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544A -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544A
KR20020000544A KR1020017010846A KR20017010846A KR20020000544A KR 20020000544 A KR20020000544 A KR 20020000544A KR 1020017010846 A KR1020017010846 A KR 1020017010846A KR 20017010846 A KR20017010846 A KR 20017010846A KR 20020000544 A KR20020000544 A KR 2002000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capsule
contents
content
melting point
choco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3346B1 (ko
Inventor
쇼다이히데카즈
나가후지노보루
도요다도시타다
오카다유카
Original Assignee
요시히코 시오노
시오노기 앤드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히코 시오노, 시오노기 앤드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요시히코 시오노
Publication of KR2002000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3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ocoa or cocoa products
    • A23G1/042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 cream, paste, granule, shred or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5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an inedible support
    • A23G1/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laminat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05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내용물이 제피에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내용물이 실온에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인 소프트 캡슐제를 제공한다.
상기 소프트 캡슐제는 츄잉형 캡슐제일 수 있으며, 그 내용물은 저융점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저융점 첨가제의 함유량은, 내용물의 전체 중량 당 10%이상일 수 있으며, 그 융점은 약 20∼50℃일 수 있다. 저융점 첨가제는, 쵸코렛 기제, 돼지 기름, 야자유, 및 마크로골(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CHEWABLE SOFT CAPSULES HAVING IMPROVED ADMINISTRATION PROPERTI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최근, 의약제제의 복용성 및 휴대성등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물없이도 쉽게 복용할 수 있는 츄잉형 캡슐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물없이도 쉽게 복용할 수 있는 츄잉형 캡슐제는, 특히 소아 또는 고령자를 위한 속용성(速溶性)의 제제로서 유용하다.
츄잉형 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하나로서 소프트 캡슐제가 있다. 씹기에 적합하도록 소프트 캡슐제의 제피를 부드럽게 하는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제피 조성중 진한 글리세린, 글리세린, 및 D-솔비톨등의 가소제의 배합비를 증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10-273436호 공보, WO87/01034호 등을 참조). 그러나, 종래의 소프트 캡슐제의 내용물로서는 유성용액이나 현탁액, 또는 수성이나 알코올성 용액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소프트 캡슐제의 제피와 불균일하다. 그 때문에, 씹을 경우에 제피의 위화감, 및 내용물의 유성기제에 연유한 기름기가 남기 쉽다. 약제는 대부분의 경우에 특유의 쓴 맛등의 불쾌한 느낌이 있다. 종래의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에서는, 약제를 포함하는 내용물이 용액 또는 현탁액이기 때문에, 내용물이 구강내에서 순식간에 퍼지고, 복용과 동시에 약제의 쓴 맛을 느끼게 된다. 이로인해, 소프트 캡슐제의 복용감을 더욱 저하시키게 된다.
정제의 경우, 복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로서 구강내에서 빨리 붕괴되도록 유지류를 함유하는 과립을 이용한 성형방법이 보고된바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8-33324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소프트 캡슐제에 있어서 상술한 관점에서 복용감을 개선시킨 예는 알려져 있지 않다.
식품 분야에서도 최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손쉽게 영양분을 보급할 수 있는 츄잉형 캡슐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복용감이 뛰어난 소프트 캡슐제는 의약품에 한하지 않고 식품등의 적용에도 유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는, 제피의 위화감 및 약제의 쓴 맛등의 이유에서, 복용감에 있어서 그다지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들 과제의 해결을 꾀하기 위한 것이다.
본발명은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이 실온에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인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의 제조의 일예를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에이징 온도에 의한 캡슐 내용물 및 카카오 기름의 경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경도(kgs)를, 가로축은 에이징 온도(℃)를 나타낸다.
검은색 삼각형은 캡슐 내용물의 결과를, 검은색 마름모형은 카카오 기름 단독으로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에이징 시간에 의한 캡슐 내용물 및 카카오 기름의 경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경도(kgs)를, 가로축은 35℃에서의 에이징 시간(h)을 나타낸다. 흑삼각형은 캡슐 내용물의 결과를, 흑마름모형은 카카오 기름 단독으로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에이징을 수반하고, 또는 수반하지 않고서 제조한 소프트 캡슐제에 관한 미각 시험 및 사용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5단계 평가에 의한 각 항목의, 5명의 지원자에 의한 판정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좌측의 4개의 칼럼(개량전)은 에이징 없을때의 결과를, 우측의 4개의 칼럼(개량품)은 에이징 있을때의 결과를 나타낸다. 각각 좌측에서부터 제피의 위화감, 내용물의 쓴 맛, 전체의 복용감, 및 사용성의 평가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소프트 캡슐제를 그 내용물이 실온에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이 되도록 처방함으로써, 씹었을 때 제피와 내용물이 균일화되어 제피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소프트 캡슐제의 내용물로서 저융점의 첨가제가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카카오 분말,비터(bitter) 쵸코렛, 카카오 기름등의 쵸코렛 기제를 적절한 배합비로 처방함으로써, 물없이도 구강내에서 쉽게 씹을 수 있는 제제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들 연구를 토대로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제피에 충전되어 이루어지며, 내용물이 실온에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인 소프트 캡슐제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츄잉형 캡슐제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이 저융점 첨가제를 함유한다.
저융점 첨가제의 함유량은, 내용물의 전체 중량당 10%이상, 바람직하게는 3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일 수 있다. 또한, 저융점 첨가제의 융점은 약 20∼50℃일 수 있다.
상기 저융점 첨가제는, 쵸코렛 기제, 돼지 기름, 야자유, 및 마크로골(macrogol)(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것은 쵸코렛 기제이며, 카카오 분말, 비터 쵸코렛, 카카오 기름,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카오 기름은 주요량인 V형 결정 및 소량의 VI형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이 더욱이 감미제를 함유한다. 감미제는 아스파르테임(aspartame), 글리시리친산 2나트륨(disodium glycyrrhizinate), 사카린 나트륨, 스테비아(stevia), 및 소마틴(thaumatin),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이 저융점 첨가제인 쵸코렛 기제로서 카카오 기름을 포함하며, 감미제로서 아스파르테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이 감미제에 더하여 당류를 함유한다. 당류는 슈크로오스, D-만니톨, 크실리톨(cxyl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D-솔비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및 말티톨(maltitol),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이 감미제에 더하여 향료를 함유한다. 향료는 쵸코렛 맛 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제피가 다음 성분(A) 및 (B)를 함유한다: (A) 젤라틴; 및 (B)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합계 100∼600 중량부의 가소제로서, (bl)∼(b3)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bl) 글리세린, (b2) 슈크로오스, 과당,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D-솔비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말티톨, 슈크로오스 알콜 및 이성화당,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당류 가소제, 및 (b3)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글리콜. (B)의 가소제는, (bl) 글리세린을 함유할 수 있다. 제피는 (A) 및 (B)에 더하여 더욱이, (C)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5∼100 중량부의 수불용성 셀룰로오스를 함유할 수 있다.
일실시예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제피가 (A) 및 (B)에 더하여 더욱이, (D) 감미료를 함유한다. (D)의 감미료는 사카린 나트륨, 스테비아, 및 소마틴,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이 약제를 함유한다. 약제의 함유량은 내용물의 전 중량 당 60% 이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의 약제는 해열 진통 약 성분, 비염약 성분, 기침가래 제거약 성분, 및 비타민 성분,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이 식품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된 소프트 캡슐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내용물을 제피에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방법은, 내용물이 저융점 첨가제인 쵸코렛 기제로서 카카오 기름을 포함하고, 제피에 충전된 내용물을 30∼40℃의 온도로 에이징하는 공정을 더욱이 포함한다. 에이징은 10시간 이상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기재한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약제 또는 식품등을 함유하는 내용물이 제피에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내용물이 실온에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인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실온」은 약 1∼30℃를 말한다.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은, 내용물이 실온에서 실질적으로 유동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내용물은 분말일 수도 있지만, 일체화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프트 캡슐제의 내용물이 고체형 또는 반고체형상이기 때문에, 씹었을 때 내용물과 제피가 구강내에서 섞이게 된다. 그 때문에, 제피 특유의 위화감이 경감되고, 유성기제의 기름기도 없고, 복용감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내용물이 실온에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인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신규이며, 그 사용 형태에 관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츄잉형 캡슐제이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이 저융점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저융점 첨가제를 적절한 량으로 첨가함으로써, 내용물 전체가 과도한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해된다. 따라서, 약제 및 식품등 내용물 성분의 변성 혹은 분해, 또는 캡슐의 접착불량 등이 생기는 일없이, 쉽게 소프트 캡슐제를 제조할 수 있다.
