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83Y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83Y1
KR200186183Y1 KR2020000000085U KR20000000085U KR200186183Y1 KR 200186183 Y1 KR200186183 Y1 KR 200186183Y1 KR 2020000000085 U KR2020000000085 U KR 2020000000085U KR 20000000085 U KR20000000085 U KR 20000000085U KR 200186183 Y1 KR200186183 Y1 KR 200186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per
porous
rear body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2020000000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육묘상자를 이용하지 않고 종묘의 이식이 가능하고, 장시간 이식작업을 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분리가능한 새로운 육묘상자를 제공할 수 있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파종기는 선단부측에 트랙터와의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이 선단부 보다 그 높이를 낮게 연장시켜 지면에 근접한 평면을 형성한 후부몸체로 이루어진 후레임(110)과; 상기 후레임(110)의 선단부(112) 양측으로 입설된 지지대(1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공성 묘상지(121)가 권취된 제 1권취롤(120); 상기 후레임(110)의 선단부 하단 양측으로 현수된 지지대(132)에 회전가능하게 현수설치되어 받침지(131)가 권취된 제 2권취롤(130); 씨앗을 낙하 공급하기 위하여 수용공간(151)을 형성하고 바닥에는 낙하구(152)를 형성하여 상기 후레임(110) 후부몸체(114)에 설치한 씨앗 투입용 제 1호퍼(150); 상기 씨앗이 투입된 다공성 묘상지(121)윗면을 덮기 위하여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1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비닐(161)을 권취한 제 3권취롤(160)을 포함하는 파종기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파종기{A seeder}
본 고안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중량의 육묘상자를 개선한 경량의 육묘판을 제공하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씨앗의 육묘파종은 육묘판에 씨앗을 뿌려두고 일정기간이 지난 뒤 묘판채 이동시켜 논,밭등에 옮겨 심는 이식재배방법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씨앗파종방법이다.
최근에는 파종방법의 발달로 육묘상자를 이용한 파종방법이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묘가 다 자란 육묘를 담은 상자는 상당한 중량감으로 인해 장시간 육묘상자를 옮기는 작업을 할 경우 체력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체력소모없이 파종기구를 트랙터에 달고 파종함이 가능하고, 동시에 종묘 이식시에는 그 파종된 평면을 소정크기로 절단을 함이 가능하여 옮김이 편리하도록 한 육묘파종기가 필요로 되어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육묘상자를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종묘를 구분하여 이식함이 가능하고, 장시간 이식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한 크기로 분리가능하며, 간단한 기구를 이용하여 묘판에 자동적으로 종묘파종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파종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개략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연결부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급수구조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재단기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파종방법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파종기.....................................110:후레임
111:연결부.....................................112:선단부
113:연결부.....................................114:후부몸체
120:제 1권취롤.................................121:다공성 묘상지
122:지지대.....................................123:절단라인
130:제 2권취롤.................................131:받침지
132:지지대.....................................140:바퀴
142: 스프로킷..................................150:제 1호퍼
151:수용공간...................................152:낙하공
153:가이드롤...................................160:제 1권취롤
161:마감용 비닐................................162:마감용 보조롤
170:압착롤.....................................180:물분사기
181:파이프.....................................182:분사공
183: 물통......................................190:재단기
191:암합롤.....................................192:숫합롤
193:홈.........................................194: 돌기
200:호퍼.......................................201:수용공간
