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233Y1 - 조립식 화차지붕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차지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233Y1
KR200182233Y1 KR2019990024118U KR19990024118U KR200182233Y1 KR 200182233 Y1 KR200182233 Y1 KR 200182233Y1 KR 2019990024118 U KR2019990024118 U KR 2019990024118U KR 19990024118 U KR19990024118 U KR 19990024118U KR 200182233 Y1 KR200182233 Y1 KR 200182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roof
width direction
assembled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양강철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양강철,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양강철
Priority to KR2019990024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2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2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43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43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sub-units
    • B61D17/045The sub-units being construction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2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9/00Wagon or like covers; Tarpaulins; Movable or foldable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립시간 및 인력이 절감되고 구조가 간단하며 구조강도가 향상되도록, 화차의 길이에 맞추어 형성되고 폭방향의 단면이 직선형상 또는 두직선이 소정의 각으로 만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끝면에는 조립되도록 걸림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부재와, 프레임부재를 서로 조립하여 지붕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양끝면에 위치하는 프레임부재의 끝면에 고정되는 마감부재와, 마감부재 및 양끝면의 프레임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화차의 벽체에 조립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 양끝부분에 설치되고 지붕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람막이부재와,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도록 내면에 설치되고 지붕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화차지붕을 제공한다.
프레임부재의 걸림수단은 한쪽 판의 폭방향 한쪽 끝면에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다른쪽 판의 폭방향 한쪽 끝면부분의 사이부재로부터 'ㄱ'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편과, 한쪽 판의 폭방향 반대쪽 끝면에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걸림돌기와 조립되는 조립돌기와, 다른쪽 판의 폭방향 반대쪽 끝면부분에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걸림편에 걸리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화차지붕 {Fabricated Roof of Freight Train}
본 고안은 조립식 화차지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끼워맞춤으로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지붕을 형성하므로 조립작업이 간편하며 강도가 증대되고 중량이 감소된 조립식 화차지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차는 자동차나 곡물포대 등의 각종 화물을 실어나르는 기차의 일종으로, 바퀴가 설치되는 차대와 차대에 설치되는 벽체 및 벽체에 조립되는 지붕으로 이루어지는 화차가 복수개 직렬로 하나의 기관차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종래 화차의 지붕은 굴곡이 있는 요철형상의 알루미늄판재를 리벳팅 및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지붕형상을 형성하고, 벽체와 연결되는 부분은 강재를 이용하여 틀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지붕형상은 폭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복수의 직선을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종래 화차의 지붕은 요철형상의 알루미늄판재를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도록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요철형상은 화차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소정의 각도로 연결하는 부분에는 내면에 연결판을 덧대고 리벳팅 및 용접 등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화차의 길이방향 중간 중간에는 구조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지붕형상으로 따라 폭방향으로 설치한다.
또 상기한 화차의 지붕은 유압실린더 등에 의하여 위쪽으로 오르내리도록 벽체에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화차의 지붕은 요철형상의 알루미늄판재를 지붕형상에 맞추어 여러부분을 잘게 절단하고, 이를 다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리벳팅 및 용접에 의하여 연결하므로,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차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 끝부분에는 서로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걸림돌기 및 걸림편을 형성시킨 프레임부재를 이용하여 조립시간 및 인력이 절감되고 구조가 간단하며 구조강도가 향상된 조립식 화차지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B부 상세단면도.
도 6은 도 2의 C부 상세도.
도 7은 도 3의 D-D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2의 E-E 단면도.
도 9는 도 8의 F부 상세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화차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조립식 화차지붕은 화차의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의 단면이 직선형상 또는 두직선이 소정의 각으로 만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끝면에는 서로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걸림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부재와, 복수의 프레임부재를 서로 조립하여 지붕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양끝면에 위치하는 프레임부재의 끝면에 고정되는 마감부재와, 상기한 마감부재 및 양끝면의 프레임부재에 화차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화차의 벽체에 상하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지붕형상으로 조립된 복수의 프레임부재 길이방향 양끝부분에 설치되고 지붕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람막이부재를 포함한다.