저융점 첨가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용물의 전체 중량 당, 대표적으로는 10%이상, 바람직하게는 2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저융점 첨가제는, 그것을 포함하는 내용물의 기제 전체의 용해온도를 실온보다 높게, 대표적으로는 약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6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하로 조절할 수 있는 첨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기제」는 예를 들어, 약제를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에 관해서는 약제 이외의 내용물을, 식품을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에 관해서는 식품 이외의 내용물의 각 성분을 말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저융점 첨가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거나 또는 식품용으로서 적절한 임의의 첨가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융점 첨가제의 융점은 대표적으로는 약 20∼50℃, 바람직하게는 약 25∼4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4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저융점 첨가제의 예로서, 쵸코렛 기제, 돼지 기름, 야자유, 및 마크로골(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임의의 조합을 들수있다. 특히, 마크로골을 이용하면 난용성 약물의 용해성 및 용출성의 개선, 난흡수성 약물의 흡수성의 개선이 가능하다. 이들 첨가제는 시판되어 있거나, 또는 공지의 조제방법에 의해 쉽게 입수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마크로골의 예로서, 마크로골 600, 마크로골 1000, 마크로골 1500, 및 마크로골 1540이 있다.
쵸코렛 기제란 쵸코렛의 원료가 될 수 있는 공지의 재료 및 그 조합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쵸코렛 기제로서, 카카오 분말, 비터 초코렛, 및 카카오 기름, 및 그 조합을 들수있다. 카카오 분말, 비터 쵸코렛, 및 카카오 기름은 모두가 의약품 첨가물로서 공지된 바이다.
쵸코렛 기제를 적절하게 내용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캡슐제의 외관을 유지하고, 또한 물없이도 구강내에서 쉽게 씹을 수 있는 쵸코렛 풍미의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약제 및 식품등의 불쾌한 맛도 가려진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또한, 내용물이 약학적으로 허용되거나 또는 식품용으로서 적절한 임의의 감미성분(본명세서에서「감미제」라 함)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감미제의 예로서, 아스파르테임, 글리시리친산 나트륨, 사카린 나트륨, 스테비아 및 소마틴, 및 그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편의상, 후술한 내용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당류는 감미제의 정의에서 제외한다.
감미제를 적정하게 내용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약제 및 식품의 쓴 맛등의 불쾌한 맛을 더욱 억제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쵸코렛 기제로서의 카카오 기름을 감미제로서의 아스파르테임과 조합시킴으로써, 아스파르테임을 안정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따라서, 내용물이 쵸코렛 기제로서 카카오 기름을 포함하고, 감미제로서 아스파르테임을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상기한 안정화 효과는, 특히 카카오 기름의 배합비를, 내용물의 전체 중량 당 대표적으로는 약 5%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0%∼50%가 되도록, 또는 아스파르테임의 1 중량부 당, 대표적으로는 약 3∼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3∼12 중량부가 되도록 처방했을 때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또한, 내용물이, 감미제에 더하여 더욱이 약학적으로 허용되거나 또는 식품용으로서 적절한 임의의 당류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당류의 예로서, 슈크로오스,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D-솔비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및 말티톨, 및 그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당알콜류는 일반적으로 약물 및 식품에 대하여 안정적인 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당류의 예이다. 또한, 편의상 상술한 스테비아와 같은 감미를 나타내는 배당체류는 당류의 정의에서 제외한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또한, 내용물이, 감미제에 더하여 더욱이 약학적으로 허용되거나 또는 식품용으로서 적절한 임의의 향료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향료의 예로서, 쵸코렛 맛, 페퍼민트 맛, 및 바닐라 맛, 및 그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감미제에 더하여, 당류 및/또는 향료를 적당하게 내용물에 함유시킴으로써, 복용감이 한층 개선된 소프트 캡슐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대표적으로는 내용물이 약제 또는 식품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에 있어서, 약제의 함유량은 내용물의 전체 중량당 대표적으로는 60%이하, 바람직하게는 5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이하, 더욱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제의 처방량을 낮게 규제함으로써, 약제의 불쾌한 맛이 특히 경감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에 쓰이는 약제의 한정적이지 않은 예로서는, 해열진통약 성분, 비염약 성분, 기침가래 제거약 성분, 및 비타민 성분, 및 그 조합을 들 수 있다. 해열 진통약 성분의 예로서,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에텐자미드, 살리실아미드(salicylamide), 락틸페네티딘(lactylphenetidine) 등; 비염약 성분의 예로서, 염산 페닐프로판올아민, d-말레인산 클로르페니라민, 글리시리친산2칼륨, 벨라도나 잎 알칼로이드 등; 기침가래약 성분의 예로서, 브롬화 수소산 덱스트로메토르판(dextromethorphan nydro bromide), 인산 코데인, 염산 메톡시페나민, 마오우(ephedra herb), 감초(glycyrrhiza) 등; 그리고, 비타민 성분의 예로서, 비타민 B류, 비타민 C등의 수용성 비타민, 및 비타민 A, 비타민 D등의 지용성 비타민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쾌한 맛, 특히 쓴 맛을 나타내는 약제를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제에 관해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에 있어서, 식품의 함유량은 내용물의 전체 중량 당 대표적으로는 80%이하, 바람직하게는 7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이하, 더욱이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에 쓰이는 식품의 한정적이지 않은 예로서는, 임의의 단백질, 펩티드, 지질(스테로이드, 카로테노이드, 및 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함), 및 당질, 및 그 유도체; 임의의 식용 가능한 식물, 동물, 균류, 진균류등의 건조분말 및 추출물; 및 그 조합을 들 수 있다.
단백질의 예로서, 효소, 항체, 콜라겐등이 있다. 효소의 예로서, 펩신, 트립신,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리보누클레아제등이 있다.
펩티드의 예로서, 대사 조절성 펩티드, 항균성 펩티드, 항바이러스성 펩티드, 항종양성 펩티드등이 있다.
지질의 예로서, 도코사헥사엔산(DHA), 에이코사펜타엔산(EPA)등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등이 있다.
스테로이드의 예로서, 콜레스테롤, 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 사포게닌, 디지톡신(digitoxin)등이 있다.
카로테노이드의 예로서, 리코펜, β-카로텐, 루테인 등이 있다.
당질의 예로서, 올리고당(예를들어, 락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말토오스), 다당(전분, 전분 가수분해물, 콘드로이틴 황산, 히알루론산)이 있다.
식용 가능한 식물의 예로서, 야채, 과채 및 과일로서 이용되는 식물(예를 들어, 피망, 당근, 토마토, 수박, 메론, 사과, 곤약, 블루베리등), 약초로서 이용되는 식물(예를 들어, 고려 인삼, 은행나무, 톱야자(serenoa repens), 나한과(momordicae grosvenori), 갈시니아(Garcinia cambogia)등)이 있다.
식용 가능한 동물의 예로서, 포유동물, 조류, 파충류, 절지동물, 어류등이 있다. 포유동물의 예로서 돼지, 소등이 있고, 조류의 예로서 닭등이 있다. 파충류의 예로서 자라, 거북, 뱀등이 있고, 절족동물의 예로서 지네, 노래기등이 있으며, 어류의 예로서 뱀장어등이 있다.
