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672Y1 -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672Y1
KR910005672Y1 KR2019880018339U KR880018339U KR910005672Y1 KR 910005672 Y1 KR910005672 Y1 KR 910005672Y1 KR 2019880018339 U KR2019880018339 U KR 2019880018339U KR 880018339 U KR880018339 U KR 880018339U KR 910005672 Y1 KR910005672 Y1 KR 910005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rminal
time constant
output
mel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550U (ko
Inventor
하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시계 주식회사
김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시계 주식회사, 김정상 filed Critical 삼성시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8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672Y1/ko
Publication of KR900010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5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 G04C21/1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producing the signals at adjustable fixed ti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로 멜로디 회로와 벨을 모두 구동시킬 경우의 접속 상태를 보인 일실시예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로 멜로디 회로만을 구동시킬 경우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로 벨만을 구동시킬 경우의 접속 상태를 보인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정수 회로 2 : 동작 신호 출력부
3 : 제어부 4 : 푸시 스위치
5 : 세팅 스위치 6 : 멜로디 회로
7 : 벨
본 고안은 사용자가 미리 세팅시킨 시간이 되어 세팅 스위치가 접속될 경우에 멜로디 회로 및 벨을 구동시켜 멜로디 및 벨신호 등의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시계의 알람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집적소자(IC)를 사용하여 멜로디 및 벨신호 등의 알람 신호의 출력을 자동절환, 자동 온/오프 및 일시정지 시켰으나, 집적소자를 별도로 주문 생산 하였으므로 일반성이 없고 매우 고가여서 제품의 생산 원가가 상승 되었음을 물론 집적소자 이외에 많은 부품이 사용되는 등의 결함이 있었고, 또한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알람 신호의 출력을 제어한 것도 있으나, 이는 소비 전력이 많고 동작이 불안정하는 등의 여러 가지의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를 이용하여 멜로디 회로 및 벨의 구동을 자동 절환, 자동 온/오프 및 일시정지 시킴과 아울러 그 동작을 반복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알람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는, 시정수 회로와, 상기 시정수 회로의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신호 출력부와, 상기 동작 신호 출력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멜로디 회로 및 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시정수 회로 및 동작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푸시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푸시 스위치를 조작하여 시정수 회로 및 동작신호 출력부가 모두 동작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팅 시킨 시간이 되면, 동작 전원이 입력되어 시정수 회로가 동작하고, 시정수 회로가 동작함에 따라 동작신호 출력부가 시정수 회로 동작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에 입력되므로 제어부는 멜로디 회로를 구동시켜 멜로디가 출력되고,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어부는 멜로디 회로의 구동을 정지 시킴과 동시에 벨을 구동시켜 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푸시 스위치를 조작하여 시정수 회로 및 동작 신호 출력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세팅시킨 시간이 되어 동작 전원이 입력될 때 제어부가 벨은 구동시키지 않고, 멜로디 회로는 계속 구동시켜 멜로디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멜로디 회로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푸시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 시간 동안만 멜로디 회로를 동작시켜 시정수 시간 동안만 멜로디가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그 시정수 시간동안 멜로디를 출력하는 것을 반복하거나, 멜로디 회로를 계속 구동시켜 멜로디를 계속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벨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푸시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 시간 동안은 벨을 구동시키지 않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하면 벨을 구동시켜 벨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그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구성 및 동작을 가지는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R1) 및 콘덴서(C)가 직렬로 접속된 시정수 회로(1)를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는 저항(R2)을 접속하여 동작신호 출력부(2)를 구성하고, 동작신호 출력부(2)의 출력 단자인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및 저항(R2)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를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는 저항(R4)을 접속하여 제어부(4)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시정수 회로(1) 및 동작신호 출력부(2)의 접지 단자인 콘덴서(C) 및 저항(R2)을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에 접속하여 푸시 스위치(4)의 일측 단자(a2)는 접지에 접속하고, 타측단자(a3)에는 시정수 회로(1)의 저항(R1) 및 콘덴서(C)의 