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392A -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392A
KR20020006392A KR1020000040026A KR20000040026A KR20020006392A KR 20020006392 A KR20020006392 A KR 20020006392A KR 1020000040026 A KR1020000040026 A KR 1020000040026A KR 20000040026 A KR20000040026 A KR 20000040026A KR 20020006392 A KR20020006392 A KR 20020006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transport
service
ow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국인
Original Assignee
최덕호
주식회사 트럭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호, 주식회사 트럭코리아 filed Critical 최덕호
Priority to KR102000004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392A/ko
Publication of KR2002000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392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류 산업의 핵심요소인 수송 서비스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화주 및 차주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화주에게는 신속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차주에게는 효율적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트럭 차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신상 정보 및 상기 차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화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수송업무를 의뢰받고 상기 수송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정보 및 상기 제 2 단계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송 가능한 차량을 선정한 후 상기 차량의 차주에게 수송 업무 지시를 통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수송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온라인 상으로 상기 화주에게 통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Offering Service Of Transport In On-Line}
본 발명은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류 산업의 핵심요소인 수송 서비스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후 기업 경쟁력 확보의 마지막 핵심 요인인 물류 산업의 전반적인 수준이 현재 선진국에 비해 20년 이상 낙후되어 있어, 건설교통부에서도 그 심각성을 직시하고, 전국을 5대 권역으로 묶어 인천국제 공항과 주요항만을 연결하는 종합물류 네트워크 구축 및 복합일관물류체제 완비 등 산업지원형 물류 서비스 개척을 주요 과제로 선정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97년 연간 물류비는 당해연도 GDP 의 16.5%인 69.6 조원에 달하며, 그중 66.9%(46.5조원)가 수송비로 쓰여졌고, 또한 수송비의 67.3%인 31.3 조원이 도로수송비에 집중되어 있다.
도로수송비의 자가용 대 영업용 트럭의 분담율을 보면 전체 수송비의 76.7%(24조원)를 자가용이, 23.3%(7.3조원)를 영업트럭이 차지하고 있으나 효율적인 물류 운영을 위한 아웃소싱(outsourcing) 추세에 의해 영업용의 비중은 향후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송서비스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수송 시스템은 대부분 오프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불과하며, 일부 서비스에서는 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 등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는 서비스 운영자와 차주간의 통신망을 무선망으로 연결하고 있을 뿐 화주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서비스 운영자는 화주로부터 수송에 관한 의뢰를 받아 차주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차주와 무선망을 통한 통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당 서비스의 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나, 화주의 입장에서는 수송을 의뢰한 후 그 도착까지의 과정을 수시로 확인해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전자상거래(EC :Electronic Commerce)가 획기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의 최종 단계로서 지원되어야할 수송서비스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쉽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 개발되지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인터넷이란 컴퓨터와 이들 컴퓨터를 연결한 컴퓨터통신망의 집합체로서 이들 컴퓨터에 축적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하며, 이러한 인터넷은 전세계적인 통신망으로서 세계 어디서, 누구나가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전자상거래(EC)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란 인터넷이나 PC 통신 등의 전자매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 또는 전자 결재수단 등으로 유, 무형의 재화와 용역을 거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일반적으로 서적, 의류, 전자제품 등과 같이 형체가 있는 제품을 전자적 방법으로 주문하고 물리적인 운송 과정을 거쳐 수요자에게 배달되는 오프라인 거래와 소프트웨어, 영화, 음악 등과 같이 형체가 없는 제품을 전자적 방법으로 주문하고 전자적 전송(Download)으로 수용자에게 전달되는 온라인 거래로 구분할 수 있다.