균류의 예로서, 비피더스균등이 있다.
진균류의 예로서, 효모, 버섯등이 있다. 버섯의 예로서는, 말굽버섯, 동충하초, 아가리쿠스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쾌한 맛을 나타내는 식품, 예를 들면,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영양 보조 식품등을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제에 대해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쵸코렛 기제의 풍미를 갖고, 특유의 씹는 느낌을 준다, 소프트 캡슐형의 기호성 식품으로서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제피가 다음 성분 (A) 및 (B) : (A) 젤라틴; 및 (B)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합계 100∼600 중량부의 가소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 가소제는, 대표적으로는 다음의 (bl)∼(b3)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다: (bl) 글리세린, (b2) 슈크로오스, 과당,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D-솔비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말티톨, 슈크로오스 알콜 및 이성화당,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당류(본 명세서에서「당류 가소제」라 함), 및 (b3)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글리콜.
본 발명에 있어서「젤라틴」은, 젤라틴, 산성 젤라틴, 알칼리성 젤라틴, 펩티드 젤라틴, 저분자 젤라틴, 젤라틴의 유도체(예를 들어, 호박화 젤라틴)등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피의 (A)성분으로서, 이들 젤라틴을 단독 또는 조합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제피의 (B)성분의 가소제로서는, (b1) 글리세린, (b2) 당류 가소제 및 (b3) 글리콜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소제 성분으로서 적어도 (bl)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성형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bl) 글리세린과 다른 가소제 성분인 (b2) 당류 가소제 및 (b3) 글리콜의 적어도 1종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피중의 가소제의 배합량은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 전량으로서 100∼6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100 중량부 미만에서는 캡슐이 딱딱해지고, 또한 600 중량부를 넘으면 부드러워지기는 하지만 성형이 곤란해 지기 쉽다.
(B)성분으로서 (bl) 글리세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A) 성분의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100∼300 중량부, 특히 120∼2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b2) 당류 가소제로서는 슈크로오스, 과당,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D-솔비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말티톨, 슈크로오스 알콜 및 이성화당, 및 그 조합에서 선택되는 것이 사용된다. 씹을때의 단맛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D-솔비톨, 슈크로오스 및 만니톨이 바람직하다. 고농도에 첨가했을 때의 부착성이 낮은 점에서, D-솔비톨 및 만니톨이 바람직하다.
(b1) 글리세린에 (b2) 당류 가소제를 병용하면 젤라틴과의 상용성이 뛰어나고, 또한 제피에 있어서의 가소제 농도를 높일 수 있다. 글리세린과 당류 가소제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글리세린을 50∼300중량부, 특히 50∼250 중량부 배합하고, 그리고 당류 가소제를 30∼300중량부, 특히 50∼150 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b3) 글리콜으로서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에서 선택되는 것이 사용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으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 400∼4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글리콜은 흡습성이 강하고, 성형후의 취급이 곤란해지기 쉬우므로, 첨가량은 그다지 과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bl) 글리세린과 (b3) 글리콜을 병용하면 대단히 소프트한 젤라틴 제피가 얻어진다. 글리세린과 프로필렌 글리콜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글리세린을 40∼200 중량부, 특히 50∼120 중량부 배합하고, 그리고 프로필렌 글리콜을 20∼300 중량부, 특히 40∼100 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과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을 50∼100 중량부, 특히 60∼80 중량부 배합하고, 그리고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40∼200 중량부, 특히 50∼100 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l) 글리세린, (b2) 당류 및 (b3) 글리콜류의 3자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 50∼200 중량부, 특히 60∼150 중량부, 당류를 30∼130 중량부, 특히 40∼80 중량부, 글리콜류를 20∼120 중량부, 특히 50∼100 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또한, 제피가 (A)성분의 젤라틴 및 (B)성분의 가소제에 더하여, (C)성분으로서 수불용성 셀룰로오스를 함유할 수 있다. 수불용성 셀룰로오스의 예로서는, 결정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전분류, 및 그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소프트 캡슐제끼리의 부착 방지라는 이유에서 특히 결정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셀룰로오스의 배합량은 젤라틴 100중량부에 대해, 5∼100 중량부, 특히 25∼7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수불용성 셀룰로오스의 배합량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미만에서는, 캡슐 부착의 억제가 충분하지 않고, 보존시에 캡슐끼리, 또는 캡슐과 용기가 부착되고, 또한 입안에서의 부착감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수불용성 셀룰로오스류의 배합량이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100 중량부를 넘으면 성형이 곤란해 지기 쉽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제피에 있어서, (D)성분으로서 임의의 감미성분(본 명세서에서「감미료」라 함)을 더욱이 함유할 수 있다. 감미료는 약학적으로 허용되거나 또는 식품용으로서 적절하며, 또한 소프트 캡슐제의 제조에 적합한 한 임의의 감미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한 감미료의 예로서, 사카린 나트륨, 스테비아, 소마틴, 및 그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감미료를 적당히 제피에 첨가함으로써, 물없이 복용하더라도 구강내에서 매우 쉽게 씹기 가능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의 제피중에는, 상기(A)∼(D)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착색제, 방부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방향제, 교미제(flavorcorrective), 교취제(smell corrective) 등을 배합할 수가 있다. 또한, 복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내용물과 제피와의 중량비는 대표적으로는 약 1:1∼약 4:1, 바람직하게는 약 3:2∼약3:1이며, 캡슐의 사이즈는 3∼20호, 바람직하게는 5∼15호이다.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내용물을 제피에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적절한 임의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내용물의 제피로의 충전에는, 종래의 소프트 캡슐제의 제조 분야에서 공지의 장치 및 순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마다, 월간 약사, 28권 4호 713∼717페이지(1986년)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의 제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우선, 쵸코렛 기제(또는 다른 저융점 첨가제)를 가열 용해시킨다. 이 용해물에, 가열을 계속한 상태에서, 약물(또는 식품), 감미제 및 당류의 혼합물과 필요에 따라 향료를 가하여, 균일한 현탁물로서의 내용물을 얻는다.
별도로, 젤라틴 및 가소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피 원료를 혼합하고 가열 용해시킨다. 상기 제피에, 가열에 의해 유동성을 유지한 상태의 내용물을 적절한 충전기(예를 들면, 로터리식 자동 성형기)를 사용해 충전하여 성형한 후, 필요에 따라 적정온도에 조절된 건조실에서 건조함으로써, 목적하는 소프트 캡슐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건조공정을 원하는 온도에서 일정시간 이상 계속함으로써, 내용물을 에이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에이징」은, 원하는 온도에서 일정시간 이상 유지함으로써, 내용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내용물중에 쵸코렛 기제, 특히 카카오 기름이 포함되는 경우, 에이징을 행함으로써 쵸코렛 기제에 포함되는 카카오 기름의 결정형을 제어할 수 있다.
카카오 기름에는 결정 다형이 존재하고, 융액 카카오 기름을 천천히 냉각하면, 안정형의 V형 및 VI 형의 결정이 석출되고, 경도가 높아진다. VI형 결정은 V형 결정보다도 경도가 높지만, 조대화되기 쉬워, 복용성(입에서 녹음)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고 생각되어 왔다(벌집, New Food Industry, 31(9), 65∼74 (1989) ; 및 벌집, 유지, 42, 50∼58 (1989)).
