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552Y1 -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 Google Patents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552Y1
KR200186552Y1 KR2019980008689U KR19980008689U KR200186552Y1 KR 200186552 Y1 KR200186552 Y1 KR 200186552Y1 KR 2019980008689 U KR2019980008689 U KR 2019980008689U KR 19980008689 U KR19980008689 U KR 19980008689U KR 200186552 Y1 KR200186552 Y1 KR 200186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steering
driven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716U (ko
Inventor
박세철
Original Assignee
박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철 filed Critical 박세철
Priority to KR2019980008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552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7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7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50Self-propelled ploughs
    • A01B3/58Self-propelled ploughs with two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의 구조를 갖춤으로서 제작상의 편리함을 얻을수 있고, 고장발생이 적어서 내구성이 향상되며, 경운기와 트렉터가 작업할수 없는 비탈진 밭과 과수원 등의 협소한 농로등에서 이동이 자유롭고 경작 작업이 편리함으로서 농경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개선할수 있는 2륜식 다용도 경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농경작업시 사용되는 경작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보디; 상기 보디의 전방측에 조향축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조향휠이 갖춰진 조향기구; 상기 조향축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구동바퀴; 상기 보디의 후방측에서 상,하 승강가능한 종동바퀴; 상기 후방종동바퀴의 전방측에서 절첩가능한 소부; 상기 보디의 전방상부측에 위치되어 구동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및, 상기 구동기구를 온-오프시키고 조정하여 구동바퀴의 회전 및 정지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본 고안은 농경작업시 사용되는 경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소형의 구조를 갖춤으로서 제작상의 편리함을 얻을수 있고, 고장발생이 적어서 내구성이 향상되며, 경운기와 트렉터가 작업할수 없는 비탈진 밭과 과수원 등의 협소한 농로등에서 이동이 자유롭고 경작 작업이 편리함으로서 농경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개선할수 있는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탈진 부분을 경작할 경우에는, 장치자체의 중량과 부피가 큰 경운기 등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필연적으로 소와 쟁기등을 이용한 재래식 농법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쟁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를 이용하여 제작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쟁기(100)는 나무프레임(110)의 전방부에 걸고리(112)가 형성되어 소에 연결끈(미도시)을 통하여 연결되고,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밭을 갈기 위한 소부(120)가 장착되며, 프레임(110)의 후방측으로는 농부가 쟁기(100)를 고정하고 방향을 바꾸기 위한 손잡이(130)등이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쟁기(100)는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소를 사육하여야 하는 것이고, 그 수명이 영구적이지 못하며, 기계화작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업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과수원이나 비탈진 밭과 같이 경사진 농경지를 작업하는 경우에는 트랙터나 경운기등이 전복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수 있으며, 작물과 작물사이를 오가며 골타기 등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소와 경운기 등의 작업이 불가하여 농부에 의한 수작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과다한 노동력이 필요하고, 기계화작업에 의한 작업생산성의 향상이 필요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형의 구조를 갖춤으로서 제작상의 편리함을 얻을수 있고, 고장발생이 적어서 내구성이 향상되며, 경운기와 트렉터가 작업할수 없는 비탈진 밭과 과수원 등의 협소한 농로등에서 이동이 자유롭고 경작 작업이 편리함으로서 농경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개선할수 있는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경작장치인 쟁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에 갖춰진 조향축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에 갖춰진 핸들과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에 갖춰진 조향핸들과 조향축의 동력전달계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에 갖춰진 후방바퀴의 높이조절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에 갖춰진 소부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디 20..... 조향기구
