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842B1 - 밭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밭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842B1
KR101849842B1 KR1020160047119A KR20160047119A KR101849842B1 KR 101849842 B1 KR101849842 B1 KR 101849842B1 KR 1020160047119 A KR1020160047119 A KR 1020160047119A KR 20160047119 A KR20160047119 A KR 20160047119A KR 101849842 B1 KR101849842 B1 KR 10184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shaft
hole
wheel
p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221A (ko
Inventor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철 filed Critical 김광철
Priority to KR102016004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8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4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disk-like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7Lifting devices; Depth regulation devices; Moun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0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를 장착하여 주행시킬 수 있고 바퀴를 분리하고 쟁기를 장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밭을 밭갈이할 수 있는 밭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100)과, 동력수단(1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00)과, 동력수단(100) 및 회전축(500)이 장착되는 차체(200)과, 차체(200)의 방향을 조작하는 핸들(300)과, 핸들(400)에 구비되어 동력발생수단(100)을 조작하는 동력조작수단(400)과, 회전축(500)에 구비되어 회전축(500)과 함께 회전되어서 밭갈이하는 쟁기부재(600)와, 회전축(500)의 양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밭갈이 장치{PLOW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밭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퀴를 장착하여 주행시킬 수 있고 바퀴를 분리하고 쟁기를 장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밭을 밭갈이할 수 있는 밭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밭은 농작물 수확 후에 다른 품종을 파종하거나 농지의 정지작업을 위하여 밭을 간다.
종래에는 밭을 갈기 위하여 소와 같은 짐승을 이용하였으나 짐승을 사육하면서 밭을 갈 수 있도록 훈련시켜야 하는 폐단이 있었고, 그 작업상태가 고르지 못하면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능률적이지 못한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운기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운기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바퀴와 바퀴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공 회전되는 보조바퀴가 구비된 상태에서, 바퀴 및 보조바퀴의 사이에 쟁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바퀴 및 보조바퀴의 높이에 의해 쟁기가 밭을 깊게 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59439호(5012.03.15.)가 게재된 바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퀴를 장착하여 주행시킬 수 있고 바퀴를 분리하고 쟁기를 장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밭을 밭갈이할 수 있는 밭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밭갈이 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100)과, 동력수단(1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00)과, 동력수단(100) 및 회전축(500)이 장착되는 차체(200)과, 차체(200)의 방향을 조작하는 핸들(300)과, 핸들(300)에 구비되어 동력발생수단(100)을 조작하는 동력조작수단(400)과, 회전축(500)에 구비되어 회전축(500)과 함께 회전되어서 밭갈이하는 쟁기부재(600)와, 회전축(500)의 양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밭갈이 장치는, 바퀴를 장착하여 원하는 장소로 편리하게 주행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바퀴를 분리시킬 수 있어서 바퀴의 높이만큼 쟁기가 하강하므로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밭을 깊게 밭갈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밭이 갈아지는 깊이를 확인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깊이로 밭을 갈 수 있다.
또한, 바퀴를 장착한 상태에서 스파이크쟁기를 장착하여 밭을 깊게 갈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밭갈이 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축에 바퀴가 장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수단에 쟁기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축에 바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축에 결합된 바퀴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퀴에 의해 차체가 주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쟁기부재에 의해 밭갈이 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스파이크쟁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밭갈이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수단(100)과, 회전축(500)과, 차체(200)과, 핸들(300)과, 동력조작수단(400)과, 쟁기부재(600)와, 바퀴(700)를 포함한다.
동력수단(10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가솔린이나 경유와 같은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통과, 연료통에서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엔진의 동력을 회전축(500)에 전달하기 위해 기어(110)들과 체인(120)으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수단(100)은 엔진(130)을 대신하여 연료를 연소시켜서 발전하는 발전기와,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동력전달부(10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101)의 기어(110)가 엔진(130)의 축에 연결되고, 동력전달부(101)의 다른 기어(110)가 회전축(500)에 고정되며, 기어(110)들에 체인(1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연료가 공급되어 엔진(130)이 작동되면 엔진(130)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101)를 통해 회전축(500)으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500)이 회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동력수단(100)을 대신하여 경운기나 트랙터에 적용되는 경우 경운기나 트랙터의 엔진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차체(200)은 동력수단(100)이 장착되는 것으로, 금속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차체(200)의 상부에 동력수단(100)이 구될 수 있고, 차체(200)의 하부에 회전축(50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동력수단(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동력전달부(101)의 기어(110)에 회전축(500)이 연결된다,
그리고, 차체(200)에는 필요에 따라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대(2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대(210)는 차체(200)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210)를 지면에 지지시키면 차체(200)이 기울어지지 않고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고 보관소에 주차시켜서 보관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차체(200)를 주행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대(210)를 접어서 지면에서 이격시켜야 한다.
