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25Y1 - 절전형 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절전형 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425Y1
KR0137425Y1 KR2019950001996U KR19950001996U KR0137425Y1 KR 0137425 Y1 KR0137425 Y1 KR 0137425Y1 KR 2019950001996 U KR2019950001996 U KR 2019950001996U KR 19950001996 U KR19950001996 U KR 19950001996U KR 0137425 Y1 KR0137425 Y1 KR 0137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charge
discharg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911U (ko
Inventor
강용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01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425Y1/ko
Publication of KR960029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9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4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전원을 온(ON)시켜 놓아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있었던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동안 오디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주오디오수단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전형 마이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전형 마이크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각 구성의 출력을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20 : 전원스위칭수단
30 : 충/방전수단 40 : 충/방전선택수단
Q1,Q2 : 트랜지스터 R1,R2,R3,R4,R5,R6 : 저항
C : 콘덴서
본 고안은 무선 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시간동안 마이크로 인가되는 신호가 없을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 스위치를 온(ON)시켜 사용할 때는 계속 전지의 소모가 있겠지만, 사용자가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전원 스위치를 오프(OFF)시키지 않으면 계속해서 전지의 소모가 발생한다. 마이콤(MICOM)을 사용한다면, 이렇게 일정 시간동안 마이크로 오디오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마이콤에서는 사용자가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오프시키는 문제가 간단히 해결되겠지만, 마이크 내부에 마이콤을 구성하기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마이크로 인가되는 신호가 없을 경우, 아날로그 회로의 구성 즉, 오디오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동작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주오디오수단으로 전달하는 무선 마이크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원인 전원부, 상기 오디오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충/방전수단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충/방전 선택수단,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충전하며, 상기 충/방전 선택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하는 충/방전수단 및 상기 충/방전수단의 충/방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주오디오수단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원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전형 마이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마이크장치는 전지(Vcc)로 구성되는 전원 공급원인 전원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10)에는 동작전압을 주오디오수단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스위칭수단(20)이 연결된다. 또한, 전원부(10)와 전원스위칭수단(20) 사이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기계적 스위치(SW)가 연결된다. 전원스위칭수단(20)은 전원부(1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인가받는 에미터와, 제1저항(R1)을 통해 에미터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진다.,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과 충/방전수단(30) 사이에는 제2저항(R2)이 연결되며, 이 제1,2저항(R1,R2)은 제1트랜지스터(Q1)의 턴 오프(TURN OFF)전압으로 상승할 때까지의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류를 조절한다. 충/방전수단(30)은 제3저항(R3) 및 콘덴서(C)가 병렬로 구성되며, 제3저항(R3)과 콘덴서(C)의 시정수값에 따라 콘덴서(C)의 충전시간을 결정한다. 충/방전 선택수단(40)은 외부로부터의 오디오신호를 베이스단으로 인가받는 제2트랜지스터(Q2) 및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제4,5,제6저항(R4,R5,R6)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4저항(R4)은 오디오신호의 입력 레벨을 결정하며, 제5,제6저항(R5,R6)은 제2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bias) 전압을 결정한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장치를 제1도 및 제1도의 각 구성의 출력 파형도를 나타낸 제2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2도에서, 수평축은 시간(t)을 나타내며, 수직축은 전압(v)을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는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해 기계적 스위치(SW)를 온(ON)시킨다. 이때, 전지의 동작전압(Vcc)이 전원스위칭수단(20)의 제1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 인가되면서 동시에 제1,제2저항(R1,R2) 및 콘덴서(C)에 인가된다. 그러나, ⓑ점의 전압은 콘덴서(C)의 영향으로 급상승하지 못하고, 콘덴서(C)가 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t1)(제2b도)동안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베이스단에 걸리는 전압이 0.7V 이상이 되므로,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트랜지스터(Q1)의 턴 오프(TURN OFF)가 되는 전압이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t2) 이전은 턴온(TURN ON)되어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스위칭수단(20)은 주오디오수단으로 동작전압을 인가한다. 즉, 전원부(10)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원은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랜지스터(Q1)의 턴오프시간(t2)까지만 공급되고, 다시 오디오신호가 들어오기 전까지 전원이 차단된다. 그 다음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디오신호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면 제2트랜지스터(Q2)의 턴온(TURN ON)이 시작되고, 콘덴서(C)에 충전되었던 전압은 제2트랜지스터(Q2)의 턴온 저항이 매우 작으므로 순간 방전되어 ⓑ점의 전압은 0V가 된다. 그러므로, 제1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제1트랜지스터(Q1)는 온(ON)상태가 되어 주오디오 수단으로 동작전압(Vcc)을 출력한다. 계속해서 오디오신호가 입력될 때 즉, 제1트랜지스터(Q1)의 턴오프시간(t2)보다 짧은 시간동안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스위칭수단(20)은 온(ON)상태가 되어 주오디오수단으로 동작전원(Vcc)을 계속 공급한다.
