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872Y1 - 마이컴의 리셋 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컴의 리셋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872Y1
KR200175872Y1 KR2019970024245U KR19970024245U KR200175872Y1 KR 200175872 Y1 KR200175872 Y1 KR 200175872Y1 KR 2019970024245 U KR2019970024245 U KR 2019970024245U KR 19970024245 U KR19970024245 U KR 19970024245U KR 200175872 Y1 KR200175872 Y1 KR 200175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reset
power
reset signa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914U (ko
Inventor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4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87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키를 이용하여 마이컴을 리셋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이컴의 파워오프 동작이 행해진 후 파워온 동작이 바로 행해지는 경우에 리셋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워오프 동작시 마이컴의 리셋신호 입력단을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리셋신호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와 접지단의 사이에 방전경로로서의 저항을 구비시켜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리셋신호 전압이 급속하게 방전되도록 하는 리셋회로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마이컴의 리셋회로
본 고안은 마이컴의 리셋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워키를 이용하여 마이컴을 리셋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또는 통신기기 등의 내부에는 그 기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이 구비된다. 이러한 마이컴의 외부에는 소위 파워 온/오프를 위한 키가 연결되며, 사용자가 이러한 파워 키를 조작하면 상기 마이컴의 동작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특히, 마이컴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파워 키를 조작하면 리셋동작이 수행되어 마이컴이 구동되거나 그의 구동이 차단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컴의 리셋회로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파워 키 30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마이컴 10에 전달하기 위한 레귤레이터(Regulator) 20, 트랜지스터 Q1, 저항 R1, 캐패시터 C1과 같은 구성요소들이 리셋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에서, 사용자가 마이컴을 파워 온시키기 위해 파워 키 30을 누르면 트랜지스터 Q1이 턴온(turn on)되어 레귤레이터 20의 단이 "로우"레벨로 된다. 그러면 레귤레이터 20은 단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나타남에 응답하여 입력단 Input으로 인가되는 전원(Batt.)을 출력단 Output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귤레이터 20의 출력단 Output에 연결되는 마이컴 10의 VDD단에는 전원이 공급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마이컴 10의 Reset단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마이컴 10은 구동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 10의 Reset단과 VDD단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C1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파워 오프 동작시에는 상기 캐패시터 C1에 의해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캐패시터 C1에 의해 방전이 충분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파워 온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다시 파워 키 30을 누르면, 도 2에 도시된 노드 N2의 파형과 같이 리셋전압이 충분하게 MPU 10에 인가되지 않아 MPU 10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컴의 리셋회로는 파워오프 동작이 행해진 후 방전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파워온 동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마이컴 10의 정상적인 구동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이컴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리셋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이컴에 정상적인 리셋전압을 인가하는 리셋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마이컴의 파워오프 동작과 파워온 동작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경우에도 마이컴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리셋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워오프 동작시 마이컴의 리셋신호 입력단을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리셋신호 입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와 접지단의 사이에 방전경로로서의 저항을 구비시켜 상기 캐패시터에 충전된 리셋신호 전압이 급속하게 방전되도록 하는 리셋회로를 제안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컴의 리셋회로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워키에 의한 파워온시 동작파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이컴의 리셋회로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워키에 의한 파워오프시 동작파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워키에 의한 파워온시 동작파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이컴의 리셋회로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본 고안에 따른 마이컴의 리셋회로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셋회로를 구성하는 요소들인 마이컴 10, 레귤레이터 20, 파워키 30, 트랜지스터 Q1, 저항 R1 및 캐패시터 C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이컴의 리셋회로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들인 다이오드 D1,D2와, 트랜지스터 Q2와, 저항 R2를 부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레귤레이터 20은 마이컴 10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입력단 Input과, 출력단 Output과,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을 구비한다. 상기 레귤레이터 20의 입력단 Input으로는 전원(Batt.)이 인가되고, 이 레귤레이터 20은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됨에 응답하여 출력단 Output으로 정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정전압은 마이컴 10의 VDD단으로 인가될 뿐만 아니라 트랜지스터 Q2와, 저항 R2와, 캐패시터 C1을 거쳐 Reset단으로도 인가된다.