따라서, 차체(200)의 상부에 노출된 동력수단(100)은 사용자에 의한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차체(200)의 하부에 돌출된 회전축(500)에 장착되는 쟁기부재(600)가 지면을 향하는 상태가 되므로 쟁기부재(600)에 의해 밭갈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300)은 차체(200)의 방향을 조작하는 것으로, 'V', 'Y', 'T'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차체(200)에서 분기되는 핸들(300)의 양단을 양손으로 파지하여 좌우로 회전시켜서 차체(200)의 방향을 조작할 수 있다.
동력조작수단(400)은 핸들(400)에 구비되어 동력발생수단(100)을 조작하는 것으로, 동력발생수단(100)을 작동시키는 스타트스위치와 동력발생수단(100)의 속도를 증감시키는 액셀 및 동력발생수단(100)의 속도를 가변시키는 변속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변속기를 조작한 상태에서 액셀을 작동시키면 동력발생수단(100)의 속도가 증가되어 회전축(500)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500)에 바퀴(700)가 연결된 경우에는 바퀴(700)가 회전되어서 차체(200)을 주행시키고, 회전축(500)에 쟁기부재(600)가 연결된 경우에는 쟁기부재(600)가 회전되어서 밭을 갈 수 있다.
회전축(500)은 동력수단(1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수단(10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후술되는 바퀴고정부(730)의 축관통홀(732)에 연통되는 축연통홀(510)이 형성되고, 회전축(50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평탄면(5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평탄면(520)이 다수로 구성되어 회전축(5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이어지게 형성되면 4각이나 6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500)은 외주면에 외측평탄면(520)이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사각형태나 육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쟁기부재(600)는 회전축(500)에 구비되어 회전축(500)과 함께 회전되어서 밭갈이하는 것으로, 회전축(500)에 고정되는 회전브라켓(610)과, 회전브라켓(610)에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고정되는 쟁기날개(620)와, 쟁기날개(620)를 회전브라켓(610)에 체결시키는 쟁기체결부재(630)를 포함한다.
회전브라켓(610)은 판재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500)에 고정되고, 관통홀(611)이 형성된다.
쟁기날개(620)는 회전브라켓(610)에 고정된 상태로 밭을 파서 갈기 위한 것으로, 끝단이 절곡되게 형성되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면서, 회전브라켓(610)의 관통홀(611)에 연통되는 연통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통홀(621)은 쟁기날개(6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연통홀(621)을 선택적으로 관통홀(611)에 연통시킨 상태에서 쟁기체결부재(630)가 체결되면 회전브라켓(610)에서 쟁기날개(620)가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쟁기날개(620)가 돌출되는 길이를 원하는 만큼 조절하여 밭을 깊게 갈거나 얕게 갈 수 있다.
쟁기체결부재(630)는 쟁기체결부재(630)는 회전브라켓(610)의 관통홀(611) 및 쟁기날개(620)의 연통홀(621)을 관통하는 볼트 및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500)과 함께 회전되는 쟁기날개(620)의 절곡된 끝단이 지면을 파서 밭갈이 할 수 있다.
바퀴(700)는 회전축(500)의 양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타이어가 설치되는 바퀴휠(710)과, 바퀴휠(710)에서 돌출되어 회전축(500)에 고정되는 바퀴고정부(720)와, 바퀴고정부(720)를 회전축(500)에 체결시키는 바퀴체결부재(730)를 포함한다.
바퀴휠(710)은 대략 원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퀴고정부(720)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며, 회전축(500)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721)이 끝단으로 개방되고, 삽입공간(721)이 양측으로 개방되는 축관통홀(7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공간(731)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평탄면(723)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평탄면(723)은 전술한 회전축(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평탄면(520)에 면접촉된다.
여기서, 내측평탄면(723)이 다수로 구성되어 삽입공간(731)의 내주면을 따라 연이어지게 형성되면 삽입공간(731)의 내주면이 4각이나 6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4각이나 6각의 회전축(500)이 4각이나 6각의 삽입공간(731)에 삽입되어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500)이 바퀴고정부(730)의 삽입공간(731)으로 삽입되면, 회전축(500)의 외측평탄면(520)이 삽입공간(731)의 내측평탄면(733)에 면접촉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500)의 외주면이 바퀴고정부(720)의 내주면에 접촉되므로 회전축(500)의 회전력이 바퀴고정부(72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더욱이, 회전축(500)의 회전력이 바퀴고정부(720)에 전달되고, 바퀴체결부재(730)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회전축(500) 및 바퀴고정부(720)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된다. 즉, 회전력에 의한 바퀴체결부재(730)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다.