202:낙하구.....................................210;연결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단부측에 트랙터와의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이 선단부 보다 그 높이를 낮게 연장시켜 지면에 근접한 평면을 형성한 후부몸체로 이루어진 후레임과; 상기 후레임의 선단부 양측으로 입설된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다공성 묘상지가 권취된 제 1권취롤과; 상기 후레임의 선단부 하단 양측으로 현수된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현수설치되어 받침지가 권취된 제 2권취롤과; 씨앗수용공간을 형성하고 바닥에는 낙하구를 형성하여 씨앗를 낙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에 설치한 씨앗 투입용 제 1호퍼와;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비닐을 권취시켜 상기 씨앗가 투입된 다공성 묘상지위에 표면 마감을 위하여 비닐을 덮는 제 3권취롤을 포함하는 파종기로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파종기는 상기 씨앗 낙하시에 소정의 흙을 함께 낙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씨앗호퍼의 후방에 위치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바닥에는 흙 투입용 낙하구를 형성한 제 2호퍼를 더 포함하여 씨앗과 흙이 함께 투입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파종기는 씨앗과 함께 투입되는 상기 흙 투입용 호퍼를 가진 파종기에 상기 후레임의 후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제 2권취롤을 따라 풀려나오는 받침지와 다공성 묘상지를 압착시키면서 지면을 따라 구르는 구름,압착용 바퀴를 더 포함하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파종기는 상기 제 3권취롤로 부터 풀려나오는 비닐의 위를 압착시켜 파종된 다공성 묘상지위에서 비닐이 납작하게 유지되록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에 설치된 압착롤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파종기는 상기 씨앗가 떨어진 다공성 묘상지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 하방에는 다수 분사공을 형성한 파이프를 설치하고, 후레임 후부몸체 측면에는 상기 파이프와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통을 구비한 물분사기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파종기는 상기 후레임 선단부 하방의 다공성 묘상지 출구측에 일측에는 다수 홈이 형성된 롤을, 타측에는 돌기를 형성한 롤을 각각 대응,회전되도록 복수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다공성 묘상지에 재단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재단기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파종기는 상기 구름,압착용 바퀴의 측면에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상기 제 1호퍼의 낙하구에는 가이드롤을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롤과 상기 스프로킷 사이에는 벨트를 연결하여 스프로킷의 구동력에 의하여 낙하중인 씨앗가 원활하게 낙하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종기는 종래 육묘상자를 사용하는 파종방법에 비하여 육묘상자와 같은 운반구조가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자를 통한 운반 방법을 개선하게 되었고, 트랙터에 연결한 상태로 운행하면서 자동적으로 대량파종이 가능하므로 파종이 쉬워지고, 인건비를 줄이게 되며, 트랙터에 간단히 연결하여 파종이 이루어져 농업재배방식의 자동화를 촉진하게 되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본적인 파종원리는 첨부 도면 도 7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1공정>
흙바닥을 잘 고른 뒤 그 위에 적당한 길이의 받침지(마대 혹은 비닐지)를 깐다.
〈제2공정>
이어서 받침지가 깔린 상기 흙 바닥에 상기 받침지크기에 대응하는 길이로 다공성 묘상지를 깐다. 다공성 묘상지는 스폰지가 바람직하며, 묘종의 이식을 위하여 적당한 절단선을 형성하여 둔다.
〈제3공정>
받침지와 다공성 묘상지가 깔린 위에 흙과 씨앗을 파종한다. 씨앗의 파종시에는 작업자가 직접뿌리거나 씨앗의 낙하만을 담당하는 소정의 파종기로 실시할 수 있으며, 씨앗이 파종된 다공성 묘상지위에 흙과 물도 함께 뿌려준다.
〈제4공정>
씨앗이 파종되고 흙과 물이 공급된 다공성 묘상지위에 비닐지등의 마감재로 덮어둔다. 마감재가 덮여진 상태에서 마감재를 소정압력으로 눌러둔다.
상기한 공정에 따라 묘종이 실시된 후 종묘가 적당히 성장하면 상기 마감재를 걷고 다공성 묘상지에 표시된 절단선을 따라 묘판을 떼어내어 이식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묘판이 없어도 다공성 묘상지를 적당한 크기로 떼어내어 논이나 밭등에 이식(모내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 종묘판은 받침지 위에 다공성 묘상지를 층접한 상태에서 수분이 흡수된 다공성 재질속으로 종묘의 뿌리 내림이 가능하게 되어 소정기간 성장이 가능하게 되었고, 종래 고중량의 종묘판보다 훨씬 가벼원진 종묘판을 제공하게 되었다.
특히 이와같은 종묘판은 두루마리로 말아 이동할 수 있으며 말은 상태에서 이동하더라도 종묘의 회복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상기한 본 고안 종묘판과 그 공정은 다음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파종기로서 실시되며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구조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 파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파종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파종기(100)는 선단부(112)와 후부몸체(114)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는 단차를 주어 높이를 달리하도록 2단 평판으로 이루어진 후레임(110)위에 다음과 같은 구조들이 설치된다. 후레임(110)은 선단부(112)에 트랙터와의 연결수단(210)을 구비하고, 이 선단부(112) 보다 낮게 평면상태의 후부몸체(114)를 형성한다.
