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797Y1 -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797Y1
KR200179797Y1 KR2019990020456U KR19990020456U KR200179797Y1 KR 200179797 Y1 KR200179797 Y1 KR 200179797Y1 KR 2019990020456 U KR2019990020456 U KR 2019990020456U KR 19990020456 U KR19990020456 U KR 19990020456U KR 200179797 Y1 KR200179797 Y1 KR 200179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ousing
air
frost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서
Original Assignee
박인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서 filed Critical 박인서
Priority to KR2019990020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천시 외부의 찬 공기를 미러 하우징 내부로 상호 통풍되게 하여 미러 표면의 성에방지는 물론 미러 표면으로 빗물의 낙하를 방지하여 운전자의 후방시계 확보가 용이하도록 한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우천시 미러 하우징(10)내의 미러(20) 표면으로 발생되는 성에나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백미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10)으로는 공기 유입구(14) 및 공기 배출구(16)(18)를 각각 소정위치로 형성하되 상기 공기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일부의 찬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으로 설치된 미러(20)의 이면과 마찰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16)로 배출되게 하고, 또 일부의 찬 공기는 상기 미러(20)의 전면으로 관통되어진 또 다른 공기배출구(18)를 통해 상기 미러(20)의 표면으로 배출되게 통풍 형성하여 상기 미러(20)의 표면으로 형성되는 성에 및 물방울을 제거하며; 상기 미러 하우징(10)의 가이드(12)로 형성된 상부 가이드 홈(13)으로는 상기 공기 유입공(14)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미러(20)의 표면으로 빗물이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의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을 인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Frost free back mirror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외부 공기를 미러 하우징 내부로 상호 통풍되게 하여 미러 표면의 성에방지는 물론 미러 표면으로 빗물의 낙하를 방지하여 운전자의 후방시계 확보가 용이하도록 한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오는 날 미로 표면으로 성에가 끼는 이유는 미러 이면(하우징 내측으로 위치되어 있는 면)과 표면의 온도차에 의해서 발생된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승합차나 버스, 화물차에 주로 적용되는 백미러가 더욱 심하다. 왜냐하면 미러가 하우징에 움직이지 않도록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미러 이면은 하우징에 의해 왼전히 밀폐되어 있어 공기의 통풍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표면과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러의 방향을 자유로이 조절가능 한 승용차용 백미러의 경우 역시 미러의 후방부가 미러 하우징에 의해 커버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통풍이 용이하지 않아 우천시 성에가 끼는 현상은 마찬가지다.
이러한 미러의 성에는 운전시 운전자에게 후방시계의 확보를 매우 곤란하게 하여 안전 운전에 방해가 되고 있음은 비 오는 날 운전을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라 할 것인 바, 종래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백미러가 고안되었다.
그 일 예로서 현재까지는 주로 고급차량에 적용되고 있기는 하나 미러의 표면으로 열선을 내장하여 성에 및 빗물을 제거하는 백미러가 고안된 바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열선 내장형 백미러는 고급차종에 제한적으로 설치되고 고가이기 때문에 전 차종에 일률적으로 채택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선 가동시 밧데리의 소모는 물론 연료의 소모가 과다하고 구성부품이 많이 소요됨에 따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이는 차량의 전체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하나의 요인이기도 하다.
한편 우천시에는 미러의 성에는 물론 빗방울이 미러 표면에 달라붙어 이 역시 안전운전의 방해 요인인 바,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 방법으로는 미러 표면에 수막 처리를 하여 빗방울이 맺히지 않고 미끄러져 없어지도록 하였으나, 미러 표면을 깨끗이 닦아주지 않는 이상 때가 끼게되어 기대만큼의 효과를 거둘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빗방울은 성에 못지 않게 운전 중 인위적으로 제거가 곤란하기 때문에 가급적으로 빗방울이 미러 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이 빗방울이 미러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에서 언급한 정도이며, 그 이외에는 아직 별다른 장치가 고안된 바 없는 바, 이러한 빗방울의 맺힘 현상이 심한 경우 종래에는 부득이하게 차를 정차한 후 간헐적으로 닦아 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열선이 내장된 백미러나 수막처리가 된 미러가 고안된 바 있으나, 우천시 미러 표면으로 끼게되는 성에 및 물방울의 제거가 효과적이지 못하고, 특히 고가일 뿐 아니라 고급차량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한계 등 여러 가지 문제점에 의해 여전히 운전자의 안전운전에는 많은 지장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우천시 외부의 공기가 미러 하우징내로 유입 통풍되게 하여 미러의 이면 표면의 온도차를 낮추어 성에가 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미러 하우징의 상부 전면으로 소정길이 만큼 인출되어진 빗물 낙하 방지용 챙에 의해 미러의 표면으로 빗방울이 떨어져 접촉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줌으로서 미러를 통한 운전자의 후방시계 확보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 우천시에도 안전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빗물낙하 방지용 챙이 인출된 상태의 백미러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Ⅱ-Ⅱ선 단면도
도3은 도1의 Ⅲ-Ⅲ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 낙하 방지용 챙이 하우징 내 측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의 측 단면도도5a 내지 도5d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유입구의 여러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인 백미러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미러 하우징 12: 가이드