본 발명자들은, 카카오 기름을 저융점 첨가제로 하는 소프트 캡슐제의 제조에 있어서, 경도를 적절히 높이고 복용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적절량의 VI형 결정을 석출시키도록 에이징을 행함으로써, 제피와 내용물과의 일체감이 더욱 향상된 소프트 캡슐제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원하는 경도를 달성하기 위한 에이징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20∼40℃, 바람직하게는 25∼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2∼38℃,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5℃일 수 있다. 에이징을 행하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5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시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시간 이상이다. 에이징 시간의 상한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일정 시간을 넘으면 그 이상 계속해도 효과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내용물에 저융점 첨가제로서 함유되는 카카오 기름은, 주요량인 V형 결정 및 소량의 VI형 결정을 포함한다. 여기서,「주요량」은 X선 회절에 의해 관측될 수 있는 카카오 기름의 결정중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결정형의 량을 말한다.「소량」이란, 그 결정의 존재량이 주요량보다도 상대적으로 적지만, X선 회절에 의해 관측될 수 있는 하한 이상의 량을 말한다.
에이징에 의한 결정형의 제어는, 소량의 카카오 기름을 포함하는 비터 쵸코렛를 저융점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카카오 기름 이외의, 결정 다형을 나타내는 저융점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소프트 캡슐제는 의약품, 제제, 및 과자, 건강식품의 여러 가지 식품으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더욱이 개시하기 위한 구체예를 나타낸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소프트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프트 캡슐제는 모두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했다.
내용물은 쵸코렛 기제(또는 그 대체물)를 약 40℃에서 용해하고, 게다가 약물, 당류, 감미제, 및 필요에 따라 향료를 약 40℃의 가열을 유지한 채로 현탁시켜 조제한다. 제피는, 젤라틴, 가소제, 및 필요에 따라 감미료를 약 60℃에서 용해하여 조제한다. 로터리식 자동 성형기(LEINER & SONS사 제조)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제피에 충전하여 성형한 후, 20∼35℃의 건조실(습도 약10∼30%)에서 건조함으로써 소프트 캡슐제를 제조한다.
(미각시험의 평가방법)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프트 캡슐제의 미각시험은 모두가 다음과 같이 행해졌다:
5명의 지원자를 대조하여, 첫번째의 검체(檢體)를 물없이 복용하고 그 미각을 평가한다. 복용 4시간후, 두번째의 검체를 마찬가지로 복용하여 평가한다. 세번째, 네번째의 검체가 있는 경우는, 다음날, 그들 검체를 각각 4시간의 간격을 두고 물없이 복용하고 평가한다. 5번째의 검체가 있는 경우는, 그 다음날, 그 검체를 물없이 복용하고 평가한다. (이하의 표 중에 나타난 검체를, 우측에서 좌측을 향해 순차로 첫번째, 두번째, ···라 부른다. ) 검체의 미각은, 이하의 표 1에 나타난 판정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판정기준(5단계)
판정항목 단계 판정기준
제피의 위화감내용물의 쓴맛 12345 있음약간 있음어느쪽도 아님거의 느낄 수 없음없음
전체의 복용감 12345 나쁨약간 나쁨보통좋음매우 좋음
(제조예1∼5: 기제의 검토)
표 2에 나타낸 각 처방의 내용물을 캡슐화 하지 않고 상기 방법으로 제조했다.
내용물 처방(mg) 비교예1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아세트아미노펜비터쵸코렛카카오 분말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카카오 기름크실리톨 60 60 60- - -- - -170 - 85- 170 8560 60 60 60 60 6050 - 25- 50 25- - -120 120 12060 60 60
290 290 290 290 290 290
미각시험의 결과를 5명의 지원자의 평균치로서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1 및 제조예1∼2와 제조예3∼5는 따로따로 평가했다.
미각시험의항목 평균비교예1 제조예1 제조예2
내용물의 쓴맛전체의 복용감 1.0 2.6 1.41.2 2,8 1.8
미각시험의항목 평균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내용물의 쓴맛전체의 복용감 3.2 3.6 3.43.6 3,0 3.0
종래 처방인 유성 기제(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를 이용한 비교예 1은, 복용하면 순간적으로 약물의 쓴맛, 유성 기제 특유의 기름기가 느껴져, 복용감이 매우 나빴다. 유성기제와 카카오 기름을 같은량 첨가한 제조예 2에서는, 내용물은 반고체형상이 되고, 복용감이 약간 개선되었다. 쵸코렛 기제인 카카오 기름만을 첨가한 제조예 1은, 고체형상이 되고, 복용시의 쓴맛, 기름기를 별로 느끼지 않았다.
상기에서 복용감이 좋았던 제조예 1의 처방에 근거해, 쵸코렛 기제중에서도 쓴맛이 있는 비터 쵸코렛 및/또는 카카오 분말을 이용해 보니, 약물의 쓴맛이 많이 억제되고, 복용감이 향상되었다(제조예 3∼5). 그 중에서도, 비터 쵸코렛을 단독으로 이용한 제조예 3이 가장 좋았다.
(제조예 6∼13: 감미제 및 향료의 검토)
표 4에 나타낸 각처방의 내용물을 상기 제조예 1 등과 마찬가지로 제조했다.
내용물 처방(mg) 제조예6 제조예7 제조예8 제조예9 제조예10 제조예11제조예12제조예13
아세트아미노펜비터쵸코렛카카오 기름크실리톨아스파르테임사카린나트륨소마틴글리시리친산2칼륨스테비아쵸코렛맛페퍼민트맛바닐라맛 60 60 60 60 6050 50 50 50 50120 120 120 120 12060 60 60 60 6010 - - - -- 3 - - -- - 1 - -- - - 5 -- - - - 14- - - - -- - - - -- - - - - 60 60 6050 50 50120 120 12060 60 6010 10 10- - -- - -- - -- - -0.3 - -- 0.3 -- - 0.3
300 293 291 295 304 300.3 300.3 300.3
미각시험의 결과를, 5명의 지원자의 평균치로서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제조예 6∼10과, 제조예11∼13은 따로따로 평가했다.
미각시험의항목 평균제조예6 제조예7 제조예8 제조예9 제조예10
내용물의 쓴맛전체의 복용감 4.0 3.0 3.4 3.4 3.44.4 3.6 3.6 3.4 4.0
미각시험의항목 평균제조예11 제조예12 제조예13
내용물의 쓴맛전체의 복용감 4.6 4.4 3.84.8 4.0 4.2
복용감이 좋던 상기 제조예 3의 처방을 기초로, 감미제로서 아스파르테임, 사카린 나트륨, 소마틴, 글리시리친산2칼륨, 스테비아를 이용했더니, 더욱이 약품의 쓴맛이 억제되고, 복용감이 향상됐다. 그중에서도 아스파르테임을 이용한 제조예6이 가장 좋았다. 제조예 6의 처방을 기초로, 향료로서 쵸코렛맛, 페퍼민트맛, 바닐라맛을 이용했더니, 더욱이 약품의 쓴맛이 억제되고, 복용감도 향상됐다. 그중에서도 쵸코렛 맛을 이용한 제조예 11이 가장 좋았다.
(제조예 l4∼18: 약제함량의 검토)
표 6에 나타낸 각 처방의 내용물을 상기 제조예 1등과 마찬가지로 제조했다.
내용물 처방(mg) 제조예14 제조예15 제조예16 제조예17 제조예18
아세트아미노펜비터쵸코렛카카오 기름아스파르테임 60 103 160 240 36050 50 50 50 50180 180 180 180 18010 10 10 10 10
300 343 400 480 600
주요약제 농도(%) 20.0 30.0 40.0 50.0 60.0
상기와 마찬가지로, 5명의 지원자를 이용하여 미각시험을 했다. (결과는 나타내지 않는다.)
약품의 쓴 맛이 비교적 강한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하여, 쓴 맛을 강하게 느끼는 것은 얼마만큼의 주요약제 농도인지를 검토한 바, 주요약제 농도가 50% (제조예 17)까지는 어느정도 쓴 맛을 억제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주요약제 농도가 20%(제조예 14)일 때는 쓴 맛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다.
