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240B1 -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 - Google Patents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240B1
KR101017240B1 KR1020080074638A KR20080074638A KR101017240B1 KR 101017240 B1 KR101017240 B1 KR 101017240B1 KR 1020080074638 A KR1020080074638 A KR 1020080074638A KR 20080074638 A KR20080074638 A KR 20080074638A KR 101017240 B1 KR101017240 B1 KR 10101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capsule
ginseng
red ginseng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668A (ko
Inventor
이종원
김종식
손동욱
권현정
한경호
최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ublication of KR2010000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83Capsule finishing, e.g. dyeing, aromatising, poli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을 포함하는 내용약물; 및 (b) 젤라틴, 글리세린 및 솔비톨을 포함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에 함유된 주성분인 인삼 또는 홍삼에 추가적으로 첨가물 또는 향료를 포함하여 맛 및 향취감 등의 관능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일정 함량의 돈피 또는 우피 젤라틴을 포함하여 연질칼셉의 피막의 두께가 얇고 피막의 중량을 감소시켜,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연질캅셀을 씹어먹는데 있어 이물감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일정 함량의 당시럽을 사용하여 유전자 재조합에 대한 우려를 없애고, 즉 안전성을 개선시키고 색상 기호도를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연질캅셀은 인삼 또는 홍삼의 쓴맛 등을 싫어하거나 치아가 약한 어린이 또는 노인들이 섭취하기에도 부담이 없다.
홍삼, 연질캅셀, 향료, 돈피 젤라틴, 당시럽

Description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Chewing Soft Capsule Containing Red Ginseng}
본 발명은 (a)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을 포함하는 내용약물; 및 (b) 젤라틴, 글리세린 및 솔비톨을 포함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면역력증진 및 원기 회복 등의 효능이 있는 건강식품 예컨대, 인삼 및 홍삼제품 등의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이 많아졌다. 그러나, 인삼 및 홍삼제품, 특히 홍삼농축액의 경우 자체의 고미로 인하여 소비자들에 대한 기호성이 낮은 편이다. 하여 이러한 인삼 및 홍삼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제형이 개발되고 있다.
캅셀제에는 의약품을 젤라틴 캅셀에 충진한 경질 캅셀제(硬質 capsule)와 탄력성이 있는 젤라틴막으로 포피성형(包被成型)한 연질 캅셀제(軟質 capsule)가 있다. 캅셀제는 약물이 젤라틴으로 싸여 있으므로 불쾌한 맛이나 냄새를 감지할 수 없고 또 물에 적시면 쉽게 연하시킬 수 있으며, 캅셀로부터 약물방출이 신속하고, 착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어, 정제와 함께 고형제의 주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물이 없는 상황에서 복용이 쉽고 휴대가 간편하여 그대로 입안에서 용해시키거나 씹을 수 있는 저작성과 복용성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일본 특허 공개 평 제10-273436호 및 WO 87/01034호에는 연질캡슐 피막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가소제 배합비를 증대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31274호에는 연질캅셀 피막 조성물에 전분류를 혼합시켜 저작성을 개선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544호에는 연질캡슐 내용물에 카카오분말, 비터(bitter) 쵸코렛 및 카카오 기름 등의 쵸코렛 기제를 적절히 배합하여 복용성을 개량한 연질캡슐 등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81892호에는 호박산젤라틴을 이용하여 저작성을 개선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적인 연질캅셀의 경우 젤라틴의 함량을 65-70%정도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제조된 연질캅셀제는 그대로 물과 함께 삼키거나 두꺼운 피막을 씹어 먹어야만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질긴 피막의 이물감은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복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일반적인 연질캅셀의 경우 코치닐색소와 함께 옥수수 유래 카라멜색소를 사용하여 캅셀피막의 적갈색을 발현하고 있어 유전자 재조합에 대한 우려 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인삼 및 홍삼의 냄새 및 맛을 개선함과 동시에 유전자 재조합 우려가 없는 당시럽을 포함하는 박막의 연질캅셀을 제조함으로써 인삼 또는 홍삼을 복용하는데 기호도, 안전성 및 복용의 편의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 또는 홍삼의 냄새 및 맛을 개선하고 복용하는데 씹어먹을 수 있는 기호도 및 복용의 편의성이 개선된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인삼 또는 홍삼, 첨가물, 또는 고미를 제거하기 위한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약물, 및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에 유전자 재조합(GMO)의 우려가 없는 당시럽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면, 인삼 또는 홍삼의 맛 및 향취감 등의 관능성이 개선되고, 연질캅셀 피막의 보다 개선된 박막, 감소된 피막 중량 및 종래 카라멜 색소 보다 우수한 색상기호도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을 포함하는 내용약물; 및 (b) 젤라틴, 글리세린 및 솔비톨을 포함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 