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839A -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839A
KR20020000839A KR1020010036841A KR20010036841A KR20020000839A KR 20020000839 A KR20020000839 A KR 20020000839A KR 1020010036841 A KR1020010036841 A KR 1020010036841A KR 20010036841 A KR20010036841 A KR 20010036841A KR 20020000839 A KR20020000839 A KR 20020000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field effect
effect transistor
voltage
wel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토요시히사
시마다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2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ferroelectric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1/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1/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transistors
    • H10B51/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transis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Abstract

본 발명은 축적용 트랜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의 소거동작을 행하지 않고, 데이터의 재기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웰영역 W1, W2및 제 2 웰영역 V1, V2가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선택 트랜지스터 P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웰영역 V1, V2에 DC전압 -Vp를 인가하는 동시에, 축적 트랜지스터 Q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웰영역 W1, W2는 접지해 놓는다. 1행째의 워드선 WL1에 +Vp를 인가하는 한편, 2행째의 워드선 WL2에 -Vp를 인가하고, 1행째의 선택 트랜지스터 P11, P12를 온으로 함으로서 1행째의 어드레스를 선택한다. 1열째의 동작전압공급선 GL1에 2치 데이터에 대응하여 +Vp또는 -Vp을 인가하는 한편, 2열째의 동작전압공급선 GL2는 접지한다. 이로 인해, 어드레스(11)가 지정되는 동시에,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제어게이트·웰 사이에 ±Vp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에 2치 데이터가 기입된다.

Description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비휘발성의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유전체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S형 트랜지스터, 강유전체막과 유전체막의 적층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IS형 트랜지스터, 또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위에 강유전체 콘덴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MFMIS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데이터가 축적되는 축적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유전체막을 갖는 1 트랜지스터형의 비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로서는 MFS형 트랜지스터, MFIS형 트랜지스터 및 MFMIS형 트랜지스터의 3종류가 알려져 있다.
MFS형 트랜지스터란 Metal(금속)/Ferroelectric(강유전체)/Semic온ductor(반도체)의 적층구조를 의미하고, 반도체기판 상의 채널영역의 위에 직접 형성된 강유전체막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절연막를 갖는 트랜지스터이다.
MFIS형 트랜지스터란 Metal(금속)/Ferroelectric(강유전체)/Insulator(절연체)/Semic온ductor(반도체)의 적층구조를 의미하고, 강유전체막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절연막과 반도체기판과의 사이에 버퍼층으로 되는 유전체막을 갖는 트랜지스터이며, MFS형 트랜지스터보다도 계면특성이 개선되어 있다.
MFMIS형 트랜지스터란 Metal(금속)/Ferroelectric(강유전체)/Metal(금속)/
Insulator(절연체)/Semic온ductor(반도체)의 적층구조를 의미하고, M0S구조를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위에 강유전체 콘덴서가 설치된 트랜지스터이며,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위에 절연막을 통해 강유전체 콘덴서가 형성된 제 1 구조와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이 강유전체 콘덴서의 하부전극을 겸하는 제 2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강유전체막을 갖는 1 트랜지스터형의 비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비휘발성 메모리)를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로서 사용하는 메모리 셀에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허 제2921812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MF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에 게이트선택용 트랜지스터 및 소스선택용 트랜지스터가 각각 접속됨으로서 1개의 메모리 셀이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일본국 특허 제2921812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1 트랜지스터형의 비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4에 있어서 WL은 기입용 워드선이고, RL은 판독용 워드선이고, GL은 동작전압공급선이고, BL은 비트선이고, Q1은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이고, Q2는 기입용 트랜지스터이고, Q3은 판독용 트랜지스터이다.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 Q1의 게이트는 기입용 트랜지스터 Q2를 통해 동작전압 공급선 GL에 접속되고,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 Q1의 드레인은 판독용 트랜지스터 Q3을 통해 비트선 BL에 접속되며,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 Q1의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구성을 갖는 복수의 메모리 셀이 실리콘기판 상에 배치됨으로써 메모리 셀 어레이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의 회로구성을 갖는 메모리 셀에 대하여 데이터의 소거(ERASE), 데이터의 기입(WRITE) 및 데이터의 판독(READ)을 행하는 동작에 관해서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반도체기판 상의 웰영역에 음전위를 인가하여,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 Q1의 게이트·기판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강유전체막의 분극방향을 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한다. 이로 인해, 모든 메모리 셀의 데이터가 소거된다.
다음에, 데이터의 기입동작을 할 때에는 기입용 트랜지스터 Q2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어드레스에 있는 메모리 셀의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 Q1에 대하여, 게이트·기판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체막의 분극방향을 반전(온상태)시키던지, 또는 게이트·기판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강유전체막의 분극방향을 유지(오프상태)한다. 즉, 입력데이터에 따라서 분극반전(온상태) 또는 분극유지(오프상태)라는 두 종류의 분극상태를 발생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입한다. 강유전체막의 분극상태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라도 유지되기 때문에 비휘발성의 반도체기억장치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데이터의 판독동작은 판독용 트랜지스터 Q3을 온하여, 비트선 BL으로부터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 Q1의 채널을 통해 접지선에 흐르는 전류(드레인·소스간전류)에 따르는 전압강하를 검출함으로서 행한다.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 Q1의 강유전체막의 분극상태에 따라서 채널저항이 변화하기 때문에 기입된 데이터가 판독된다.