(제조예 19∼24: 감미제로서의 아스파르테임의 안정성의 검토)
표 7에 나타낸 각 처방의 내용물을 상기 제조예 1 등과 마찬가지로 제조했다.
내용물처방(mg) 제조예19 제조예20 제조예21 제조예22 제조예23 제조예24
아세트아미노펜비터쵸코렛카카오 기름크실리톨아스파르테임(APT) 60 60 60 60 60 6010 50 80 110 140 370160 120 90 60 30 -60 60 60 60 60 6010 10 10 10 10 10
300 300 300 300 300 300
카카오 기름의 배합비(%) 53.3 40.0 30.0 20.0 10.0 0.0
APT의 초기값 45℃에 대한 잔존률 1개월(%) 93.1 96.9 98.2 98.3 97.6 91.0
제조예 20로서, 상기 제조예 6을 다시 조제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시험(45℃, 1개월)을 했다.
또한, 카카오 기름의 배합비를 바꾸어 마찬가지로 검토했다. 카카오 기름의 배합비가 내용물 중량의 10% 이상에서는, 아스파르테임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카카오 기름의 배합비가 0%인 제조예 24의 경우에도, 아스파르테임의 초기값에 대한 잔존율을 약 91%까지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카카오 기름의 배합비가 10% 이상이면, 아스파르테임의 함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였다.
(제조예 25∼28: 내용물의 반고체형, 고체형의 구분)
표 8에 나타낸 각 처방의 내용물을 상기 제조예 1등과 마찬가지로 제조했다. 표준 온도(약 20℃)에서 내용물의 상태를 관찰했다.
내용물 처방(mg) 제조예25 제조예26 제조예27 제조예28
아세트아미노펜중쇄지방산트리글리세리드카카오 기름비터 쵸코렛크실리톨아스파르템 60 60- 60120 7850 3260 6010 10 60 6063 13576 2531 1060 6010 10
300 300 300 300
저융점 첨가제의 비율(%) 56.7 36.7 35.7 11.7
내용물의 상태 고체형 고체형 반고체형 반고체형
기제로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액상의 유성 기제를 병용한 경우이더라도, 내용물의 상태는 카카오 기름, 비터 쵸코렛 등과 같은 저융점 첨가제의 첨가량이 내용물 전체의 약 10%∼약 36% 정도에서는 반고체형상이며, 약 36% 이상에서는 완전한 고체형상이 되었다.
(실시예1∼3: 소프트 캡슐제의 종합적 평가)
표 9에 나타낸 각 처방의 내용물 및 제피로부터 7.5호 타원형의 소프트 캡슐제를 제조했다. 또한, 실시예1∼7에 있어서는, 성형후의 건조 조건은 25℃, 습도20%, 64시간이었다.
처방(mg/1캡슐중)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아세트아미노펜중쇄지방산트리글리세리드카카오 기름비터 쵸코렛크실리톨아스파르템쵸코렛 맛 60 60 60 60170 - - -- 170 120 120- - 50 5060 60 60 6010 10 10 100.3 0.3 0.3 0.3
젤라틴진한 글리세린사카린 나트륨 70 70 70 7095 95 95 95- - - 2
465.3 465.3 465.3 467.3
미각시험의 결과를 5명의 지원자의 평균치로서 표 10에 나타낸다.
미각시험의항목 평균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제피의 위화감내용물의 쓴맛전체의 복용감 1.4 2.6 4.0 4.81.2 1.8 4.2 4.41.2 2.2 4.2 4.6
비교예 2에서는 내용물이 액상이기 때문에, 제피의 위화감도 있고 복용감이 아주 나빠지는 경향이 있었다. 내용물을 카카오 기름으로 바꿔 고체형상으로 한 실시예 1은 제피의 위화감이 경감되었지만, 약물의 쓴 맛이 약간 남고, 복용감이 약간 나빴다.
비터 쵸코렛을 첨가한 실시예 2에서는 쓴 맛도 억제되고 복용감이 꽤 향상됐다. 또한, 제피에 감미료를 첨가함으로써(실시예 3), 복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 판명됐다.
(실시예 4∼7: 비염약 처방의 종합적 평가)
표 11에 나타낸 각 처방의 내용물 및 제피로부터, 7. 5호 타원형의 소프트캡슐제를 제조했다.
처방(mg/1캡슐중)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염산페닐프로판올아민베라도나잎알칼로이드D-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글리시리친산디칼륨무수(無水)카페인 24.75 24.75 24.75 24.750.25 0.25 0.25 0.251.2 1.2 1.2 1.27.4 7.4 7.4 7.420.0 20.0 20.0 20.0
카카오 기름비터 쵸코렛크실리톨아스파르테임쵸코렛맛 250 175 125 125- 75 125 12560 60 60 6010 10 10 100.3 0.3 0.3 0.3
젤라틴진한 글리세린사카린 나트륨 90 90 90 90130 130 130 130- - - 2
593.9 593.9 593.9 595.9
미각시험의 결과를 5명의 자원자의 평균치로서 표 12에 나타낸다.
미각시험의항목 평균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제피의 위화감내용물의 쓴맛전체의 복용감 2.6 3.2 4.2 4.81.6 2.8 4.3 4.62.0 3.4 4.4 4.8
실시예 4는 내용물이 카카오 기름만이기 때문에, 제피의 위화감은 그다지 느껴지지 않지만, 약물의 쓴 맛이 약간 남고, 복용감이 다소 나빴다. 비터 쵸코렛을 첨가한 실시예 5 및 6에서는 쓴 맛도 억제되고, 복용감이 꽤 향상됐다. 그중에서도, 비터 쵸코렛의 첨가량을 증대시킨 실시예 6은 더욱 쓴 맛이 억제되고, 복용감도 향상됐다. 제피에 감미료를 첨가한 실시예 7에서는, 상기 실시예 3의 경우와 같이, 복용감이 더욱 향상하는 것이 판명됐다.
(사용성의 판단기준)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소프트 캡슐제의 사용성은 이하의 표 13에 나타내는 판단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사용성의 판단기준
판정항목 단계 판정기준
사용성PTP포장에서 짜내기 쉬운 정도 12345 나쁘다약간 나쁘다보통좋다매우 좋다
(실시예 8∼11: 불수용성 셀룰로오스 함유 처방의 종합평가)
(a) 해열진통약 처방
표 14에 나타내는 각 처방의 내용물 및 제피에서, 7. 5호 타원형의 소프트 캡슐제를 제조했다.
처방(mg/1캡슐중)
실시예8 실시예9 비교예3
아세트아미노펜 53.6 53.6 53.6
중쇄지방산트리글리세리드카카오 기름비터 쵸코렛카카오 분말크실리톨아스파르테임(ATP)쵸코렛 맛 - - 250150.0 175.0 -100.0 - -- 75.0 -80.0 80.0 80.015.0 15.0 15.00.4 0.4 0.4
호박화 젤라틴진한 글리세린결정 셀룰로오스산화 티탄적색 102호황색 5호청색 1호 70 70 7090 90 9025 25 250.34 0.34 0.340.55 0.55 0.550.14 0.14 0.140.02 0.02 0.02
585.05 585.05 585.05
미각시험 및 사용성 시험의 결과를 5명의 자원자의 평균치로서 표 15에 나타낸다.
미각시험 및사용성 시험의 항목 평균실시예8 실시예9 비교예3
제피의 위화감내용물의 쓴맛전체의 복용감사용성 4.8 4.8 1.44.4 4.6 1.64.6 4.6 1.24.6 4.6 1.2
비교예 3에서는 내용물이 액상이기 때문에, 제피의 위화감도 있고, 복용감이 아주 나빠지는 경향이 있었다. PTP (Press Through Pack) 포장에서 소프트 캡슐제를 빼내기가 곤란해지는 경향도 있었다.