즉, 현 시점은 상기와 같은 전자상거래의 획기적인 성장으로 인하여, 새로운 거래 질서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한 차원 높은 물류 서비스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며, B2B 거래의 인프라라고 할 수 있는 택배물류사업은 이미 대기업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전자상거래의 주도 시장이 될 B2B 거래를 지원할 기업간 수송 인프라는 아직 미개척 분야로 남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화주 및 차주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화주에게는 신속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차주에게는 효율적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국 허브 센터(Hub Center) 및 영업망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영업 네트워크의 일실시예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트럭 차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신상 정보 및 상기 차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화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수송업무를 의뢰받고 상기 수송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정보 및 상기 제 2 단계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송 가능한 차량을 선정한 후 상기 차량의 차주에게 수송 업무 지시를 통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수송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온라인 상으로 상기 화주에게 통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정보통신 시스템에, 트럭 차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신상 정보 및 상기 차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기능; 화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수송업무를 의뢰받고 상기 수송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기능; 상기 제 1 기능의 정보 및 상기 제 2 기능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송 가능한 차량을 선정한 후 상기 차량의 차주에게 수송 업무 지시를 통보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수송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온라인 상으로 상기 화주에게 통보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개발 동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물류비 절감을 위한 건교부의 중장기 계획과 물류 벤쳐 발굴 및 양성의 시대적 요구와 함께, B2B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상류의 속도를 따라 갈 수 있는 물류의 속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물류비 절감을 위한 아웃소싱 추세에 따라 영업용 트럭으로의 전환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규모를 갖춘 서비스업체 발굴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국의 개개인 트럭 차주들을 단일 브랜드 네트워크(Brand Network)로 통합하여 정형화,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물류의 기본 목표인 신속, 정확, 저비용을 실현할 수 있는 수송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수송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중소 기업들에게 물류 관련 소프트웨어(Software)를 제공함으로써 전자상거래의 거래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물류 인프라(Infra)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사업에 부가되는 수익사업 모델을 추가, 개발함으로써 수송과 관련된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은 화주들이 본 발명에 접속하기 위한 화주단말기(110), 차주들이 본 발명에 접속하기 위한 차주단말기(130), 상기 화주단말기(110)로부터 수송의뢰를 접수받아 상기 차주단말기(130)로 수송업무를 지시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50) 및 지역별로 상기 차주의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영업소(140)와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의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120)를 포함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시스템(150)은, 화주단말기(110) 및 차주단말기(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151), 상기 웹서버(151)를 통해 입력된 화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회원 관리부(153), 상기 웹서버(151)를 통해 입력된 차주 및 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차량 관리부(154), 수송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수송정보 즉, 수송일자, 수송화물, 차량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차량 위치 관리부(155) 및 화주 또는 차주에게로의 통신 업무를 담당하기 위한 통신부(156)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차량 관리부(155)는 GPS 및 CVO 관제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송 중에 있는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웹서버(151)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흐름도이며,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국 허브 센터(Hub Center) 및 영업망의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영업 네트워크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먼저, 전국의 개개인 트럭 차주들을 대상으로 차주의 주소, 차량번호, 차량의 종류 등을 차주로부터 입력받아 차량관리부(154)에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다(202). 이때, 차주로부터의 정보 입력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20)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차주들은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이 탑재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150)에 접속하여 자신의 신상정보 및 차량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서비스 제공 시스템(150)은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차량관리부(154)에서 관리하게 된다.
차주 및 차량에 대한 정보가 확보되면 화주로부터 수송 서비스의 의뢰를 받는다(204). 즉, 수송 서비스를 의뢰하고자 하는 화주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20)를 통해 본 발명이 탑재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150)에 접속하여 수송일자, 수송지역, 수송화물, 화주의 신상정보 등을 입력하게 되며, 서비스 제공 시스템(150)은 상기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관리부(153)에서 관리하게 된다.
이때, 웹서버(홈페이지)(151)에서는 상기 차량관리부(154) 및 차량위치 관리부(155)에서 관리되고 있는 차량들에 대한 공차정보, 배차정보, 현재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도착/상차/하차 정보 및 도로정보, 날씨정보, 휴게소 정보, 교통/운수 등에 대한 관련 법률 상담 등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게 된다.