또 본 고안이 제안하는 조립식 화차지붕은 지붕형상으로 조립된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도록 내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지붕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프레임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사이부재를 통하여 지지되는 이중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프레임부재의 걸림수단은 한쪽 판(안쪽 또는 바깥쪽)의 폭방향 한쪽 끝면에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다른쪽 판(바깥쪽 또는 안쪽)의 폭방향 한쪽 끝면부분의 사이부재로부터 'ㄱ'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편과, 한쪽 판의 폭방향 반대쪽 끝면에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돌기와 조립되어 걸리는 조립돌기와, 다른쪽 판의 폭방향 반대쪽 끝면부분에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편의 'ㄱ'형상에 조립되어 걸리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차의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의 단면이 직선형상 또는 두직선이 소정의 각으로 만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끝면에는 서로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걸림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부재(10)와, 복수의 프레임부재(10)를 서로 조립하여 지붕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폭방향 양끝면에 위치하는 프레임부재(10)의 끝면에 고정되는 마감부재(30)와, 상기한 마감부재(30) 및 양끝면의 프레임부재(10)에 화차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화차의 벽체(4)에 상하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의 지지부재(50)와, 지붕형상으로 조립된 프레임부재(10)의 길이방향 양끝부분에 설치되고 지붕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람막이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한 지지부재(50)는 고정판(52)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마감부재(30) 및 프레임부재(10)에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한 지지부재(50)는 상기한 마감부재(30) 및 프레임부재(10)에 직접 용접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한 고정판(52)을 리벳팅이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마감부재(30) 및 프레임부재(1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마감부재(3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부(열려진 부분)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상기한 프레임부재(10)에 리벳팅이나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한다.
상기한 지지부재(50)와 마감부재(30)는 내식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탄소강이나 스테인레스강 등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상기한 프레임부재(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사이부재(16)를 통하여 지지되는 이중판(14), (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프레임부재(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압출하여 형성하는 알루미늄형재(aluminum extrusion profile)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직선프레임부재(12)와, 두직선이 소정의 각으로 만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꺽임프레임부재(13)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꺽임프레임부재(13)는 지붕형상을 분석하여 소정의 각으로 꺽여지는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10)는 복수의 직선프레임부재(12)와 꺽임프레임부재(13)를 조합하여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설정된 지붕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프레임부재(10)의 걸림수단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예를 들면 안쪽) 판(14)의 폭방향 한쪽 끝면에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돌기(20)와, 다른쪽(예를 들면 바깥쪽) 판(15)의 폭방향 한쪽 끝면부분의 사이부재(16)로부터 'ㄱ'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편(24)과, 한쪽 판(14)의 폭방향 반대쪽 끝면에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돌기(20)와 조립되어 걸리는 조립돌기(22)와, 다른쪽 판(15)의 폭방향 반대쪽 끝면부분에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편(24)의 'ㄱ'형상에 조립되어 걸리는 고정돌기(2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걸림돌기(20)는 걸리는 면은 수직이고 삽입되는 면은 경사진 대략 직각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조립돌기(22)는 상기한 걸림돌기(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돌기(20)와 한쪽 판(14)의 두께만큼 내부로 들어가서 연장되는 부분에 형성한다.
즉 상기한 조립돌기(22)는 한쪽(안쪽) 판(14)의 끝면을 내부로 들어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끝부분에 대략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걸림편(24)은 개구부에 위치하는 사이부재(16)로부터 상기한 걸림돌기(20)가 위치한 거리만큼 도 5에서 보아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수직방향으로 외부로 꺽여 올라가는 형상인 대략 'ㄱ'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걸림편(24)의 외부로 꺽여 올라간 끝면의 위치는 다른쪽(바깥쪽) 판(15)의 내면의 위치와 같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고정돌기(26)는 상기한 걸림편(24)의 외부로 꺽여 올라간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로 다른쪽(바깥쪽) 판(15)에 수직하게 돌출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돌기(26)가 형성되는 다른쪽 판(15)의 끝부분은 판(15)의 두께만큼 내부로 들어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28)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부재(10)를 서로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기준이 되는 프레임부재(10)의 바깥쪽 판(15)에 조립하고자 하는 프레임부재(10)의 삽입부(28)를 안쪽에서 경사진 상태(도 5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냄)로 맞대고,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조립하고자 하는 프레임(10)을 도 5에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하고자 하는 프레임(10)을 회전시키면, 조립하고자 하는 프레임부재(10)의 고정돌기(26)와 기준이 되는 프레임부재(10)의 걸림편(24)이 맞물리고, 조립하고자 하는 프레임부재(10)의 조립돌기(22)와 기준이 되는 프레임부재(10)의 걸림돌기(20)가 맞물려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조립하고자 하는 프레임부재(10)의 안쪽 판(14)의 끝부분을 강제로 누르는 경우에만 분리가 가능하므로, 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붕형상으로 조립된 프레임부재(10)를 지지하도록 내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지붕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재(18)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보강부재(18)는 프레임부재(10)의 길이방향 처짐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강도향상을 위하여 단면형상을 대략 모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양 끝면을 프레임부재(10)에 용접이나 접착 또는 리벳팅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한다.