기제를 카카오 기름으로 바꿔 비터 쵸코렛 또는 카카오 분말을 첨가하고, 내용물을 고체형상으로 한 실시예 8 및 9에서는, 제피의 위화감이 경감되고, 더욱이 쓴 맛도 억제되고, 복용감이 꽤 향상됐다. 제피에 수불용성 셀룰로오스의 일종인결정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실시예 8 및 9의 소프트 캡슐제에서는, 제피의 위화감은 거의 없고, 또한 유리병을 틀어막고, 40℃로 1개월간 보존하는 동안에 캡슐끼리의 부착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더욱이 내용물이 고체형인것으로부터, PTP 포장에서 소프트 캡슐제를 빼내기가 용이했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의 처방은, 제품으로서의 실용성에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b) 비염약 처방
표 16에 나타낸 각 처방의 내용물 및 제피에서, 7. 5호 타원형의 소프트 캡슐제를 제조했다.
처방(mg/1캡슐중)
실시예10 실시예11
염산페닐프로판올아민베라도나잎알칼로이드글리시리친산2칼륨무수카페인d-마레인산크롤페닐라민 24.75 24.750.25 0.257.4 7.420.0 20.01.2 1.2
카카오 기름비터 쵸코렛카카오 분말크실리톨아스파르테임(APT)쵸코렛 맛 150.0 175.0100.0 -- 75.080.0 80.015.0 15.00.4 0.4
호박화 젤라틴진한 글리세린결정 셀룰로오스산화 티탄적색 102호황색 5호청색 1호 70 7090 9025 250.34 0.340.55 0.550.14 0.140.02 0.02
585.05 585.05
미각시험 및 사용성 시험의 결과를 5명의 지원자의 평균치로서 표 17에 나타냈다.
미각시험 및사용성 시험의 항목 평균실시예8 실시예9
제피의 위화감내용물의 쓴맛전체의 복용감사용성 4.8 4.84.4 4.64.6 4.64.6 4.6
실시예 10 및 11의 비염약 처방에서도, 상기 실시예 8 및 9와 같이, 제피의 위화감이 경감되고, 더욱이 쓴 맛도 억제되고, 전체의 복용감도 대단히 양호했다. 사용성에 관한 평가도 높고, 제품으로서의 실용성이 우수함이 나타나 있다.
(제조예 29 및 30: 에이징의 검토)
(a) 에이징 온도의 검토
실시예 8과 같은 처방의 내용물(제조예 29)을 상기 제조예 1등과 같이 조제하여 용융한 후, 건조실에서 25℃, 30℃, 35℃, 37℃, 및 40℃에서 16시간 에이징 했다. 콘트롤으로서 카카오 기름 단독으로도 같은 조작을 했다. 에이징후에 냉각하고, 캡슐형으로 고체화시켰다. 고체화한 내용물 및 카카오 기름의 단형(단축방향)의 경도를 수동식 정제 경도계(Pfizer사 제조)에 의해서 측정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캡슐 내용물 및 카카오 기름 중 어느것이던지 간에 경도는 에이징 온도를 올리면 서서히 높아져, 35℃를 피크로 해서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캡슐 내용물의 경도변화와 카카오 기름 단독에서의 경도변화가 같은 패턴의 온도 의존성을 나타냄으로써, 캡슐 내용물의 경도 상승에는 카카오 기름의 물성이 지배적인 것이 밝혀졌다. 여기서, 35℃로 에이징한 카카오 기름은 X선 회절에 의해 V형 결정을 주체로 하고, 소량의 VI형 결정을 포함하고 있었다.
(b) 에이징 시간의 검토
실시예 8과 같은 처방의 내용물(제조예 30)을 상기 제조예 1등과 마찬가지로 조제하여 용융한 후, 건조실중 35℃에서 0시간, 2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및 64시간 에이징했다. 콘트롤로서 카카오 기름 단독으로도 같은 조작을 했다. 에이징 후에 냉각하고, 캡슐형으로 고화시켰다. 상기(a)와 같이 고화한 내용물 및 카카오 기름의 경도를 측정했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캡슐 내용물 및 카카오 기름 중 어느것이든 간에, 경도는 16시간까지는 에이징 시간이 길어질수록 서서히 높아지고, 16시간과 64시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35℃에서 16시간 이상 에이징을 하면 거의 최대의 경도가 얻어짐이 밝혀졌다.
(실시예 12: 에이징한 소프트 캡슐제의 종합 평가)
실시예 8과 같은 처방 내용물 및 제피로 소프트 캡슐제를 제조했다. 성형후, 35℃에서 16시간 에이징한 그룹(실시예 12)과, 에이징을 하지 않고 25℃에서 냉각한 그룹(실시예 13)으로 나누었다. 얻어진 소프트 캡슐제의 각각에 관해 미각시험 및 사용성 시험을 했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에이징을 행한 소프트 캡슐에서는, 에이징을 하지 않는 소프트 캡슐과 비교하여 제피의 위화감이 더욱 경감되고, 내용물의 쓴 맛이 더욱 억제되고, 전체의 복용감 및 사용성의 평가가 더욱 향상됐다. 따라서, 내용물이 카카오 기름을 함유하는 처방에 관해서는, 에이징을 함으로써 특히 양호한 소프트 캡슐제가 얻어짐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프트 캡슐제를, 그 내용물이 실온에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이 되도록 처방함으로써, 씹었을 때 제피와 내용물이 균일화되고, 제피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있다. 특히, 소프트 캡슐제의 내용물로서, 쵸코렛 기제등의 저융점의 첨가제를 적절히 처방함으로써, 물없이도 구강내에서 쉽게 씹을 수 있는 제제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는, 특히 소아 또는 고령자를 위한 속용성 의약제제 또는 식품용으로서 유용하다.
내용물을 고체형상으로 함으로써, 포장용기에서 꺼내기가 용이하고 사용감이 양호한 소프트 캡슐제를 얻을 수 있다. 제피에 수불용성 셀룰로오스를 함유시킴으로써, 보존시 등에 캡슐끼리 부착되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품으로서의 실용성이 뛰어난 소프트 캡슐제가 제공될 수 있다.
저융점 첨가제로서 쵸코렛 기제, 특히 카카오 기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피에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에이징을 행함으로써, 복용감 및 사용성이 특히 개선된 소프트 캡슐제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0)

  1. 내용물이 제피에 충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내용물은 실온에서 고체형상 또는 반고체형상인 소프트 캡슐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캡슐제는 츄잉형 캡슐제인 소프트 캡슐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저융점 첨가제를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첨가제의 함유량이, 상기 내용물의 전체 중량 당 10% 이상인 소프트 캡슐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첨가제의 함유량이, 상기 내용물의 전체 중량 당 30% 이상인 소프트 캡슐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첨가제의 함유량이, 상기 내용물의 전체 중량 당 50% 이상인 소프트 캡슐제.
  7. 제 3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첨가제의 융점이 약 20∼50℃인 소프트 캡슐제.
  8. 제 3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첨가제가, 쵸코렛기제, 돼지 기름, 야자유, 및 마크로골,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프트 캡슐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첨가제가 쵸코렛 기제인 소프트 캡슐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쵸코렛 기제가, 카카오 분말, 비터 쵸코렛, 및 카카오 기름,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프트 캡슐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오 기름이 주요량인 V형 결정 및 소량의 VI형 결정을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제.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감미제를 더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가, 아스파르테임, 글리시리친산2나트륨, 사카린 나트륨, 스테비아, 및 소마틴,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프트 캡슐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저융점 첨가제인 쵸코렛 기제로서 카카오 기름을 포함하고, 그리고 감미제로서 아스파르테임을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당류를 더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가, 슈크로오스,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D-솔비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및 말티톨,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프트 캡슐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더욱이 향료를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가 쵸코렛 맛인 소프트 캡슐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피가 다음 성분 (A) 및 (B):
    (A) 젤라틴; 및
    (B)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합계 100∼600 중량부의 가소제로서,
    (b1)∼(b3)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소제:
    (b1) 글리세린,
    (b2) 슈크로오스, 과당,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D-솔비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말티톨, 슈크로오스 알콜 및 이성화당,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당류 가소제, 및
    (b3)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글리콜,
    을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가소제가 (b1)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피가 (C) 젤라틴 100 중량부에 대해 5∼100 중량부의 수불용성 셀룰로오스를 더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피가 (D) 감미료를 더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D)의 감미료가, 사카린 나트륨, 스테비아, 및 소마틴,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프트 캡슐제.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약제를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함유량이, 상기 내용물의 전체 중량 당 60% 이하인 소프트 캡슐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해열 진통약 성분, 비염약 성분, 기침 가래 제거약 성분, 및 비타민 성분,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프트 캡슐제.