또는 홍삼의 냄새 및 맛을 개선하고 복용하는데 씹어먹을 수 있는 기호도 및 복용의 편의성이 개선된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인삼 또는 홍삼, 첨가물, 또는 고미를 제거하기 위한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약물, 및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에 유전자 재조합(GMO)의 우려가 없는 당시럽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면, 인삼 또는 홍삼의 맛 또는 향취감 등의 관능성이 개선되고, 연질캅셀 피막의 보다 개선된 박막, 감소된 피막 중량 및 종래 카라멜 색소 보다 우수한 색상기호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인삼”은 고려삼(Panax ginseng), 회기삼(P. quiquefolius), 전칠삼(P. notoginseng), 죽절삼(P. japonicus), 삼엽삼(P. trifolium), 히말라야삼(P. pseudoginseng), 베트남삼(P. vietnamensis) 및 미국삼 (Panax quinquefolium)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인삼은 고려삼(Panax ginseng)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홍삼”은 증기 또는 태양-건조, 바람직하게는 증기를 통하여 인삼을 가열하여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용어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은 인삼 또는 홍삼으로부터 유래되는 모든 형태의 액, 농축액 또는 고상의 제품(분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질캅셀의 내용약물에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고,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 과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추출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h)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은 추출물이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에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얻은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은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은 내용약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35 중량%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이다.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의 함유량이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첨가물 또는 향료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홍삼의 기호도의 개선 효과가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인삼 또는 홍삼의 약효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젤라틴, 글리세린 및 솔비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젤라틴”은 젤라틴, 산성 젤라틴, 알칼리성 젤라틴, 펩티드 젤라틴, 저분자 젤라틴 및 젤라틴 유도체 등을 포함하나,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젤라틴은 돈피 또는 우피 젤라틴이며, 기존에 저작용 연질캅셀에 이용되어온 호박산 젤라틴은 본 발명의 젤라틴에서 배제한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글리세린 또는 글리세린류,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의 솔비톨, 솔비탄 또는 솔바이드 계열, 슈크로오스,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말토오스, 환원 맥아당 시럽 또는 말티톨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또는 글리세린류, 또는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의 솔비톨,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및 솔비톨이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색상발현제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치닐 추출색소 및 당시럽이고, 가장 바람직하게 는 코치닐 추출 색소 및 설탕 유래 당시럽이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종래 피막 조성물에 유전자 재조합 우려가 있는 옥수수 유래 카라멜 색소를 포함하여 색상을 발현한 반면,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유전자 재조합의 우려가 전혀 없는 당시럽으로 색상을 발현하여 안전성 및 색상 기호도를 향상시켰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색상 발현제로서의 당시럽은 유전자재조합 우려가 없는 설탕 등을 가열 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갈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피막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젤라틴 35-55 중량%, 글리세린 20-30 중량% 및 솔비톨 10-35 중량%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37-50 중량%, 글리세린 23-29 중량% 및 솔비톨 20-34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40-45 중량%, 글리세린 25-28 중량% 및 솔비톨 30-32 중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피막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젤라틴 35-55 중량%, 글리세린 20-30 중량%, 솔비톨 10-35 중량%, 코치닐 추출 색소 0.1-2 중량% 및 당시럽 0.1-5 중량%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37-50 중량%, 글리세린 23-29 중량%, 솔비톨 20-34 중량%, 코치닐 추출 색소 0.5-1.5 중량% 및 당시럽 0.5-3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39-44 중량%, 글리세린 24-25.8 중량 %, 솔비톨 30.4-32 중량%, 코치닐 추출 색소 0.8-1.2 중량% 및 당시럽 0.8-2 중량%이다.
