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751Y1 - 캐치볼용 그립 - Google Patents

캐치볼용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751Y1
KR200190751Y1 KR2020000005369U KR20000005369U KR200190751Y1 KR 200190751 Y1 KR200190751 Y1 KR 200190751Y1 KR 2020000005369 U KR2020000005369 U KR 2020000005369U KR 20000005369 U KR20000005369 U KR 20000005369U KR 200190751 Y1 KR200190751 Y1 KR 200190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ball
pockets
handle frame
mu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
Original Assignee
이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 filed Critical 이운
Priority to KR2020000005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751Y1/ko
Priority to AU37744/01A priority patent/AU3774401A/en
Priority to PCT/KR2001/000292 priority patent/WO2001062355A1/en
Priority to JP2001561412A priority patent/JP2003523274A/ja
Priority to US10/204,671 priority patent/US6739990B2/en
Priority to EP01910163A priority patent/EP1261400A4/en
Priority to CNB018055257A priority patent/CN1212169C/zh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2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having means, e.g. pockets, netting or adhesive type surfaces, for catching or holding a ball, e.g. for lacrosse or pelot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2Handles contoured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user's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34Handles with the handle axis different from the main axis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through-h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치볼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틀과, 그 손잡이틀의 전방측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쪽으로 펼쳐졌다 함께 모아지면서 공을 잡도록 좌우 한 쌍으로 된 포구포켓과, 상기 손잡이틀과 포구포켓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한 좌우 포구포켓의 어느 한 쪽을 회동시키면 다른쪽 포구포켓도 반대방향으로 함께 회동되도록 하는 포구포켓 연동수단과, 상기 손잡이틀의 전방면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한 포구포켓의 열림시 당겨지면서 그 한 쌍의 포구포켓을 함께 걸어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가 투척된 볼이 접촉되는 순간 젖혀지면서 포구포켓의 펼침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작동판과, 상기 손잡이틀과 포구포켓 사이에 개재되어 포구포켓의 펼침시 수축되었다가 작동판의 해제시 복원되면서 두 포구포켓이 탄력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공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파손될 염려가 적고, 포구포켓이 기어식으로 연동되어 개폐되므로 한 쪽의 포구포켓을 열면 나머지도 함께 열리므로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포구포켓을 펼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미관상 유려함은 물론 포구포켓의 닫음속도도 증가되고, 상기 작동판의 전방면에 편심지게 만곡진 이탈방지돌부가 형성되므로 그 작동판에 볼이 접촉되었다가 튕겨질 때 비스듬히 틀어지게 되어 볼을 완전하게 잡을 수 있다.

Description

캐치볼용 그립{CATCH BALL GRIP}
본 고안은 캐치볼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이 매끄러운 고무볼이나 야구볼 등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캐치볼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치볼(Catch Ball)은 운동장 또는 공터 등지에서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상대로부터 던져진 볼(Ball)을 되받아내는 간단한 놀이기구로서, 이러한 캐치볼은 통상 손잡이틀의 전면(前面)에 접착포가 구비되어 그 손잡이틀의 접착포에 테니스볼과 같이 표면에 보풀이 일어나 있는 볼을 달라붙게 하여 받아내는 접착식 캐치볼이 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캐치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에 보풀이 일어나 있는 볼(Ball)에만 사용할 수 있어 고무공이나 야구공과 같이 표면이 매끈한 볼은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접착포가 마모되면 테니스볼 등도 완전하게 달라붙지 않아 놀이기구로서의 흥미를 쉽게 상실하게 되고,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1998년 9월 9일자 (출원번호 실용98-17122호, 이하 '제1 선출원'이라고 함) 및 1999년 1월 23일자 (출원번호 실용99-00878호, 이하 '제2 선출원'이라고 함)로 각각의 포구식 '캐치볼용 그립'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중 제1 선출원된 캐치볼용 그립은 포구포켓을 열기 위한 작동레버를 손잡이틀의 안쪽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그 작동레버와 손잡이틀을 함께 파지한 상태에서 완력으로 작동레버를당켜 상기한 포구포켓을 열도록 하는 것인데 반해, 제2 선출원된 캐치볼용 그립은 포구포켓에 별도의 당김부재를 결합시켜 한 손으로는 손잡이틀을 잡고 나머지 다른 손으로 당김부재를 당겨 열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제1 선출원된 캐치볼용 그립은 한 손으로 포구포켓을 열 수는 있으나 그 포구포켓을 열 때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반면, 제2 선출원된 캐치볼용 그립은 두 