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723Y1 - 건강침구 - Google Patents

건강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723Y1
KR200193723Y1 KR2019970023840U KR19970023840U KR200193723Y1 KR 200193723 Y1 KR200193723 Y1 KR 200193723Y1 KR 2019970023840 U KR2019970023840 U KR 2019970023840U KR 19970023840 U KR19970023840 U KR 19970023840U KR 200193723 Y1 KR200193723 Y1 KR 200193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biopowder
aerobic microorganisms
distribution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471U (ko
Inventor
가즈츠기 나미
Original Assignee
가즈츠기 나미
가부시키가이샤 에루 엔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츠기 나미, 가부시키가이샤 에루 엔드지 filed Critical 가즈츠기 나미
Priority to KR2019970023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72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복수종류의 호기성 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킨 바이오시이트를 구성하여 넣은 건강침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건강침구는 호기성미생물의 탈취항균작용을 이용하여 쾌적한 수면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건강침구
본 고안은 호기성미생물이 가지는 탈취항균작용을 이용한 건강침구에 관한 것이다.
침구류, 즉 이불, 요, 시이트, 모포, 베개 등은 사용 개시후 곧 인체로부터 분비되는 땀, 때, 비듬 등이 부착하므로 혐기성미생물이 번식하기 쉬운 온도 및 습도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번식하는 혐기성미생물의 종류는 여러가지이나, 일부의 미생물은 침구류에 부착하고 있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암모니아 냄새 등을 발생시킨다. 또한 침구류에 부착하고 있는 유기물은 진드기의 먹이가 되어 게다가 진드기를 번식시켜, 진드기가 원인인 피부염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들 침구류에 있어서 증식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혐기성미생물로 알려진 것에는 칸디다, 스타필로코커스, 클렙시엘라, 슈도모나스, 알칼리게네스, 알터나리아, 트리코델마, 푸자리움 등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자는 쾌적하고 기분좋은 수면을 얻을 수 있는 위생적이고 이상적인 침구류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적당한 습도를 가지는 산소분위기하에서 활성화가 인정되는 호기성미생물에 특히 높은 탈취항균효과가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 호기성미생물을 침구류에 적용함에 의해 혐기성미생물에서 기인하는 모든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상적인 건강침구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
따라서, 본 고안은 호기성미생물의 탈취항균작용을 이용하여 쾌적한 수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침구류로서의 요에 호기성 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킨 바이오시이트를 구성하여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제2도는 바이오파우더 분포체(分包體)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요에 형성한 포켓내에 바이오파우더 분포체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탄성체 2 : 폴리에스테르면(綿)
3 : 바이오시이트 4 : 천
5 : 바이오파우더 분포체 6 : 요
7 : 포켓 8 : 바이오파우더
9 : 주머니 10 : 개구 테두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술하면, 청구항 1에 관련된 고안은 복수종류의 호기성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킨 바이오시이트를 구성하여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침구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관련된 고안은 제올라이트나 펄라이트와 같은 미세분말상의 다공질 담체에 호기성미생물을 함침흡착시켜 구성한 바이오파우더의 적당량을 호기성미생물은 통과하지만 다공질담체는 통과하지 않는 세극을 가지는 천 제품의 적당한 크기의 주머니 안에 넣고 당해 주머니의 개구 테두리부를 히트시일(heat seal) 는 접착에 의해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바이오파우더 분포체를 침구류에 부설한 포켓 내에 탈착 자재로 수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침구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호기성미생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Streptomyces 속, Micrococcus 속, Nitrobacter 속에 포함되는 호기성미생물 및 이들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모든 호기성미생물이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침구류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불, 요, 시이트, 모포 외에 매트 리스, 깔개, 베개 등 모든 침장용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관련된 건강침구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침구류로서의 요에 호기성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킨 바이오시이트를 구성하여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2도는 바이오파우더 분포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요에 형성한 포켓내에 바이오파우더 분포체를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도에서 도시하는 실시예는 호기성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킨 바이오시이트를 구성하여 넣은 요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 중의(1)은 독립기포구조 또는 연속기포구조의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이며, 이 탄성체(1)를 베이스로 하고, 당해 탄성체(1)의 상면에 폴리에스테르면, 특히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스 파우더를 배합 정착시킨 특수 폴리에스테르면(2)을 배설하고, 또한 당해 폴리에스테르면(2)의 상면에 복수종류의 호기성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킨 바이오시이트(3)를 배치하여 삼층구조의 심재를 형성하고, 당해 심재의 전체를 천(4)으로 덮어서 구성한 것이다.
바이오시이트(3)에는 한 종류의 호기성미생물이 아닌, 성질, 효능 등을 달리하는 복수 종류, 예를 들면 400 종 이상이나 되는 다종류의 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키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성상이 다른 냄새성분이나 유해성분에 대하여 유효한 산소 분해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바이오시이트(3)는 세폭 테이프상의 것을 시이트상으로 함께 이어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소정의 퍼짐성을 가진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재에 복수 종류의 호기성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킨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바이오시이트(3)에 함침정착시킨 것은 호기성미생물이며, 신선한 산소의 공급이 충분히 행해짐과 동시에 적당한 습도가 확보되도록, 심재를 덮는 천(4)에는 통기성이 양호한 것을 사용하지만, 천(4)에는 누빔을 실시하여도 하등 지장이 없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를 침구류로서의 요(6)의 표면에 부설한 포켓(7) 내에 탈착 자재로 수납하도록 한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는 다음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는 제올라이트나 펄라이트와 같은 미세분말상의 다공질 담체에 호기성미생물을 함침흡착시켜 바이오파우더(8)를 작성하고, 당해 바이오파우더(8)의 적당량을 호기성미생물은 통과하지만 다공질 담체는 통과하지 않는 세극을 가지는 천 제품의 적당한 크기의 주머니(9) 내에 넣고, 당해 주머니(9)의 개구 테두리부(10)를 밀봉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주머니(9)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제 또는 천연섬유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천연섬유 중에 합성수지섬유를 넣어서 뜬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주머니(9)로서는 이들 섬유를 사용한 직물이어도 좋고, 또는 부직포이어도 좋다. 주머니(9)의 재질로서 합성수지섬유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 바이오파우더(8)를 넣은 주머니(9)의 개구 테두리부(10)는 히트시일에 의해 간단히 밀봉할 수 있다.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를 요(6)에 적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단순히 요(6)의 표면에 당해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를 적치시키는 것과 같이 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나, 이 경우는 숙면중에 뒤척임 등과 함께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가 요(6)의 바깥으로 눌려나올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다지 바람직한 사용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침구류로서의 요(6)의 표면에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포켓(7)을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러개 형성하여 당해 포켓(7) 내에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를 탈착 자재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또한, 포켓(7)의 출입구부에 적당한 덮개천을 봉착하여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가 포켓(7)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운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고안의 건강침구에 의한 경우, 호기성미생물이 사용개시후 곧 침구류 전체에 확산하므로 당해 호기성미생물의 탈취항균작용에 의해 혐기성미생물의 활동이 억제되어 유해미생물의 증식에 기인하는 악취의 발생 등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한 경우는 바이오파우더 분포체의 교환이 자유로우며 호기성미생물의 보충이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탄성체(1)를 베이스로하고, 당해 탄성체(1)의 상면에 폴리에스테르면(2)을 배설하고, 당해 폴리에스테르면(2)의 상면에 복수종류의 호기성 미생물을 함침정착시킨 바이오부재(3)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부재가 제올라이트나 펄라이트와 같은 미세분 말상의 다공질담체에 호기성미생물을 함침흡착시켜 구성한 바이오파우더(8)를 호기성미생물은 통과하지만 다공질담체는 통과하지 않는 세극을 가지는 천 제품의 주머니(9) 안에 넣고 당해 주머니(9)의 개구 테두리부(10)를 히트시일 또는 접착에 의해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로 이루어지며, 당해 바이오파우더 분포체(5)를 침구류 상면에 부설한 포켓(7)내에 탈착 자재로 수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침구.
KR2019970023840U 1997-08-29 1997-08-29 건강침구 KR200193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840U KR200193723Y1 (ko) 1997-08-29 1997-08-29 건강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840U KR200193723Y1 (ko) 1997-08-29 1997-08-29 건강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471U KR19990010471U (ko) 1999-03-15
KR200193723Y1 true KR200193723Y1 (ko) 2000-09-01