바퀴체결부재(730)는 회전축(500)이 바퀴고정부(730)의 삽입공간(731)으로 삽입되어 축관통홀(722)에 축연통홀(510)이 연통된 상태에서, 축관통홀(722) 및 축연통홀(510)을 관통하는 체결핀(731) 및 체결핀(731)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축된 상태로 축관통홀(722) 및 축연통홀(510)을 관통한 후에, 형상복원 되어서 축연통홀(510)의 둘레에 걸리는 탄성핀(732)을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축(500)을 바퀴고정부(730)의 삽입공간(731)을 삽입시켜서 축관통홀(722)에 축연통홀(5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축관통홀(722)에 축연통홀(510)에 체결핀(731)을 강제로 삽입시키면 탄성핀(732)이 탄성변형 되어서 축관통홀(722)에 축연통홀(510)을 관통한 후에 원형복원 되어서 축관통홀(722)의 외측에 걸리게 된다. 즉, 바퀴(700)가 회전축(500)에 원터치식으로 편리하게 고정 및 분리될 수 있다. 물론, 바퀴(700)를 회전축(500)에서 분리시키면 회전축(500)에 장착된 쟁기부재(6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에 바퀴(700)를 회전축(500)에 설치하여 차체(200)를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500)에서 바퀴(700)를 분리하고 회전축(500)에 장착된 쟁기부재(600)를 이용하여 밭갈이 할 수 있어서, 바퀴(7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차체(200)의 하중이 쟁기부재(600)만 집중된 상태로 밭갈이 하므로 밭을 깊게 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퀴(700)가 제거되어 시야가 확보되므로 쟁기부재(600)의 밭갈이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바퀴(700)에 의해 밭이 다져지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체(200)에 구비된 상태로 지면에 접촉되어 쟁기부재(6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쟁기높이조절수단(800)을 포함한다.
쟁기높이조절수단(800)은 차체(200)에 구비되는 홀더(810)와, 홀더(810)에 길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어 끝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높이조절샤프트(820)와, 높이조절샤프트(820)를 가이드(81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샤프트고정부(830)를 포함한다.
홀더(8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높이조절샤프트(820)가 삽입되는 홀더홀(811)이 형성되고, 홀더홀(811)을 측방으로 관통하는 측방홀(812)이 형성된다.
높이조절샤프트(820)는 홀더(810)의 측방홀(812)에 연통되는 다수의 샤프트홀(821)이 형성된다.
샤프트고정부(830)는 홀더(810)의 측방홀(812) 및 높이조절샤프트(820)의 샤프트홀(821)을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핀이나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홀더(810)의 홀더홀(811)에 높이조절샤프트(820)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샤프트홀(821)이 측방홀(812)에 일치되게 한 후에, 샤프트고정부(830)인 핀을 샤프트홀(821) 및 측방홀(812)에 관통시키면, 홀더(810)에 높이조절샤프트(820)가 장착된다. 이때, 높이조절샤프트(8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샤프트홀(821)이 측방홀(812)에 일치되게 하면, 높이조절샤프트(820)이 홀더(810)에서 하방으로 많이 돌출되므로 지면에 깊게 파고들게 된다.
즉, 쟁기부재(600)가 회전되면서 밭갈이를 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400)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높이조절샤프트(820)가 지중으로 깊게 파고들게 된다. 이때, 쟁기부재(600)가 깊게 밭갈이 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핸들(400)을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높이조절샤프트(820)가 지중에서 상부로 올라오게 된다. 이때, 쟁기부재(600)가 얕게 밭갈이 하게 된다.
또한, 쟁기높이조절수단(800)은 높이조절샤프트(820)의 하단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절곡부(8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곡부(822)가 약 45도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서 지면에 파고든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전진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822)는 지면을 용이하게 가르면서 전진하도록 전단에 블레이드(827)이 형성될 수 있고, 끝단이 라운드(828)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쟁기부재(600)가 밭갈이하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어 차체(200)가 흔들리게 되어도, 높이조절샤프트(820)가 지중에 파고든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높이조절샤프트(820)에 의해 쟁기부재(600)가 일직선으로 전진할 수 있다.
한편, 쟁기높이조절수단(800)은 절곡부(822)에 장착된 상태로 밭갈이 하는 스파이크쟁기(823)와, 스파이크쟁기(823)를 절곡부(822)에 장착시키는 스파이크장착부(824)를 포함한다.