손을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포구포켓을 여는 동작과 볼을 잡는 동작이 이중동작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다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심플하지 못하며 포구포켓의 개방시 그 포구포켓을 항상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야 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선출원된 캐치볼용 그립이 가지는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포구포켓의 펼침시 편리성이 더욱 보강되고 미관상으로도 간결한 캐치볼용 그립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을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로서,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을 보인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B-B'선단면도 및 'C-C'선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펼침시 연동수단의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닫힘시 작동판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이때의 포구포켓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6b는 도 6a의 'D-D'선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닫힘시 작동판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및 이때의 포구포켓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7b는 도 7a의 'E-E'선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작동판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틀 11A,11B : 좌우측 지지돌부
11a,11b : 힌지돌부 11c : 멈춤돌기
12a,12b : 힌지편부 13a,13b : 스프링 고정공
20A,20B : 좌우측 포구포켓 21A,21B : 좌우측 지지부재
21a,21b : 힌지구멍 21c : 포켓부재 박음질공
21d : 체결돌부 21e : 걸림홈
21f : 스프링 고정장공 22 : 포켓부재
30 : 연동수단 31A,31B : 좌우측 기어부재
31A,31b : 관통구멍 31c : 체결홈
40 : 작동판 41 : 힌지돌부
42a,42b : 걸림돌기 43 : 스프링 고정돌기
44 : 이탈방지돌부 50A,50B : 포켓스프링
H : 힌지핀 S : 작동판 스프링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틀과, 그 손잡이틀의 전방측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쪽으로 펼쳐졌다 함께 모아지면서 공을 잡도록 좌우 한 쌍으로 된 포구포켓과, 상기 손잡이틀과 포구포켓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한 좌우 포구포켓의 어느 한 쪽을 회동시키면 다른쪽 포구포켓도 반대방향으로 함께 회동되도록 하는 포구포켓 연동수단과, 상기 손잡이틀의 전방면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한 포구포켓의 열림시 당겨지면서 그 한 쌍의 포구포켓을 함께 걸어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가 투척된 볼이 접촉되는 순간 젖혀지면서 포구포켓의 펼침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작동판과, 상기 손잡이틀과 포구포켓 사이에 개재되어 포구포켓의 펼침시 수축되었다가 작동판의 해제시 복원되면서 두 포구포켓이 탄력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한 캐치볼용 그립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캐치볼용 그립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을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단면도로서,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B-B'선단면도 및 'C-C'선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캐치볼용 그립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하나의 손잡이틀(10)과, 그 손잡이틀(10)의 전방측에 회전하면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중으로 투척된 볼을 감싸 잡는 좌우 한 쌍의 포구포켓(20A,20B)과, 그 한 쌍의 포구포켓(20A,20B)이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포구포켓 연동수단(30)과, 상기 손잡이틀(10)의 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포구포켓(20A,20B)이 펼침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작동판(40)과, 상기 작동판(40)의 해제시 한 쌍의 포구포켓(20A,20B)이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포켓스프링(50A,5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틀(10)은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ㅁ'자 또는 'D'자 형상으로 성형되고, 그 전방면의 상하 양측에는 양쪽 포구포켓(20A,20B)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지지돌부(11A)(11B)가 전방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양쪽 지지돌부(11A)(11B)의 상호 대향면에는 후술할 각 포구포켓(20A,20B)의 지지부재(21A,21B)가 힌지 결합되도록 2개 한 쌍씩의 힌지돌부(11a,11a)(11b,11b)가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포구포켓(20A,20B)은 각각 손잡이틀(10)의 상하 지지돌부(11A,11B)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ㄷ'자형 또는 'C'자형 지지부재(21A,21B)와, 피혁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그 각각의 지지부재(21A,21B)에 박음질 등으로 일괄 결합되는 하나의 포켓부재(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양쪽 지지부재(21A,21B)는 그 각각의 상하 양단부에 손잡이틀(10)의 각 힌지돌부(11a,11a)(11b,11b)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구멍(21a,21a)(21b,21b)이 형성되고, 그 각각의 지지부재(21A,21B) 전체에는 포켓부재(22)를 박음질 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켓부재 박음질공(11c)이 형성된다.