또, 일본국 특개평 5-205487호 공보에는 데이터축적용 트랜지스터의 웰영역이 메모리 셀마다 분리된 구조를 갖는 비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반도체기억장치의 기본적인 회로구성은 상술한 반도체기억장치와 같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용 트랜지스터가 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웰영역과 축적용 트랜지스터를 선택하는 선택용 트랜지스터의 웰영역과는 공통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는 축적용 트랜지스터가 되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웰영역에 전압을 인가하여, 강유전체막의 분극방향을 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함으로써, 웰영역을 공유하는 축적용 트랜지스터에 축적되어 있는 전체 데이터를 일괄해서 소거한 뒤, 축적용 트랜지스터마다 데이터의 기입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재기입(데이터의 개서)동작에 장시간을 갖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축적용 트랜지스터가 공유하고 있고 부하용량이 큰 웰영역에 대하여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복수의 축적용 트랜지스터의 데이터를 소거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소거를 행할 때의 동작속도가 느리다는 문제도 있다.
상기를 감안해서, 본 발명은 축적용 트랜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의 소거동작을 행하지 않고, 데이터의 재기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의 재기입(개서)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서의 메모리 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평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서의 메모리 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메모리 셀에 대하여 기입동작 및 판독동작을 할 때의 인가전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MFMIS형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MIS 트랜지스터와, 제어게이트에 +8V 또는 -8V가 인가되어 강유전체막의 분극이 반전하고 있는 MFMIS 트랜지스터에서의 Ids-VG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서의 메모리 셀이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가 탑재되어 있는 반도체 칩의 평면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단면도
도 6는 (a), (b)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a), (b)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a), (b)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서의 메모리 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평면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서의 메모리 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메모리 셀에 대하여 기입동작 및 판독동작을 행할 때의 인가전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서의 메모리 셀이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가 탑재되어 있는 반도체 칩의 평면도
도 14는 종래의 비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의 회로도
도 15는 종래의 비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에 대하여 기입동작 및 판독동작을 행할 때의 인가전압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L1, WL2: 워드선 SL1, SL2: 소스선
GL1, GL2: 동작전압 공급선 BL1, BL2: 비트선
Q11, Q12, Q21, Q22: 축적 트랜지스터 C11, C12, C21, C22: 강유전체 콘덴서
P11, P12, P21, P22: 선택 트랜지스터 W1, W2: 제 1 웰영역
V1, V2: 제 2 웰영역 1 : 반도체기판
2 : 메모리 셀 어레이 3 : 행드라이버
4 : 열드라이버 5 : I/F회로
6A, 6B : DC-DC 컨버터 10 : 반도체기판
11 : 소자분리영역 12 : 제 1 웰영역
13 : 제 2 웰영역 14 : 제 1 게이트절연막
15 : 제 2 게이트절연막 16 : 제 1 게이트전극
17 : 제 2 게이트전극 18 : 제 1 저농도 불순물층
19 : 제 2 저농도 불순물층 20 : 사이드 월
21 : 레지스트 패턴 22 : 제 1 고농도 불순물층
23 : 제 2 고농도 불순물층 24 : 제 1 콘택트층
25 : 제 2 콘택트층 26 : 제 1 층간절연막
27 : 제 1 접속 플러그 28 : 배리어층
29 : 하부전극 30 : 강유전체막
31 : 상부전극 32 : 제 2 층간절연막
33 : 제 2 접속 플러그 34 : 제 3 접속 플러그
35 : 배리어층
36A, 36B, 36C, 36D, 36E, 36F, 36G : 하층배선
37 : 제 3 층간절연막 38 : 제 4 접속 플러그
39 : 배리어층 40 : 상층배선
41 : 제 1 보호막 42 : 제 2 보호막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는 강유전체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S형 트랜지스터, 강유전체막과 유전체막의 적층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IS형 트랜지스터, 또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위에 강유전체 콘덴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MFMIS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가 축적되는 축적 트랜지스터와,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축적 트랜지스터를 선택하는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축적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과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에 DC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압공급선과, 제 1 전압공급선에 대하여 독립으로 설치되어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DC전압을 공급하는 제 2 전압공급선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의하면, 축적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과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에 DC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압공급선과,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DC전압을 공급하는 제 2 전압공급선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축적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에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대하여 독립으로 제 1 DC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축적 트랜지스터의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게이트에 제 1 웰영역에 인가되는 제 1 DC전압에 대하여 양 또는 음의 극성이 되는 제 2 DC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따라서, 축적 트랜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의 소거동작을 행하지 않고, 원하는 축적 트랜지스터에 데이터의 기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요컨대, 복수의 축적 트랜지스터가 공유하고 있어 부하용량이 큰 웰영역에 전압을 인가하여 축적 트랜지스터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데이터의 기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개서 동작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은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큰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에서는 동작속도가 상대적으로 늦어지지만 내압을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큰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에서는 동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축적 트랜지스터는 MFMIS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절연막의 두께는 제 1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절연막의 두께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을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보다도 확실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축적 트랜지스터는 MFMIS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 및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는 LDD구조를 갖고 있으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저농도 불순물층의 길이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저농도 불순물층의 길이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을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보다도 확실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축적 트랜지스터는 MFMIS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게이트길이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게이트길이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을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보다도 