22..... 조향축 25..... 전방 구동바퀴
27..... 후방 종동바퀴 30..... 타이밍 벨트
54..... 핸들 60..... 소부
72..... 엔진 80..... 밧테리
85..... 제어장치 90..... 손잡이
100.... 쟁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농경작업시 사용되는 경작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보디; 상기 보디의 전방측에 조향축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조향휠이 갖춰진 조향기구; 상기 조향축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구동바퀴; 상기 보디의 후방측에서 상,하 승강가능한 종동바퀴; 상기 후방종동바퀴의 전방측에서 절첩가능한 소부; 상기 보디의 전방상부측에 위치되어 구동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및, 상기 구동기구를 온-오프시키고 조정하여 구동바퀴의 회전 및 정지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1)는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보디(10)를 갖는바, 상기 보디(10)는 철제프레임의 구조를 갖추고, 전,후방측에 각각 구동 및 종동바퀴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디(10)의 전방측에는 조향축(22)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조향휠(24)이 갖춰진 조향기구(20)가 갖춰지는 바, 상기 조향기구(2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10)의 전방측 원통구멍(12)에 조향축(22)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22)의 하단에는 전방 구동바퀴(25)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요크(yoke)(28)가 형성되며, 조향축(22)의 상단에는 종동풀리(29a)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풀리(29a)는 타이밍벨트(30)를 통하여 상기 보디(10)의 중앙상부측으로 연장된 회전축(32)의 구동풀리(29b)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2)의 상단에는 농부가 조향축(22)을 통하여 구동바퀴(25)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향휠(24)이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향휠(24)을 회전시키면, 이는 회전축(32)과 구동풀리(29b) 및 벨트(30)와 종동풀리(29a)를 통하여 조향축(22)을 회전시키고, 상기 조향축(22)의 하단 요크(28)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바퀴(25)를 회전시켜서 보디(10)의 주행방향을 바꾸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향축(22)은 보디(10)의 원통구멍(12)에 끼워지는 중간부분이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키(22a)와 키홈(22b)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추고, 상기 원통구멍(12)의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며 원통구멍(12)의 상,하단에 형성된 나사부(12a)에 캡(12b)을 통하여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29b)와 조향휠(24)이 장착된 회전축(32)은 본 장치의 전진작동중에 보디(10)의 측방에서 상기 회전축(32)으로 관통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33b)에 의해서 보디(10)에 대하여 일정하게 고정될수 있는 바,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2)이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보디(10)의 측방으로 나사구멍(33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33a)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33b)를 갖추어 본 고안의 장치가 동작하여 전,후진이 이루어지는 경우, 보디(10)에 대한 회전축(32)의 회전을 방지하고 회전축(32)을 잠궈고정하는 기능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 고정나사(33b)를 깊게 나사구멍(33a)으로 진입시키는 경우, 나사(33b)의 선단이 회전축(32)에 밀착되어 회전축(32)의 원하지 않는 회전을 방지함으로서 본 고안의 장치의 이동중에 작업자는 조향휠(24)을 손으로 잡지 않더라도 이러한 고정나사(33b)를 이용하여 잠금으로서 일정한 방향으로의 주행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향축(2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구동바퀴(2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축(22)의 요크(28)에 고정되는 샤프트(34)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구동바퀴(25)의 일측으로는 종동스프로켓(36a)이 연결되어 샤프트(34)에 끼워지며, 타측으로는 브레이크 원판(39)이 연결되어 샤프트(34)에 끼워짐으로서 상기 종동스프로켓(36a)와 구동바퀴(25) 및 브레이크 원판(39)이 서로 일체화되어 상기 샤프트(34)상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종동 스프로켓(36a)과 브레이크 원판(39)의 양측으로는 조향축 요크(28)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와셔(42)가 각각 끼워지며, 상기 요크(28)의 양측으로는 샤프트(3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43)이 배치되며, 고정판(43)의 양측에서 너트(45)가 상기 샤프트(34)에 결합되고 있다.