상기 포구포켓 연동수단(30)은 손잡이틀(10)의 하측 지지돌부(11B)에 매립되는 외접한 한 쌍의 기어부재(31A,31B)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기어부재(31A,31B)는 그 중앙에 손잡이틀(10)의 각 힌지돌부(11a,11a)(11b,11b)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구멍(31a,31b)이 상기한 지지부재(21A,21B)의 각 하측 힌지구멍(21a)(21b)에 상하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반면, 각 기어부재(21A,21B)의 상면 중앙에는 양측 포구포켓(20A,20B)의 지지부재(21A,21B) 하단에 구비된 체결돌부(21d,21d)가 일체로 삽입되는 체결홈(31c,31c)이 상기한 관통구멍(31a,31b)을 각각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21A,21B)의 체결돌부(21d,21d)와 이에 대응되는 체결홈(31c,31c)은 키와 키홈의 역할을 하도록 모두 각진 모양(도면에선, 사각형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판(40)은 손잡이틀(10)의 전방면에 구비되는 힌지편부(12a,12b)에 힌지핀(H)으로 결합되도록 그 하단면 후방에 힌지돌부(41)가 형성되고, 그 하단면 전방에는 포구포켓(20A,20B)의 펼침시 상기 각 지지부재(21A,21B)의 힌지구멍(21a,21a)(21b,21b) 끝단에 구비된 걸림홈(21e,21e)에 삽입되어 두 포구포켓(20A,20B)의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가 포구시 그 작동판(40)이 후방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한 걸림홈(21e,21e)으로부터 벗어나 두 포구포켓(20A,20B)의 펼침상태를 해제시키는 걸림돌기(42a,42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42a,42b) 및 이에 대응되는 걸림홈(21e,21e)은 상호 대응하는 각진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걸림돌기(42a,42b)의 양각진 모서리가 걸림홈(21e,21e)의 음각진 모서리에 걸려 지지부재(21A,21B)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형 단면모양일 경우에는 하나의 지지부재(21A),(21B)가 펼쳐지는 각도는 45°정도가 되므로 양쪽 지지부재(21A,21B)의 총 펼침각도는 90°가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42a,42b)와 걸림홈(21e,21e)의 각진 모양을 적절히 조절하게 되면 양쪽 지지부재(21A,21B), 즉 포구포켓(20A,20B)의 펼침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판(40)의 후면 중앙에는 그 작동판(40)을 탄력 지지하는 작동판 스프링(S)의 전방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돌기(4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판(40)의 전방면은 포구시 볼이 탄력에 의해 튕겨져 나가는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돌부(44)가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좌우로 만곡지게 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되되, 그 최고점은 이탈방지돌부(44)의 횡단면 투영시 좌우 어느 쪽으로든 편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켓스프링(50A,50B)은 일종의 링형 스프링으로서, 그 일단이 손잡이틀(10)의 전방면 상하 대각선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공(13a,13b)에 삽입 고정되는 반면 그 타단은 상기한 스프링 고정공(13a,13b)에 대응하도록 각 지지부재(21A,21B)의 끝단에 구비되는 스프링 고정장공(21f,21f)에 삽입 고정되어 탄력 지지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1c는 포구포켓의 닫힘정도를 제한하는 멈춤돌기, C는 기어부재 덮개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캐치볼용 그립의 사용방법 및 이에 따른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도 5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틀(10)을 움켜쥐 듯이 파지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 한 쪽 포구포켓(20A)의 지지부재(21A)를 잡고 좌측 또는 우측을 펼치게 되면, 그 지지부재(21A)에 결합된 기어부재(31A)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이에 맞물린 다른 쪽 기어부재(31B)가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그 기어부재(31A)에 결합된 나머지 다른 쪽의 지지부재(21B)와 포구포켓(20B)이 상기한 