확실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 및 제 1 및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는 동일의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고, 구동회로에 공급되는 구동용 전압과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공급되는 DC전압은 동일의 전압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공급되는 DC전압을 생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되는 DC전압 생성회로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은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회로에 공급되는 구동용전압과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공급되는 DC전압을 동일의 전압전원으로부터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되는 DC전압 생성회로를 확실히 간략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은 강유전체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S형 트랜지스터, 강유전체막과 유전체막의 적층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IS형 트랜지스터, 또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위에 강유전체 콘덴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MFMIS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데이터가 축적되는 축적 트랜지스터와,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축적 트랜지스터를 선택하는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축적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을 대상으로 하고,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에 제 1 DC전압을 인가하는 동시에,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게이트에 제 1 DC전압에 대하여 양 또는 음의 극성이 되는 제 2 DC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축적 트랜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에 의하면, 축적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에 제 1 DC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게이트에 제 1 DC전압에 대하여 양 또는 음의 극성이 되는 제 2 DC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를 기입하기 때문에, 축적 트랜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의 소거동작을 행하지 않고, 원하는 축적 트랜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축적 트랜지스터가 공유하고 있으며 부하용량이 큰 웰영역에 전압을 인가하여 축적 트랜지스터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개서 동작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은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큰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에서는 동작속도가 상대적으로 늦어지지만 내압을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큰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동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에 공급되는 DC전압과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공급되는 DC전압은 동일의 전압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공급되는 DC전압을 생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되는 DC전압 생성회로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면적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은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회로에 공급되는 구동용 전압과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공급되는 DC전압을 동일의 전압전원으로부터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되는 DC전압 생성회로를 확실히 간략화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해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도체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트랜지스터로서, MFMIS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 대신에 MFS형 트랜지스터 또는 MFIS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해도 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이 2행× 2열의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메모리 셀 어레이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1에서 WL1, WL2는 워드선이고, SL1, SL2는 소스선이고, GLl, GL2는 동작전압 공급선이고, BL1, BL2는 비트선이고, Q11, Q12, Q21, Q22는 데이터축적용의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이하, 간단히 축적 트랜지스터라 한다.)이고, C11, C12, C21, C22는 강유전체 콘덴서이고, P11, P12, P21, P22는 축적 트랜지스터 Q11, Q12, Q21, Q22를 선택하는 선택용의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이하, 간단히 선택 트랜지스터라 한다.)이다. 한편, 동일의 메모리 셀에 설치되어 있는 각 축적 트랜지스터 Q11, Q12, Q21, Q22와, 각 강유전체 콘덴서 C11, C12, C21, C22에 의해 MFMIS형 트랜지스터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p형의 제 1 웰영역 W1, W2및 p형의 제 2 웰영역 V1, V2이 행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으며, 축적 트랜지스터 Q는 제 1 웰영역 W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선택 트랜지스터 P는 제 2 웰영역 V에 형성되어 있다.
축적 트랜지스터 Q의 게이트전극(부유게이트)에는 강유전체 콘덴서 C의 하부전극이 접속되고, 강유전체 콘덴서 C의 상부전극(제어게이트)은 선택 트랜지스터 P를 통해 동작전압 공급선 GL에 접속되고, 선택 트랜지스터 P의 게이트는 워드선 WL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선택 트랜지스터 P는 워드선 WL에 의해 온·오프제어됨으로써, 동작전압 공급선 GL로부터의 신호를 축적 트랜지스터의 제어게이트에 전달한다.
축적 트랜지스터 Q의 드레인은 비트선 BL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축적 트랜지스터 Q의 소스는 소스선 SL에 접속되어 있고, 비트선 BL과 소스선 SL의 전위차에 의해 데이터의 판독이 행해진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서의 어드레스(11)(1행째 또는 1열째)의 메모리 셀에 대하여 기입동작 및 판독동작을 행하는 방법에 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기입 동작)
우선, 준비동작으로서 선택 트랜지스터 P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웰영역 V1, V2에 예를 들면 -8V의 DC전압 -Vp(V1=V2=-Vp)을 인가하는 동시에, 축적 트랜지스터 Q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웰영역 W1, W2는 접지해 놓는다(W1=W2=OV).
이하, 어드레스(11)의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1행째의 워드선 WL1에 +Vp를 인가하는 한편, 2행째의 워드선 WL2에 -Vp를 인가함으로서, 1행째의 선택 트랜지스터 P11, P12를 온으로 한다. 이로 인해, 1행째의 어드레스가 선택된다.
모든 소스선 SL1, SL2을 접지하는 동시에, 모든 비트선 BL1, BL2를 접지한다.
1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1에 2치 데이터에 대응하여 +Vp또는 -Vp을 인가하는 한편, 2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2는 접지한다. 이로 인해, 1열째의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어드레스(11)가 지정되는 동시에,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제어게이트·웰 사이에 예컨대 ±8V인 ±Vp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에 2치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 경우, 2행째의 선택 트랜지스터 P21, P22는 오프이기 때문에 2행째의 MFMIS형 트랜지스터에는 데이터는 기입되지 않는다. 또한, 2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2는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2열째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데이터는 개서할 수 없다.
(판독 동작)
이하, 어드레스(11)의 메모리 셀에 기입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1행째의 워드선 WL1에 Vp를 인가하는 한편, 2행째의 워드선 WL2에 -Vp를 인가함으로써, 1행째의 선택 트랜지스터 P11, P12를 온으로 한다. 이로 인해, 1행째의 어드레스가 선택된다.
모든 소스선 SL1, SL2에 OV를 인가하는 동시에, 1열째의 비트선 BL1에 예컨대 O.6V의 Vd를 인가하는 한편, 2열째의 비트선 BL2에 OV를 인가한다. 이로 인해 1열째의 어드레스가 선택된다.