  27. 제 1 항 내지 제 2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식품을 함유하는 소프트 캡슐제.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내용물을 제피에 충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이, 저융점 첨가제인 쵸코렛 기제로서 카카오 기름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피에 충전된 상기 내용물을 30∼40℃의 온도로 에이징하는 공정을 더욱 포함하는 소프트 캡슐 제조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이 10시간 이상 행해지는 소프트 캡슐 제조 방법.
KR10-2001-7010846A 1999-02-26 2000-02-23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533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51411 1999-02-26
JP5141199 199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544A true KR20020000544A (ko) 2002-01-05
KR100533346B1 KR100533346B1 (ko) 2005-12-05

Family

ID=1288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846A KR100533346B1 (ko) 1999-02-26 2000-02-23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763276B1 (ko)
EP (1) EP1163901B1 (ko)
KR (1) KR100533346B1 (ko)
CN (1) CN1183904C (ko)
AT (1) ATE407666T1 (ko)
AU (1) AU754712B2 (ko)
CA (1) CA2363842C (ko)
DE (1) DE60040214D1 (ko)
ES (1) ES2316350T3 (ko)
TW (1) TW544317B (ko)
WO (1) WO20000515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240B1 (ko) * 2008-07-11 2011-02-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899700A0 (en) 2000-07-25 2000-08-17 Borody, Thomas Julius Probiotic recolonisation therapy
NL1017666C1 (nl) * 2001-03-22 2002-09-24 Cake Art B V Chocoladeprodukt.
GB0114746D0 (en) * 2001-06-16 2001-08-08 Boots Co Plc Medicinal composition
AUPS088702A0 (en) * 2002-03-04 2002-03-28 Borody, Thomas Julius Electrolyte purgative
FR2850275B1 (fr) 2003-01-24 2005-04-08 Scherer Technologies Inc R P Capsules molles a macher contenant une substance active a gout masque
CN100399935C (zh) * 2003-07-31 2008-07-09 森永乳业株式会社 咀嚼性胶囊及其制造方法
US8075910B2 (en) 2004-05-20 2011-12-13 Pbm Pharmaceuticals, Inc.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edible oils and vitamins and/or minerals and methods for making oral compositions
US20070116829A1 (en) * 2005-11-23 2007-05-24 The Coca-Cola Company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High-Potency Sweetener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US20070292501A1 (en) * 2006-06-05 2007-12-20 Udell Ronald G Chewable soft gelatin capsules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CN101677606B (zh) 2007-06-13 2013-05-08 大塚制药株式会社 含雌马酚的提取物、其制备方法、雌马酚的提取方法及含雌马酚的食品
EP2042165A1 (de) * 2007-09-28 2009-04-01 Swiss Caps Rechte und Lizenzen AG Hot-Melt-Befüllte Weichkapseln
CN101513531B (zh) * 2009-03-24 2013-06-19 苏州玉森新药开发有限公司 一种软胶囊基质及其制备方法
CN101617856B (zh) * 2009-07-23 2013-05-29 深圳市东焕技术有限公司 一种替代烟草的咀嚼胶及其生产方法
EP3311825A1 (en) 2010-08-04 2018-04-25 Thomas Julius Borody Compositions for fecal floral transplantat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SG191145A1 (en) 2010-12-13 2013-07-31 Borody Thomas J Gastric and colonic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ES2636439T3 (es) 2011-03-09 2017-10-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el trasplante de microbiota de colon
WO2013176774A1 (en) 2012-05-25 2013-11-28 Arizona Board Of Regents Microbiome markers and therapie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WO2013181694A1 (en) 2012-06-04 2013-12-12 Gaurav Agraw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rohn's disease and related conditions and infections
JP6454640B2 (ja) 2012-07-27 2019-01-16 レッド ヒル バイオファーマ リミテッドRedHill Biopharma Ltd. 結腸排出促進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製剤および製剤製造方法
US9532946B2 (en) 2012-11-20 2017-01-03 Intervet Inc. Manufacturing of semi-plastic pharmaceutical dosage units
AU2014262125B2 (en) 2013-04-30 2020-02-13 Thomas Julius Borod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icrobiota-related psychotropic conditions and diseases
CN103519177B (zh) * 2013-10-24 2015-04-08 洛阳祥和牡丹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牡丹籽精油和木糖醇的软胶囊的制备方法
CN114159476A (zh) 2015-05-14 2022-03-11 克雷斯顿沃控股公司 用于粪便菌群移植的组合物以及用于制备和使用它们的方法和用于递送它们的装置
WO2016191356A1 (en) 2015-05-22 2016-12-01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ssociated symptoms
US11214773B2 (en) 2015-09-24 2022-01-04 San Diego State University (Sdsu) Foundation Antibacterial and protective bacteriophage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20170360848A1 (en) 2016-06-15 2017-12-21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associated symptoms
US10849936B2 (en) 2016-07-01 2020-12-01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 difficile treatment
US20180036352A1 (en) 2016-08-03 2018-02-08 Crestovo Holdings Llc Methods for treating ulcerative colitis
US11213549B2 (en) 2016-10-11 2022-01-04 Finch Therapeutics Holdings Llc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reating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and related disorders
WO2018071537A1 (en) 2016-10-11 2018-04-19 Crestovo Holding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and related disorders
US10092601B2 (en) 2016-10-11 2018-10-09 Crestovo Holding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and related disorders
CN107028209A (zh) * 2016-10-27 2017-08-11 无限极(中国)有限公司 一种咀嚼胶皮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3541393A4 (en) * 2016-11-18 2020-06-17 Th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TASTE MASKING PRODUCT
US11433102B2 (en) 2017-04-05 2022-09-06 Finch Therapeutics Holding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PD) and related disorders
US11040073B2 (en) 2017-04-05 2021-06-22 Finch Therapeutics Holding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iverticulitis and related disorders
JP2020521760A (ja) 2017-05-26 2020-07-27 クレストヴォ・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糞便微生物ベースの治療剤を含む凍結乾燥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製造および使用する方法
WO2019032573A1 (en) 2017-08-07 2019-02-14 Finch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ND RESTORING A HEALTHY INTESTINAL BARRIER
US11166990B2 (en) 2018-07-13 2021-11-09 Finch Therapeutics Holdings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lcerative colitis
WO2020069280A1 (en) 2018-09-27 2020-04-02 Crestovo Holding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epilepsy and related disorders
US11707074B2 (en) 2020-04-09 2023-07-25 Kim Schwarz Edible hydration p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dible hydration pod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120A (en) 1923-02-12 1924-05-08 John Martin Hanchard Goodwi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and like lamps
US2206113A (en) * 1936-02-21 1940-07-02 Squibb & Sons Inc Protection of autoxidizable materials