본 발명의 특징 중 다른 하나는 기존에 젤라틴의 함량이 65-70 중량% 포함된 것에 반해, 젤라틴의 함량을 55 중량%이하로 감소시킴으로써 박막의 연질캅셀을 제조하여 연질캅셀의 피막으로 인한 이물감을 개선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이 형성한 피막의 두께는 0.3-0.5 mm이다. 피막의 두께가 0.3 mm 미만인 경우 연질캅셀의 피막이 너무 얇아 내용약물이 캅셀의 이음부에서 흘러나오는 등 제형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고, 피막의 두께가 0.5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질캅셀의 피막이 두꺼워 씹어먹는데 이물감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중 또 다른 하나는 내용약물에 후술할 첨가물 또는 향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인삼 또는 홍삼의 관능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홍삼을 포함하는 연질캅셀은 어린이들이 쉽게 삼키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본 발명의 연질캅셀의 내용약물에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첨가물로써 식물성유, 동물성유, 정제가공유 및 광물성유에서 선택된 유지에 현탁제, 증점제, 가용화제, 분산제, 유화제, 감미제 및 계면활성제의 용도로 사용하는 성분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첨가물로 정제가공유, 사과맛 분말, 비 타민 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구연산, 사과향 오일, 수크랄로스 또는 레시틴,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가공유, 사과맛 분말, 비타민 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구연산, 사과향 오일, 수크랄로스 및 레시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질캅셀에 포함되는 내용약물은 내용약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 0.1-35 중량%, 정제가공유 40-80 중량%, 사과맛 분말 5-15 중량%, 비타민 E 2-10 중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2-10 중량%, 구연산 0.5-2 중량%, 사과향 오일 0.5-2 중량%, 수크랄로스 0.05-0.2 중량 % 및 레시틴 0.05-0.2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 1-25 중량%, 정제가공유 55-70 중량%, 사과맛 분말 7-13 중량%, 비타민 E 3-8 중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3-8 중량%, 구연산 0.7-1.5 중량%, 사과향 오일 0.7-1.5 중량%, 수크랄로스 0.07-0.15 중량 % 및 레시틴 0.07-0.15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 5-18.77 중량%, 정제가공유 55.57-65 중량%, 사과맛 분말 8-11 중량%, 비타민 E 3-6 중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3-6 중량%, 구연산 0.8-1.2 중량%, 사과향 오일 0.8-1.2 중량%, 수크랄로스 0.1-0.14 중량 % 및 레시틴 0.08-0.12 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이용되는 내용약물에 향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인삼 또는 홍삼의 고미를 제거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고미”는 영문 “bittering taste"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쓴맛, 떫은 맛, 신맛 및 매운 맛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발하는 기호도가 낮은 맛의 종류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향료는, 인삼 또는 홍삼에 고미를 구성하는 쓴맛, 떫은 맛, 신맛 및 매운 맛을 효과적으로 차폐(masking)하면서도, 기호도가 좋은 단맛 및 구수한 맛은 효과적으로 상승시켜, 고미가 제거되고 맛에 대한 관능성이 우수한 인삼 또는 홍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에서 이용되는 항료는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알리파틱 케톤, 바닐린, 말톨 또는 그의 조합을 주성분으로 한다. 용어 “주성분”은 항료 조성물에서 향의 발생을 유발하는 주요한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알리파틱 케톤, 바닐린, 말톨 또는 그의 조합을 주성분으로 하는 향료를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에 첨가하여 고미가 제거된 인삼 또는 홍삼을 수득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향료는 보조성분으로서 프롤린,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트알데하이드, 에탄올 또는 그의 조합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용어 “보조성분”은 항료 조성물에서 주성분을 제외한 성분들, 예컨대 부형제 및 용해화제 등을 의미한다.
인삼 또는 홍삼에서 고미를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발된 향료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ⅰ)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및 알리파틱 케톤을 주성분으로 하는 향료; 및 (ⅱ) 바닐린 및 말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향료.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및 알리파틱 케톤을 주성분으로 하는 향료는, 바람직 하게는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알리파틱 케톤, 바닐린, 프롤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료는 향료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0.2-1.0 중량%, 알리파틱 케톤 0.2-1.0 중량%, 바닐린 0.2-1.0 중량%, 프롤린 0.2-1.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6.2-56 중량% 및 글리세린 40-63 중량%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향료는 향료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0.5 중량%, 알리파틱 케톤 0.5 중량%, 바닐린 0.5 중량%, 프롤린 0.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8 중량% 및 글리세린 50 중량%를 포함한다.
