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169Y1 -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169Y1
KR200197169Y1 KR2019950015436U KR19950015436U KR200197169Y1 KR 200197169 Y1 KR200197169 Y1 KR 200197169Y1 KR 2019950015436 U KR2019950015436 U KR 2019950015436U KR 19950015436 U KR19950015436 U KR 19950015436U KR 200197169 Y1 KR200197169 Y1 KR 200197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knife
mount
magazine
move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5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268U (ko
Inventor
김강산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50015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169Y1/ko
Publication of KR970003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1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이프에 의해 매거진 내에 수납된 리드프레임들을 하나씩 작업대의 이송레일로 이송한다. 상기 나이프를 상하 직선 운동, 수평 직선 운동 및 좌우 회전 운동시키도록 나이프에 마운트와 제1 선형 운동 수단, 스윙 운동 수단 및 제2 선형 운동 수단을 연결하였다. 따라서 매거진 내의 리드프레임을 안정된 모습으로 작업대의 이송레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다. 따라서 리드프레임의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제1도(a)는 종래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의 종단면도,
제1도(b)는 제1도(a)에 도시된 리드프레임의 끝부분이 구부러진 것을 나타낸 리드프레임의 확대 단면도,
제1도(c)는 제1도(b)에 도시된 끝부분이 구부러진 리드프레임이 작업대의 이송레일에 부딪히는 형상을 나타낸 리드프레임과 이송레일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중 나이프와 리드프레임의 종단면도,
제3도(a)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b)는 제3도(a)에 도시된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중 나이프와 마운트의 확대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의 평면도로서,
제4도(a)는 마운트와 나이프의 초기상태를 나타낸 마운트와 나이프의 평면도,
제4도(b)는 마운트와 나이프가 매거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나이프가 매거진 내에 삽입된 상태의 마운트와 나이프의 평면도,
제4도(c)는 나이프에 리드프레임이 흡착되어 나이프가 원상태로 수평이동된 상태의 마운트와 나이프의 평면도,
제4도(d)는 상기 마운트가 180°우측으로 회전하여 리드프레임을 작업대 방향에 배치시킨 상태의 상기 마운트와 나이프의 평면도,
제4도(e)는 상기 마운트가 작업대 방향으로 직선이동하여 상기 리드프레임을 이송레일 위에 올려 놓은 상태의 마운트와 나이프의 평면도,
제4도(f)는 상기 마운트와 나이프가 상기 작업대로부터 빠져나와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의 상기 마운트와 나이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드프레임 2 : 매거진
3 : 이송레일 4 : 나이프
5 : 마운트 6 : 진공 홀
7 : 제1 선형 운동 수단 8 : 스윙 운동 수단
9 : 제2 선형 운동 수단 11 : 작업대
본 고안은 리드프레임(Lead Frame)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드프레임 이송시 리드프레임의 휨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이송하고자 하는 이송레일의 선단에 부딪쳐 리드프레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키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리드프레임을 매거진에서 작업대로 이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매거진에 수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의 후미에서 수평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이 힘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작업대의 이송레일로 삽입되게 되는데, 이때 리드프레임의 노출된 부분이 길어질수록 앞 부분이 중력의 영향에 의해 아래쪽으로 휨이 발생하고,이 휨에 의해 삽입되어야 할 이송레일에 삽입되지 못하고 이송레일의 선단과 부딪치게 되어 리드프레임이 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도(a) 내지 제1 도(c)와 같이 도시되는 바, 제1 도(a)와 같이 리드프레임(1)이 매거진(2)에 수납되어 있으며, 리드프레임(1)은 매거진(2)의 승강 작용에 의해 이송레일(3)과 대응토록 위치하고, 이후 리드프레임(1)의 후미에서 이송레일(3)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리드프레임(1)은 이송레일(3)의 중앙부의 홀(3-1)을 향하여 이송되게 된다. 