후레임(110)에 위에는 수개의 권취롤(120)(130)(160)들, 구름 및 압착용구름,압착용 바퀴(140),호퍼들(150)(200),마감용 비닐을 납작하게 유지하기 위한 압착롤(170), 씨앗공급과 동시에 물을 공급하는 물분사기(180), 이식된 씨앗이 자란 뒤 적당한 크기로 절단 구분되도록 하는 다공성 묘상지재단기(190)들이 적당한 크기와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제 1권취롤(120)은 후레임(110)의 선단부(112) 상단 양측으로 입설된 지지대(122)에 다공성 묘상지(121)를 권취시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트랙터의 이동으로 이동되면서 풀려나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2권취롤(130)은 상기 다공성 묘상지(121)의 풀림과 함께 다공성 묘상지(121)의 저면을 받치기 위하여 상기 후레임(110)의 선단부(112) 하단 양측으로 현수된 지지대(132)에 받침지(131)를 권취시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공성 묘상지(121)의 풀림과 동시에 다공성 묘상지(121)하방으로 받침지(131)가 바닥을 형성하면서 풀려나간다. 따라서 받침지(131)위에 다공성 묘상지(121)가 위치하면서 연속적으로 풀려나가 소정의 길이방향으로 묘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름,압착용 바퀴(140)는 상기 후레임(110)의 후부몸체(1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제 2권취롤(120)(130)을 따라 풀려나오는 다공성 묘상지(121)와 받침지(131) 양측면에서 회전하면서 이동된다. 이 바퀴(140)은 스프로킷과 유사한 톱니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바퀴(140)의 이동에 따라 풀려나오는 받침지(131),다공성 묘상지(121)위에는 소정의 씨앗을 낙하시키기 위한 상기한 제 1호퍼(150)를 구비한다. 제 1호퍼(150)는 씨앗수용공간(151)을 형성한 상광하협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바닥은 낙하공(152)을 형성하여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114)에 설치된다. 이 낙하공(152)에는 상기 구름,압착용 바퀴(140)의 측면에 설치된 스프로킷(142)과의 사이에 벨트(154)로 연결되는 가이드롤(153)을 설치하여 스프로킷(142)의 구동력에 의하여 낙하중인 씨앗를 가이드롤(153)에 의하여 원활하게 낙하되게 한다. 동시에 상기한 제 2호퍼(200)에서도 소정의 흙이 낙하된다. 제2호퍼(200) 역시 수용공간(201)과 낙하공(202)을 형성한다.
제 2호퍼(200)는 상기 제 1호퍼(150)의 후방측에 역시 상방이 개구된 상광하협상으로 흙 수용공간(201)을 형성하고, 바닥에는 낙하구(202)를 형성하여 상기 후부몸체(114)에 설치된다.
이와같이 풀려나오는 다공성 묘상지(121)위에 씨앗과 흙이 낙하되면 이어서 그 위에 소정의 마감재가 덮여진다. 상기 제 3권취롤(160)은 마감용 비닐(161)을 덮기 위하여 후레임(110)의 후부몸체(114)측에 회전가능하게 마감용 비닐(161)이 권취된 제 3권취롤(160)이 설치된다. 상기 제 3권취롤(160)로 부터 풀려나오는 마감용 비닐(161)은 다시 상기 압착롤(170)에 의하여 압착된다.
이 압착롤(170)은 상기 마감용 비닐(161)위를 압착시켜 마감용 비닐(161)이 파종된 다공성 묘상지(121)위에 납작하게 유지되록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114)에 설치되며, 보조적으로 마감용 보조롤(16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사기(180)는 상기 씨앗이 떨어진 다공성 묘상지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114) 하방으로 다수 분사공(182)을 형성한 파이프(181)를 설치하고, 후레임 후부몸체(114) 측면에는 상기 파이프(181)와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통(183)을 구비하여서 된다.
상기 재단기(190)는 후레임 선단부(112) 하방의 다공성 묘상지(121) 출구측의 일측으로 다수 홈(193)이 형성된 롤(19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이 홈(193)에 대응하는 돌기(194)를 형성한 롤(192)을 설치하여 대응,회전되도록 복수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롤(191)(192)사이를 통과하는 다공성 묘상지(121)에는 절단용 라인(123)이 정확하게 형성되어 씨앗의 성장후 묘종을 적당한 크기로 다공성 묘상지(121)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 파종기(100)는 후레임(110)을 운행함과 동시에 씨앗이 흙과 함께 다공성 묘상지(121)에 착상되면서 물을 공급받고, 다공성 묘상지(121)위에는 마감용 비닐(161)을 덮어주면서 연속적으로 묘판을 형성하여 나가게 된다.