바닐린 및 말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향료는, 바람직하게는 바닐린, 말톨, 아세트알데하이드,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료는 에틸 바닐린 및 에틸 말톨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료는 향료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닐린 0.7-2.0 중량%, 말톨 0.05-0.5 중량%, 아세트알데하이드 0.05-0.5 중량%, 에탄올 0.7-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5.5-57 중량% 및 글리세린 38-63 중량%를 포함한다.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료는 향료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닐린 0.7-2.0 중량%, 에틸 바닐린 0.05-0.5 중량%, 말톨 0.05-0.5 중량%, 에틸 말톨 0.05-0.5 중량%, 아세트알데하이드 0.05-0.5 중량%, 에탄올 0.7-2.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5.4-57 중량% 및 글리세린 37-63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항료는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에 0.001-5.0 중량% 비율로 첨가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5.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3-2.0 중량% 비율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향료는 다양한 제품, 예컨대, 식품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인삼 또는 홍삼에 첨가되어 고미를 제거하여 맛 및 향취감 등의 관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의 연질캅셀에 함유된 주성분인 인삼 또는 홍삼에 추가적으로 첨가물 또는 향료를 포함하여 맛 및 향취감 등의 관능성이 크게 향상된다.
(ⅱ)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일정 함량의 돈피 또는 우피 젤라틴을 포함하여 연질칼셉의 피막의 두께가 얇고 피막의 중량을 감소시켜,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연질캅셀을 씹어먹는데 있어 이물감을 감소시켰다.
(ⅲ)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일정 함량의 당시럽을 사용하여 유전자 재조합에 대한 우려를 없애고, 즉 안전성을 개선시키고 색상 기호도를 향상시켰다.
(ⅳ)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연질캅셀은 인삼 또는 홍삼의 쓴맛 등을 싫어하거나 치아가 약한 어린이 또는 노인들이 섭취하기에도 부담이 없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 액 또는 고형물; 및 (b) 젤라틴, 글리세린 및 솔비톨을 포함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에 함유된 주성분인 인삼 또는 홍삼에 추가적으로 첨가물 또는 향료를 포함하여 맛 및 향취감 등의 관능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일정 함량의 돈피 또는 우피 젤라틴을 포함하여 연질칼셉의 피막의 두께가 얇고 피막의 중량을 감소시켜,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연질캅셀을 씹어먹는데 있어 이물감을 감소시켰다. 본 발명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일정 함량의 당시럽을 사용하여 유전자 재조합에 대한 우려를 없애고, 즉 안전성을 개선시키고 색상 기호도를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연질캅셀은 인삼 또는 홍삼의 쓴맛 등을 싫어하거나 치아가 약한 어린이 또는 노인들이 섭취하기에도 부담이 없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고미를 제거하지 않은 홍삼을 이용하여 박막 연질캅셀의 제조
고미를 제거하지 않은 홍삼(KGC 제공)을 포함하는 연질캅셀의 조성비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성 구성성분 연질캅셀 1
(홍삼정분)
연질캅셀 2
(홍삼엑기스)
연질캅셀 3
(홍삼정분)
연질캅셀 4
(홍삼엑기스)
내용약물 정제가공유 62.78 62.78 62.78 62.78
사과맛분말 10 10 10 10
비타민E 5 5 5 5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5 5 5 5
홍삼 15 15 15 15
구연산 1 1 1 1
사과향오일 1 1 1 1
수크랄로스 0.12 0.12 0.12 0.12
레시틴 0.1 0.1 0.1 0.1
