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070Y1 - 캐치볼용 그립 - Google Patents

캐치볼용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070Y1
KR200240070Y1 KR2019990000878U KR19990000878U KR200240070Y1 KR 200240070 Y1 KR200240070 Y1 KR 200240070Y1 KR 2019990000878 U KR2019990000878 U KR 2019990000878U KR 19990000878 U KR19990000878 U KR 19990000878U KR 200240070 Y1 KR200240070 Y1 KR 200240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ball
handle plate
plate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065U (ko
Inventor
이운
Original Assignee
이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 filed Critical 이운
Priority to KR2019990000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07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0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070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구식 캐치볼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캐치볼용 그립은 손잡이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던져진 볼을 포구하는 포구포켓을 사용자가 뒤쪽으로 잡아 당겨 열도록 당김부재의 각 일단을 포구포켓의 양측 바깥쪽에 각각 묶고, 상기 포구포켓을 걸어 펼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가 볼이 접촉하는 순간에 젖혀지면서 포구포켓의 펼침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판을 포구포켓의 안쪽에 설치하며, 상기 작동판의 해제시 포구포켓이 탄력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손잡이판과 포구포켓의 회전부에 개재시켜 구성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포구포켓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포구포켓의 개폐속도가 저하되지 않아 누구나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포구포켓의 개폐에 필요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캐치볼용 그립{CATCH BALL GRIP}
본 고안은 캐치볼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이 매끄러운 고무볼이나 야구볼 등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캐치볼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치볼(Catch Ball)은 운동장 또는 공터 등지에서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상대로부터 던져진 볼(Ball)을 되받아내는 간단한 놀이기구로서, 이러한 캐치볼은 통상 손잡이판의 전면(前面)에 접착포가 구비되어 그 손잡이판의 접착포에 테니스볼과 같이 표면에 보풀이 일어나 있는 볼을 달라붙게 하여 받아내는 접착식 캐치볼이 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캐치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에 보풀이 일어나 있는 볼(Ball)에만 사용할 수 있어 고무공이나 야구공과 같이 표면이 매끈한 볼은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접착포가 마모되면 테니스볼 등도 완전하게 달라붙지 않아 놀이기구로서의 흥미를 쉽게 상실하게 되고,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1998년 9월 9일자 (출원번호 실용98-17122호)로 포구식의 '캐치볼용 그립'을 제시한 바 있다. 이 종래의 캐치볼용 그립은 도 8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판(1)의 양쪽에 회전하면서 개폐되어 볼을 감싸 잡는 포구포켓(2)이 결합되고, 그 포구포켓(2)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3)가 상기손잡이판(1)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포구포켓(2)이 열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레버(3)에 결합되는 연동레버(4)를 걸어 고정시켰다가 포구시 해제시키는 작동판(5)이 포구포켓(2)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판(5)의 해제시 작동레버(3)가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압축용 코일스프링(6)이 손잡이판(1)과 작동레버(3) 사이에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가 작동레버(3)를 손잡이판(1)과 함께 당겨 잡아 그 작동레버(3)가 연동레버(4)와 함께 당겨지면서 연동레버(4)가 작동판(5)에 걸려 포구포켓(2)이 열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가, 상기 작동레버(3)를 놓고 손잡이판(1)만을 파지한 상태에서 볼을 잡게 되면 볼이 작동판(5)에 접촉될 때에 그 작동판(5)이 연동레버(4)와 분리되면서 작동레버(3)가 압축용 코일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되어 포구포켓(2)이 공을 감싸 잡도록 구성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캐치볼 그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판(1)에 결합된 작동레버(3)를 이용하여 포구포켓(2)을 펼치도록 하기 위하여는 그 작동레버(3)의 힌지부에 장착된 압축용 스프링(6)을 사용자가 작동레버(3)와 함께 완력으로 잡아 당겨야 하나, 상기 압축용 스프링(6)의 탄성력이 강하여 어린이가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감안하여 상기 압축용 코일스프링(6)의 탄성력을 낮추게 되면 작동레버(3)의 복원력이 저하되어 결국 포구포켓(2)의 닫힘속도가 느려지면서 볼이 튕겨져 나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포구포켓(2)이 열리는 과정에서는 작동레버(3)를 당기는 힘이 연동레버(4)를 거쳐 포구포켓(2)으로 전달되는 반면, 상기 포구포켓(2)이 닫히는 과정에서는 압축용 스프링(6)의 복원력이 작동레버(3) 및 연동레버(4)를 거쳐 포구포켓(2)으로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힘이 여러 부재를 거치면서 전달되므로, 상기 포구포켓(2)을 개폐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물론 개폐속도가 느려지는 