US3620759A (en) * 1969-04-01 1971-11-16 Parke Davis & Co Food capsule
JPS5833011B2 (ja) * 1977-01-28 1983-07-16 神崎製紙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方法
US4634598A (en) * 1978-08-07 1987-01-06 Nestec S. A. Flavorant capsules
US4342787A (en) * 1980-01-07 1982-08-03 General Foods France S.A. Dessert preparation
US4463024A (en) * 1981-01-27 1984-07-31 Kikkoman Corporation Flavor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drinks and foods excellent in flavor
US4428927A (en) * 1981-05-11 1984-01-31 R. P. Scherer Corporation Masticatory soft elastic gelatin capsule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4921843A (en) * 1988-10-20 1990-05-01 Pasquale Samuel A Contraception system and method
US4532126A (en) * 1982-05-07 1985-07-30 R. P. Scherer Corporation Masticatory soft elastic gelatin capsule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GB8305693D0 (en) * 1983-03-02 1983-04-07 Scherer Ltd R P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S6058038A (ja) * 1983-09-12 1985-04-04 Lotte Co Ltd ゼラチン軟カプセル含有チヨコレ−ト
KR880002035B1 (ko) 1983-12-21 1988-10-13 알.피.세러 코포레이션 저작(咀嚼) 가능한 젤라틴 캡슐
US5639724A (en) * 1984-07-24 1997-06-17 Sandoz Ltd. Cyclosporin galenic forms
JPS6136217A (ja) 1984-07-27 1986-02-20 Sankyo Co Ltd 経口投与用持効性製剤
CH670045A5 (ko) * 1985-12-20 1989-05-12 Konsumex Kuelkereskedelmi Vall
JPS6322014A (ja) * 1986-03-07 1988-01-29 Shionogi & Co Ltd 胃内浮遊性持続型カプセル剤
JPH0826345B2 (ja) * 1986-07-10 1996-03-13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固状油溶性物質の製造方法
US4800083A (en) * 1986-10-20 1989-01-24 R. P. Scherer Corporation Sustained release method and product
JPS63246333A (ja) 1987-03-31 1988-10-13 Toyo Kapuseru Kk 抗パントテン酸欠亡成分を主剤とする腸管活性型ソフトカプセル製剤
FR2628985B1 (fr) * 1988-03-22 1990-12-28 Labo Electronique Physique Reacteur d'epitaxie a paroi protegee contre les depots
US4935243A (en) 1988-12-19 1990-06-19 Pharmacaps, Inc. Chewable, edible soft gelatin capsule
US5084278A (en) * 1989-06-02 1992-01-28 Nortec Development Associates, Inc. Taste-mask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R2675802B1 (fr) * 1991-04-26 1993-12-24 Rhone Poulenc Rorer Sa Antiserotonines, leur preparation et les medicaments les contenant.
JPH05205696A (ja) * 1991-11-25 1993-08-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ランプ用電極及びその製法
JP3136310B2 (ja) * 1992-02-26 2001-02-19 東洋カプセル株式会社 咀嚼服用に適した担体
WO1994008576A1 (en) * 1992-10-16 1994-04-28 Glaxo Group Limited Taste-masking compositions of ranitidine
GB9313329D0 (en) 1993-06-28 1993-08-11 Scherer Ltd R P Softgel capsule shell compositions
JPH07242536A (ja) * 1994-03-01 1995-09-19 Toyo Capsule Kk 皮膜に精油成分が含有されたゼラチンカプセル剤
CA2209016A1 (en) * 1994-12-28 1996-07-04 Teikoku Hormone Mfg. Co., Ltd. Pharmaceutics for mucosal administration
EP0732064B1 (en) * 1995-03-15 2001-06-06 Kao Corporation Use of a bitterness relieving agent
CN1136446A (zh) 1995-05-25 1996-11-27 张仁保 绞股蓝总甙软胶囊及其制备工艺
US5578336A (en) * 1995-06-07 1996-11-26 Monte; Woodrow C. Confection carrier for vitamins, enzymes, phytochemicals and ailmentary vegetabl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JP2750281B2 (ja) 1995-06-15 1998-05-13 睦憲 藤原 高コレステロール血症治療剤
US5688312A (en) * 1996-03-29 1997-11-18 Xerox Corporation Ink compositions
US6297273B1 (en) * 1996-04-02 2001-10-02 Mars, Inc. Use of cocoa solids having high cocoa polyphenol content in tabletting compositions and capsule filling compositions
US5955098A (en) 1996-04-12 1999-09-21 Flemington Pharmaceutical Corp. Buccal non polar spray or capsule
GB9608719D0 (en) * 1996-04-26 1996-07-03 Scherer Ltd R P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6024980A (en) * 1996-06-28 2000-02-15 Mcneil-Ppc, Inc. Multiphase soft gelatin dosage form
US5919481A (en) 1996-06-28 1999-07-06 Ncneil-Ppc, Inc. Fill material for soft gelatin pharmaceutical dosage form
US5908636A (en) * 1996-06-28 1999-06-01 Mcneil-Ppc, Inc. Fill material for soft gelatin pharmaceutical dosage form containing an antiflatulent
JP3261331B2 (ja) * 1997-03-31 2002-02-25 東海カプセル株式会社 咀嚼用ソフトカプセル剤
IL123984A (en) * 1997-04-22 2004-09-27 Akzo Nobel Nv Pharmacological dosage units containing tibolone and carrier pharmacy are acceptable
US6027746A (en) * 1997-04-23 2000-02-22 Warner-Lambert Company Chewable soft gelatin-encapsulated pharmaceutical adsorbates
US6071523A (en) * 1998-06-03 2000-06-06 Taro Pharmaceuticals Industries, Ltd. Spill resistant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semi-solid form
IL150509A (en) * 2002-07-01 2007-07-04 Joseph Kaspi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donafazil hydrochlor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240B1 (ko) * 2008-07-11 2011-02-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63276B1 (en) 2010-07-27
EP1163901A4 (en) 2004-12-01
US8372428B2 (en) 2013-02-12
CN1348364A (zh) 2002-05-08
AU2690900A (en) 2000-09-21
CN1183904C (zh) 2005-01-12
CA2363842C (en) 2006-01-10
US20100239638A1 (en) 2010-09-23
ATE407666T1 (de) 2008-09-15
ES2316350T3 (es) 2009-04-16
AU754712B2 (en) 2002-11-21
TW544317B (en) 2003-08-01
CA2363842A1 (en) 2000-09-08
DE60040214D1 (de) 2008-10-23
KR100533346B1 (ko) 2005-12-05
EP1163901A1 (en) 2001-12-19
EP1163901B1 (en) 2008-09-10
WO2000051570A1 (fr) 200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3346B1 (ko)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US7531192B2 (en) Delivery systems for functional ingredients
Aslani et al. Medicated chewing gum, a novel drug delivery system
US963631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ustained release of beta-alanine
US20040052852A1 (en) Carbohydrate-based delivery system for creatine and other bioactive ingredients
JP2005527591A (ja) 機能性成分の送達システム
JPH08511795A (ja) 軟ゼラチンカプセル外皮組成物
CN1252709A (zh) 糖果剂组合物
US20230263184A1 (en) Organogel compositions and their use as a controlled delivery system in confectionery products
US20090194893A1 (en) Chewable Capsu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8540632A (ja) 口腔乾燥を処置するための糖菓製品
JPWO2005004923A1 (ja) 錠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90429B2 (ja) 服用性を改良した咀嚼型ソフトカプセル剤およびその製法
US11273123B2 (en) Chewabl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JPH05255126A (ja) 苦味低減組成物
JP2002179560A (ja) 服用性を改良した咀嚼型ソフトカプセル剤およびその製法
KR20050081892A (ko) 박막을 지닌 저작성 연질캡슐 및 그의 제조 방법
DE69729729T2 (de) Arzneimittel zur anwendung im mund
WO2004009053A2 (en) Oral delivery system containing a gel matrix and liposomes
Namdev et al. Unexplored Potential of Medicated Candies And Lozenges as a Drug Delivery System
Aslani et al. of SID Archive of SID
CN110840825A (zh) 凝胶组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