합계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피막용조성물 돈피 젤라틴 41.79 41.79 60.29 60.29
글리세린 24.37 24.37 37.91 12.91
D-솔비톨 31.34 31.34 - 25.00
코치닐추출색소 1 1 1 1
카라멜색소 - - 0.8 0.8
당시럽 1.5 1.5 - -
합계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100 중량%
연질캅셀 3 및 4는 일반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에 포함된 돈피 젤라틴의 함량보다는 적지만 본 발명의 연질캅셀 1 및 2 보다는 그 함량을 증가시켜, 본 발명의 연질캅셀 1 및 2의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제조예 1-1: 내용약물의 조제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본 발명의 연질캅셀 1 내지 4의 내용약물의 조제는 먼저 정제가공유 2,260.08 g, 사과맛분말 360 g, 사과향오일 36 g, 수크랄로스 4.32 g, 비타민 E 180.00 g,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80.00 g, 홍삼정분 또는 홍삼 엑기스 540.00 g, 구연산 36.00 g 및 레시틴 3.60 g을 소량부터 투입하고, 실온에서 TK 교반기(TK Homo Mixer2M-2/Tokushu Kika)로 약 2000-2500 rpm으로 교반하면서 균질화 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콜로이드밀(MKPB 6-2/Masuko Sangyo) 처리한 후 100 메쉬에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12,000 캅셀 분량의 연질캅셀 내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연질캡슐 피막의 제조
본 발명의 연질캅셀 1 및 2를 구성하는 연질캡슐 피막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젤라틴-가소제 피막 용액을 제조하여 1 캡슐 당 돈피 젤라틴(젤텍) 62.685 mg, 글리세린 36.555 mg, 솔비톨(D-sorbitol) 47.01 mg, 코치닐 추출 색소 1.5 mg, 당시럽 2.25 mg 및 적량의 정제수가 포함되게 하였다. 또한, 비교군인 연질캅셀 3은 1 캡슐 당 돈피 젤라틴 90.435 mg, 글리세린 56.865 mg, 코치닐추출색소 1.5 mg, 카라멜색소 1.2 mg 및 적량의 정제수, 그리고 비교군인 연질캅셀 4는 1 캡슐 당 돈피 젤라틴 90.435 mg, 글리세린 19.365 mg, 솔비톨(D-sorbitol) 37.5 mg, 코치닐 추출 색소 1.5 mg, 카라멜색소 1.2 mg 및 적량의 정제수가 포함되게 하였다.
제조예 1-3: 연질캡슐의 성형 및 건조
연질캡슐 1 내지 4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로타리식 자동충전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충전방법으로 진행하되, 내용약물 충전량 300.0 mg으로 필름(film)의 두께를 0.30 mm-0.50 mm로 성형 및 건조한 후 선별공정을 거쳐 시제품으로 제작하였다.
제조예 2: 고미를 제거한 홍삼을 이용하여 박막 연질캅셀의 제조
홍삼의 고미를 제거할 수 있는 향료는 하기 표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성분명 배합비율(중량%)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aldehyde allyl phenol)
0.5%
알리파틱 케톤 (alphatic keton) 0.5%
바닐라 추출물 0.5%
아미노산-프롤린 0.5%
프로필렌 글리콜 48%
글리세린 50%
합계 100.0%
성분명 배합비율(중량%)
바닐라 2 폴드 블랜드 1.1 %
에틸말톨 0.2 %
에틸 바닐린 0.1 %
말톨 0.1 %
아세트알데하이드 0.1 %
발효주정(ethanol) 1.2 %
글리세린 49.6 %
프로필렌글리콜 47.6 %
합계 100.0%
상기 표 3에서 바닐라 2 폴드 블랜드는 버본 바닐라 콩(Bourbon Vanilla beans)[Vanilla planifolia]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며, 바닐린(4-hydroxy-3-methoxybenzaldehyde)이 함유되어 있다.
제조예 2-1: 향료가 포함된 내용약물의 조제
홍삼 액상 제품((주)한국인삼공사에서 시판중인 홍삼 음료류 제품) 또는 홍삼 농축액 제품((주)한국인삼공사 고려인삼창에서 제조된 함수량 36%의 시판품)에 상기 표 2 및 3의 향료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TK 교반기(TK Homo Mixer2M-2/Tokushu Kika)로 약 2000-2500 rpm으로 교반하면서 균질화 시키고 건조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콜로이드밀(MKPB 6-2/Masuko Sangyo)처리한 후 100 메쉬에 여과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기포를 제거한 다음, 12,000 캅셀 분량의 연질캅셀 내용물을 제조하였다.