또다른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3)와 포구포켓(2) 사이에 힘을 전달하는 연동레버(4)가 작동레버(3)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포구포켓(2)에 미끄럼 결합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 및 조립이 난해하게 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캐치볼용 그립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 포구포켓을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포구포켓의 닫힘속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여 누구나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캐치볼용 그립을 제공하려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포구포켓의 개폐시 힘이 포구포켓에 곧바로 전달되도록 하여 그 포구포켓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힘에 대해 개폐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캐치볼용 그립을 제공하려는데도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포구포켓의 개폐에 필요한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캐치볼용 그립을 제공하려는데도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 - 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C'부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종래 캐치볼용 그립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종래 캐치볼용 그립의 동작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판 11 : 지지돌부
11a : 힌지돌기 11b : 고정공 돌부
11c : 힌지공 돌부 11d : 관통공
11e : 멈춤돌기 20 : 포구포켓
21 : 지지부재 21a : 힌지공
21b : 고정장공 21c : 걸림돌기
21d : 고정공 21e : 포켓부재 박음질공
21f : 경사면 22 : 포켓부재
30 : 당김부재 40 : 작동판
41 : 힌지편 돌부 42 : 스프링 고정돌기
43 : 걸림돌부 50 : 탄성부재
H : 힌지핀 S : 스크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포구포켓을 사용자가 바깥쪽으로 잡아 당겨 열도록 당김부재의 각 일단을 포구포켓의 양측에각각 묶고, 상기 포구포켓을 걸어 펼침상태가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펼침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판을 상기한 포구포켓에 착탈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작동판의 해제시 포구포켓이 탄력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손잡이판과 포구포켓의 회전부에 개재시켜 달성한다.
즉,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판과, 그 손잡이판의 전방측에 회전하면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중으로 투척된 볼을 감싸 잡는 포구포켓과, 그 포구포켓의 바깥쪽으로 끝단이 각각 결합되어 잡아 당겨 포구포켓이 펼쳐져 열리게 하는 가요성의 당김부재와, 상기 손잡이판의 전방측에 포구포켓의 회전방향에 대해 엇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당김부재의 당김시 상기한 포구포켓을 걸어 그 포구포켓이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가 투척된 볼이 접촉되는 순간 젖혀지면서 상기한 포구포켓의 펼침상태를 해제하는 작동판과, 상기 손잡이판 및 포구포켓에 양단이 각각 걸려 탄성력을 갖도록 개재되어 당김부재의 당김시 수축되었다가 작동판의 해제시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한 포구포켓이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한 캐치볼용 그립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캐치볼용 그립을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 - 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 - B'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C'부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 캐치볼용 그립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캐치볼용 그립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판(10)과, 그 손잡이판(10)의 전방측에 회전하면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중으로 투척된 볼을 감싸 잡는 포구포켓(20)과, 그 포구포켓(20)에 끝단이 각각 결합되어 손으로 잡아 당겨 상기 포구포켓(20)이 바깥쪽으로 펼쳐져 열리게 하는 당김부재(30)와, 상기 손잡이판(10)의 전방측에 포구포켓(20)의 회전방향에 대해 엇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포구포켓(20)이 펼침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해제되도록 하는 작동판(40)과, 상기 손잡이판(10)과 포구포켓(20)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판(40)의 해제시 복원되면서 상기한 포구포켓(20)이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5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판(10)은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ㅁ'자 또는 'D'자 형상으로 성형되고, 그 전방면 상,하단부에는 상기 포구포켓(2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상,하측 지지돌부(11,11)가 소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며, 그 상,하측 지지돌부(11,11)의 대향면에는 상기 포구포켓(20)을 지지하는 2개 한 쌍의 힌지돌기(11a,11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측 지지돌부(11,11)의 대각선 방향에는 후술할 탄성부재(5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공 돌부(11b,11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하측 지지돌부(11)의 상측에는 후술할 작동판(40)의 힌지편 돌부(41)가 결합되는 힌지공 돌부(11c)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판에는 후술할 지지부재에 일단이 묶인 두 줄의 당김부재가 함께 관통하는 관통공(11d)이 형성된다.
