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034Y1 -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 - Google Patents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34Y1
KR200198034Y1 KR2020000009886U KR20000009886U KR200198034Y1 KR 200198034 Y1 KR200198034 Y1 KR 200198034Y1 KR 2020000009886 U KR2020000009886 U KR 2020000009886U KR 20000009886 U KR20000009886 U KR 20000009886U KR 200198034 Y1 KR200198034 Y1 KR 200198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usic data
recording
data
temporar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원
조준휘
Original Assignee
정석원
조준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원, 조준휘 filed Critical 정석원
Priority to KR2020000009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CD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AM/FM튜너,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또는 마이크로폰, CD플레이어와 같은 외부의 음원발생장치로부터 음원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와; 입력되는 음원신호가 MP3
(MPEG Layer 3) 형식의 파일로 저장 및 집적됨으로써 초기음악데이터가 생성되는 메모리룸인 임시저장부와; 상기 초기음악데이터를 독출하여 CD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기록부와; 제어부와;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초기음악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LCD 또는 VFD와 같은 표시부 및 조작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의해; 시간간격을 두고 CD의 모든 트랙에 데이터를 기록해 넣을 수 있게 되어 CD의 낭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임의로 곡의 배열변경, 일부삭제 등의 편집을 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Description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Apparatus for recording at CD}
본 고안은 녹음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CD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정의 기록들을 시간 및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생하거나 복원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들이 널리 보급되어 왔다. 대중적으로 제시되어 왔던 방법들 중에는 자기테이프, LP 레코드, 플로피디스크 (FD), 컴팩트디스크(CD) 등의 기록매체 및 각각의 재생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개인용 마이크로컴퓨터를 별론으로 하고, 자기테이프 및 그의 재생장치는 자신이 요구하는 음성데이터를 임의적으로 녹음할 수 있기에 그가 가지는 다소간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테이프에 의한 방식은 음악, 학습 등의 음성데이터를 자재하게 녹음 및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 작은 부피 및 사용의 편이성 때문에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방식 및 재생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디지탈기술의 발달로 광디스크인 컴팩트디스크(CD)라고 일컬어지는 데이터저장매체가 제공되어 온 지 오래이다. CD는 데이터 저장능력, 재생가능 횟수 및 기계적 성질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개인용 컴퓨터와 더불어 널리 보급되어 왔다.
데이터 저장 및 재생수단이 사용되는 여러 분야 가운데 본 고안자는 오디오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컴팩트디스크(CD)에 자재하게 녹음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심을 가진다.
오디오분야에 있어서도 디지탈기술의 보급에 따라 각종의 미디어가 제시되어 왔다. 이들이 채용하는 방식은 디지탈신호로 음악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아나로그화하여 앰프 또는 스피커로 출력하는 방식이다. 데이터 압축기술의 발달에 따라 작은 부피의 기록매체로도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의 대표적인 기술적 수단에 CD, MP3(MPEG Layer 3) 등과 같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있다.
CD의 보급단계에 있어서, 일반대중은 단지 기저장된 CD음반을 구입하여 재생함으로써 음악을 감상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였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자기테이프의 장점, 즉 개인적인 녹음 및 편집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도입함으로써 완벽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CD의 기본원리는 그의 표면에 저온의 레이저를 발사하여 그 반사율의 차이를 0과 1로 읽는 방식이다. 재녹음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은 상기 CD의 표면에 보다 고온의 레이저를 발사하여 그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도료를 태우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개인도 기록이 되어 있지 않은 공CD에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CD-R(Recordable)장치는 한번 기록된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금 다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진다.
