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756Y1 - 난간 - Google Patents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756Y1
KR200184756Y1 KR2020000001417U KR20000001417U KR200184756Y1 KR 200184756 Y1 KR200184756 Y1 KR 200184756Y1 KR 2020000001417 U KR2020000001417 U KR 2020000001417U KR 20000001417 U KR20000001417 U KR 20000001417U KR 200184756 Y1 KR200184756 Y1 KR 200184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r
plate
groun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20000001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용차도 및 일반차도 등 기타 차도와 위험지역의 경계선상에 세워져 지지바를 지지되게 하여 인명 및 재산을 보호케 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11)의 지반접지판(13) 상면에 형성된 걸림요홈(16)에 보강판(17)이 접지된 채 고정볼트(19)에 관통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보강판(17)의 요구(22)와 지주벽(12)상에 돌출 형성된 걸림구(23)에 의해서 커버(24)가 복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파지편(25)상에 완충판(26)과 지지바(27)가 함께 접설된 채 커버(29)에 의해 완충판(26)의 외면이 은폐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난간{A parapet}
본 고안은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용차도 및 일반차도 등 기타 차도와 위험지역의 경계선상에 세워져 지지바를 지지되게 하여 인적, 재산적 위험으로 부터 인명 및 재산을 보호되게 하는 난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난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의 지주벽(2)과 지반 접지판(3)이 직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채 접지판(3)상에 천공된 고정공으로 지반상에 미리 돌출되어 있는 고정볼트(4)가 관통되게 하여 와셔, 너트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지주(1)의 전면부상에 2단 또는 3단으로 지지바(알루미늄재 파이프)의 파지홈(5)이 형성되어 있어, 이 파지홈(5)에 상기 지지바(6)를 접지시킨 후 지지바(6) 내측으로 부터 걸린 채 돌출되어 있는 볼트로 지주(1)의 보강편(7)에 천공된 고정공을 관통한 후 와셔, 너트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난간의 지주(1) 및 지지바(6)는 외부 충격이 가격 되었을 때, 특히 각종 차량들에 의하여 빈번하게 받쳐지게 되는데, 차체가 지지바(6)상에 받치면 알루미늄재의 지지바(6)가 그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지지바(6)를 직접 고정 지지시키는 지주(1)로 그 충격의 여파가 전달된다.
이때, 지지바(6)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가 유지되고 있을 때에 충격 흡수기능이 있을 뿐인바, 한번 찌그러지면 충격 흡수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바(6)가 지주(1)에 고정 지지됨에 있어,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볼트, 너트로 고정되어 있는 바, 차체에 받칠 때 측면상에서 받치는 형태가 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지주(1)로 전달되는 충격의 여파는 지반에서 돌출된 고정볼트(4)에 관통되고, 와셔, 너트로 고정되는 그 부위에 집중적으로 부하가 걸리게 되며, 이 부하는 가장 약한 부분을 파손시키게 되는데, 지반에서 돌출된 고정볼트(4)와의 조립이 가변성에 따라 적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정볼트(4)의 관통공을 크게 형성하는 바, 이 부분 조립이 가장 약하여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지주벽(2)과 접지판(3)의 일부나 또는 지주벽(2)과 접지판(3)의 경계 각 부분 등이 파손되는 경우도 대부분이어서 지주(1)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차량으로 부터 받치는 그 부위에 충격 흡수를 보강함과 동시에 충격을 분산되게 하며, 충격으로 인하여 부하가 집중되는 부위에 부하의 내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부하를 분산되게 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상의 지주벽과 수평상의 지반 접지판의 직각부위에 보강체를 일체로 성형하였고, 지반 접지판 상면에 걸림요홈이 형성되어 보강판의 단턱과 접지되도록 되어, 지반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고정볼트에 관통되어 와셔, 너트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외관 미장을 위하여 카버가 보강판의 요구와 지주벽상에 돌출 형성된 걸림구에 의해서 복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지주의 전면부와 선단부상에 파지편이 돌출되어 알루미늄재의 파이프인 지지바가 고무재인 완충판과 함께 볼트, 너트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제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절취한 지반에 결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분리,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취한 지반에 결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주 12 : 지주벽
13 : 접지판 14 : 보강체
15 : 걸림턱 16 : 걸림요홈
17 : 보강판 18 : 단턱
19 : 고정볼트 20,20' : 와셔
21,21' : 너트 22 : 요구
23 : 걸림구 24 : 커버
25 : 파지편 26 : 완충판
27 : 지지바 27' : 보강편
28 : 볼트 29 : 커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 분리,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취한 지반에 결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수직상의 지주벽(12)과 수평상의 지반 접지판(13)의 직각 부위에 보강체(14)를 일체로 성형하였고, 지반 접지판(13) 상면에 걸림턱(15)이 형성되도록 걸림요홈(16)이 형성되어 보강판(17)이 하부 단턱(18)에 의해 접지된 채 지반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고정볼트(19)에 함께 관통되어 와셔(20), 너트(21)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17)의 선단면에 요설된 요구(22)와 지주벽(12)상에 돌출 성형된 걸림구(23)에 의해서 미장커버(24)가 복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지주(11)의 전면부와 선단부상에 파지편(25)이 돌출되어 있어 완충판(26)과 지지바(27)가 함께 접설된 채 이를 관통하는 볼트(28)에 와셔(20'), 너트(21')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파지편(25)의 선단이 연장 돌출된 커버(29)로 완충판(26)의 외면을 은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지주(11)의 전면부 상기 지지바(27)는 수평상태로 지지 고정되어 있고, 선단부 상기 지지바(27) 내측에는 보강편(27')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차량의 차체에 받치거나 부딛혀지는 지지바(27)의 충격이 지지바(27)에서 완충판(26), 지주(11)로 여파가 전달됨에 있어 볼트(28), 와셔(20'), 너트(21')의 연결 부위에는 부하가 전파되지 않도록 차체와 부딛혀지거나 받쳐지는 부위가 수평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서 파손의 취약한 부분이 설계상 개선되었고, 지지바(27) 내에 보강된 보강편(27')에 의하여 지지 강도가 보완됨과 동시에 완충판(26)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 완화되게 된다.