상기 레귤레이터 20의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에는 트랜지스터 Q1의 컬렉터단자가 접속되고,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과 입력단 Input의 사이에는 저항 R1이 접속된다. 이 저항 R1과 트랜지스터 Q1은 파워 키 30이 눌리어질 시 레귤레이터 20의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에 "로우"레벨의 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파워 키 30이 눌리어지는 경우 트랜지스터 Q1은 턴온되므로 레귤레이터 20의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나타나고, 이에 응답하여 레귤레이터 20은 출력단 Output으로 정전압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마이컴 10은 전자기기 또는 통신기기의 내부에 포함되어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Reset단과, VDD단과, P1단 및 P2단을 구비한다. 상기 마이컴 10의 VDD단과 Reset단의 사이에는 트랜지스터 Q2와, 저항 R2와, 캐패시터 C1이 접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마이컴 10의 VDD단에는 트랜지스터 Q2의 이미터단자가 접속되고, 트랜지스터 Q2의 컬렉터단자와 마이컴 10의 Reset단의 사이에는 캐패시터 C1이 접속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Q2의 컬렉터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는 저항 R2가 또한 접속되며,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단자는 레귤레이터 20의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에 접속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Q2는 이미터단자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레귤레이터 20의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나타날 시 턴온되는 것으로, 턴온 시 캐패시터 C1을 통하여 마이컴 10의 Reset단에 리셋신호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트랜지스터 Q2의 컬렉터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 R2는 트랜지스터 Q2가 턴오프되는 경우에 캐패시터 C1에 충전된 전압을 급속하게 방전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마이컴 10의 P1단은 파워 키 30의 일측에 접속되어 파워 키 30의 눌리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P2단은 다이오드 D2의 애노드측에 접속되는데, 마이컴 10이 정상적인 경우에 이 P2단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유지되고, 파워 키 30이 눌리어짐에 따라 P1단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나타나는 경우에 마이컴 10에 의해 "로우"레벨의 신호가 유지된다.
지금,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파워 키 30을 눌렀다고 가정하면, 다이오드 D1을 통해 전원(Batt.)이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 Q1은 턴온되고 레귤레이터 20의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레귤레이터 20의 출력단 Output을 통해 출력되는 정전압이 마이컴 10의 VDD단자로 인가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트랜지스터 Q2의 이미터단자로도 상기 정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 Q2가 턴온되어 마이컴 10의 Reset단에 리셋신호가 인가된다. 즉, 마이컴 10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자신의 파워온(Power ON)포트인 P2단을 "하이"레벨로 유지하여 마이컴 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파워 키 30이 다시 눌리어지면, 마이컴 10은 파워 키 감지 단자인 P1단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나타남을 감지하여 P2단을 "로우"레벨로 만든다. 그러면 다이오드 D2가 차단되므로 트랜지스터 Q1은 턴온되고, 저항 R1을 통하여 레귤레이터 20의 인에이블신호 입력단 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레귤레이터 20이 디스에이블되고, 트랜지스터 Q2는 턴오프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파워 키 30이 재차 눌리어지는 경우의 동작 파형, 즉 파워오프시에 레귤레이터 20의 출력단인 노드 N1에 나타나는 전압의 파형 및 캐패시터 C1에 나타나는 전압의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워 키 30이 재차 눌리어지는 경우, 레귤레이터 20이 디스에이블되므로 레귤레이터 20의 출력단 Output에는 N1파형과 같은 전압이 나타난다. 이때 트랜지스터 Q2는 턴오프되고, 이전에 캐패시터 C1에 충전된 전압이 접지단에 연결된 저항 R2를 통해 급속하게 방전되어 버린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저항 R2를 통해 방전되는 전압(N3파형)이 레귤레이터 20의 출력단 Output에 사라지는 전압(N1파형)보다 빠르게 사라져 버린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후에 다시 파워 키 30이 눌리어지는 경우에도 마이컴 10은 정상적으로 구동되게 된다.