포구포켓(20A)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결국 양쪽 포구포켓(20A,20B)이 각각의 포켓스프링(50A,50B)을 압축하면서 일정범위 내에서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판(40)은 작동판 스프링(S)에 의해 계속 밀리고 있다가 양쪽 지지부재(21A,21B)의 총 펼침각도가 90°정도 되었을 때 작동판(40)의 사각형 걸림돌기9(42a,42b)가 지지부재(21A,21B)의 사각형 걸림홈(21e,21e)에 삽입되면서 양쪽 지지부재(21A,21B)를 잡아주게 됨으로써 포구준비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틀(10)만을 가볍게 쥔 상태에서 공중으로 투척된 볼이 포구포켓(20)의 안쪽에 구비된 작동판(40)에 접촉되도록 겨냥하여 받아내게 되면, 상기 볼에 접촉된 작동판(40)이 볼에 의해 눌리면서 그 후방 하단의 힌지돌부(41)가 손잡이틀(10)의 힌지편부(12a,12b)를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판(40)의 걸림돌기(42a,42b)가 각 지지부재(21A,21B)의 힌지구멍(21a,21a)(21b,21b)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상기한 각각의 지지부재(21A,21B)에 내장되어 있던 각 포켓스프링(50A,50B)이 자유상태가 되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탄력적으로 모아짐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볼을 감싸 잡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틀(10)의 상측 지지돌부(11A) 중앙에는 멈춤돌기(11c)가 구비되어 각 지지부재(21A,21B)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포구포켓(20A,20B)으로부터 공을 빼내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쪽의 지지부재(21A)를 다시 잡아 당기게 되면, 이와 동시에 나머지 지지부재(21B)도 서로 맞물린 기어부재(31A)(31B)에 의해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양쪽 포구포켓(20A,20B)이 펼쳐지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캐치볼용 그립은 선출원된 다른 캐치볼용 그립들과 마찬가지로 볼을 완전히 감싸 잡는 포구식으로 테니스공은 물론 고무공이나 야구공과 같이표면이 매끄러운 공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그 재질이 피혁재질과 같이 견고하게 이루어져 파손될 염려가 적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양쪽의 포구포켓이 기어식으로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인해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손잡이틀을 잡고 나머지 손으로 어느 한 쪽 포구포켓의 지지부재를 잡아 당겨 펼치게 되면 이와 동시에 나머지 포구포켓의 지지부재도 함께 펼쳐지게 되므로, 작은 힘으로도 포구포켓을 용이하게 펼칠 수 있게 되어 힘이 약한 어린이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미관상 유려하고, 양쪽 포구포켓을 복귀시키는 포켓스프링의 복원력이 볼 캐치시 곧바로 포구포켓으로 전달되어 작은 탄성력으도 포구포켓의 닫음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판의 전방면에는 이탈방지돌부가 편심지게 만곡져 형성되므로 작동판에 부딪히는 볼은 그 이탈방지돌부에 항상 비스듬하게 접촉되면서 포구포켓에 잡히게 되어 볼을 놓치는 경우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캐치볼용 그립은 손잡이틀의 전방면에 기어식으로 연동되면서 볼을 감싸 잡는 좌우 한 쌍의 포구포켓이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양쪽 포구포켓의 안쪽에는 각 포구포켓의 펼침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작동판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양쪽 포구포켓과 손잡이틀 사이에는 그 포구포켓이 탄력적으로 모아지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구성됨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공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파손될 염려가 적고, 포구포켓이 기어식으로 연동되어 개폐되므로 한 쪽의 포구포켓을 열면 나머지도 함께 열리므로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포구포켓을 펼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미관상 유려함은 물론 포구포켓의 포구속도도 증가되고, 상기 작동판의 전방면에 편심지게 만곡진 이탈방지돌부가 형성되므로 그 작동판에 볼이 접촉되었다가 튕겨질 때 비스듬히 틀어지게 되어 볼을 완전하게 잡을 수 있다.