13: 가이드 홈 14: 공기 유입구
16, 18: 공기 배출구 20: 미러
30: 빗물 낙하방지용 챙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백미러의 특징은, 우천시 미러 하우징내의 미러 표면으로 발생되는 성에나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백미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으로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각각 소정위치로 형성하되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일부의 찬 공기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 설치된 미러의 이면과 마찰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게 하고, 또 일부의 찬 공기는 상기 미러의 전면으로 관통되어진 또 다른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미러의 표면으로 배출되게 통풍 형성하여 상기 미러의 표면으로 형성되는 성에 및 물방울을 제거하며; 상기 미러 하우징의 가이드로 형성된 상부 가이드 홈으로는 상기 공기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미러의 표면으로 빗물이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의 빗물 낙하 방지용 챙을 인출 조작 가능하게 설치하여서된 점에 있다.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백미러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 백미러는 바람직하게 승합차나 버스 화물차와 같은 차량에 부착 사용되는 것이며, 미러 하우징(10)의 전면으로는 운전시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미러(20)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기본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백미러는 반드시 어느 특정의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형태나 모양은 다양하게 변화가능하고, 특히 미러(20)가 고정식이 아닌 조절형인 백미러이어도 무방하다.도1과 같이 미러 하우징(10)의 전면 상부로는 우천시에 만 선택적으로 인출시켜 빗물이 미러(20)의 표면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낙하 방지용 챙(30)이 인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은 미러 하우징(10)의 상단 주연으로부터 그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12)와의 사이로 형성된 가이드 홈(13)을 따라 인출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은 인출 조작시 굴신이 용이한 신축성 재질이 바람직하며, 특히 가이드 홈(13)은 약간 만곡지게(볼록형태) 형성하여 미러 하우징(10)의 전면으로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이 인출 조작될 때 그 선단부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2는 도1에 도시한 미러 하우징(10)의 종단면도(Ⅱ-Ⅱ선 단면도)로서, 이 미러 하우징(10)의 후면으로는 운행 중 외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소정 형태의 공기 유입구(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면으로는 미러 하우징(10)내로 유입되어 미러(20)의 이면(裏面)과 부딪히는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공기 배출구(1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어도 무방하며, 가급적 미러(20)의 이면과 근접된 위치로 형성하여 이에 부딪힌 공기가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미러(20)에 가해지는 공기의 마찰압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리고 도1과 같이 미러 하우징(10)의 전면 테두리로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공기 배출구(18)가 서로 대향 또는 엇갈리게 관통되어 있는 바, 이는 공기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미러(20)의 전면으로도 유도 배출되게 하여 미러(20)의 표면(表面)에 맺히거나 맺힌 물방울을 신속히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한편 도2와 도3과 같이 가이드(12)의 내 측 주면과 미러 하우징(10)의 전면 테두리 단부로는 공기유도면(12a)(18a)을 만곡지게 각각 형성하여 공기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미러(20)의 이면과 표면으로 각각 용이하게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4는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이 미러 하우징(10) 내 측으로 넣어진 상태의 백미러 종 단면도로서, 이는 비가 올 때의 백미러 사용 예이다. 예컨대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미러(20)의 이면과 표면의 온도차이나 물방울 등에 의한 후방 시계 확보에 전혀 지장을 받지 아니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미러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유입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비가오지 않을 경우에는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을 내 측으로 밀어 넣어 공기 유입구(14)를 강제로 막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2와 같이 비가 오는 날이나 주행 중 비가 오는 경우에는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을 소정 길이 만큼 미러 하우징(10)으로부터 인출 조작시킨다. 그러면 이 때 떨어지는 빗물은 이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에 의해 미러(20)의 표면으로 직접 낙하가 사전에 저지되고, 이로 인하여 미러(20)의 표면으로는 빗방울의 직접 낙하가 방지되고 동시에 물방울 맺힘 현상이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그리고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의 인출 조작에 따라 개방되어진 미러 하우징(10)의 공기 유입구(14)로는 외부의 찬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강제 유입되어진다. 이 때 유입된 찬 공기는 가이드(12)의 공기 유도면(12a)을 비롯하여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의해 각기 공기 배출구(16)(18)를 통해 동시에 배출되어지는 바, 이 때 유입된 일부의 찬 공기는 미러(20)의 이면과 강제 마찰된 다음 하우징(10)의 하부로 형성된 공기 배출구(16)를 통해 배출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일부의 공기는 미러 하우징(10)의 전면으로 관통 형성된 또 다른 공기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되어 진다. 