스파이크쟁기(823)는 밭갈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밭갈이부(825)와, 밭갈이부(825)에 형성되어 절곡부(822)가 삽입되는 밭갈이삽입부(826)를 포함한다.
스파이크장착부(824)는 밭갈이삽입부(826)에 절곡부(822)가 삽입된 상태에서 밭갈이삽입부(826) 및 절곡부(822)를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핀이나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절곡부(822)의 끝단이 차체(200)의 전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스파이크쟁기(823)를 절곡부(822)에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축(500)에 바퀴(700)를 설치한 상태로 바퀴(700)를 회전시켜서 차체(200)를 전진시키면, 스파이크쟁기(823)가 지면을 깊게 밭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에 바퀴를 설치하여 차체를 주행시킬 수 있고, 차체에서 바퀴를 분리하고 장착된 쟁기부재를 이용하여 밭갈이 할 수 있으므로, 경운기와 같은 밭갈이 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동력수단
110 : 기어
120 : 체인
200 : 차체
300 : 핸들
400 : 동력조작수단
500 : 회전축
510 : 축연통홀
520 : 외측평탄면
600 : 쟁기부재
610 : 회전브라켓
611 : 관통홀
620 : 쟁기날개
621 : 연통홀
630 : 쟁기체결부재
700 : 바퀴
710 : 바퀴휠
720 : 바퀴고정부
721 : 삽입공간
722 : 축관통홀
723 : 내측평탄면
730 : 바퀴체결부재
731 : 체결핀
732 : 탄성핀
800 : 쟁기높이조절수단
810 : 홀더
811 : 홀더홀
812 : 측방홀
820 : 높이조절샤프트
821 : 샤프트홀
822 : 절곡부
823 : 스파이크쟁기
824 : 스파이크장착부
825 : 밭갈이부
826 : 밭갈이삽입부
830 : 샤프트고정부

Claims (11)

  1.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수단(100)과,
    동력수단(100)이 장착되는 차체(200)과,
    차체(200)의 방향을 조작하는 핸들(300)과,
    핸들(400)에 구비되어 동력발생수단(100)을 조작하는 동력조작수단(400)과,
    차체(200)에 구비되어 동력수단(10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00)과,
    회전축(500)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축(500)과 함께 회전되어서 밭갈이하는 쟁기부재(600)와,
    회전축(500)의 양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700)를 포함하고,

    쟁기부재(600)는, 회전축(500)에 고정되는 회전브라켓(610)과, 회전브라켓(610)에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고정되는 쟁기날개(620)와, 쟁기날개(620)를 회전브라켓(610)에 체결시키는 쟁기체결부재(630)를 포함하며,

    회전브라켓(610)은 관통홀(611)이 2개 형성되고,
    쟁기날개(620)는 회전브라켓(610)의 관통홀(611)에 연통되는 연통홀(621)이 쟁기날개(6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3개 내지 4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쟁기체결부재(630)는 회전브라켓(610)의 관통홀(611) 및 쟁기날개(620)의 연통홀(621)을 관통하는 볼트 및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며,

    바퀴(700)는, 지면을 따라 이동되는 타이어가 설치되는 바퀴휠(710)과, 바퀴휠(710)에서 돌출되어 회전축(500)에 고정되는 바퀴고정부(720)와, 바퀴고정부(720)를 회전축(500)에 체결시키는 바퀴체결부재(730)를 포함하고,

    바퀴고정부(720)는 회전축(500)의 끝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721)이 끝단으로 개방되고, 삽입공간(721)이 양측으로 개방되는 축관통홀(722)이 형성되며,
    회전축(500)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어 바퀴고정부(720)의 축관통홀(722)에 연통되는 축연통홀(510)이 형성되고,
    바퀴체결부재(730)는
    회전축(500)이 바퀴고정부(730)의 삽입공간(731)으로 삽입되어 축관통홀(722)에 축연통홀(510)이 연통된 상태에서, 축관통홀(722) 및 축연통홀(510)을 관통하는 체결핀(731) 및
    체결핀(731)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축된 상태로 축관통홀(722) 및 축연통홀(510)을 관통한 후에, 형상복원 되어서 축연통홀(510)의 둘레에 걸리는 탄성핀(732)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밭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축(50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평탄면(520)이 형성되고,
    삽입공간(731)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평탄면(723)이 형성되어,
    회전축(500)이 바퀴고정부(730)의 삽입공간(731)으로 삽입되면, 회전축(500)의 외측평탄면(520)이 삽입공간(731)의 내측평탄면(733)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체(200)에 구비된 상태로 지면에 접촉되어 쟁기부재(6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쟁기높이조절수단(800)을 포함하며,
    쟁기높이조절수단(800)은
    차체(200)에 구비되는 홀더(810)와,
    홀더(810)에 길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어 끝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높이조절샤프트(820)와,