Claims (3)

  1.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틀과,
    그 손잡이틀의 전방측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쪽으로 펼쳐졌다 함께 모아지면서 공을 잡도록 좌우 한 쌍으로 된 포구포켓과,
    상기 손잡이틀과 포구포켓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한 좌우 포구포켓의 어느 한 쪽을 회동시키면 다른쪽 포구포켓도 반대방향으로 함께 회동되도록 하는 포구포켓 연동수단과,
    상기 손잡이틀의 전방면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한 포구포켓의 열림시 당겨지면서 그 한 쌍의 포구포켓을 함께 걸어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가 투척된 볼이 접촉되는 순간 젖혀지면서 포구포켓의 펼침상태를 동시에 해제시키는 작동판과,
    상기 손잡이틀과 포구포켓 사이에 개재되어 포구포켓의 펼침시 수축되었다가 작동판의 해제시 복원되면서 두 포구포켓이 탄력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한 캐치볼용 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구포켓 연동수단은 외접한 한 쌍의 기어부재로 이루어지되, 그 각각의 기어부재는 양측 포구포켓의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동시에 손잡이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정범위 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함께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치볼용 그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은 포구시 볼이 탄력에 의해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전방면에 튕김방지돌부가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좌우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그 최고점은 튕김방지돌부의 횡단면 투영시 좌우 어느 쪽으로든 편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치볼용 그립.
KR2020000005369U 2000-02-26 2000-02-26 캐치볼용 그립 KR200190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69U KR200190751Y1 (ko) 2000-02-26 2000-02-26 캐치볼용 그립
AU37744/01A AU3774401A (en) 2000-02-26 2001-02-26 Grip for catching a ball
PCT/KR2001/000292 WO2001062355A1 (en) 2000-02-26 2001-02-26 Grip for catching a ball
JP2001561412A JP2003523274A (ja) 2000-02-26 2001-02-26 キャッチボール用グリップ
US10/204,671 US6739990B2 (en) 2000-02-26 2001-02-26 Grip for catching a ball
EP01910163A EP1261400A4 (en) 2000-02-26 2001-02-26 HANDLE TO SEIZE A BALL
CNB018055257A CN1212169C (zh) 2000-02-26 2001-02-26 接球抓握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69U KR200190751Y1 (ko) 2000-02-26 2000-02-26 캐치볼용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751Y1 true KR200190751Y1 (ko) 2000-08-01

Family

ID=1964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369U KR200190751Y1 (ko) 2000-02-26 2000-02-26 캐치볼용 그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39990B2 (ko)
EP (1) EP1261400A4 (ko)
JP (1) JP2003523274A (ko)
KR (1) KR200190751Y1 (ko)
CN (1) CN1212169C (ko)
AU (1) AU3774401A (ko)
WO (1) WO2001062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51Y1 (ko) * 2000-02-26 2000-08-01 이운 캐치볼용 그립
KR200273206Y1 (ko) * 2002-01-25 2002-04-20 주식회사 만익산업 캐치볼용 그립
US20040229717A1 (en) * 2003-05-15 2004-11-18 Hung-Bing Lin Ball catching device
US20050143202A1 (en) * 2003-12-31 2005-06-30 Boguslaw Orlowski Projectile catching and throwing toy
WO2008147802A1 (en) * 2007-05-23 2008-12-04 Randolph Perry-Smith Disc launching and catch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9479C (ko) *