이때, 매거진(2)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온 리드프레임(1)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1 도(b)와 같은 휨 현상이 발생한다. 즉, 리드프레임(1)의 선단이 원래 진행하여야할 높이 보다 h1만큼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1 도(c)와 같이 리드프레임(1)의 선단이 이송레일(3)의 중앙부 홀(3-1)에 삽입되지 않고 그의 선단(3-2)과 부딪치게 되며, 이에 의해 리드프레임(1)에 손상이 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리드프레임 이송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줄일 수 있는 리드프레임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 이송장치는 매거진에 수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을 작업대로 이송하는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에 수납된 리드프레임을 받아서 작업대의 이송레일 위로 이송시키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를 수평 직선 운동, 상하 직선 운동 및 좌우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나이프에 결합된 마운트와, 상기 나이프를 상하 직선 운동시키도록 상기 마운트와 결합된 제1 선형 운동 수단과, 상기 나이프를 좌우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마운트 및 상기 제1 선형 운동 수단에 결합된 스윙 운동 수단과, 상기 나이프를 수평직선 운동시키도록 상기 스윙 운동 수단에 결합된 제2 선형 운동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1)이 매거진(2)에 수납되어 있으며, 리드프레임(1)의 하면은 매거진(2)의 승강작용에 의해 리드프레임(1)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인 마운트(mount, 5)와 결착된 나이프(4)의 상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일치되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나이프(4)는 매거진(2)에 수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1)의 하면 아래로 이동하여, 리드프레임(1)을 적재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에서의 리드프레임을 이송하기 위한 수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부분평면도는 제3 도(a) 및 제3 도(b)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본 고안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의 구성 단면도는 제3 도(a)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을 적재하기 위한 나이프(4)와, 나이프(4)를 구동키 위해 구동수단(7, 8, 9)과 결착되어 있는 마운트(5)와, 마운트(5)와 결착되어 있는 나이프(4)를 상하로 구동하기 위한 제1 선형 운동 수단(7)과, 나이프(4)를 180°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스윙 운동 수단(8)과, 나이프(4)를 좌우(선형)로 구동하기 위한 제2 선형 운동 수단(9)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나이프(4)에는 (b)도와 같이 적재된 리드프레임이 이송과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진공홀(6)이 다수개 설치 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진공홀(6)은 리드프레임의 피치(다이 본딩 패드간의 거리) 간격과 잘 일치되도록 형성하여 리드프레임을 강하게 흡착하며, 또한 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진공이 제거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나이프(4)는 마운트(5)에 결착되어 있으며, 마운트는 제1 선형 운동 수단(7)과 결착되어 대략 ㄱ자 형상을 이루고, 제1 선형 운동 수단(7)은 스윙 운동 수단(8)의 상측에 결착되어 있다. 이 스윙 운동 수단(8)의 하측에는 제2 선형 운동 수단(9) 위에서 운동하기 위한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2 선형 운동 수단(9)의 안내홈을 따라 선형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동작할 때는 제4 도(a)에서 제4 도(F)까지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4 도(a)와 같이 개략적으로 리드프레임 이송 장치를 사이에 두고 일측(좌측)에는 이송코자하는 리드프레임이 수납되어 있는 매거진(2)이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에는 이송되는 리드프레임을 가공하기 위한 작업대(11)가 작업 이송레일(3)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최초의 위치).