지지바(27), 완충판(26)을 통하여 지주(11)로 전달된 충격은 지반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주(11)의 접지판(13)을 관통한 고정볼트(19)와 이의 고정 지지 수단인 보강판(17), 와셔(20), 너트(21)에 부하되며 동시에 지주벽(12) 및 접지판(13)상에 부하되는 데, 상기 지주벽(12)과 접지판(13)상의 각부에 보강체(14)를 일체로 하였고, 보강판(17)이 접지판(13)상에 접지된 채 와셔(20) 및 너트(21)로 고정 지지되게 한 것인바, 파손으로 부터 내성이 보강되게 하였고, 또한 커버(24)가 보강판(17)의 요구(22)와 지주벽(12)상의 걸림구(23)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판(26)을 간설시키어 그 충격의 전달을 완화되게 하였고, 충격에 대항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보강함과 동시에 파손에 취약한 부분을 설계상 개선시키어 보완하였으며, 충격의 전달로 부하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보강하여, 파손으로 부터 내성을 갖도록 하였고, 또한 외관적 환경미를 개선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차도와 위험 지역의 경계선상에 세워진 지주에 지지바가 연결, 고정 지지되어 인명 및 재산을 보호케 하는 난간에 있어서, 지주(11)의 지반 접지판(13) 상면에 걸림턱(15)이 형성되도록 걸림요홈(16)이 형성되어 보강판(17)이 단턱(18)에 의해 접지된 채 고정볼트(19)에 함께 관통되어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17)의 선단면에 요설된 요구(22)와 지주벽(12)상에 돌출 형성된 걸림구(23)에 의해서 커버(24)가 복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지주(11)의 전면부와 선단부상에 돌출되어 있는 파지편(25)에 완충판(26)과 지지바(27)가 함께 접설 고정된 채 상기 파지편(25)의 연장 돌출되어 있는 커버(29)로 상기 완충판(26)의 외면을 은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지주(11)의 전면부 지지바(27) 고정수단이 수평 상태로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3. 제 1항에 있어서, 선단부 상기 지지바(27) 내측에는 보강편(27')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KR2020000001417U 2000-01-19 2000-01-19 난간 KR200184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17U KR200184756Y1 (ko) 2000-01-19 2000-01-19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17U KR200184756Y1 (ko) 2000-01-19 2000-01-19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756Y1 true KR200184756Y1 (ko) 2000-06-01

Family

ID=1963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417U KR200184756Y1 (ko) 2000-01-19 2000-01-19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7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46Y1 (ko) 2008-06-17 2010-12-21 동서철강 주식회사 교량용 난간
KR101097369B1 (ko) * 2011-06-02 2011-12-23 (주)장안산업 충격흡수형 친환경 목재난간
CN114737504A (zh) * 2022-05-20 2022-07-12 王海鹏 一种公路交通信息化安全设施工程用防撞护栏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46Y1 (ko) 2008-06-17 2010-12-21 동서철강 주식회사 교량용 난간
KR101097369B1 (ko) * 2011-06-02 2011-12-23 (주)장안산업 충격흡수형 친환경 목재난간
CN114737504A (zh) * 2022-05-20 2022-07-12 王海鹏 一种公路交通信息化安全设施工程用防撞护栏
CN114737504B (zh) * 2022-05-20 2023-11-28 王海鹏 一种公路交通信息化安全设施工程用防撞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142B1 (ko) 가드레일용 지주 고정장치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200184756Y1 (ko) 난간
KR100876654B1 (ko) 내충격 디자인 펜스
KR200365454Y1 (ko)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KR100733970B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책
KR200412276Y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책
KR100467945B1 (ko) 보·차도 경계 펜스용 커넥터
KR200465213Y1 (ko) 차량의 충격 흡수 및 방수 기능을 갖는 방지턱
KR200453540Y1 (ko) 지주에 보호커버 및 반사판이 설치된 휀스
KR100483189B1 (ko) 도로용 엘형측구
KR200361403Y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200341898Y1 (ko) 가드레일
KR20110001380U (ko) 가드레일의 설치 구조
CN214301262U (zh) 一种跨铁路桥梁的防护装置
KR200423780Y1 (ko) 장식보호커버가 씌워지는 교량용 난간
KR100526399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100003794A (ko) 충격흡수용 볼라드
KR200151916Y1 (ko) 폐타이어 수납케이스
JPH08199520A (ja) 防護柵支柱のキャップ取付構造
KR200401490Y1 (ko) 조립형 가드휀스
KR200245928Y1 (ko) 특수 고무스폰지를 이용한 보도진입을 방지하는 볼라드
KR200323052Y1 (ko) 충격흡수용 강성 가드레일장치
KR200433386Y1 (ko) 보강된 다목적 도로경계석의 구조
KR200329110Y1 (ko) 장식휀스망을 부착한 교량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