한편, 상기 보디(10)의 후방측에서 상,하 승강가능한 종동바퀴(2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10)의 후방하부측에 수직으로 내장된 스크류축(48)상에 복수개의 너트(49)가 연결되고, 상기 너트(49)로 부터 보디(10)의 후측면의 긴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연결편(5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스크류축(48)의 상단에 마련된 베벨기어쌍(53)이 상기 보디(10)의 후방측 중간지점에 형성된 핸들(5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춤으로서 농부가 상기 핸들(54)을 회전시키면, 베벨기어쌍(53)을 통하여 회전방향이 수직으로 바뀌어 스크류축(48)이 회전함으로서 상기 스크류축(48)에 장착된 복수개의 너트(49)가 보디(10)의 긴구멍(16)을 따라서 승하강하고 상기 너트(49)에 연결편(51)을 통하여 장착된 후방종동바퀴(27)가 상하로 승하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방 종동바퀴(27)가 승하강하게 되는 이유는 이후에 설명될 소부(60)에 의한 경작 깊이를 조절할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방종동바퀴(27)는 핸들(54)과 한쌍의 베벨기어(53) 및 수직으로 장착된 스크류축(48)과 너트(49)및, 연결편(51)에 의하여 보디(10)의 후방하단측에서 상,하로 높이조절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종동바퀴(27)의 전방측에서 절첩가능한 소부(60)는 땅이나 밭, 경작지를 파는 기구로서,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은 폭이 넓고, 하부측은 폭이 좁은 구조를 갖는 것이며, 상단부가 힌지축(62)을 통하여 상부로 접을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부(60)의 전면상측에는 줄걸이(64)가 연결되고, 상기 줄걸이(64)의 줄(65)은 그 상부측의 방향전환 풀리(67)를 통하여 보디(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단이 연결된 레버(69)의 중간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69)는 그 일측으로 스토퍼(69a)를 형성하고, 상단은 손잡이(69c)를 형성하며, 경작 작업시에는 상기 소부(60)가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방으로 위치되지만, 본 고안의 장치의 이동중이나 경작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레버(69)를 당기어 소부(60)를 들어 올리고 레버(69)를 그 후방의 걸고리(69b)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상기 레버(69)의 전진을 막아서, 상기 소부(60)가 일정높이로 들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도 2의 점선 참조).
그리고, 상기 보디(10)의 전방상부측에 위치되어 구동바퀴(25)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10)의 전방측에 구동원인 엔진(72)이 장착되고, 상기 엔진(72)의 출력축(48)에는 클러치(73)와 구동스프로켓(36b)이 장착되어 상기 구동스프로켓(36b)과 종동스프로켓(36a)이 체인(74)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원인 엔진(72)은 경운기나, 소형오토바이 및, 트랙터 등에 사용가능한 소형 내연기관엔진이며, 상기 엔젠으로는 연료공급계통이 연결되어 연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72)은 조향축(22)의 전방으로 돌출한 받침대(75)상에 장착되며, 상기 받침대(75)의 양측으로는 상기에서 샤프트(34)를 고정하기 위하여 갖춰진 고정판(43)이 부착되며, 상기 고정판(43)의 내측에 체인(74)이 위치되어 외부로 부터 체인(74)이 보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엔진(72)은 일측에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시동모터(77)가 위치되고, 상기 시동모터(77)의 출력축(77a)은 상기 엔진(72)의 회전축에 벨트(78)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발전기(79)가 장착되어 보디(10)의 일측에 장착된 밧테리(80)를 충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구(70)를 온-오프시키고 조정하여 구동바퀴(25)의 회전 및 정지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8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10)의 후방측에 장착되어 엔진(72)의 시동을 위한 키삽입구(87)가 갖춰지고, 상기 키 삽입구(87)에 끼워져서 회전되는 시동키(미도시)에 의하여 엔진(72)의 시동 및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보디(10)의 후방측 손잡이(90)에는 일측으로 조명스위치(92)가 장착되며, 상기 조명스위치(92)는 보디(10)의 전방에 장착된 조명 등(92a)에 밧테리(80)로 부터 전원을 단속하여 온-오프가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90)의 하부에는 각각 브레이크 레버(93a)와 상기 엔진(72)의 출력축(48)에 마련된 클러치(73)를 개폐시키는 클러치 레버(93b)등이 장착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93a)에서 연결된 줄(94a)은 상기 전방 구동바퀴(25)의 일측에 마련된 브레이크 원판(39)의 브레이크 슈(94c)를 동작시켜서 브레이크 슈(94c)가 브레이크 원판(39)을 선택적으로 잡아주어 브레이크 원판(39)에 연결된 구동바퀴(25)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레버(93b)도 이에 연결된 줄(94b)을 통하여 상기 엔진(72) 출력축의 클러치(73)를 개폐시킴으로서 농부가 본 장치(1)를 정지시키고자 할 때 상기 