1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1에 예컨대 0.7V의 Vr를 인가하는 한편, 2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2에 OV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하면,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게이트에 Vr이 인가되는 동시에, 그 MFMIS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사이에 Vd가 인가되기 때문에,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2치 데이터가 ±Vp에 따라서 정해지는 드레인·소스 사이의 전류의 변화로서 검출된다. 이 경우, 2행째의 선택 트랜지스터 P21, P22는 오프이기 때문에 2행째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동시에, 2열째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사이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도 3은 MFMIS형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MIS트랜지스터 및 제어 게이트에 +8V 또는 -8V가 인가되어 강유전체막의 분극이 반전하고 있는 MFMIS 트랜지스터에서의 Ids-VG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 게이트에 예를 들면 +8V의 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를 기입했을 때에는 임계값은 마이너스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어 게이트에 예컨대 -8V의 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를 기입하였을 때에는 임계값은 플러스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어 게이트에 0.7V의 Vr을 인가하면, +8V를 인가하였을 때와 -8V를 인가하였을 때에서는 Ids비 요컨대 온·오프비는 1 ×1O3이상으로 되기 때문에, MFMIS형 트랜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2치 데이터를 1 ×1O3이상의 온·오프비로서 나타나는 드레인·소스 사이의 전류의 변화로서 판독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탑재된 반도체 칩(1)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반도체 칩(1)의 위에는 메모리 셀 어레이(2), 행드라이버(3), 열드라이버(4), I/F 회로(5) 및 DC-DC 컨버터(6A)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반도체 칩(1) 상의 VDD 단자에 도입된 전원전압 및 반도체 칩(1) 상의 GND 단자에 도입된 접지전압은 메모리 셀 어레이(2)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인 행드라이버(3) 및 열드라이버(4)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VDD 단자에 도입된 전원전압은 DC-DC 컨버터(6A)에 공급되고, DC-DC 컨버터(6A)는 DC전압 +Vp, DC전압 -Vp, DC전압 Vd및 DC전압 Vr을 생성한다. DC-DC 컨버터(6A)에 의해 생성된 DC전압 +Vp는 행드라이버(3) 및 열드라이버(4)에 보내지고, DC-DC 컨버터(6A)에 의해 생성된 DC전압 -Vp는 열드라이버(4)에 보내지고, DC-DC 컨버터(6A)에 의해 생성된 DC전압 Vd및 DC전압 Vr은 열드라이버 -4에 보내진다.
기입동작의 준비시에 있어서, DC-DC 컨버터(6A)에 의해 생성된 DC전압 -Vp는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2 웰영역 V에 공급되는 동시에, GND단자에 도입된 접지전압은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1 웰영역 W에 직접 공급된다.
한편, GND단자에 도입된 접지전압을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1 웰영역 W에 DC전압 OV로서 공급하는 전압공급선이 제 1 전압공급선를 구성하고 있는 동시에, DC-DC 컨버터(6A)에 의해 생성된 DC전압 -Vp를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2 웰영역 V에 DC전압 -Vp으로서 공급하는 전압공급선이 제 2 전압공급선을 구성하고 있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반도체기판(10)의 표면에 소자분리영역(11)이 형성되고, 반도체기판(10)의 표면부에서의 소자분리영역(11)에 둘러싸인 영역에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p형의 제 1 웰영역(12) 및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p형의 제 2 웰영역(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웰영역(12)의 위에는 26.5nm의 두께를 갖는 제 1 게이트절연막(14)을 통해 0.6㎛의 게이트길이를 갖는 제 1 게이트전극(16)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웰영역(13)의 위에는 40nm의 두께를 갖는 제 2 게이트절연막(15)을 통해 1.5㎛의 게이트길이를 갖는 제 2 게이트전극(17)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게이트전극(16, 17)의 측면에는 사이드 월(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웰영역(12)의 표면부에는 0.2㎛의 길이를 갖는 n형의 제 1 저농도 불순물층(18)과, n형의 고농도 불순물층(22)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웰영역(13)의 표면부에는 1.5㎛의 길이를 갖는 n형의 제 2 저농도 불순물층(19)과, n형의 고농도 불순물층(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웰영역(12)의 표면부에는 p형의 고농도 불순물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콘택트층(24)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웰영역(13)의 표면부에는 p형의 고농도불순물층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콘택트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 1 저농도 불순물층(18), 제 1 고농도 불순물층(22), 제 1 게이트절연막(14) 및 제 1 게이트전극(16)에 의해서 축적 트랜지스터 P가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저농도 불순물층(19), 제 2 고농도 불순물층(23), 제 2 게이트절연막(15) 및 제 2 게이트전극(17)에 의해서 선택 트랜지스터 Q가 구성되어 있고, 축적 트랜지스터 Q의 동작전압은 5V로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선택 트랜지스터 P의 동작전압은 21V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게이트절연막(15)의 두께가 제 1 게이트절연막(14)의 두께보다도 크다는 제 1 특징, 제 2 게이트전극(17)의 게이트길이가 제 1 게이트전극(16)의 게이트길이보다도 크다는 제 2 특징 및 제 2 저농도 불순물층(19)의 길이가 제 1 저농도 불순물층(18)의 길이보다도 크다는 제 3 특징 중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의해서, 선택 트랜지스터 P의 내압이 축적 트랜지스터 Q의 내압보다도 크다는 구성이 실현된다.