US3866041A (en) 1973-10-23 1975-02-11 Allis Chalmers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gas content of materials
JPS5067973U (ko) * 1973-10-24 1975-06-17
US3953030A (en) * 1975-01-14 1976-04-27 Bruce Muchnick Throw and catch toy
KR880002186Y1 (ko) 1985-06-26 1988-06-16 주식회사 금성사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KR880004303Y1 (ko) * 1986-02-22 1988-12-08 박노수 쥐덫
US4905988A (en) * 1988-06-30 1990-03-06 Mooneyhan Betty F Combination dumbell, hand-grip exerciser and handgoal device
US5181500A (en) * 1991-05-06 1993-01-26 Marc Chamberland Pincers for throwing and catching a flying disc
US5209490A (en) 1992-03-13 1993-05-11 Poof Toy Products, Inc. Multi-purpose toy
US5232226A (en) * 1992-08-03 1993-08-03 Rapid Mounting And Finishing Co.-Cadaco Divi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pelling and retrieving a disk
US5253874A (en) * 1992-08-14 1993-10-19 Hilco Corporation Adhesive filament and membrane racquet
DE29512494U1 (de) * 1995-08-03 1995-12-07 Geiser Marianne Sportgerät zum Trainieren des menschlichen Körpers
JP3474393B2 (ja) 1997-03-31 2003-12-08 日鐵住金溶接工業株式会社 溶接用ワイヤの製造方法
JP3864565B2 (ja) 1998-06-19 2007-01-10 三井化学株式会社 芳香族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KR200205076Y1 (ko) * 1998-09-09 2001-03-02 이운 캐치볼용 그립
KR200240070Y1 (ko) * 1999-01-23 2001-09-25 이운 캐치볼용 그립
KR200190751Y1 (ko) * 2000-02-26 2000-08-01 이운 캐치볼용 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61400A1 (en) 2002-12-04
WO2001062355A1 (en) 2001-08-30
US6739990B2 (en) 2004-05-25
EP1261400A4 (en) 2005-03-23
CN1212169C (zh) 2005-07-27
AU3774401A (en) 2001-09-03
CN1406147A (zh) 2003-03-26
JP2003523274A (ja) 2003-08-05
US20030078118A1 (en) 200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4333B2 (ja) ブレスレットの折り重ね留め金
KR200190751Y1 (ko) 캐치볼용 그립
EP0959960B1 (en) A net fixing device
TWM250998U (en) Lock structure with double opening belt
KR101179817B1 (ko) 탈,부착 교환 사용기능을 갖는 다기능 핸드 라켓
JP2009125585A (ja) ゴルフクラブ用ヘッドカバー
US7618335B2 (en) Lacrosse heads
KR200418045Y1 (ko) 신발끈 조임수단이 구비된 신발
KR100715441B1 (ko)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
US6793072B2 (en) Biased, hinged cover for a golf club
CA2086459A1 (en) Ball racket
WO2005042125A2 (en) Novely figurine and carabiner storage assembly
KR200240070Y1 (ko) 캐치볼용 그립
KR200273206Y1 (ko) 캐치볼용 그립
KR101029792B1 (ko) 야구놀이용 기구
KR200205076Y1 (ko) 캐치볼용 그립
JP4197986B2 (ja) 球技用捕球用具
KR200171958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AU2007283411B2 (en) Play and sport device for lobbing and catching a flying object, which can be played using one hand
CA2527749C (en) Trampoline with rod locking edge fittings
CN212574310U (zh) 一种新型运动鞋
CN210302416U (zh) 一种接球拍
KR200455490Y1 (ko) 야구놀이용 기구
KR20110095671A (ko) 끈 조임구
US6544095B1 (en) Toy and method of 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