상기 포구포켓(20)은 상,하 지지돌부(11,11)에 의해 지지되는 좌,우 한 쌍의 'ㄷ'자형 또는 'C'자형 지지부재(21,21)와, 그 좌,우 지지부재(21,21)에 박음질 등으로 결합되는 피혁재질 등의 포켓부재(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 지지부재(21,21)는 그 각각의 상,하단부에 상기 손잡이판(10)에 형성된 각 지지돌부(11,11)의 힌지돌기(11a,11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힌지공(21a,21a)(21a,21a)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 지지부재(21,21)의 대각선방향 각 일단부에는 전술한 손잡이판(10)의 고정공 돌부(11b,11b)에 삽입 고정된 각 탄성부재(50)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장공(21b,21b)이 형성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 지지부재(21,21)의 각 일단부 상면에는 상기한 작동판(40)에 걸려 그 각 지지부재(21,21)가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돌기(21c,21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 지지부재(21)의 각 중간부에는 전술한 당김부재(30)의 일단이 각각 묶여지는 고정공(21d,21d)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21c,21c)의 배면에는 후술할 작동판(40)의 경사면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걸리도록 경사면(21f,21f)이 형성된다.
상기 당김부재(30)는 탄성이 작은 가요성 선재(flexible wirerod)로 이루어 지고, 그 일단은 전술한 좌,우측 지지부재(21,21)의 고정공(21d,21d)에 묶여 고정되며, 그 타단은 상기 손잡이판(10)에 구비된 관통공(11d)을 통과하여 매듭져 진다.
상기 작동판(40)은 그 후면 하단 양측에 전술한 힌지공 돌부(11c)에힌지핀(H)으로 결합되는 힌지편 돌부(41)가 형성되고, 그 후면 중간부에는 작동판을 탄력 지지하는 압축 코일스프링(S)이 장착되기 위한 스프링 고정돌기(42)가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전술한 각 지지부재(21,21)의 걸림돌기(21c,21c)를 걸어 양쪽 지지부재(21,21)가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돌부(43)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손잡이판(10)의 고정공 돌부(11b,11b)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각 지지부재(21,21)의 고정장공(21b,21b)에 삽입 고정되며, 그 중간부는 상기 손잡이판(10)의 힌지돌기(11a,11a)에 감겨져 고정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1e는 닫힘시 지지부재의 충돌을 방지하는 멈출돌기, 21e는 포켓부재 박음질공, 23은 포켓부재를 지지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박음질부재, S는 지지부재를 손잡이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캐치볼용 그립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된다.
먼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판(10)을 움켜쥐 듯이 파지하고 나머지 한 손으로는 당김부재(30)를 활시위와 같이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양쪽 지지부재(21,21)가 손잡이판(10)과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이기고 손잡이판(10)의 힌지돌기(11a,11a)를 중심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벌어지게 하고, 그 양쪽 지지부재(21,21)가 통상 180°정도 벌어지게 되면 상기 각 지지부재(21,21)의 걸림돌기(21c,21c)가 도 6b에서와 같이 작동판(40)의 걸림돌부(43)에 미끄러져 걸리게 되어 작동판(40)이각 지지부재(21,21)를 잡아주게 됨으로써 포구준비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작동판(40)이 각 지지부재(21,21)를 걸어 잡아주게 되면, 상기 각 지지부재(21,21)가 손잡이판(10)과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50)의 복원력을 작동판(40)이 억제시키게 되어 사용자가 당김부재(30)로부터 손을 떼더라도 각 지지부재(21,21)가 다시 오므라들지 않고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당김부재(30)를 놓고 손잡이판(10)만을 가볍게 쥔 상태에서 공중으로 투척된 볼이 포구포켓(20)의 안쪽에 구비된 작동판(40)에 접촉되도록 겨냥하여 받아내게 되면, 상기 볼에 접촉된 작동판(40)이 볼에 의해 밀려나면서 손잡이판(10)의 힌지공 돌부(11c,11c)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작동판(40)의 걸림돌부(43)가 각 지지부재(21,21)의 걸림돌기(21c,21c)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상기 각 지지부재(21,21)의 걸림돌기(21c,21c)가 작동판(40)의 걸림돌부(43)로부터 벗어나면서 상기한 양쪽 지지부재(21,21)가 포켓부재(22)와 함께 닫힘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볼을 감싸 잡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판(10)의 상,하측 지지돌부(11,11) 중앙에는 멈춤돌기(11e,11e))가 구비되어 각 지지부재(21,21)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사용자가 포구포켓(20)으로부터 공을 빼내기 위하여는, 상기 당김부재(30)를 다시 잡아 당겨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지지부재(21,21)가 펼침상태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캐치볼용 그립은 종래와 같은 접착식이 아니라 볼을 완전히 감싸는 포구식이므로, 테니스공은 물론 고무공이나 야구공과 같이 그 표면이 매끄러운 공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그 재질이 견고하여 파손될 염려가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손잡이판(10)을 잡고 나머지 손으로 당김부재(30)를 잡아 당겨 포구포켓(20)을 열게 되므로, 힘이 약한 