    높이조절샤프트(820)를 가이드(81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샤프트고정부(8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갈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홀더(8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높이조절샤프트(820)가 삽입되는 홀더홀(811)이 형성되고, 홀더홀(811)을 측방으로 관통하는 측방홀(812)이 형성되며,
    높이조절샤프트(820)는 홀더(810)의 측방홀(812)에 연통되는 다수의 샤프트홀(821)이 형성되고,
    샤프트고정부(830)는 홀더(810)의 측방홀(812) 및 높이조절샤프트(820)의 샤프트홀(821)을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핀이나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갈이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쟁기높이조절수단(800)은 높이조절샤프트(820)의 하단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절곡부(8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갈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쟁기높이조절수단(800)은
    절곡부(822)에 장착된 상태로 밭갈이 하는 스파이크쟁기(823)와,
    스파이크쟁기(823)를 절곡부(822)에 장착시키는 스파이크장착부(8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스파이크쟁기(823)는
    밭갈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밭갈이부(825)와,
    밭갈이부(825)에 형성되어 절곡부(822)가 삽입되는 밭갈이삽입부(826)를 포함하고,
    스파이크장착부(824)는 밭갈이삽입부(826)에 절곡부(822)가 삽입된 상태에서 밭갈이삽입부(826) 및 절곡부(822)를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핀이나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갈이 장치.
KR1020160047119A 2016-04-18 2016-04-18 밭갈이 장치 KR101849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19A KR101849842B1 (ko) 2016-04-18 2016-04-18 밭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19A KR101849842B1 (ko) 2016-04-18 2016-04-18 밭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21A KR20170119221A (ko) 2017-10-26
KR101849842B1 true KR101849842B1 (ko) 2018-04-18

Family

ID=6030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119A KR101849842B1 (ko) 2016-04-18 2016-04-18 밭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09B1 (ko) * 2019-02-01 2019-06-25 우몽일 동력쟁기장치
CN111731237A (zh) * 2020-05-22 2020-10-02 高邮市北方动力机械有限公司 一种安全效率高的新型微耕机
CN114503816A (zh) * 2022-02-21 2022-05-17 湖北三华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种植用撒种装置
KR102481492B1 (ko) * 2022-10-26 2022-12-27 신대주 견인식 운동장 제초 및 평탄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401A (ja) * 2002-03-29 2003-10-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歩行型管理機
JP2012016284A (ja) * 2010-07-06 2012-01-26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JP2015198605A (ja) * 2014-04-08 2015-11-12 株式会社オーレック 除草装置及び除草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4401A (ja) * 2002-03-29 2003-10-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歩行型管理機
JP2012016284A (ja) * 2010-07-06 2012-01-26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歩行型管理機
JP2015198605A (ja) * 2014-04-08 2015-11-12 株式会社オーレック 除草装置及び除草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21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842B1 (ko) 밭갈이 장치
US2695071A (en) Power arm for lawn and garden implements
CN107018684A (zh) 一种可调式开沟机
CN202679916U (zh) 一种多功能农业管理机
JP2008099575A (ja) 水田除草兼用溝切り機
JP2010011750A (ja) 農作業機
US20130133903A1 (en) Hole Digging Tiller Or Cultivator
CN102823348A (zh) 一种交错振动的深松机
CN206658397U (zh) 一种可调式开沟机
KR200469752Y1 (ko) 커터가 장착된 쟁기
CN101558702B (zh) 手扶式整地机
US20060289179A1 (en) Three-point universal hitch having an electric motor powered linear actuated screw drive
JP2005160434A (ja) 除草装置
KR200396449Y1 (ko) 보행용 조,주간 제초기
KR200396448Y1 (ko) 보행 승용형 조,주간 제초기
CN216437912U (zh) 一种全田中耕装置
CN107396644A (zh) 一种微型耕地机
CN210868638U (zh) 一种旋耕机
US4295531A (en) Auger-equipped plow
US4277080A (en) Quick hitch power frame
KR100691361B1 (ko) 동력중경제초기
JP3928008B2 (ja) 隔離栽培用耕耘機
KR200368669Y1 (ko) 다목적 제초장치
JP5593099B2 (ja) 農作業機
CN201444746U (zh) 摩托车驱动多用农田作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