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186Y1 -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186Y1
KR880002186Y1 KR2019850007735U KR850007735U KR880002186Y1 KR 880002186 Y1 KR880002186 Y1 KR 880002186Y1 KR 2019850007735 U KR2019850007735 U KR 2019850007735U KR 850007735 U KR850007735 U KR 850007735U KR 880002186 Y1 KR880002186 Y1 KR 880002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base
potential
voltag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288U (ko
Inventor
지완하
박경수
최영진
권태복
최장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07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2186Y1/ko
Publication of KR870001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어단자 Q1-Q6: 트랜지스터
D1: 다이오드 ZD1-ZD2: 정전압 다이오드
R1- R11: 저항
본 고안은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하나의 제어단자로 정(+)전위와 부(-)전위를 동시에 온, 오프 제어 할 수 있도록한 전원 온, 오프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여러종류의 전원 온, 오프 제어회로가 있었으나, 이는 제어단자 하나로서 단일 전원단자 밖에 제어를 하지 못하므로 양 전원을 동시에 온/오프 제어를 할수가 없었으며, 2개의 제어단자를 사용해야만 하므로 그의 회로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 시차를 두고 정, 부의 전원이 출력되어 전원 회로에 불안한 요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단일 제어단자 신호에 의하여서도 양전위를 동시에 온/오프 제어할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일 제어단자(20)에 저항(R1), (R2)을 통하여 트랜스터(Q3)의 베이스를 접속하고, 그의 콜렉터에 저항(R4), (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를 각각 접속하고, 또한 저항(R6), (R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저항(R7)을 출력단자(가)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는 다이오드(D1), 저항(R8)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와 저항(R9, R10), 트랜지스터(Q6) 및 정전압다이오드(ZD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 (Q2)의 각각 베이스에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 (Q2)에 에미터를 전원단자 (나), (다)에 연결하여 구성 시킨다.
T는 트랜스, 10은 브리지 정류회로, R3, R12, R13은 저항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인가시에는 트랜스(T)에서 유기된 전압이 적정 전압으로 변압되어 브리지 정류회로(10)를 통한 직류전압이 정전압 트랜지스터(Q1), (Q2)의 각 콜렉터축에 입력된다. 이때 제어단자(20)로 부터 로우 전위가 가해지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는 드레스홀드 전위보다 낮은 전위가 가해지게 되어 트랜지스터(Q3)가 부도통 되므로, 전원단자(Vcc)로 부터의 전위가 저항(R3), (R4), (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가해진다.
이때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공급되는 전압이 드레스홀드 전위보다 높으므로 트랜지스터(Q4)는 "도통"되어, 출력단자(가)에 전위는 저항(R6), (R7)을 통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4)의 클랙터 전위는 로우전위로 떨어지게 되어, 트랜지스터(Q5)는 "도통"되므로, (가)의 전위가 도통하여 다이도드(D1) 및 저항(R8)을 통하여 정전압 다이오드(ZD1)에 의하여 일정전압으로 유지되게 되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제어단자(20)에서 제어를 시작하여 단자(나)에는 일정 전압이 출력된다. 그러나 부전위 제어에는 트랜지스터(Q5)가 도통되어 (가)에 공급되는 전위가 저항(R9), (R10)에 의하여 전위가 분압되어서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위가 드레스홀드보다 높게 상승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6)가 도통되어 단자(라)에 부전위가 나타나게 되고, 저항(R1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우가 인가되면, 정전압 다이오드(ZD2)에 의하여 일정 전압으로 유지시켜 주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제어하게 되어 단자(다)에는 일정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20)에서 영전위로 (나), (다)가 출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원단자(나), (다)에 전압이 나타나지 않게 하려면 제어단자(20)에 동작전위를 하이상태로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3)가 도통되어 트랜지스터(Q4)가 부도통 되므로, 출력단(가)의 전위가 저항(R7)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5)는 부도통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가해지지 못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의하여 출력을 할 수가 없다.
한편, 부전위에서는 단자(라)전압이 저항(R1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6)가 부도통되므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지 못하여 트랜지스터(Q2)에서도 출력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즉, 제어단자(20)에 동작 전위를 "하이"상태로 하면, 출력단자(나), (다)에는 전압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단일의 제어단자를 사용하여 양전원을 동시에 온/오프 제어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 소모도 감소할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단일 제어단자(20)에 저항(R1), (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를 접속하고, 그의 콜렉터에 저항(R4, R5) 및 트랜지스터(Q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를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다이오드(D1), 저항(R8) 및 정전압 다이오드(ZD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와 베이스를 저항(R9,R10), 트랜지스터(Q6) 및 정전압 다이오드(ZD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을 접속하고, 통상의 브리지 정류회로(10)의 정, 부 출력단자에 콜렉터측이 접속된 트랜지스터(Q1), (Q2)의 에미터축에서 양 출력단자(나), (다)신호를 인출하도록 구성된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2019850007735U 1985-06-26 1985-06-26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880002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735U KR880002186Y1 (ko) 1985-06-26 1985-06-26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7735U KR880002186Y1 (ko) 1985-06-26 1985-06-26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288U KR870001288U (ko) 1987-02-20
KR880002186Y1 true KR880002186Y1 (ko) 1988-06-16

Family

ID=1924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735U KR880002186Y1 (ko) 1985-06-26 1985-06-26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21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51Y1 (ko) 2000-02-26 2000-08-01 이운 캐치볼용 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288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29018A (en) Input protection device for semiconductor circuit device
KR870006721A (ko) 반도체 전자회로
US7400188B2 (en) Voltage providing circuit
US4716305A (en) Switching device having a feedback means for rendering a control circuit inoperative in response to a current supply circuit being inoperative
KR880002186Y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880002063A (ko) 회로 장치
GB2229875A (en) Switching circuits
JP2615890B2 (ja) 制御機器の入力装置
JPS6346660B2 (ko)
KR870000858Y1 (ko) 햄머 구동회로
KR890000410Y1 (ko) 리세트 회로
KR890006039Y1 (ko) 전원 공급 장치
KR870003013Y1 (ko) 바이어스 전압이 필요없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
KR900010344Y1 (ko) 전류원에 의한 데이타 전송회로
KR890004801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자동 리세트회로
KR900001900Y1 (ko) 컴퓨터의 전원공급 안정화 회로
KR880003415Y1 (ko) 정 전압 제어 회로
KR870001256Y1 (ko) 리셋트 회로
KR910000534Y1 (ko) 리모트 콘트롤 집적회로의 초기 오동작 방지회로
JP2690788B2 (ja) 半導体装置
KR890003608Y1 (ko) 컴팩트 디스크용 전원회로
JP2668928B2 (ja) 同期分離回路
KR910004080Y1 (ko) 초기 구동용 전원공급회로
KR900000330B1 (ko) 전압합성방식 텔레비젼 수상기의 초기 채널선국회로
KR880001870Y1 (ko) 간이 전송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