제 1 및 제 2 게이트전극(16, 17)을 덮도록 제 1 층간절연막(26)이 형성되고, 그 제 1 층간절연막(26)의 위에, TiN막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28), Ir막, IrO2막 및 Pt막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전극(29), 2O온m의 두께를 갖는 SrBi2Ta2O9막으로 이루어지는 강유전체막(3O) 및 Pt막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전극(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하부전극(29), 강유전체막(30) 및 상부전극(31)에 의해서 강유전체 콘덴서 C가 구성되어 있고, 강유전체 콘덴서 C의 상부전극(31)은 축적 트랜지스터 Q의 제 1 게이트전극(16)과 제 1 접속 플러그(2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강유전체 콘덴서 C를 덮도록 제 2 층간절연막(32)이 형성되고, 이 제 2 층간절연막(32)의 위에, TiN막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35)을 통해 Al막으로 이루어지는 하층배선 36A, 36B, 36C, 36D, 36E, 36F, 36G가 형성되어 있다. 하층배선 36A와제 1 콘택트층(24)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B와 제 1 고농도 불순물층(22) 중의 한쪽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며, 하층배선 36C와 상부전극(31)과는 제 3 접속 플러그(34)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D와 제 1 고농도 불순물층(22) 중의 다른 쪽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E와 제 2 고농도 불순물층(23) 중의 한쪽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F와 제 2 고농도 불순물층(23) 중의 다른 쪽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G와 제 2 콘택트층(25)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하층배선 36A, 36B, 36C, 36D, 36E, 36F, 36G를 덮도록 제 3 층간절연막(37)이 형성되고, 이 제 3 층간절연막(37)의 위에, TiN막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39)을 통해 Al막으로 이루어지는 상층배선(40)이 형성되어 있고, 하층배선 36D와 상층배선(40)과는 제 4 접속 플러그(3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층배선(40)을 덮도록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보호막(41)이 형성되고, 이 제 1 보호막(41)의 위에 SiNx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보호막(42)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도 6의 (a), (b), 도 7의 (a), (b), 도 8의 (a), (b),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로 이루어지는 반도체기판(10)의표면에 LOCOS법에 의해 SiO2로 이루어지는 소자분리영역(11)을 형성한 뒤, 반도체기판(1O)의 표면부에서의 소자분리영역(11)에 둘러싸인 영역에 p형의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p형의 제 1 웰영역(12) 및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는 p형의 제 2 웰영역(13)을 형성한다.
다음에, 반도체기판(10)에 열산화법을 실시해, 제 1 및 제 2 웰영역(12, 13)의 표면에 26.5nm의 두께를 갖는 SiO2막을 형성한 뒤, 상기 SiO2막에서의 제 1 웰영역(1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에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웰영역(13)의 표면에 26.5nm의 두께를 갖는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게이트절연막(15)를 형성한다.
다음에, 다시 반도체기판(10)에 열산화법을 실시해,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웰영역(12)의 표면에 13.5nm의 두께를 갖는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게이트절연막(14)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웰영역(13)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게이트절연막(15)의 두께를 40nm로 증대시킨다.
다음에, 제 1 및 제 2 게이트절연막(14, 15)의 위에 300nm의 두께를 갖는 폴리실리콘막을 퇴적한 뒤, 그 폴리실리콘막에 인이온을 도핑하고, 그 후, 인도프된 폴리실리콘막을 패터닝함으로서,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절연막(14)의 위에 0.6㎛의 게이트길이를 갖는 제 1 게이트전극(16)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절연막(15)의 위에 1.5㎛의 게이트길이를 갖는 제 2 게이트전극(17)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1 게이트전극(16)을 마스크로 하여 제 1 웰영역(12)의 표면부에 n형의 불순물 이온을 도핑하여 n형의 제 1 저농도 불순물층(18)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게이트전극(17)을 마스크로 하여 제 2 웰영역(13)의 표면부에 n형의 불순물 이온을 도핑하여 n형의 제 2 저농도 불순물층(19)을 형성한다.
다음에, 반도체기판(1O)의 위에 전면에 걸쳐 SiO2막을 퇴적한 뒤, 상기 SiO2막에 대하여 이방성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도 8의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게이트전극(16, 17)의 측면에 사이드 월(20)을 형성한다. 다음에, 반도체기판(10)의 위에 고농도 불순물층의 형성영역에 개구부를 갖는 레지스트 패턴(21)을 형성한 뒤, 상기 레지스트 패턴(21)을 마스크로 하여 n형의 불순물 이온을 도핑하여, 제 1 웰영역(12)에 제 1 고농도 불순물층(22)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웰영역(13)에 제 2 고농도 불순물층(23)을 형성한다. 이 경우, 레지스트 패턴(21)은 제 2 게이트전극(17)을 덮고 있지만 제 1 게이트전극(16)을 덮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저농도 불순물층(19)에서의 제 2 게이트전극측의 영역의 길이(1.5㎛)는 제 1 저농도 불순물층(18)에서의 제 1 게이트전극측의 영역의 길이(0.2㎛)보다도 크다.
이로 인해, 제 1 저농도 불순물층(18), 제 1 고농도 불순물층(22), 제 1 게이트절연막(14) 및 제 1 게이트전극(16)으로 이루어지는 축적 트랜지스터 Q가 형성되는 동시에, 제 2 저농도 불순물층(19), 제 2 고농도 불순물층(23), 제 2 게이트절연막(15) 및 제 2 게이트전극(17)으로 이루어지는 선택 트랜지스터 P가 형성된다.
다음에,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반도체기판(10)의 위에 콘택트층의 형성영역에 개구부를 갖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뒤, 상기 레지스터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p형의 불순물 이온을 도핑함으로써,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웰영역(12)에 제 1 콘택트층(24)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웰영역(13)에 제 2 콘택트층(25)을 형성한다. 다음에, 900℃의 온도하에서 어닐처리를 행한 뒤, 반도체기판 1O의 위에 전면에 걸쳐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층간절연막(26)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층간절연막(26)에 플러그구멍을 형성한 뒤, 제 1 층간절연막(26)의 위에 폴리실리콘막을 퇴적하고, 그 후, 상기 폴리실리콘막에서의 플러그구멍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층간절연막(26)에 제 2 게이트전극(17)과 접속하는 제 1 접속 플러그(27)을 형성한다.