그리고 또 하나의 중대한 단점은 한번 기록하는 작업을 시작하고 멈추게 되면 더 이상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한 번 기록을 시작하면 아무리 작은 양의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하더라도 그 이후에 남은 부분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테이프나 MD(Mini Disc)와는 달리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원하는 데이터를 나누어서 저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CD-RW(Rewritable)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는 강한 레이저로 디스크의 표면을 녹여서 그의 반사율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제이터를 저장하고 다시 레이저를 쏘어 표면을 녹여서 다시금 평편하게 만드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약 1000회에 걸쳐 재기록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CD-RW장치는 호환성에서 문제를 가진다. 즉, 이 제작한 CD를 그 자신만이 이용하고 다른 곳에서는 재생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가진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신이 요구하는 방식 및 시간에 요구하는 데이터를 자재하게 녹음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CD로 하는 데이터 녹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일반적인 테이프와 같이 기록을 원하는 곡을 임의적으로 지우거나 기록할 수 있게 하는 CD용 녹음장치를 가지는 오디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CD레코더를 포함하는 오디오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한 목적은, AM/FM튜너,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또는 마이크로폰, CD플레이어와 같은 외부의 음원발생장치로부터 음원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와; 입력되는 음원신호가 MP3(MPEG Layer 3) 형식의 파일로 저장 및 집적됨으로써 초기음악데이터가 생성되는 메모리룸인 임시저장부와; 상기 초기음악데이터를 독출하여 CD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기록부와; 제어부와;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초기음악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LCD 또는 VFD와 같은 표시부 및 조작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를 저장매체로 하는 녹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임시저장부는 상기 CD레코더를 포함하는 오디오장치에 하드 디스크 형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플래시메모리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저장부는 개인용 마이크로컴퓨터와 같은 외부기기의 저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CD레코더를 포함하는 오디오장치의 구성도로서, 녹음수단을 중심으로 하여 표시된다.
시중에 보급되고 있는 일반적인 오디오장치는 재생장치는 물론 녹음장치를 함께 가짐으로써, 재생과 동시에 녹음이 실시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오디오장치 또한 일반적인 오디오와 유사한 시스템을 가진다.
즉, 외부의 음원을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2)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호입력부(2)는 CD에 저장된 음악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CD판독부(4)와, AM/FM튜너(6, Tuner), 테이프플레이어(8, Tape player) 또는 육성을 직접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0, Microphone)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CD판독부
(4)를 제외하고 각각 입력 또는 판독되는 음악신호 또는 음악데이터를 아나로그신호로 출력한다. 이들 아나로그 신호는 출력과 동시에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2, A/D Converter)를 거쳐 제어부(14)에 인가된다.
CD판독부(4)는 CD가 장착되는 트레이, 스핀들모터 및 광픽업부를 포함하며, 판독되는 디지탈형식의 음악신호를 역시 제어부에 인가하게 된다.
데이터기록부(16)는 제어부(14)에 의해 임시저장부(1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CD에 기록하게 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방식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 설명한 CD-R(CD Recordable)장치가 사용된다. 즉, 고온의 레이저를 쏘아 디스크 표면의 도료를 녹이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를 구동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는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기록부(16) 또한 트레이, 스핀들모터(Spindle Moter), 레이저발생부 등 CD판독부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일반 테이프레코더와 같이 더블데크(Double Deck)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재생부(20)는 시스템의 설명을 위하여 신호입력부와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실상은 신호입력부(2) 자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부(20)는 본 고안의 주요관점에서 벗어나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재생부(20)는 기본적으로 디지탈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D/A Con-
verter)와, 증폭 및 출력을 위한 앰프(Amplifier)와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특징인 임시저장부(18)가 신호입력부, 보다 특정적으로는 제어부(14)와 데이터기록부(16) 사이에 제공된다. 임시저장부(18)가 가지는 데이터 저장용량은 직경 12cm의 일반적인 광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량 이상일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 포맷인 MP3 파일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용량 이상의 저장용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P3형식의 데이터 저장방식에 따르면, 일반 CD 1장을 채우기 위한 임시저장부의 저장용량은 54M Byte 이상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임시저장부(18)는 여러 가지의 태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첫째, 임시저장부(18)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이 오디오장치 내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오디오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겠으나, 다소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둘째, 임시저장부(18)는 개인용 컴퓨터 내의 메모리수단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오디오는 데이터버스(Data Bus)에 의해 상기 컴퓨터와 연결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적어도 CD에 음악을 기록할 때에는 상기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보조수단이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컴퓨터의 저장장치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 전원공급수단이 컴퓨터 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 전원공급수단을 위한 온/오프스위치는 컴퓨터의 메인 전원스위치와는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오디오를 보급할 수 있으며, 부피 또한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불휘발성 메모리 즉,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으며, 이에 의해 오디오의 부피감소 및 자료의 안정된 저장성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CD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방법 및 그 장치가 사용되는 오디오장치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라디오방송, 마이크에서 수신하는 육성, CD 또는 테이프와 같은 음원발생수단의 음원을 요구에 따라 임시저장부에 저장시킴으로써 초기음악데이터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제어부(14)는 인가되는 음악신호를 MP3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실시간 임시저장부(18)에 압축저장하여 초기음악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이는 일반 자기테이프에 녹음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지만, 저장후 사용자는 곡의 순서 및 일부곡의 삭제 등의 편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오디오는 그의 표시부(22)에 임시저장부의 기록상태를 세밀하게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가시형광표시장치
