에서 최적의 버스를 결정하고, 상기 버스의 출발 또는 대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최적의 버스 결정시 승객 최대 대기 선호시간, 버스 최대 대기 허용시간, 버스정류장 최대 용량 또는 적정 배차시간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제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처리 결과에 따른 문자 메시지(SMS)로 발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정차중인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현재까지 출발정류장에서 정차한 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최대 탑승 정원이 현재 탑승 인원과 승차할 승객수의 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승객의 승차 없이 상기 버스를 출발시키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 행제어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최근접 버스 및 상기 다음 근접 버스에 탑재된 버스 단말이 전송하는 버스 정보는, 버스 위치정보, 최대 탑승 정원, 현재 탑승 인원수, 출발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정시간, 여유좌석 수, 경유지점/경유구간 또는 버스 종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방법.
KR1020090125256A 2009-12-16 2009-12-16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1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56A KR101151669B1 (ko) 2009-12-16 2009-12-16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56A KR101151669B1 (ko) 2009-12-16 2009-12-16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348A KR20110068348A (ko) 2011-06-22
KR101151669B1 true KR101151669B1 (ko) 2012-06-08

Family

ID=4440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256A KR101151669B1 (ko) 2009-12-16 2009-12-16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6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76B1 (ko) * 2015-03-31 2016-10-25 주식회사 다빈기술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KR101903337B1 (ko) 2018-07-02 2018-10-01 박병종 최적 환승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070B1 (ko) * 2015-06-26 2016-11-10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금속 스크랩 납품을 위한 방통차 하화 대기 시간 최소화 방법
CN109606392A (zh) * 2019-01-17 2019-04-12 张少亮 一种公共交通运输系统
KR20220170053A (ko) 2021-06-22 2022-12-29 이준희 버스 배차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76B1 (ko) * 2015-03-31 2016-10-25 주식회사 다빈기술 교통시간 안내시스템
KR101903337B1 (ko) 2018-07-02 2018-10-01 박병종 최적 환승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348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57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management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1174688B1 (ko) 실시간 버스 정보를 이용한 승객 하차 지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212774A (zh) 用个人手持电话系统获得公共运输工具位置的系统和方法
US6745125B2 (en) Method, and relate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vel-related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2004516708A (ja) 移動体通信装置に移動情報を供給する方法
KR101151669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530336A (ja) ビーコン・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CN101365246B (zh) 根据聚集信号强度数据预测用户可用性
CN101465881A (zh) 同步交通工具用户的在线地址簿源
JP2005503739A (ja) 電話呼び出し経路指定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84994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철역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US7801540B2 (en) Architecture for delivering data to mobile telematics units
EP2441296A1 (en) Activating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KR101148538B1 (ko) 목적지 도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2003179542A (ja) 降車駅案内システム
JP2007306318A (ja) 通信リソース予約システム、通信リソース予約方法、および通信リソース予約プログラム
KR20010086611A (ko)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JP5197254B2 (ja) 災害時通信支援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70073255A (ko) Uwb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승객 목적지알림시스템 및 그 알림방법
KR2005011545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및 길 안내 정보 제공 방법
KR1006277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KR101162956B1 (ko) 공용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5658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6157274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応答メッセージ送出方法
JP2004070766A (ja) 車両到着時刻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