다음에, 스패터법에 의해, 제 1 층간절연막(26)의 위에 TiN막, Ir막, IrO2막 및 Pt막을 순차 퇴적하여 적층막을 형성한 뒤, 그 적층막을 패터닝하여, TiN막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28) 및 Ir막, IrO2막 및 Pt막으로 이루어지는 하부전극(29)을 형성한다. 다음에, 스핀 도포법에 의해 하부전극(29)의 위에 1O온m의 두께를 갖는 제 1의 SrBi2Ta2O9막(이하, SBT막이라 한다.)을 형성한 뒤, 800℃의 어닐을 행하여 결정화하고, 그 후, 스핀 도포법에 의해 제 1 SBT막의 위에 10온m의 두께를 갖는 제 2 SBT막을 형성한 뒤, 800℃의 어닐을 행하여 결정화한다. 다음에, 스패터법에 의해, 제 2 SBT막의 위에 Pt막을 퇴적한 뒤, 그 Pt막, 제 2 SBT막 및 제 1 SBT막을 패터닝하여, 제 1 및 제 2 SBT막으로 이루어지는 강유전체막 30 및 Pt막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전극(31)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하부전극(29), 강유전체막(30) 및 상부전극(31)으로 이루어지는 강유전체 콘덴서 C가 형성되는 동시에, 축적 트랜지스터 Q의 제 1 게이트전극(16)과 강유전체 콘덴서 C의 상부전극(31)이 제 1 접속 플러그(27)에 의해 접속된다.
다음에, 도 1O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강유전체 콘덴서 C를 덮도록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층간절연막(32)을 퇴적한 뒤, CMP법에 의해 제 2 층간절연막(32)을 평탄화한다. 다음에 비어홀을 개구하고, 제 2 층간절연막(32)의 위에 전면에 걸쳐 W막을 퇴적한 뒤, 그 W막에서의 제 2 층간절연막(32)의 위에 노출하고 있는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층간절연막(26) 및 제 2 층간절연막(32)에 W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 플러그(33)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 2 층간절연막(32)에 W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접속 플러그(34)를 형성한다.
다음에, 제 2 층간절연막(32)의 위에 TiN막 및 Al막을 순차 퇴적한 뒤, 그 TiN막 및 Al막을 패터닝하여, TiN막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35)과, Al막으로 이루어지는 하층배선 36A, 36B, 36C, 36D, 36E, 36F, 36G를 형성한다. 이 경우, 하층배선 36A와 제 1 콘택트층(24)은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B와 제 1 고농도 불순물층(22) 중의 한쪽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C와 상부전극(31)은 제 3 접속 플러그(34)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D와 제 1 고농도 불순물층(22) 중의 다른 쪽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E와 제 2 고농도 불순물층(23) 중의 한쪽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F와 제 2 고농도 불순물층(23) 중의다른쪽과는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되고, 하층배선 36G와 제 2 콘택트층(25)은 제 2 접속 플러그(33)에 의해 접속된다.
다음에, 하층배선 36A, 36B, 36C, 36D, 36E, 36F, 36G를 덮도록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층간절연막(37)을 퇴적한 뒤, CMP법에 의해 제 3 층간절연막(37)을 평탄화하고, 그 후, 제 2 및 제 3 접속 플러그(33, 34)와 같이 하여, 제 3 층간절연막(37)에 제 4 접속 플러그(38)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3 층간절연막(32)의 위에 TiN막 및 Al막을 순차 퇴적한 뒤, 상기 TiN막 및 Al막을 패터닝하고, TiN막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39)과, Al막으로 이루어지는 상층배선(40)을 형성한다. 이 경우, 하층배선 36D와 상층배선(40)과는 제 4 접속 플러그(38)에 의해 접속된다.
다음에, 상층배선(40)을 덮도록 SiO2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보호막(41)을 퇴적한 뒤, 이 제 1의 보호막(41)의 위에 SiNx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보호막(42)을 퇴적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가 얻어진다.
(제 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해서, 도 11∼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는 반도체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트랜지스터로서, MFMIS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MFS형 트랜지스터 또는 MFIS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해도 된다.
도 11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이 2행×2열의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메모리 셀의 평면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에서 WL1, WL2는 워드선이고, SL1, SL2는 소스선이고, GL1, GL2는 동작전압공급선이고, BL1, BL2는 비트선이고, Q11, Q12, Q21, Q22는 축적 트랜지스터이고, C11, C12, C21, C22는 강유전체 콘덴서이고, P11, P12, P21, P22는 선택 트랜지스터이다. 한편, 축적 트랜지스터 Q11, Q12, Q21, Q22와 강유전체 콘덴서 C11, C12, C21, C22에 의해 MFMIS형 트랜지스터가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n형의 제 1 웰영역 W1, W2및 p형의 제 2 웰영역 V1, V2가 행방향으로 교대로 설치되어 있고, 축적 트랜지스터 Q는 제 1 웰영역 W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선택 트랜지스터 P는 제 2 웰영역 V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축적 트랜지스터 Q의 게이트전극(부유게이트)에는 강유전체 콘덴서 C의 하부전극이 접속되고, 강유전체 콘덴서 C의 상부전극(제어게이트)은 선택 트랜지스터 P를 통해 동작전압공급선 GL에 접속되고, 선택 트랜지스터 P의 게이트는 워드선 WL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축적 트랜지스터 Q의 드레인은 비트선 BL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축적 트랜지스터 Q의 소스는 소스선 SL에 접속되어 있고, 비트선 BL과 소스선 SL과의 전위차에 의해 데이터의 판독이 행해진다.