사용자가 마이크의 사용을 종료한 후, 마이크의 파워를 끄지 않은 상태에서 오디오신호가 소정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이때부터 충/방전수단(30)의 콘덴서(C)에는 다시 충전이 시작되며,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정 시간동안 마이크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의 입력이 없을 경우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여부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막아 장기간 사용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6)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주오디오수단으로 전달하는 무선 마이크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원인 전원부; 상기 오디오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충/방전수단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충/방전 선택수단;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충전하며, 상기 충/방전 선택수단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하는 충/방전수단; 및 상기 충/방전수단의 충/방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주오디오수단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전원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수단은 저항 및 콘덴서가 병렬로 구성되어 있고, 저항 및 콘덴서의 시정수값에 따라 상기 콘덴서의 충전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칭수단은 상기 충/방전수단의 충전시간동안 상기 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선택수단은 상기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상기 충/방전수단의 충전전원을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칭수단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인가받는 에미터와 제1저항을 통해 에미터와 베이스가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충/방전수단에 연결되는 제2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선택수단은 상기 인가되는 오디오신호의 레벨을 결정하는 제4저항 및 바이어스전압을 결정하는 제5,제6저항이 베이스단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마이크장치.
KR2019950001996U 1995-02-09 1995-02-09 절전형 마이크장치 KR0137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996U KR0137425Y1 (ko) 1995-02-09 1995-02-09 절전형 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996U KR0137425Y1 (ko) 1995-02-09 1995-02-09 절전형 마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911U KR960029911U (ko) 1996-09-17
KR0137425Y1 true KR0137425Y1 (ko) 1999-04-01

Family

ID=1940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996U KR0137425Y1 (ko) 1995-02-09 1995-02-09 절전형 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4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911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857B1 (ko) 전원 공급 제어 회로 및 방법
EP0368398B1 (en) Delay-controlled relaxation oscillato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6525517B1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a soft starting circuit
JPH1056383A (ja) 周期的にa/d変換を行うa/dコンバータ回路
KR100190353B1 (ko) Mos 형 전력 트랜지스터에서의 전류 검출회로
EP0925648A1 (en) Output stage with slewing control means
KR0137425Y1 (ko) 절전형 마이크장치
GB2261129A (en) Pager using a second battery for initial vibrator excitation
KR0133827B1 (ko)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는 타이머장치
US5892392A (en) Device for setting a bias source at stand-by
KR200183491Y1 (ko) 잔여전압 선택 방전장치
KR910005672Y1 (ko)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JPS6122345Y2 (ko)
JP3564976B2 (ja) 発振検出回路
JP3343833B2 (ja) 電力増幅器
JP2531826Y2 (ja) パワーセーブ回路
JPH09261024A (ja) スイッチング回路
JPS647701B2 (ko)
JPS6016054B2 (ja) リレ−駆動回路
KR100407300B1 (ko) 습도센서구동회로
JPH0537552Y2 (ko)
JPH06276699A (ja) 電源回路
KR20000014298A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970076194A (ko) 절전형 모니터의 순간 제어 장치
JP2000004161A (ja) Da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