또 지붕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10)의 길이방향 정면 및 배면쪽 끝면에 설치하는 바람막이부재(60)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판재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모자형상의 보강부재(62)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차의 차대(2)에 벽체(4)를 조립하고, 벽체(4)에 지지부재(50)를 조립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지지부재(50)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고, 벽체(4)의 정면과 배면에는 열고닫을 수 있는 문(5)을 설치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대(2) 또는 벽체(4)에 설치되는 실린더(8)의 피스톤(9)을 마감부재(3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실린더(8)는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피스톤(9)은 끝부분을 마감부재(30)에 고정핀(32)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실린더(8)를 작동시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은 위쪽으로 이동하여 열리거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닫히는 작동을 한다(도 9 참조).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에 의하면, 꺽임프레임부재와 직선프레임부재를 조립하는 것으로 지붕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 리벳팅 및 용접을 행하는 것에 비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인력 및 시간이 크게 절감된다.
또 압출에 의하여 제조되는 꺽임프레임부재와 직선프레임부재의 길이를 화차의 길이에 맞추어 제작하면, 현장에서는 이를 조립하는 작업만 행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이 간단하고, 짧은 시간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수의 꺽임프레임부재와 직선프레임부재를 조립하여 형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차지붕에 의하면, 트러스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되고 길이방향의 처짐은 보강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구조강도가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화차의 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되고 폭방향의 단면이 직선형상 또는 두직선이 소정의 각으로 만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끝면에는 서로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걸림수단을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부재와,
    복수의 프레임부재를 서로 조립하여 지붕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폭방향 양끝면에 위치하는 프레임부재의 끝면에 고정되는 마감부재와,
    상기한 마감부재 및 양끝면의 프레임부재에 화차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화차의 벽체에 상하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의 지지부재와,
    지붕형상으로 조립된 프레임부재의 길이방향 양끝부분에 설치되고 지붕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람막이부재와,
    지붕형상으로 조립된 프레임부재를 지지하도록 내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지붕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형상을 모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양 끝면을 프레임부재를 고정하는 복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화차지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부재는 단면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직선프레임부재와, 두직선이 소정의 각으로 만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꺽임프레임부재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화차지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부재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사이부재를 통하여 지지되는 이중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프레임부재의 걸림수단은 한쪽 판의 폭방향 한쪽 끝면에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다른쪽 판의 폭방향 한쪽 끝면부분의 사이부재로부터 'ㄱ'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편과, 한쪽 판의 폭방향 반대쪽 끝면에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돌기와 조립되어 걸리는 조립돌기와, 다른쪽 판의 폭방향 반대쪽 끝면부분에 내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걸림편의 'ㄱ'형상에 조립되어 걸리는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화차지붕.
KR2019990024118U 1999-11-05 1999-11-05 조립식 화차지붕 KR200182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118U KR200182233Y1 (ko) 1999-11-05 1999-11-05 조립식 화차지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118U KR200182233Y1 (ko) 1999-11-05 1999-11-05 조립식 화차지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233Y1 true KR200182233Y1 (ko) 2000-05-15

Family

ID=1959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118U KR200182233Y1 (ko) 1999-11-05 1999-11-05 조립식 화차지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2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750A (ko) * 2004-02-02 2005-08-08 주식회사 동양인터내셔날 압출성형식 철도차량 중천장
CN106428059A (zh) * 2016-12-06 2017-02-22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动车组中顶板插接结构
KR200486100Y1 (ko) * 2017-01-20 2018-04-03 주식회사 범한 보호커버를 구비한 단자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750A (ko) * 2004-02-02 2005-08-08 주식회사 동양인터내셔날 압출성형식 철도차량 중천장
CN106428059A (zh) * 2016-12-06 2017-02-22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动车组中顶板插接结构
KR200486100Y1 (ko) * 2017-01-20 2018-04-03 주식회사 범한 보호커버를 구비한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6449B2 (en) Door for vehic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540085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cargo body utilizing a plurality of panels
EP1125798B1 (en) Stiffener assembly for bumper and bumper stay
US5584527A (en) Lightweight trailer with integral plate seams
EP3601711B1 (en) A composite tailgate
EP2477876A1 (de) Fahrzeugkarosserieaufbau im bodenbereich der insassenkabine und zugeordnetes fertigungsverfahren
KR200182233Y1 (ko) 조립식 화차지붕
EP0501226B1 (de) Karosserie für Fahrzeug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A2340835C (en) Railway box car structure
CN113147918B (zh) 一种厢式车的车厢
EP1199245B1 (en) Profile for body section
JP3382729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CN210283857U (zh) 一种汽车背门结构
CN219584303U (zh) 风窗骨架总成和车辆
CN219806884U (zh) 用于尾门的金属加强件、尾门和车辆
JPH04238725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CN217048211U (zh) 一种新形铸镁车门
CN220374254U (zh) 天窗加强框以及车辆
CN220549122U (zh) 一种拼装皮卡汽车高盖中的前板
SU1156929A1 (ru) Уси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боковой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2889800U (zh) 一种车门窗框结构
CN220147430U (zh) 一种门槛加强梁总成
JPH04238727A (ja)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JPH0323851Y2 (ko)
JPH0288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