이하, 제 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서의 어드레스(11)(1행째 또한 1열째)의 메모리 셀에 대하여 기입동작 및 판독동작을 행하는 방법에 관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기입 동작)
우선, 기입동작의 준비로서 선택 트랜지스터 P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웰영역 V에 예컨대 +8V의 DC전압 Vp(V1=V2=Vp)를 인가하는 동시에, 축적 트랜지스터 Q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웰영역 W를 접지해 놓는다(W1=W2=OV).
이하, 어드레스(11)의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1행째의 워드선 WL1에 -Vp를 인가하는 한편, 2행째의 워드선 WL2를 접지함으로써, 1행째의 선택 트랜지스터 P11, P12를 온으로 한다. 이로 인해, 1행째의 어드레스가 선택된다.
모든 소스선 SL1, SL2를 접지하는 동시에, 모든 비트선 BL1, BL2를 접지한다.
1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1에 2치 데이터에 대응하여 +Vp또는 -Vp을 인가하는 한편, 2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2는 접지한다. 이로 인해, 1열째의 어드레스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면, 어드레스(11)가 지정되는 동시에,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게이트·웰 사이에, 예컨대 ±8V인 ±Vp의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에 2치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 경우, 2행째의 선택 트랜지스터 P21, P22는 오프이기 때문에 2행째의 MFMIS형 트랜지스터에는 데이터는 기입되지 않는다. 또한, 2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2는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2열째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데이터는 개서되지 않는다.
(판독동작)
1행째의 워드선 WL1에 -Vp를 인가하는 한편, 2행째의 워드선 WL2에 0V를 인가함으로서, 1행째의 선택 트랜지스터 P11, P12를 온으로 한다. 이로 인해, 1행째의 어드레스가 선택된다.
모든 소스선 SL1, SL2에 0V를 인가하는 동시에, 1열째의 비트선 BL1에 예컨대 O.6V의 Vd를 인가하는 한편, 2열째의 비트선 BL2에 0V를 인가한다. 이로 인해 1열째의 어드레스가 선택된다.
1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1에 예컨대 0.7V의 Vr을 인가하는 한편, 2열째의 동작전압 공급선 GL2에 0V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하면,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게이트에 Vr이 인가되는 동시에, 그 MFMIS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사이에 Vd가 인가되기 때문에, 어드레스(11)의 MFMIS형 트랜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2치 데이터가 ±Vp에 따라서 정해지는 드레인·소스 사이의 전류의 변화로서 검출된다. 이 경우, 2행째의선택 트랜지스터 P21, P22는 오프이기 때문에 2행째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동시에, 2열째의 MFMIS형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사이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탑재된 반도체 칩(1)의 평면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반도체 칩(1)의 위에는 메모리 셀 어레이(2), 행드라이버(3), 열드라이버(4), I/F회로(5) 및 DC-DC 컨버터(6B)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반도체 칩(1) 상의 VDD단자에 도입된 전원전압 및 외부로부터 반도체기판(1) 상의 GND단자에 도입된 접지전압은 메모리 셀 어레이(2)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인 행드라이버(3) 및 열드라이버(4)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VDD단자에 도입된 전원전압은 DC-DC 컨버터(6B)에 공급되고, DC-DC 컨버터(6B)는 DC전압 -Vp, DC전압 Vd및 DC전압 Vr을 생성한다. DC-DC 컨버터(6B)에 의해 생성된 DC전압 -Vp는 행드라이버(3) 및 열드라이버(4)에 보내지고, DC-DC 컨버터(6B)에 의해 생성된 DC전압 Vd및 DC 전압 Vr은 열드라이버(4)에 보내진다.
기입의 준비동작시에 있어서, VDD단자에 도입된 전원전압 Vp는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2 웰영역 V에 직접 공급되는 동시에, GND단자에 도입된 접지전압은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1 웰영역 W에 직접 공급된다.