어린이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포구포켓(20)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50)의 복원력이 볼 캐치시 곧바로 포구포켓(20)으로 전달되어 적은 탄성력으도 포구포켓의 닫음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캐치볼용 그립은 손잡이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던져진 볼을 포구하는 포구포켓을 사용자가 뒤쪽에서 잡아 당겨 열도록 당김부재의 각 일단을 포구포켓의 양측 바깥쪽에 각각 묶고, 상기 포구포켓을 걸어 펼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가 볼이 접촉하는 순간에 젖혀지면서 포구포켓의 펼침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판을 포구포켓의 안쪽에 설치하며, 상기 작동판의 해제시 포구포켓이 탄력적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손잡이판과 포구포켓의 회전부에 개재시켜 구성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포구포켓을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면서도 그 포구포켓의 개폐속도가 저하되지 않아 누구나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포구포켓의 개폐에 필요한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3)

  1.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판과, 그 손잡이판의 전방측에 회전하면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공중으로 투척된 볼을 감싸 잡는 포구포켓과, 그 포구포켓의 바깥쪽으로 끝단이 각각 결합되어 잡아 당겨 포구포켓이 펼쳐져 열리게 하는 가요성의 당김부재와, 상기 손잡이판의 전방측에 포구포켓의 회전방향에 대해 엇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당김부재의 당김시 상기한 포구포켓을 걸어 그 포구포켓이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가 투척된 볼이 접촉되는 순간 젖혀지면서 상기한 포구포켓의 펼침상태를 해제하는 작동판과, 상기 손잡이판 및 포구포켓에 양단이 각각 걸려 탄성력을 갖도록 개재되어 당김부재의 당김시 수축되었다가 작동판의 해제시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한 포구포켓이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한 캐치볼용 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구포켓은 좌우 한 쌍의 지지부재가 손잡이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좌우 한 쌍의 지지부재에 유연성 재질의 포켓부재가 부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각 지지부재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상기한 작동판의 하단면에 걸려 포구포켓이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치볼용 그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쪽 지지부재의 대각선측에하나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치볼용 그립.
KR2019990000878U 1999-01-23 1999-01-23 캐치볼용 그립 KR200240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878U KR200240070Y1 (ko) 1999-01-23 1999-01-23 캐치볼용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878U KR200240070Y1 (ko) 1999-01-23 1999-01-23 캐치볼용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65U KR20000016065U (ko) 2000-08-16
KR200240070Y1 true KR200240070Y1 (ko) 2001-09-25

Family

ID=5475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878U KR200240070Y1 (ko) 1999-01-23 1999-01-23 캐치볼용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0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51Y1 (ko) * 2000-02-26 2000-08-01 이운 캐치볼용 그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65U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8508A (en) Ball handling article
US3528654A (en) Weighted whirling loop
US20060189417A1 (en) Interchangeable soccer training system
US7618335B2 (en) Lacrosse heads
US5299967A (en) Movable figure
CA1098140A (en) Game structure having a tethered ball
KR200240070Y1 (ko) 캐치볼용 그립
US20180036614A1 (en) Skill Game Ball with Short Finger Tether
US20070142136A1 (en) Coil ball
US5143370A (en) Ball racket
WO2017218256A1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200190751Y1 (ko) 캐치볼용 그립
US2967711A (en) Ball toy
US9339721B2 (en) Play set for launching an action figurine
KR101029792B1 (ko) 야구놀이용 기구
KR200205076Y1 (ko) 캐치볼용 그립
US20190192939A1 (en) Articles of Play for Use in the Game of Catch
KR200455490Y1 (ko) 야구놀이용 기구
JP4197986B2 (ja) 球技用捕球用具
US8002650B2 (en) Play and sport device for lobbing and catching a flying object, which can be played using one hand
KR200273206Y1 (ko) 캐치볼용 그립
JP2724699B2 (ja) 玩 具
KR930007266Y1 (ko) 완구용 방망이
KR960002739Y1 (ko) 공놀이 기구
KR880004192Y1 (ko) 야구볼 투구용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