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958Y1 -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 Google Patents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958Y1
KR200171958Y1 KR2019990016659U KR19990016659U KR200171958Y1 KR 200171958 Y1 KR200171958 Y1 KR 200171958Y1 KR 2019990016659 U KR2019990016659 U KR 2019990016659U KR 19990016659 U KR19990016659 U KR 19990016659U KR 200171958 Y1 KR200171958 Y1 KR 200171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racket
shoe
fixing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호욱
Original Assignee
허호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호욱 filed Critical 허호욱
Priority to KR2019990016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retractable wheel, i.e. movable relative to the chassis out of contact from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enabling folding, 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 스케이팅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신발로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걷거나 뛰는 것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롤러 스케이트등과 같은 운동을 할 때 별도로 신발 또는 롤러 스케이트를 들고 다니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의 저면을 이루는 밑창(B) 소정 부분인 전, 후 부분에 일정 크기로 형성된 수납홈(1)과, 상기한 수납홈(1)에 삽입 고정되는 박스형의 브라켓(2)과, 상기한 브라켓(2)에 수납/직립 상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롤러(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라켓(2)에서 회전축(4) 및 회전공(5)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대(6)와, 상기한 고정대(6)를 수납홈(1)에 눕혔을 때 위치 고정하고 롤러(3)가 돌출되도록 세웠을 때 옆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Combined roller skates and shoes}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 스케이팅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평상시에는 신발로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걷거나 뛰는 것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등과 같이 비교적 넓고 편평한 장소에서는 자전거 타기, 롤러 스케이트 또는 롤러 블레이드 타기, 배드민턴등과 같이 비교적 쉽고 간편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스포츠를 많이 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롤러 스케이트 또는 롤러 블레이드는 신발보다 약간 더 큰 장비(롤러 스케이트, 롤러 블레이드)만 있으면, 공원등에서 쉽게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즉, 운동화등과 같은 신발을 신고 공원에 도착한 후에 상기한 롤러 스케이트등을 갈아 신으면 즉시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되는 바, 아동 및 성인 모두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롤러 스케이트는 비교적 단단한 외부를 갖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신발과 같은 형태를 갖도록 제작되는 바, 이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등과 같이 사출 성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강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 신발부(50)와, 상기한 신발부(50) 저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구성되어 롤러(51)가 설치되는 브라켓(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신발부(50)를 비교적 강성이 큰 재질로 제작하는 것은, 롤러 스케이트를 탈 때 발목이 꺾여 발목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롤러 스케이트를 탈 때 발목의 자세를 안정시켜 보다 쉽게 롤러 스케이트를 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신발부(50)를 신고 벗을 때 용이하도록 걸림/조임 형태인 걸림쇠(53)가 설치되어 있고, 신발부(50) 전면에는 앞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제동 시 사용되도록 스토퍼(54)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롤러 스케이트를 들고 공원등으로 이동한 후 신발을 벗고 롤러 스케이트를 신은 후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한 신발의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신발을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롤러 스케이트의 신발부를 강성이 큰 강화 플라스틱등으로 제작하게 됨으로써, 롤러 스케이트에 숙달된 사람의 경우 발목 부분이 불편한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러 스케이트등과 같은 운동을 할 때 별도로 신발 또는 롤러 스케이트를 들고 다니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의 저면을 이루는 밑창 소정 부분인 전, 후 부분에 일정 크기로 형성된 수납홈과, 상기한 수납홈에 삽입 고정되는 박스형의 브라켓과, 상기한 브라켓에 수납/직립 상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 및 회전공으로 브라켓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대와, 상기한 고정대를 수납홈에 눕혔을 때 위치 고정하고 롤러가 돌출되도록 세웠을 때 옆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조립 저면도,