수송의뢰를 받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150)의 제어부(152)는 차량관리부(154)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수송가능차량의 유무를 판단한다(206). 즉, 수송을 의뢰받은 지역 내에 현재 수송 가능한 차량이 있는지를 우선 판단하여, 수송가능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e-mail, 전화, 팩스 등의 통신망(120)을 사용하여 해당 차주에게 수송을 지시하게 된다. 만약 수송을 의뢰받은 지역 내에 수송 가능한 차량이 없는 경우에는 의뢰받은 지역과 근접한 지역내에서 수송가능 차량을 물색하여 수송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수송 업무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국에 걸쳐 영업소(140)를 운영하게 된다. 즉, 전국 11개 영업권역에 24개 영업소(140)를 확보하고 그 중 7개의 영업소(Hub Center)(이하, 간단히 "Hub Center"라함)(서울양제, 신정, 인천, 대전, 대구, 부산, 광주)는 직영체제로 운영하게 된다.
또한,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울지역과 지방 22개 영업소(140) 지역과의 운송은 서울 Hub Center에서 주관하고 지방 Hub Center에서 관할 내 지역간 운송 또는 지방 Hub Center간 운송은 지방 영업소의 주관하에 진행된다.
즉, 차주들의 차량들은 각 영업소(140)에서 관리하게 되며, 수송 업무의 지시는 각 차주에게 직접 전달될 수도 있지만, 수송에 사용될 차량을 관리하는 영업소(140)를 통해 차주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송 가능 차량이 확보되면 차량관리부(154)에서 해당 수송업무와 수송 차량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며, 지정된 날짜에 해당 수송차량을 화주에게 배차시킴으로써 수송업무를 실시하도록 한다(208).
이때, 수송업무를 실시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120)을 통하여 수시로 제공되도록 한다(210). 즉, 차량 위치 관리부(155)는 GPS 또는 CVO 관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송 차량에 대한 위치 추적을 통해 정확한 도착 예정시간 및 현재 위치 등을 보고 받아 그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화주는 수송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수송과 관련된 기타 업무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송업무에 관련된 모든 정보, 즉, 공차정보, 배차정보, 수송차량정보, 도착/하차/상차 정보 등은 웹서버(홈페이지)(151)를 통해 수시로 화주 또는 차주에게 제공됨으로써 화주 또는 차주는 효율적으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된다.
수송업무가 완료되면 통신부(156)는 E-mail, 전화, 팩스 등을 이용하여 화주에게 수송업무의 완료를 통보하게 된다(212).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수송업무 자체에 대한 서비스뿐만 아니라 웹서버(홈페이지)(151)를 통해 트럭매매, 운송관련 구인/구직, 보험업무, 차량정비 업무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국의 20만 영업용 트럭을 단일 브랜드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정형화, 표준화된 물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업 화주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VO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위치 추적을 통한 정확한 도착예정시간 제공으로 화주에게는 생산성 향상, 차주에게는 화물 예약을 통한 운행율 및 실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의 탈피를 통한 실시간 정보 공유로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송서비스에 있어서 전국의 개개인 트럭 차주들을 단일 브랜드 네트워크(Brand Network)로 통합하여 정형화,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물류의 기본 목표인 신속, 정확, 저비용을 실현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정보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트럭 차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신상 정보 및 상기 차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화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수송업무를 의뢰받고 상기 수송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정보 및 상기 제 2 단계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송 가능한 차량을 선정한 후 상기 차량의 차주에게 수송 업무 지시를 통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수송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온라인 상으로 상기 화주에게 통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상기 수송 업무에 필요한 정보는, 수송일자, 수송지역, 수송화물, 화주의 신상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차량의 출발시간, 도착시간, 또는 적재화물의 상차/하차 여부를 온라인 상으로 상기 화주에게 제공하는 제 5 단계; 및
    GPS 또는 CVO 관제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이동 위치를 파악하여 온라인 상으로 상기 화주에게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제공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로정보, 날씨정보, 휴게소 정보, 교통/운수 등에 대한 관련 법률 상담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기 수송 서비스와 함께 제공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5.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정보통신 시스템에,
    트럭 차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신상 정보 및 상기 차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1 기능;
    화주들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수송업무를 의뢰받고 상기 수송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기능;