클러치 레버(93b)와 브레이크 레버(93a)를 힘껏 쥐면, 엔진(72) 출력축의 클러치(73)가 개방됨으로서 엔진(72)의 회전력이 구동 스프로켓(36b)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구동바퀴(25)를 회전시키지 않으며, 동시에 브레이크 슈(94c)가 브레이크 원판(39)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시 전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 레버(93b)와 브레이크 레버(93a)를 개방시킴으로서 클러치(73)가 서로 결합되어 구동바퀴(25)로 엔진(72)의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서 구동바퀴(25)를 회전시키고, 브레이크 슈(94c)가 브레이크 원판(39)으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구동바퀴(25)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구동엔진(72)과 이를 조정하는 구동기구(70) 및 제어장치(85)들은 일반적인 소형원동기와 이를 제어하는 콘트롤장치등으로 이루어질수 있기 때문에, 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지만, 상기 구동원인 엔진(72)과, 구동기구(70) 및 제어장치(85) 등을 통하여 구동바퀴(25)의 회전 및 정지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그에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를 이동시킬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85)에는 상기 엔진(72)의 출력을 상승시켜서 장치의 전진속도를 향상시킬수 있는 액셀레이터(미도시)등이 갖춰질수 있으며, 이 또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향축(2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축(22)의 후방측으로 복수개의 돌기(96a)를 장착하고, 이에 대향하는 보디(10)위치에는 스토퍼(96b)를 장착함으로서 보디(10)에 대하여 조향축(48)(22)이 어느 한 방향으로 대략 65°내지 85°정도로 꺽어지게 되면, 상기 돌기(96a)가 스토퍼(96b)에 지지되어 조향축(22)의 과다한 꺽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는 연료탱크(98)와 연료공급펌프(98a)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1)는 농부가 시동키를 제어장치(85)의 키 삽입구(87)에 넣고서 회전시키면, 상기 시동모터(77)가 구동하면서 엔진(72)을 동작시키고, 엔진(72)의 회전력이 클러치(73)를 통하여 구동스프로켓(36b)을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스프로켓(36b)에 체인(74)을 통하여 연결된 종동스프로켓(36a)이 회전하면서 전방 구동바퀴(25)를 회전시킴으로서 장치 전체가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후방바퀴(27)는 종동회전함으로서 보디(10)의 후방부를 지지하고, 이러한 이동중에 소부(60)가 농경지를 파헤치게 되며, 상기 소부(60)가 농경지를 파헤치는 깊이는 상기 후방바퀴(27)의 상하높이에 따라서 조절되는 것이다. 즉, 농부가 상기 후방바퀴(27)를 상승시키도록 핸들(54)을 회전시키면, 이는 베벨기어쌍(53)을 통하여 스크류축(48)을 회전시키고, 상기 스크류축(48)의 회전에 의해서 너트(49)와 연결편(51)을 통하여 후방바퀴(27)가 상승된다. 그러나, 상기 후방바퀴(47)가 상승되면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소부(60)는 보다 농경지의 내부로 깊게 삽입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경작 깊이로서 농경지를 개발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도중에 본 고안의 장치(1)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클러치 레버(93b)와 브레이크 레버(93a)를 당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러치 레버(93b)와 브레이크 레버(93a)는 각각 클러치(73)를 개방시키고, 브레이크원판(39)을 브레이크슈(94c)가 고정시킴으로서 엔진(72)의 출력이 구동바퀴(25)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작동을 이루게 함으로서 장치의 전방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전진을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 레버(93b)와 브레이크 레버(93a)를 개방시킴으로서 이는 클러치(73)가 결합되고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정상적인 전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한 경우, 본 고안의 장치(1)는 조명 등(92a)에 밧테리(80)로 부터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시킬수 있다. 이는 손잡이(90)의 일측에 마련된 조명스위치(92)를 작업자가 온-오프시킴으로서 이룰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장치가 단순히 이동중일 때에는 후방바퀴(27)의 위치를 최하단으로 내리고, 소부(60)의 레버(69)를 당겨서 들어 올리게 되면, 소부(60)의 하단이 지면에서 상승됨으로서 지면과는 구동바퀴(25)와 종동바퀴(27)만이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활한 이동을 이룰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탈진 경작와 과수원, 과수와 과수사이 또는 곡물과 곡물사이를 오가면서 작업이 가능하고, 농로가 협소하여 4륜 경윤기 등의 이동이 불가능한 농장등에서 작업수행이 용이하다. 