접속점을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제 1 도의 도면 설명중 미설명 부호 B+는 동작전원이고, 5는 사용자가 세팅시킨 시간이 되면 접속되는 세팅 스위치이며, OUT 1-OUT3는 출력 단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는 동작 전원(B+)이 인가되고,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팅시킨 시간이 되어 세팅 스위치(5)가 접속되면, 동작 전원(B+)이 세팅 스위치(5)를 통해 공급되므로 동작 신호 출력부(2)의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류가 흘러 시정수 회로(1)의 콘덴서(C)에 충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1)가 온되고 제어부(3)의 트랜지스터(TR2, TR3)는 모두 오프되어 출력단자(OUT2)로 고전위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덴서(C)에 일정전압 이상이 충전 즉,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 시간이 경과하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그가 트랜지스터(TR2, TR3)는 온되고, 출력단자(OUT2)로 저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킨 후 다시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키면, 상기에서와 같이 시정수 회로(1) 및 동작신호 출력부(2)가 동작하여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시간 동안은 출력단자(OUT2)로 고정위를 출력하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하면 출력단자(OUT2)로 저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푸시 스위치(4)를 눌러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키면, 콘덴서(C)의 양단자가 접속되어 충전 전압이 순간 방전됨과 아울러 콘덴서(C) 및 저항(R2)이 접지 되지 못하여 시정수 회로(1) 및 동작신호 출력부(2)가 동작하지 않게 되고,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그가 오프되며, 트랜지스터(TR3)도 오프되므로 출력단자(OUT2)로 고전위가 출력된다.
즉,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는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일측 단자(a2)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세팅 스위치(5)가 접속될 경우에 시정수 회로의 시정수 시간 동안 출력단자(OUT2)로 고정위를 출력하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되면, 출력단자(OUT2)로 저전위를 출력하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을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킨 후 다시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킴에 따라 반복 수행하게 되고,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세팅 스위치(5)가 접속될 경우에 출력단자(OUT2)로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게 된다.
제 2 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본 고안의 알람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멜로디 회로(6) 및 벨(7)을 모두 구동시킬 경우의 접속 상태를 보인 일실시예도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일측 단자(a2)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세팅 스위치(5)가 접속되면, 멜로디회로(6)에 동작전원(B+)가 입력됨과 아울러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 시간 동안 출력단자(OUT2)로 출력되는 고전위가 멜로디 회로(6) 구동단자(MT)로 입력되므로 멜로디 회로(6)가 동작하여 멜로디가 출력되고, 이 때 벨(7)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 시간이 경과되어 출력단자(OUT2)로 저전위가 출력되면, 멜로디 회로(6)의 구동이 정지됨과 아울러 벨(7)의 마이너스 단자가 트랜지스터(TR3)를 통해 등가적으로 접지되어 벨(7)이 구동되므로 벨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푸시 스위치(4)의 중단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킨 후 다시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키면, 상기의 동작을 반복수행하여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시간 동안은 멜로디 회로(6)를 구동시켜 멜로디가 출력되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하면 벨(7)을 구동시켜 벨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켜 두면, 출력단자(OUT2)로 계속 고정위를 출력하게 되므로 멜로디 회로(6)가 계속 구동되어 멜로디가 출력되고, 벨(7)은 구동되지 않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일측 단자(a2)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세팅 스위치(5)가 접속됨에 따라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시간 동안 멜로디 회로(6)를 구동시킨 후 벨(7)을 구동시키게 됨과 아울러 이와 같은 동작을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킨 후 다시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킴에 따라 반복하게 되고,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 단자(a3)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멜로디 회로(6)만 계속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 3 도는 멜로디 회로(6)만을 동작시킬 경우의 접속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세팅 스위치(5)가 접속되어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 시간동안 출력단자(OUT2)로 고전위가 출력될 때 멜로디 회로(6)가 구동되고,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 시간이 경과하면 멜로디 회로(6)의 구동이 정지되며, 이와 같은 동작을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킨 후 다시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킴에 따라 반복 수행하게 되며,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 단자(a3)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출력단자(OUT2)로 계속 고전위가 출력되어 멜로디 회로(6)가 계속 구동된다.