도3a는 도1에서 롤러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롤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b는 도3에서 롤러의 미 사용 시 수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일반적인 롤러 스케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납홈 2: 브라켓
3: 롤러 4: 회전축
5: 회전공 6: 고정대
7: 힌지 8: 커버
9: 고정 부재 10: 챔버
11: 굽힘부 12: 끼움공
13: 가이드부 14: 걸림턱
15: 탄성판 16: 걸림부
17: 꺾임부 18: 보강판
19: 스토퍼
도1과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저면도로서, 신발의 저면을 이루는 밑창(B) 소정 부분인 전, 후 부분에 일정 크기로 형성된 수납홈(1)과, 상기한 수납홈(1)에 삽입 고정되는 박스형의 브라켓(2)과, 상기한 브라켓(2)에 90도 정도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4) 및 회전공(5)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롤러(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대(6)와, 상기한 고정대(6)를 수납홈(1)에 눕혔을 때 위치 고정하고 롤러(3)가 돌출되도록 세웠을 때 옆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브라켓(2)에는 수납홈(1)을 간헐 차폐하여 평상 시 걸을 때 지면에 롤러(3)가 닿지 않도록 차폐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브라켓(2) 일측에 힌지(7)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8)와, 상기한 커버(8)의 힌지(7) 대향측에 설치되어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브라켓(2)의 모서리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부재(9)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고정 부재(9)는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고정 부재(9)의 긴 부분이 신발 전후 방향으로 위치되면 브라켓(2) 상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한 커버(8)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신발 폭 방향으로 회전되면 브라켓(2)의 상면에 걸치지 않게 됨으로써, 커버(8)가 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밑창(B)의 뒷부분에 비해 넓은 앞부분에는 2개의 고정대(6)가 대향 설치되어 롤러 스케이트 운동 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브라켓(2)의 일측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절곡되어 밑창(B)과의 사이에 챔버(10)를 형성하는 굽힘부(11)와, 상기한 굽힘부(11)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공(12)과, 상기한 끼움공(12)에 끼워져 이동하도록 하부에 다수의 가이드부(13)가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항상 하부가 브라켓(2)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한 하부에 걸림턱(14)이 형성된 탄성판(15)과, 상기한 롤러(3)가 직립되었을 때 탄성판(15)과 브라켓(2)의 저면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걸림턱(14)에 걸리도록 고정대(6)에 형성된 걸림부(16)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가이드부(13)의 종단에는 탄성판(15)이 브라켓(2)의 끼움공(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꺾임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밑창(B)과 신발부(50)의 사이에는 롤러 스케이트를 탈 때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금속 재질의 보강판(1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밑창(B)의 저면 선단에는 제동 시 사용하거나 앞으로 넘어질 때 사용하도록 고무 재질의 스토퍼(19)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착용하여 신발처럼 사용한 후 공원등에서 롤러 스케이트를 타기 위해서는, 상기한 고정 부재(9)를 회전시켜 커버(8)를 해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커버(8)의 회전축인 힌지(7)에 스프링(미 도시)등을 설치하면 커버(8)가 고정 부재(9)의 해제와 동시에 스프링 탄성으로 열리게 된다.
커버(8)가 열리게 되면, 상기한 롤러(3) 또는 고정대(6)를 잡고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탄성판(15)의 측면이 'S' 자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걸림턱(14) 부분을 상부로부터 압박하여 가이드부(13)가 끼움공(12)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가이드부(13)가 끼움공(12)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 상기한 고정대(6)를 완전하게 직립시키게 되는 바, 이 상태에서는 상기한 걸림부(17)가 브라켓(2)의 저면과 걸림턱(14)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상기한 탄성판(15)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 다시 복귀하게 된다.
탄성판(15)이 복귀하게 되면 상기한 걸림턱(14)에 의해 걸림부(16) 상부가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한 고정대(6) 및 롤러(3)가 브라켓(2) 내측으로 회전 수납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한 롤러(3)가 걸림부(16) 및 걸림턱(14)에 의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이 상태에서 롤러 스케이트를 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롤러 스케이트를 탄 후 다시 롤러(3)를 브라켓(2) 내측으로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탄성판(15)의 하부인 걸림턱(14) 부분을 손으로 눌러 브라켓(2)의 챔버(10)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게 된다.
탄성판(15)이 챔버(10)측으로 밀착되면 상기한 가이드부(13)가 챔버(10)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한 걸림턱(14)이 고정대(6)의 걸림부(16) 상면에서 벗어나게 된다.
고정대(6)의 걸림부(16) 상면에서 걸림턱(14)이 벗어나면 상기한 고정대(6)가 자유 상태가 되는 바, 이를 회전시켜 브라켓(2) 내부로 수납시키게 된다.