이 때 공기 배출구(16)를 통해 배출되는 일부의 공기는 미러(20)의 이면과 마찰되어 어느 정도 차가워지게 하고, 또한 공기 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되는 일부의 찬 공기는 각 배출구(18)의 단부로 형성된 공기 유도면(18a)에 의해 미러(20)의 전방으로 곧장 배출되지 않고 미러(20)의 표면쪽으로 바람의 방향이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휘어진 찬 바람은 미러(20) 표면의 찬 바람과의 혼합되어져 온도 차이가 거의 없어 미러(20) 표면으로는 온도차에 의한 성에의 발생이 방지되고 동시에 표면의 물방울을 제거하게 되어 운전자는 성에나 물방울에 의한 후방시계의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것이다.그리고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을 하우징(10) 내부로 간단히 밀어 넣어주면 공기 유입구(14)가 차단되어 평상시 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공기유입에 따른 저항 없이 운전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은 공기를 강제 유입시켜 미러(20) 표면의 성에 및 물방울을 제거하는 시스템인 바, 이러한 경우는 특히 차량의 운행에 따른 하우징(10)내의 공기 마찰 압력이 문제로 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유입공기가 신속히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6)(18)를 각각 적정한 위치로 동시에 형성하여 줌으로서 공기 마찰에 따른 압력을 최소하였으며, 또한 우천시에는 차량의 운행 속도가 평상시외 비교하여 현저히 낮아지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사용에 따른 문제는 전혀 없다.한편 도5a 내지 도5d는 본 고안에 있어서, 미러 하우징(10)으로 형성된 공기 유입구(14)의 여러 형태를 다양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전체적인 형태와 관련하여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모양에 구태여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백미러에 따르면 우천시 미러(20)의 표면으로 끼게되는 성에나 물방울을 미러 하우징(10)으로 형성된 공기 유입구(14)와 공기 배출구(16)(18)들을 통해 강제 통풍되는 찬 공기에 의해 제거됨과 동시에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의 인출 조작에 의해 미러(20) 표면으로는 직접적인 빗물의 낙하가 방지되어 특히 우천시 운전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되는 성에나 물방울이 미러에 형성되지 않아 운전자는 비오는 날에도 후방시계의 확보가 용이하여 항상 안전하게 운전할 있는 지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종래 성에를 방지하기 위한 열선 구조에 비하여 구조도 매우 간단하고 또한 저가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점도 매우 크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을 지라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빗물 낙하 방지용 챙의 내측 단부로는 별도의 인출 저지편을 형성하여 이의 인출조작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미러 하우징의 형태나 구조 즉 미러의 고정식 또는 조절식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우천시 미러 하우징(10)내의 미러(20) 표면으로 발생되는 성에나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한 백미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10)으로는 공기 유입구(14) 및 공기 배출구(16)(18)를 각각 소정 위치로 형성하되 상기 공기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된 일부의 찬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으로 설치된 미러(20)의 이면과 마찰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16)로 배출되게 하고, 또 일부의 찬 공기는 상기 미러(20)의 전면으로 관통되어진 또 다른 공기배출구(18)를 통해 상기 미러(20)의 표면으로 배출되게 통풍 형성하여 상기 미러(20)의 표면으로 형성되는 성에 및 물방울을 제거하며;
    상기 미러 하우징(10)의 가이드(12)로 형성된 상부 가이드 홈(13)으로는 상기 공기 유입공(14)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미러(20)의 표면으로 빗물이 직접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의 빗물 낙하 방지용 챙(30)을 인출 조작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
KR2019990020456U 1999-09-21 1999-09-21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 KR200179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56U KR200179797Y1 (ko) 1999-09-21 1999-09-21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456U KR200179797Y1 (ko) 1999-09-21 1999-09-21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797Y1 true KR200179797Y1 (ko) 2000-04-15

Family

ID=1958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456U KR200179797Y1 (ko) 1999-09-21 1999-09-21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7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1526A (en) Enclosure and method for concealing rear windshield wipers of automobiles
US4109562A (en) Defogging device
US6425623B2 (en) Retractable visor for an automobile windshield
KR200179797Y1 (ko) 성에가 끼지 않는 자동차용 백미러
US4750782A (en) Sunroof air deflector
KR0112833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조
KR0135977Y1 (ko) 자동차 도어 미러의 빗방울 방지막
KR200323884Y1 (ko) 자동차용 유리창 성애방지장치
KR200219544Y1 (ko) 자동차 유리창 성에 방지덮개
KR200176526Y1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보호용 커버
KR0149557B1 (ko) 자동차용 스포일러
KR200396471Y1 (ko) 차량용 성에 방지 장치
KR200261827Y1 (ko)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KR930002005Y1 (ko) 승용차 백미러용 빗물방지 커버
KR200319746Y1 (ko) 픽업차량용 빗물유도장치
KR100411005B1 (ko) 차량용 전면윈도우의 제상제거구조
KR19990010415U (ko) 자동차의 성애 제거장치
JP3043141U (ja) 自動車用収納サンバイザー及び防霜バイザー
KR100191667B1 (ko) 차량의 글라스 빗물 제거장치
KR200152228Y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
KR19980044552U (ko) 자동차 후방유리의 습기제거장치
KR200200132Y1 (ko) 자동차 유리 성에방지커버
KR900009399Y1 (ko) 자동차 후사경의 습기 및 서리제거장치
KR0139708Y1 (ko) 자동차의 유리보호용 덮개
KR100628934B1 (ko) 원드실드 와이퍼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