한편, GND단자에 도입된 접지전압을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1 웰영역 W에공급하는 전압공급선이 제 1 전압공급선을 구성하는 동시에, VDD단자에 도입된 전원전압을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2 웰영역 V에 공급하는 전압공급선이 제 2 전압공급선을 구성한다.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VDD단자에 도입된 전원전압은 메모리 셀 어레이(2)의 제 2 웰영역 V에 DC전압 Vp로서 직접 공급되기 때문에, DC-DC 컨버터(6B)는 DC전압 +Vp를 생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에서의 DC-DC 컨버터(6B)의 면적을 제 1 실시예에서의 DC-DC 컨버터(6A)의 면적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기억장치 또는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축적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에 제 1 DC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게이트에 제 1 DC전압에 대하여 양 또는 음의 극성이 되는 제 2 DC전압을 인가하여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기 때문에, 축적 트랜지스터에 기입되어 있는 데이터의 소거동작을 행하지 않고, 원하는 축적 트랜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축적 트랜지스터가 공유하고 있고 부하용량이 큰 웰영역에 전압을 인가하여 축적 트랜지스터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재기입동작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1)

  1. 강유전체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S형 트랜지스터, 강유전체막과 유전체막의 적층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IS형 트랜지스터, 또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위에 강유전체 콘덴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MFMIS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가 축적되는 축적 트랜지스터와,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축적 트랜지스터를 선택하는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적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과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에 DC 전압을 공급하는 제 1 전압공급선과,
    상기 제 1 전압공급선에 대하여 독립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DC 전압을 공급하는 제 2 전압공급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은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트랜지스터는 상기 MFMIS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절연막의 두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트랜지스터는 상기 MFMIS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는 LDD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저농도 불순물층의 길이는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저농도 불순물층의 길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트랜지스터는 상기 MFMIS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게이트길이는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게이트길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반도체기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는 동일의 반도체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회로에 공급되는 구동용 전압과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공급되는 DC전압은 동일의 전압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7. 제 1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은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
  8. 강유전체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S형 트랜지스터, 강유전체막과 유전체막의 적층막의 위에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MFIS형 트랜지스터, 또는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위에 강유전체 콘덴서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MFMIS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데이터가 축적되는 축적 트랜지스터와,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상기 적층 트랜지스터를 선택하는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축적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상기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에 제 1 DC전압을 인가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게이트에 상기 제 1 DC전압에 대하여 양 또는 음의 극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DC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축적 트랜지스터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장치의 구동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은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내압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에 공급되는 구동용전압과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에 공급되는 DC전압은 동일의 전압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
  11. 제 8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1 웰영역과 상기 제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의 제 2 웰영역은 서로 다른 도전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10036841A 2000-06-27 2001-06-27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20000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2467A JP2002016232A (ja) 2000-06-27 2000-06-27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0-192467 2000-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839A true KR20020000839A (ko) 2002-01-05

Family

ID=1869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841A KR20020000839A (ko) 2000-06-27 2001-06-27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49185B2 (ko)
JP (1) JP2002016232A (ko)
KR (1) KR20020000839A (ko)
TW (1) TW4921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0849A (ja) * 2002-06-28 2004-01-29 Fujitsu Ltd データの一部書き換え機能を有する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
TW586184B (en) * 2003-01-20 2004-05-01 Univ Nat Chiao Tung Ferroelectric memory structures and their fabrications
KR100689842B1 (ko) * 2006-01-06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유전체막을 정보저장요소로 채택하는 플래시 메모리소자들 및 그 제조방법들
JP2010079941A (ja) * 2008-09-24 2010-04-0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半導体不揮発記憶装置
US11322519B2 (en) * 2020-05-28 2022-05-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6411A (ja) * 1992-01-27 1993-08-13 Rohm Co Ltd 不揮発性記憶素子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不揮発性記憶装置、ならびに不揮発性記憶装置の駆動方法
JPH06196647A (ja) * 1992-12-24 1994-07-15 Sharp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970018541A (ko) * 1995-09-28 1997-04-30 김광호 강유전체 랜덤 엑세스 메모리 및 그 구동방법
JP2001024163A (ja) * 1999-07-13 2001-01-26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
JP2001102465A (ja) * 1999-09-30 2001-04-13 Rohm Co Ltd 不揮発性メモ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0765B2 (ja) 1992-03-03 2002-04-02 ローム株式会社 不揮発性記憶素子
JP2953316B2 (ja) * 1994-08-12 1999-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強誘電体メモリ
JP3190011B2 (ja) * 1997-05-23 2001-07-16 ローム株式会社 強誘電体記憶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43294B1 (ko) * 1997-06-09 2000-02-01 윤종용 반도체장치의 강유전체 메모리 셀 및 어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6411A (ja) * 1992-01-27 1993-08-13 Rohm Co Ltd 不揮発性記憶素子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不揮発性記憶装置、ならびに不揮発性記憶装置の駆動方法
JPH06196647A (ja) * 1992-12-24 1994-07-15 Sharp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970018541A (ko) * 1995-09-28 1997-04-30 김광호 강유전체 랜덤 엑세스 메모리 및 그 구동방법
JP2001024163A (ja) * 1999-07-13 2001-01-26 Toshiba Corp 半導体メモリ
JP2001102465A (ja) * 1999-09-30 2001-04-13 Rohm Co Ltd 不揮発性メモ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2180B (en) 2002-06-21
US6449185B2 (en) 2002-09-10
JP2002016232A (ja) 2002-01-18
US20020001220A1 (en) 200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182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utilizing a ferroelectric film
JP4775849B2 (ja) 半導体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データ書込み方法、データ読出し方法、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881106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5416735A (en)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with ferroelectric capacitor
US7123503B2 (en) Writing to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US6888747B2 (en) Methods of reading junction-isolated depletion mode ferroelectric memory devices
KR100406536B1 (ko) 산소확산방지막으로서 알루미늄 산화막을 구비하는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167386B2 (en) Ferroelectric memory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7629635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driving method for the same
US6191441B1 (en)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its drive method
US6352864B1 (en) Single transistor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mory circuit composed of single transistors cell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415509B1 (ko) 메모리 소자, 그 제조 방법 및 동작 방법
KR100279299B1 (ko)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40038893A (ko) 강유전체형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KR20020000839A (ko)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6771530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6205048B1 (en) Single transistor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mory circuit composed of single transistor cell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1043694A (ja) 半導体記憶素子
US6753560B2 (en)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3360471B2 (ja) 強誘電体記憶装置
KR100624472B1 (ko) 강유전체 기억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0269444A (ja) 誘電体メモリ装置
JPH09134974A (ja) 強誘電体メモリ装置
JP2003109376A (ja) 半導体メモリ素子
KR20000014807A (ko) 이중 박막 트랜지스터 비파괴 읽기 강유전체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그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