롤러(3) 및 고정대(6)가 브라켓(2) 내부로 수납되면, 상기한 커버(8)를 닫고 고정 부재(9)를 신발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켜 커버(8) 상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커버(8)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커버(8)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상기한 밑창(B)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이 상태로 걸을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의 신발로 롤러 스케이트를 타거나 걸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신발 또는 롤러 스케이트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바,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에 롤러가 장착/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를 탈착식으로 구성해도 그 효과는 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신발에 롤러를 수납/직립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롤러를 수납한 상태로 걸어다닐 수 있고, 운동시에는 롤러를 신발 하부에서 직립시켜 롤러 스케이트를 탈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신발의 저면을 이루는 밑창 소정 부분인 전, 후 부분에 일정 크기로 형성된 수납홈과, 상기한 수납홈에 삽입 고정되는 박스형의 브라켓과, 상기한 브라켓에 수납/직립 상태로 결합됨과 아울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 및 회전공으로 브라켓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대와, 상기한 고정대를 수납홈에 눕혔을 때 위치 고정하고 롤러가 돌출되도록 세웠을 때 옆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브라켓에는 수납홈을 간헐 차폐하여 평상 시 걸을 때 지면에 롤러가 닿지 않도록 구성된 차폐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차폐 수단은 브라켓 일측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와, 상기한 커버의 힌지 대향측에 설치되어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브라켓의 모서리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한 커버를 닫았을 때 긴 부분이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 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절곡되어 밑창과의 사이에 챔버를 형성하는 굽힘부와, 상기한 굽힘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끼움공과, 상기한 끼움공에 끼워져 이동하도록 하부에 다수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항상 하부가 브라켓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한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탄성판과, 상기한 롤러가 직립되었을 때 탄성판과 브라켓의 저면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틴상핀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고정대에 형성된 걸림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19990016659U 1999-08-13 1999-08-13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171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59U KR200171958Y1 (ko) 1999-08-13 1999-08-13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59U KR200171958Y1 (ko) 1999-08-13 1999-08-13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958Y1 true KR200171958Y1 (ko) 2000-03-15

Family

ID=1958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659U KR200171958Y1 (ko) 1999-08-13 1999-08-13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9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586A (ko) * 2001-09-21 2003-03-29 장정기 로울러 스케이트가 내장된 신발
KR100953673B1 (ko) 2008-03-04 2010-04-20 로타스포츠 (주) 도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380196B1 (ko) * 2012-05-31 2014-04-01 김현수 신발용 로울러
WO2022123530A1 (ko) 2020-12-10 2022-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론산 화합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586A (ko) * 2001-09-21 2003-03-29 장정기 로울러 스케이트가 내장된 신발
KR100953673B1 (ko) 2008-03-04 2010-04-20 로타스포츠 (주) 도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380196B1 (ko) * 2012-05-31 2014-04-01 김현수 신발용 로울러
WO2022123530A1 (ko) 2020-12-10 2022-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론산 화합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4533B1 (en) Pivotal back for a sandal style shoe
US5398970A (en) Shoes for walking and roller skating
CA1104974A (en) Combined holder and sole accessory
US6276697B1 (en) Adjustable roller skate
KR200390119Y1 (ko) 스케이트 보드 기능을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171958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US6402162B1 (en) Dual-purpose roller skate
US6394468B1 (en) Dual-purpose shoe
JPS5813161B2 (ja) スキ−靴
US20090056168A1 (en) Multi-function shoe
EP1254686A1 (en) Dual-Purpose Shoe
KR200324901Y1 (ko) 로울러가 구비된 신발
KR100898362B1 (ko) 다목적 신발
KR200364894Y1 (ko) 신발 겸용 변신 인라인 스케이트
KR101320349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0467334B1 (ko) 기능성 신발
KR100358602B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KR200330176Y1 (ko) 힐링 슈즈
KR200340757Y1 (ko) 미끄럼방지 신발
KR100357913B1 (ko) 굽의 위치가 가변되는 운동용 신발
KR200261490Y1 (ko) 롤러 슈즈식 스케이트의 구조
KR200364873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11686Y1 (ko) 롤러 블레이드가 내장된 신발
KR200323017Y1 (ko) 롤러 스케이트 겸용 신발
KR200326898Y1 (ko) 신발 겸용의 인라인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