Family

ID=1950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840U KR200193723Y1 (ko) 1997-08-29 1997-08-29 건강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7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555B1 (ko) * 2002-05-13 2004-09-30 주식회사 비오투 방향제 탈부착형 향기나는 이불
KR100464828B1 (ko) * 2002-10-31 2005-01-13 박정호 유효미생물 발효액을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471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2008A (en) Absorbent sheet like mat
EP0687433A1 (en) Bedding articles
US20120118239A1 (en) Odor reducing pet bed
KR200193723Y1 (ko) 건강침구
JP2000202011A (ja) 消臭除湿シ―ト
JP3094910U (ja) 人体部位支持体
JP2000189290A (ja) クッション
JP3124364U (ja) 寝具
JP3036932U (ja) 抗菌性寝具類
JPH08256891A (ja) 機能性寝具
JPS6122536Y2 (ko)
KR200368041Y1 (ko) 황토 시트
JP3028545U (ja) 着脱自在内装具収納寝具類
JP3086848U (ja) 竹炭収納庫付きベッド
JP3061949U (ja) シ―プスキンおよびシ―プスキン製クッション体
JP3040941U (ja) まくら
JP3022201U (ja) 健康マット
KR200190256Y1 (ko) 숯솜과 연옥이 부설된 삼베패드
JP3087207U (ja) 葬祭用布団及び葬祭用布団セット
JPH0972072A (ja)
KR20030089679A (ko) 숙면을 편리하게 유도하여 주는 베게와 그 구성방법
JP3067465U (ja) ベッドパッド
JPH11248A (ja) 機能性シーツ
KR200343657Y1 (ko) 향기발산부재와 공기 정화부재의 작용에 의해 실내의 공기 정화 작용과 수면자의 몸체에 향기가 용이하게 접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침구류의 구조
JP3095112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