도 5는 파워 키 30에 의해 마이컴 10이 파워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파워 키 30을 누르는 경우에 마이컴 10의 VDD단(레귤레이터 20의 출력단 Output)에 나타나는 전압의 파형(N1파형) 및 캐패시터 C1에 나타나는 전압의 파형(N3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이컴 10의 VDD단(레귤레이터 20의 출력단 Output)에 나타나는 전압(N1파형)이 충분하게 사라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N3파형과 같이 정상적인 리셋신호가 마이컴 10의 Reset단으로 인가되게 된다. 이에 따라 마이컴 10이 파워오프상태에서 다시 파워 키 30이 눌리어 파워온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파워온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워 오프후 캐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는 리셋신호 전압을 충분하게 방전시킴으로써 이로 인해 야기되던 마이컴의 리셋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마이컴의 리셋회로에 있어서,
    전원과,
    파워 온/오프 동작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파워키와,
    상기 파워키에 의해 파워 온 동작 및 파워 오프 동작이 설정됨에 응답하여 각각 제1레벨의 인에이블신호 및 제2레벨의 인에이블신호를 발생하는 인에이블신호 발생수단과,
    입력단 및 출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레벨의 인에이블신호가 발생됨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단을 통해 상기 전원을 인가받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전원 입력단과 리셋신호 입력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리셋신호 입력단에 리셋신호가 인가될 시 리셋동작하는 마이컴과,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단과 상기 마이컴의 리셋신호 입력단의 사이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마이컴의 리셋신호 입력단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레벨의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정전압을 리셋신호로서 상기 마이컴에 인가하고 상기 제2레벨의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리셋신호 인가동작이 차단되는 리셋신호 인가수단과,
    상기 리셋신호 인가수단과 상기 마이컴의 리셋신호 입력단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리셋신호를 충전하여 상기 마이컴의 리셋신호 입력단에 인가하는 충전수단과,
    상기 리셋신호 인가수단과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2레벨의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셋신호 인가수단의 리셋신호 인가동작이 차단될 시 상기 충전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리셋신호의 방전경로를 제공하는 방전경로 제공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파워키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사이 및 상기 파워키와 상기 리셋신호 인가수단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파워키에 의한 파워 온 동작시 스위칭온되어 "로우"레벨의 신호를 상기 제1레벨의 인에이블신호로 발생하고 파워 오프 동작시 스위칭오프되어 "하이"레벨의 신호를 상기 제2레벨의 인에이블신호로 발생하는 스위칭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신호 인가수단은,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단과 상기 마이컴의 리셋신호 입력단의 사이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마이컴의 리셋신호 입력단의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1레벨의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온되어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정전압을 리셋신호로서 상기 마이컴에 인가하고 상기 제2레벨의 인에이블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오프되어 리셋신호 인가동작이 차단되는 스위칭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회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은 캐패시터이고 상기 방전경로 제공수단은 저항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키와 상기 인에이블신호 발생수단의 사이에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회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파워키에 의한 파워 온 동작 또는 파워 오프 동작을 나타내는 레벨신호의 출력단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 출력단과 상기 인에이블신호 발생수단의 사이에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셋회로.
KR2019970024245U 1997-08-30 1997-08-30 마이컴의 리셋 회로 KR200175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245U KR200175872Y1 (ko) 1997-08-30 1997-08-30 마이컴의 리셋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245U KR200175872Y1 (ko) 1997-08-30 1997-08-30 마이컴의 리셋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14U KR19990010914U (ko) 1999-03-25
KR200175872Y1 true KR200175872Y1 (ko) 2000-04-15

Family

ID=1950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245U KR200175872Y1 (ko) 1997-08-30 1997-08-30 마이컴의 리셋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8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28B1 (ko) * 2005-12-29 2007-11-08 지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마이컴 리셋 장치
KR101321285B1 (ko) * 2011-09-05 2013-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에이블 신호를 이용한 리셋 구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14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1304B2 (ja) グリッチ・センサー付きパワーオン・リセット回路を集積したチップを有する電子システム
US5742133A (en) Driver circuit for an led
JP2541585B2 (ja) リセット信号発生回路
US5692203A (en) Power up/power down for electronic hardware which conserves electric power
US6157227A (en) Device for neutralization in an integrated circuit
US6281723B1 (en) Device and method for power-on/power-off checking of an integrated circuit
KR200175872Y1 (ko) 마이컴의 리셋 회로
US7167654B2 (en) Optoelectronic transceiver with power voltage supply detection
US73788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ltage
JP4480229B2 (ja) パワーオフ検出回路
US7205683B2 (en) Circuit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power off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H1078834A (ja) 電源電圧検出回路及びそれを具備したicカード
JP3488757B2 (ja) 電子機器類の電源供給回路
JP2701266B2 (ja) 電子機器
JP3133879B2 (ja) 電子機器
JP2534139Y2 (ja) 電子回路用入力端子回路
KR100360792B1 (ko) 파워온리셋회로및이것을이용한제어장치
JP2001273274A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テストモード設定回路
JPS5838435Y2 (ja) リセット信号発生回路
KR200238177Y1 (ko) 캠코더 배터리의 효율향상 및 수명연장을 위한 장치
KR0157947B1 (ko) 신용카드조회기의 리세트회로
KR930003911Y1 (ko) 시간차를 가지는 리세트회로
JPH0614384Y2 (ja) ラッチングリレーの駆動回路
JPS6111775Y2 (ko)
KR0137425Y1 (ko) 절전형 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