    상기 제 1 기능의 정보 및 상기 제 2 기능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송 가능한 차량을 선정한 후 상기 차량의 차주에게 수송 업무 지시를 통보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수송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온라인 상으로 상기 화주에게 통보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40026A 2000-07-12 2000-07-12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06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26A KR20020006392A (ko) 2000-07-12 2000-07-12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26A KR20020006392A (ko) 2000-07-12 2000-07-12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392A true KR20020006392A (ko) 2002-01-19

Family

ID=1967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026A KR20020006392A (ko) 2000-07-12 2000-07-12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3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12A (ko) * 2000-10-07 2002-04-16 남궁석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운송 서비스 서버 시스템 및 그서비스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876A (ja) * 1997-12-06 1999-07-02 Horiba Ltd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JPH11191199A (ja) * 1997-12-26 1999-07-13 Fujitsu Ten Ltd 顧客管理システム
JPH11283186A (ja) * 1998-03-27 1999-10-15 Aisin Seiki Co Ltd 配車管理システム
KR19990084539A (ko) * 1998-05-08 1999-12-06 이동률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0645A (ko) * 2000-03-09 2000-06-05 김병호 인터넷상의 수송운행 일정을 연결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092926A (ko) * 2000-03-27 2001-10-27 정태호 전자상거래용 종합 물류 서비스방법
KR20020006217A (ko) * 2000-07-11 2002-01-19 이일복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876A (ja) * 1997-12-06 1999-07-02 Horiba Ltd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JPH11191199A (ja) * 1997-12-26 1999-07-13 Fujitsu Ten Ltd 顧客管理システム
JPH11283186A (ja) * 1998-03-27 1999-10-15 Aisin Seiki Co Ltd 配車管理システム
KR19990084539A (ko) * 1998-05-08 1999-12-06 이동률 물류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0645A (ko) * 2000-03-09 2000-06-05 김병호 인터넷상의 수송운행 일정을 연결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092926A (ko) * 2000-03-27 2001-10-27 정태호 전자상거래용 종합 물류 서비스방법
KR20020006217A (ko) * 2000-07-11 2002-01-19 이일복 개별 화물차량의 화물알선중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12A (ko) * 2000-10-07 2002-04-16 남궁석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운송 서비스 서버 시스템 및 그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5518B2 (en) Dynamic and predictiv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ipping assets and transport
US20140324633A1 (en) Freight services marketplace system and methods
US202300889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load optimization for vehicles
US200500213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marketplace visibility and administering freight shipments using fuzzy commodity transportation instruments
CN112150062B (zh) 一种石化物流陆路运输管理方法、系统、存储介质、终端
EP1277158A1 (en) Vertica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hipping and logistics services, operations and products to an industry
US20190251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reight transportation
WO2020032815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мультимодальных сервисов грузоперевозок
US20160071055A1 (en) Freight services marketplace system and methods
KR20210008581A (ko) 멀티 인수 및 멀티 배송을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90182572A1 (en) System for determining equipment repositioning plans
Huk et al. Innovations and new possibilities of vehicle tracking in transport and forwarding
CN113971506A (zh) 基于大数据的整车物流信息智能管理平台
US20220108308A1 (en) Transportation, storage and service futures
US20020082970A1 (en) Integrated transportation
Witkowski Electronic freight exchange and logistics platforms in building of supply chains
KR20200091125A (ko) 물류 erp시스템
KR102320401B1 (ko) P2p 대출 기반 운임비 선지급형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20006392A (ko) 온라인 상에서의 수송 서비스 제공 방법
Kang et al. Integrated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n Korea
Dubina et al. Digitaliz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Logistics and Supply Chain
KR20050003915A (ko) Edi를 활용하는 자동 물류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Sosik et al. Difficulties affecting distribution process in a city-a forwarder perspective
KR102625360B1 (ko) 우편물류 공유 플랫폼 시스템
Chow E-Business Impact on Canadian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