이러한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4 도(b)와 같이 이송장치가 매거진(2)쪽(도면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이송장치의 나이프(4)가 매거진(2)의 맨 위에 수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의 하면 아래로 삽입되고 이후 나이프(4)에 형성되어 있는 진공홀(6)에 의해 흡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4 도(c)와 같이 이송장치가 리드프레임(1)을 적재하고 최초의 위치(도면에서는 우측)로 복귀한다. 이송장치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면, 제4 도(D)와 같이 이송장치의 스윙 운동 수단(8)에 의해 리드프레임(1)을 적재하고 있는 나이프(4)가 180°회전한다. 이후 제4 도(E)와 같이 이송장치가 작업대(11)쪽(도면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이송장치의 나이프(4)가 리드프레임(1)을 작업대(11)의 이송레일(3) 위에 내려 놓는다. 물론 이때 나이프(4)의 진공홀의 진공압은 제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4 도(F)와 같이 이송장치가 최초의 위치(도면에서는 우측)로 복귀한다. 즉, 이송장치가 작업대(11)쪽(도면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하기 전의 상태에서, 제4 도(D)와 반대 방향으로 이송장치의 스윙 운동 수단(8)에 의해 나이프가 180°회전한다. 이후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리드프레임을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에서 리드프레임은 매거진(2)의 엘리베이터(10)에 의해 순차적으로 맨 위쪽으로 올라가는 방식을 취하며, 상기 나이프(4)는 제1 선형 운동 수단(7)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면서 매거진(2)에 삽입되고, 리드프레임을 적재하는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나이프에 마운트와 제1 선형 운동 수단, 스윙 운동 수단 및 제2 선형 운동 수단을 연결함으로써, 매거진 내의 리드프레임을 안정된 모습으로 작업대의 이송레일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다. 따라서 리드프레임의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매거진에 수납되어 있는 리드프레임을 작업대로 이송하는 리드프레임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에 수납된 리드프레임을 받아서 작업대의 이송레일 위로 이송시키는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를 수평 직선 운동, 상하 직선 운동 및 좌우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나이프에 결합된 마운트와,
    상기 나이프를 상하 직선 운동시키도록 상기 마운트와 결합된 제1 선형 운동 수단과,
    상기 나이프를 좌우 회전 운동시키도록 상기 마운트 및 상기 제1 선형 운동수단에 결합된 스윙 운동 수단과,
    상기 나이프를 수평 직선 운동시키도록 상기 스윙 운동 수단에 결합된 제2 선형 운동 수단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에는 적재된 리드프레임을 흡착하도록 다수개의 진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KR2019950015436U 1995-06-29 1995-06-29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KR200197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436U KR200197169Y1 (ko) 1995-06-29 1995-06-29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436U KR200197169Y1 (ko) 1995-06-29 1995-06-29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268U KR970003268U (ko) 1997-01-24
KR200197169Y1 true KR200197169Y1 (ko) 2000-11-01

Family

ID=1941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5436U KR200197169Y1 (ko) 1995-06-29 1995-06-29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1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268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0733B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KR100255464B1 (ko) 매거진 반송장치
JPH0770550B2 (ja) 半導体フレーム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200197169Y1 (ko)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JPS63502736A (ja) 製造装置
KR100569068B1 (ko) 패널 이송장치
KR100268599B1 (ko) 리드프레임에 대한 처리 또는 취급 라인용 이송 로보트
US5173338A (en) Lead frame workholder and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CN216793632U (zh) 一种半导体产品打标设备
KR100347381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스트립 이송 장치
KR100431432B1 (ko) 메탈 csp용 보호테이프 부착장치
KR200221960Y1 (ko) 다이본더의 리드 프레임 피딩장치
JP314405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CN113548454B (zh) 一种钢化玻璃包装盒的一体搬运装置及安装设备
KR960002491B1 (ko) 다중튜브직접회로이송장치
KR200151981Y1 (ko) 리드프레임 이송장치
KR100259874B1 (ko) 반도체 패키지용 스트립을 이송하는 장치
JP2961584B2 (ja) 電子部品のベース部押え装置
KR100440780B1 (ko) 트레이 반도체 부품배치장치
JP3289724B2 (ja) チップの実装装置
KR101380818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용 스트립 언로딩장치
JPH01156217A (ja) 板材の移送機構
KR19990000649A (ko) 반도체 가공장치의 반제품 이송장치
KR20000007549A (ko) 리드프레임 쉬프터
CN114030677A (zh) 一种适用于软板制造用包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