그리고, 재래식 농법인 소를 배제하여 기계화함으로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수 있으며, 본 장치는 간단한 2륜구조를 갖춤으로서 종래의 4륜 경운기나 트랙터 등에 비하여 고장을 최소화하고, 제작 및 보수유지가 용이하며, 사용상의 편리함을 이룰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농경작업시 사용되는 경작장치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보디(10); 상기 보디(10)의 전방측에 조향축(22)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조향휠(24)이 갖춰진 조향기구(20); 상기 조향축(22)의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구동바퀴(25); 상기 보디(10)의 후방측에서 상,하 승강가능한 종동바퀴(27); 상기 후방종동바퀴(27)의 전방측에서 절첩가능한 소부(60); 상기 보디(10)의 전방상부측에 위치되어 구동바퀴(25)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70);및, 상기 구동기구(70)를 온-오프시키고 조정하여 구동바퀴(25)의 회전 및 정지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85); 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바퀴(27)는 보디(10)의 후방하부측에 수직으로 내장된 스크류축(48)상에 복수개의 너트(49)가 연결되고, 상기 너트(49)로 부터 보디(10)의 후측면의 긴구멍(16)을 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연결편(5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스크류축(48)의 상단에 마련된 베벨기어쌍(53)이 상기 보디(10)의 후방측 중간지점에 형성된 핸들(5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춤으로서 농부가 상기 핸들(54)을 회전시키면, 베벨기어쌍(53)을 통하여 스크류축(48)이 회전함으로서 상기 너트(49)에 연결편(51)을 통하여 장착된 종동바퀴(27)가 상하로 승하강되는 구조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기구(20)의 조향축(22)은 상단에는 종동풀리(29a)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풀리(29a)는 타이밍벨트(30)를 통하여 상기 보디(10)의 중앙상부측으로 연장된 회전축(32)의 구동풀리(29b)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32)의 상단에는 조향휠(24)이 장착되고, 상기 조향축(22)은 보디(10)의 원통구멍(12)에 끼워지는 중간부분이 서로 분리가능하도록 키(22a)와 키홈(22b)으로 결합되어 상기 원통구멍(12)의 상,하 방향으로 끼워지는 한편, 원통구멍(12)의 상,하단에 형성된 나사부(12a)에 캡(12b)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구조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은 보디(10)의 측방으로 나사구멍(33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33a)으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33b)를 갖추어 보디(10)에 대한 회전축(32)의 회전을 방지하고 회전축(32)을 잠궈고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KR2019980008689U 1998-05-25 1998-05-25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KR200186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89U KR200186552Y1 (ko) 1998-05-25 1998-05-25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89U KR200186552Y1 (ko) 1998-05-25 1998-05-25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16U KR19990041716U (ko) 1999-12-27
KR200186552Y1 true KR200186552Y1 (ko) 2000-07-01

Family

ID=1953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689U KR200186552Y1 (ko) 1998-05-25 1998-05-25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5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452B1 (ko) 2014-09-05 2016-01-11 강동길 농사 관리기용 농경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16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50859A (en) Rotary tiller
KR101849842B1 (ko) 밭갈이 장치
KR200186552Y1 (ko) 2륜식 다용도 경작장치
JP3833065B2 (ja) 歩行型作業機
US1369745A (en) Plow
JP3595259B2 (ja) ロータリ耕耘機
US3734198A (en) Power plow
JPS6314565Y2 (ko)
JP4240434B2 (ja) 管理機
JP2557014Y2 (ja) 耕耘機の耕深調節装置
JPH052006Y2 (ko)
JP2685700B2 (ja) 歩行形水田作業機
JPH07115801A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S60736Y2 (ja) 平畝形成装置
JP3744602B2 (ja) 農作業機のリヤヒッチ構造
JPH0740802B2 (ja) ロ−タリ耕耘装置
JP6539858B2 (ja) 管理機のロータリ耕耘装置
JPS5849880Y2 (ja) トラクタ−の運転部構造
CN2247405Y (zh) 小型水旱耕整机
JPH0639524Y2 (ja) 一輪管理作業機
JPH0649125Y2 (ja) ロータリー耕耘装置のリアカバー
JPS6026561Y2 (ja) 畦立装置
JPH0647201Y2 (ja) 歩行型深耕装置
JP2001190101A (ja) フロントロータリ耕耘部支持装置
JPH01373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