또한 제 4 도는 벨(7)만을 동작시킬 경우의 접속 상태를 보인 또 다른 실시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세팅 스위치(5)가 접속되어 시정수 회로(1)의 시정수 시간동안 출력단자(OUT2)로 고전위가 출력될 때 벨(7)이 구동되지 않고, 시정수 시간이 경과하여 출력단자(OUT2)로 저전위가 출력될때 벨(7)이 구동되며, 이와 같은 동작을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킨 후 다시 일측단자(a2)에 접속시킴에 따라 반복 수행하게 되고, 푸시 스위치(4)의 중간단자(a1)를 타측단자(a3)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는 출력단자(OUT2)로 계속 고전위를 출력하여 벨(7)이 구동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히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를 이용하여 단순한 알람 신호를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충족 시킬 수 있고,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함은 물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 원가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세팅스위치(5)가 접속됨에 따라 멜로디회로(6) 및 벨(7)를 구동시키는 알람제어회로에 있어서, 동작전원이 인가되는 세팅스위치(5)와, 이 세팅스위치(5)의 온동작에 따라 동작전원이 종전되면서 소정의 지연시간을 갖는 저항(R1)과, 콘덴서(C1)가 직렬로 구성된 시정수회로(1)와, 이시정수회로(1)에 의하여 초기에는 온되고, 소정지연시간후에는 오프되는 트랜지스터(TR1) 저항(R2)로 구성된 동작신호출력부(2)와, 상기 동작신호 출력부(2)의 온, 오프 동작에 따라 반대로 온, 오프동작하면서 출력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멜로디회로(6)와 벨(7)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킨 트랜지스터(TR2),(TR3), 저항(R3), (R4)로 구성된 제어부(4)와, 누름접속시킨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4)의 동작을 제어하는 푸시스위치(4)로 구성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의 알람제어회로.
KR2019880018339U 1988-11-09 1988-11-09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KR910005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339U KR910005672Y1 (ko) 1988-11-09 1988-11-09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339U KR910005672Y1 (ko) 1988-11-09 1988-11-09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50U KR900010550U (ko) 1990-06-02
KR910005672Y1 true KR910005672Y1 (ko) 1991-07-30

Family

ID=1928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339U KR910005672Y1 (ko) 1988-11-09 1988-11-09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6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550U (ko) 199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0762A (en) Current drive circuit
KR910005672Y1 (ko) 시계의 알람 제어회로
JPS6120722Y2 (ko)
KR0137425Y1 (ko) 절전형 마이크장치
JPH082894Y2 (ja) 電源スイッチ回路
KR950006577B1 (ko) 자동 전원 온-오프 시험장치
JPS5649691A (en) Current controlling circuit for dc motor
US4222100A (en) Power transition circuit
KR900000231B1 (ko) 장시간 타이머회로
KR930004284Y1 (ko) 스텝핑모터의 전력세이브 회로
JPH06225557A (ja) 小型モ−タの駆動回路
JPH10320081A (ja) 電源切換回路
JPS648357A (en) Discharge load driving circuit
KR850000211Y1 (ko) 원격 제어 기기의 단일 전원스위치 회로
JPS6485568A (en) Semiconductor device
KR900001471B1 (ko)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KR910007182Y1 (ko) 컬러 tv의 전원구동 표시회로
JP2531826Y2 (ja) パワーセーブ回路
KR880002186Y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910004455Y1 (ko) 음향기기의 레벨선택주파수 부스트(boost)회로
JPS6122345Y2 (ko)
JPS647701B2 (ko)
KR920001649Y1 (ko) 리모콘 방식의 메인 전원 제어회로
JP2518216Y2 (ja) バイアス遮断回路
KR200183491Y1 (ko) 잔여전압 선택 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