홍삼 액상에 상기 표 2 및 3의 향료를 첨가하여 제조된 내용약물은 각각 연질캅셀 5 및 7의 연질캅셀 내용약물로 이용하였고, 홍삼 농축액에 상기 표 2 및 3의 향료를 첨가하여 제조된 내용약물은 각각 연질캅셀 6 및 8의 연질캅셀 내용약물로 이용하였다.
제조예 2-2: 연질캡슐 피막의 제조
본 발명의 연질캅셀 5(고미를 제거한 홍삼 액상) 및 6(고미를 제거한 홍삼농축액)을 구성하는 연질캡슐 피막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젤라틴-가소제 피막 용액을 제조하여 1 캡슐 당 돈피 젤라틴 20.9 mg, 글리세린 13.45 mg, 솔비톨(D-sorbitol) 15.65 mg 및 적량의 정제수가 포함 되게 하였다. 또한, 비교군인 연질캅셀 7(고미를 제거한 홍삼 액상)은 1 캡슐 당 돈피 젤라틴 30.15 mg, 글리세린 19.85 mg 및 적량의 정제수, 그리고 비교군인 연질캅셀 8(고미를 제거한 홍삼 농축액)는 1 캡슐 당 돈피 젤라틴 30.15 mg, 글리세린 7.35 mg, 솔비톨(D-sorbitol) 12.5 mg 및 적량의 정제수가 포함되게 하였다.
제조예 2-3: 연질캡슐의 성형 및 건조
연질캡슐 5 내지 8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로타리식 자동충전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충전방법으로 진행하되, 내용약물 충전량 300.0 mg으로 필름(film)의 두께를 0.30 mm-0.50 mm로 성형 및 건조한 후 선별공정을 거쳐 시제품으로 제작하였다.
제조예 3: 일반 연질캡슐의 제조
제조예 3-1: 연질캡슐 내용약물의 조성비 및 내용약물의 조제
상기 표 1과 동일한 내용약물의 조성으로 제조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내용약물을 조제하였다.
제조예 3-2: 연질캡슐 피막의 제조
연질캡슐 피막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으로 젤라틴-가소제 피막 용액을 제조하여 1캡슐 당 젤라틴(돈피) 91.0 mg(70 중량%), 글리세린 12.66 mg(9.74 중량%), 솔비톨(D-sorbitol) 24.0 mg(18.46 중량%), 코치닐 추출 색소 1.3mg(1 중량%), 카라멜 색소 1.04mg(0.8 중량%) 및 적량의 정제수가 포함되게 하였다.
제조예 3-3: 연질캡슐의 성형 및 건조
연질캡슐 제조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로타리식 자동충전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충전방법으로 진행하되, 내용물 충전량 300.0 mg으로 필름(film)의 두께를 0.60 mm-0.70 mm로 성형 및 건조한 후 선별공정을 거쳐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시험예 1: 일반 제조 연질캅셀 및 저작용 연질캅셀의 피막 두께 및 중량비교
제조예 1-3 및 2-3에 의해서 제조된 저작용 연질캡슐과 제조예 3-3에 의해서 제조된 일반 제조 연질캅셀의 피막 두께 및 중량은 하기 표 5 및 6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제조 연질캅셀
TYPE 평균피막 두께 평균피막중량
3 ROUND 0.5-0.7 mm 65 mg
제조예 1-3 및 2-3에 의해서 제조된 저작용 연질캅셀 피막
TYPE 평균피막 두께 평균피막중량
3 ROUND 0.3~0.5 mm 32 mg
시험예 2: 본 발명의 연질캅셀 1 및 2 와 연질캅셀 3, 4 및 제조예 3의 연질캅셀과 비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홍삼이 함유된 씹어먹는 본 발명의 연질캅셀 1 및 2, 비교군인 연질캅셀 3 및 4 그리고 대조군으로서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은 일반 연질캅셀에 대한 저작도, 맛, 색상 기호도,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를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식품분야에서 3년-5년의 관능검사요원 경력이 있는 사람 20인(남여 각각 10명)으로 하여금 최고 5점, 최저 1점의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항목 저작도 색상 기호도 전체적 기호도
연질캅셀 1 4.4 4.3 4.1 4.5
연질캅셀 2 4.5 4.5 4.3 4.5
연질캅셀 3(비교군) 2.2 3.2 3.5 1.8