이후 묘판에서 씨앗이 성장후에는 상기 다공성 묘상지의 종횡으로 형성된 라인(123)에 의하여 떼어내어 논,밭등에 이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일일이 육묘판을 운반하여 종묘를 이식하던 종래 방식을 탈피하기 위하여 파종기구를 트랙터에 달고 파종하도록 하고, 동시에 종묘 이식시에는 파종된 부분이 소정크기로 절단함이 가능하여 옮김이 편리하도록 한 육묘파종기를 제공함으로써 육묘상자를 이용하지 않고도 가볍게 종묘이식이 가능하고, 장시간 이식작업을 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분리되어 작압자로 하여금 운반이 편리하게 되었고, 파종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파종이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파종기에 있어서,
    높이를 달리하는 소정크기의 선,후부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부에 트랙터 연결수단을 형성한 후레임;
    상기 후레임 상방에 다공성 묘상지를 권취시킨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권취롤;
    상기 후레임 하방에 받침지를 권취시킨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현수설치된 제 2권취롤;
    씨앗 수용공간과 낙하구를 형성한 씨앗 투입용 제 1호퍼; 및
    상기 씨앗이 낙하된 다공성 묘상지위를 비닐로 덮기 위하여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3권취롤을 포함하는 파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 낙하시에 소정의 흙을 함께 낙하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씨앗 투입용 제 1호퍼의 후방에 위치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흙 투입용 낙하구를 형성한 제 2호퍼를 더 포함하는 파종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의 후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제 2권취롤을 따라 풀려나오는 받침지와 다공성 묘상지를 압착시키면서 지면을 따라 구르는 구름,압착용 바퀴를 더 포함하는 파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권취롤로 부터 풀려나오는 비닐의 위를 적당한 압력으로 눌러주어 파종된 다공성 묘상지위에서 비닐이 납작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에 설치된 압착롤을 더 포함하는 파종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이 떨어진 다공성 묘상지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후레임 후부몸체 하방에 다수 분사공을 형성한 파이프를 설치하고, 후레임 후부몸체 측면에는 상기 파이프와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는 물통을 구비한 물분사기를 더 포함하는 파종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레임 선단부 하방의 다공성 묘상지 출구측에 다공성 묘상지를 적당한 크기로 절취가능하도록 절단라인 형성용 홈을 형성한 롤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돌기를 형성한 롤을 상기 롤에 대응되도록 복수 설치하여 그 사이를 통과하는 다공성 묘상지에 절취용 라인이 형성되는 재단기를 더 포함하는 파종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압착용 바퀴의 측면에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상기 제 1호퍼의 낙하구에는 가이드롤을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롤과 상기 스프로킷 사이에는 벨트를 연결하여 스프로킷의 구동력에 의하여 낙하중인 씨앗이 원활하게 낙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KR2020000000085U 2000-01-04 2000-01-04 파종기 KR200186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085U KR200186183Y1 (ko) 2000-01-04 2000-01-04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085U KR200186183Y1 (ko) 2000-01-04 2000-01-04 파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157A Division KR100352637B1 (ko) 2000-01-04 2000-01-04 육묘판, 그에 따른 파종방법 및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183Y1 true KR200186183Y1 (ko) 2000-06-15

Family

ID=1963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085U KR200186183Y1 (ko) 2000-01-04 2000-01-04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89B1 (ko) * 2002-05-07 2004-06-12 주식회사 한울 다용도 파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89B1 (ko) * 2002-05-07 2004-06-12 주식회사 한울 다용도 파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52834A (ja) 人工培養土による植物栽培法とその装置
CN109843037A (zh) 用于旱种稻田的直播装置
NO830445L (no) Maskin for fremstilling av vekstjordklumper.
KR200186183Y1 (ko) 파종기
KR101303217B1 (ko) 씨앗 피복장치
KR100352637B1 (ko) 육묘판, 그에 따른 파종방법 및 파종기
KR101635066B1 (ko) 친환경 멀칭소재를 이용한 건답용 직파장치
JP2001251979A (ja) 田植機用苗の育苗方法
JP3185928B2 (ja) 枚葉状苗床シートの製造装置
JP2001197840A (ja) 灌水装置
JP2001016932A (ja) 長尺苗の育成方法と長尺苗反転田植機
JPH09308399A (ja) 水耕連続水稲苗の製造方法
JP2628228B2 (ja) 種子マット使用苗移植方法
JP2699148B2 (ja) 種子シート製造装置
CN217160396U (zh) 一种基于降解无纺布的植物种条生产线
CN208549207U (zh) 园林用播种装置
KR20000073331A (ko) 곡물종자 종자끈의 파종장치
JP2512280Y2 (ja) 播種装置
WO2009072858A1 (en) A row seeder for seeding granular seeds such as paddy or the like
JP2000262154A (ja) 育苗装置
JP2019080591A (ja) 長尺育苗容器、連続集合鉢体苗を入れる装置、および、巻き取り器具
CN111543261A (zh) 一种油菜育苗方法
CN111919638A (zh) 一种辣椒种植用育苗床
JP2001251913A (ja) 芝生の植込機
JPH06125620A (ja) 幼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