(VFD)와 같은 표시부 및 편집을 위한 키(Key)조작부(24)를 가진다. 상기 표시부(22)는 임시저장부(18)의 잔여용량, 녹음가능한 시간 등이 표시되며, 편집과정을 그래픽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1장의 CD에 기록할 수 있는 분량의 음악데이터를 시간간격을 두고 임시저장부(18)에 집적하게 되며, 그 기록이 다 채워졌을 때에는 1회의 작업에 의해 CD에 상기 초기음악데이터를 데이터기록부(16)에 인가함으로써, CD상에 음악데이터를 생성, 즉 녹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임시저장부(18)에 기록되어 있는 초기음악데이터를 바로 스피커를 통해 재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초기생성된 음악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동안 CD에 녹음을 실시할 수도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넷상에 공급되는 MP3 형식의 음악파일을 임시저장부(18)에 저장함으로써, 역시 CD에 그 기록된 음악데이터를 녹음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된 바와 같이 개인용 마이크로컴퓨터와 데이터버스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CD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저장방법 및 그 장치가 사용되는 오디오장치는 신호화할 수 있는 모든 음원을 CD에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간간격을 두고 CD의 모든 트랙에 데이터를 기록해 넣을 수 있게 되어 CD의 낭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임의로 곡의 배열변경, 일부 삭제 등의 편집을 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된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저장방법 및 장치는 단지 오디오장치에 치중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광디스크인 컴팩트디스크(CD)가 사용되는 분야라면 그 모두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AM/FM튜너,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또는 마이크로폰, CD플레이어와 같은 외부의 음원발생장치로부터 음원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와; 입력되는 음원신호가 MP3(MPEG Layer 3) 형식의 파일로 저장 및 집적됨으로써 초기음악데이터가 생성되는 메모리룸인 임시저장부와; 상기 초기음악데이터를 독출하여 CD에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기록부와; 제어부와; 상기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초기음악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LCD 또는 VFD와 같은 표시부 및 조작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녹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부는 자체적으로 설치되는 플래시메모리 (Flash Memory) 또는 개인용 마이크로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외부의 저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녹음장치.
KR2020000009886U 2000-04-07 2000-04-07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 KR200198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886U KR200198034Y1 (ko) 2000-04-07 2000-04-07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886U KR200198034Y1 (ko) 2000-04-07 2000-04-07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034Y1 true KR200198034Y1 (ko) 2000-10-02

Family

ID=1965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886U KR200198034Y1 (ko) 2000-04-07 2000-04-07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793B1 (ko) * 2002-05-09 2005-08-03 주식회사 휴링스 휴대용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793B1 (ko) * 2002-05-09 2005-08-03 주식회사 휴링스 휴대용 디스크 기록 및 재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961B1 (en)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JP2881980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2050157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H06139704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WO2002011138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numeriques
JPH10322651A (ja) 再生装置、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
KR200198034Y1 (ko) 컴팩트디스크를 저장매체로 하는 음악 데이터 녹음장치
KR20040085890A (ko) 타임쉬프트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기록/재생 장치 및 그방법
JPH09171664A (ja) 音楽情報再生装置及び音楽情報記録再生装置
CA2329570C (en) Audio recording medium, methods for recording data on and reproducing data from th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therefor
JPS6383984A (ja)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JP294845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994909B2 (ja) 記録再生装置
JP3682187B2 (ja) 録音再生システム及びその文字記録方法
JP3869776B2 (ja) ミニディスク再生装置
JP4394465B2 (ja) 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953115B2 (ja) 電子音楽再生装置の運用方法
KR100973867B1 (ko) 가라오케장치 및 그의 데이터 출력 방법
JP3244673B2 (ja) 光ディスクへのダビング装置
JPH08194982A (ja) Mdプレーヤ
JP3887545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36867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4635809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音声記録再生システム、音声記録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74850A (ja) 音声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音声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音声情報記録媒体
JP2004079061A (ja) メディアプレーヤー装置、メディアプレーヤープログラム、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トラック再生停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