연질캅셀 4(비교군) 2.1 3.4 3.6 1.9
제조예 3(대조군) 1.3 2.1 3.5 1.5
상기 표 7에서 저작도, 맛, 색상 기호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수치는 관능검사요원들의 점수의 합을 관능검사요원들의 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채택한 피막조성물로 제조된 연질캅셀 1 및 2의 관능검사 결과의 수치가 높아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연질캅셀이 비교군 및 대조군 보다 저작도, 맛, 색상 기호도 및 전체적 기호도가 우수한 것은, 피막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의 채택 및 그 조성비에 의해 제조되는 연질캅셀 피막의 두께가 얇으며 피막 중량이 작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시험예 2에서 확인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질캅셀 1 및 2와 비교군(연질캅셀 3 및 4)은 박막을 형성하나, 저작도,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피막용 조성물에 포함된 돈피 젤라틴의 함량 차이로 인한 물성(연한 정도) 차이 때문이고 색상 선호도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당시럽과 카라멜색소의 색도 차이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질캅셀 1 및 2와 대조군의 저작도,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의 차이는, 피막의 두께 및 돈피 젤라틴의 함량 차이 때문이고 색상 선호도 차이는 당시럽과 카라멜색소의 색도 차이 때문이다(비교군과 대조군간의 차이도 마찬가지이다).
시험예 3: 연질캅셀 5 내지 8의 내용약물의 관능 시험
상기 제조예 2-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연질 캅셀 5 및 6의 내용약물(홍삼 액상 및 홍삼 농축액)과 홍삼 농축액 제품((주)한국인삼공사 고려인삼창에서 제조된 함수량 36%의 시판품)의 향 무첨가 제품과의 관능 변화를 조사하였다. 냄새는 구수한 냄새, 단냄새, 쓴냄새, 신냄새 및 탄냄새를, 그리고 맛은 구수한 맛, 단맛, 쓴맛, 신맛 및 매운맛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향 첨가가 홍삼 액상 및 홍삼 농축액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관능평가에 사용한 모든 시료의 온도는 상온이 되도록 준비하였고, 각 시료(홍삼 액상 또는 홍삼 농축액에 상기 표 2의 향 또는 표 3의 향을 0.5 중량% 첨가한 시료) 15 ml을 입 안에 넣고 20초간 구강 표피를 골고루 자극한 후 뱉어내고, 한 시료의 평가를 마칠 때마다 물로 입안을 세척하고 10분이 경과된 후 다음 시료를 평가하여, 상기 관능 요소들을 9점 척도(9-point box scale)로 표시하였다. 관능평가요원은 기본맛과 향미 평가에 대해 훈련된 패널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9점 척도는 양끝을 “없다”(왼편)와 “매우 강하다”(오른쪽)로 표시하여 사용하였다.
도 2 및 3에서 볼 수 있듯이, 표 2(향료 1) 및 3(향료 2)의 향을 첨가한 군에서, 단냄새, 단맛, 구수한 냄새 및 구수한 맛이 개선되었고, 쓴냄새, 쓴맛, 떫은맛, 떫은냄새, 신냄새, 신맛, 매운냄새 및 매운맛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상기 표 2(향료 1) 및 3(향료 2)의 향료를 포함한 홍삼은 냄새 및 맛에 있어 개선되어 이를 포함하는 저작용 연질캅셀을 제조하면, 복용성 및 저작성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홍삼이 함유된 씹어먹는 연질캅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홍삼 액상 제품에 향료를 첨가하지 않은 군, 본 발명에 향료 1(참조: 표 2)을 첨가한 군 및 향료 2(참조: 표 3)를 첨가한 군의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 분석 결과도이다.
도 3은 홍삼 액상 제품에 향료를 첨가하지 않은 군, 본 발명에 향료 1(참조: 표 2)을 첨가한 군 및 향료 2(참조: 표 3)를 첨가한 군의 맛에 대한 관능검사 분석결과도이다.

Claims (9)

  1. (a)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을 포함하는 내용약물; 및 (b) 상기 내용약물의 고미를 제거하는 (ⅰ) 주성분으로서 알데하이드 알릴 페놀, 알리파틱 케톤 및 바닐린을 포함하고, 보조성분으로서 프롤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포함된 향료 또는 (ⅱ) 주성분으로서 바닐린 및 말톨을 포함하고, 보조성분으로서 아세트알데하이드,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이 포함된 향료; 및 (c) 젤라틴, 글리세린 및 솔비톨을 포함하는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에 코치닐 추출 색소 및 당시럽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캅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또는 홍삼의 액, 농축액 또는 고형물은 내용약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캅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피막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젤라틴 35-55 중량%, 글리세린 20-30 중량% 및 솔비톨 25-35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캅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은 피막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젤라틴 35-55 중량%, 글리세린 20-30 중량% 및 솔비톨 10-35 중량%, 코치닐 추출 색소 0.1-2 중량% 및 당시럽 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캅셀.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캅셀 피막용 조성물이 형성한 피막의 두께는 0.3-0.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캅셀.
  8. 삭제
  9. 삭제
KR1020080074638A 2008-07-11 2008-07-30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 KR101017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404 2008-07-11
KR20080067404 2008-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68A KR20100007668A (ko) 2010-01-22
KR101017240B1 true KR101017240B1 (ko) 2011-02-25

Family

ID=4181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638A KR101017240B1 (ko) 2008-07-11 2008-07-30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086A (zh) * 2016-06-20 2016-11-16 威海百合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磷脂软胶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412A (ko) 2015-01-29 2016-08-08 최경용 휴대용 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544A (ko) * 1999-02-26 2002-01-05 요시히코 시오노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1892A (ko) * 2005-07-07 2005-08-19 주식회사 서흥캅셀 박막을 지닌 저작성 연질캡슐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544A (ko) * 1999-02-26 2002-01-05 요시히코 시오노 복용성을 개량한 츄잉형 소프트 캡슐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1892A (ko) * 2005-07-07 2005-08-19 주식회사 서흥캅셀 박막을 지닌 저작성 연질캡슐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086A (zh) * 2016-06-20 2016-11-16 威海百合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磷脂软胶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68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2324A (en) Propolis extract with improved water-solubility
RU2391863C2 (ru) Препарат, включающий полифенолсодержащую композицию и изомальтулозу
MXPA04012958A (es) Polvo para bebida instantanea conteniendo isomaltulosa.
JP4504281B2 (ja) 高甘味度甘味料の呈味改善剤
KR101614963B1 (ko) 약산성하의 소취 조성물
JP2003212759A (ja) ニコチン除去用ガム組成物
JP2006016390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KR100834964B1 (ko) 정미가 개선된 첨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US20010043976A1 (en) Ginkgo biloba flavonoid extract free of terpene and/or with a high flavonoid heteroside content
JPH09141002A (ja) 水溶性を向上させたプロポリス抽出物
KR101017240B1 (ko) 홍삼을 함유하는 저작용 연질캅셀
WO2007020830A1 (ja) 口腔用組成物
US20110135787A1 (en) Deodorizing composition using peroxidase under neutrality
JP4456785B2 (ja) 月桃葉及び茎抽出物組成物、月桃葉及び茎抽出物含有飲食物、並びに月桃葉及び茎抽出物の呈味改善方法
KR101765476B1 (ko) 녹용 추출물 및 금은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030094067A (ko) 정미개질제와 이를 포함하는 식품,엑기스, 의약품 및구강용 조성물
JP4278896B2 (ja) ヒハツ果穂抽出物組成物及びヒハツ果穂抽出物含有飲食物並びにヒハツ果穂抽出物の呈味改善方法
JP3059795B2 (ja) 精神安定用食品
CN107613999B (zh) 唾液分泌促进剂、口腔干燥抑制剂及口腔内湿润赋予剂
JP2020000226A (ja)
JP3656972B2 (ja) アルコール臭低減剤
KR100249357B1 (ko) 소취효과를 갖는 츄잉껌 조성물
JP3034653B2 (ja) インドカラモス属口臭除去剤又は口臭抑制剤
JP2003135026A (ja) 保湿用食品
JP6849281B2 (ja) 肝臓加水分解物とドクダミエキスを含む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