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70Y1 - 간이 전송회로 - Google Patents

간이 전송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70Y1
KR880001870Y1 KR2019850001840U KR850001840U KR880001870Y1 KR 880001870 Y1 KR880001870 Y1 KR 880001870Y1 KR 2019850001840 U KR2019850001840 U KR 2019850001840U KR 850001840 U KR850001840 U KR 850001840U KR 880001870 Y1 KR880001870 Y1 KR 880001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transmission circuit
resistor
terminal
simpl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128U (ko
Inventor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1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870Y1/ko
Publication of KR860011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70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2Circuits for by-passing of ring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이 전송회로
제 1 도는 종래 회로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간이 전송회로.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A : 종속기기 B : 주기기
G1,G2: 접지선 S : 데이타 신호선
RPS : 전원공급기(Regulated Power Supply)
본 고안은 두개의 기기 단말간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간이 전송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주기기와 종속기기의 단말간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선과 접지선의 두케이블선을 이용하여 신호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간이 전송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기기와 종속기기의 단말간에 전원선과 접지선 외에 별도의 신호선을 연결하여 사용되어 왔으므로 단말간에 연결선이 많아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기기와 종속기기의 단말간에 연결되어 있는 전워선과 접지선을 이용하여 신호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별도의 신호선을 설치 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전원선과 접지선을 그대로 이용하여 단말간에 신호를 들여 보낼 수 있게 되므로 신호선이 생략되어 간편하여 짐에 따라 설치작업이 간편하며 생산원가를 줄일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속기기 콘트롤 직접회로(IC1)의 데이타 신호선(S)을 테이타 수신용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선에 연결하여 콜렉터 저항(R5)와 바이어스 저항(R6)을 접속하고 에미터선을 접지단자(G1)에 연결했으며 5V용 전원공급 직접회로(IC3)양단자(a2,a3)에 평활 콘덴서(C1, C2)를 직렬로 연결하고 직접회로(IC3)단자(a4)를 콘덴서(C1, C2)를 통해 접지단자(G1)에 접속했고, 데이타 수신용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에미터간에 전위차를 유기하기 위한 저한(R1,R3)을 연결하고 전류를 콘트롤 하기위해 바이어스 저항(R2)을 접속하고 콜렉터 저항(R4)를 접지단자(G2)를 통하여 연결하고 전류를 콘트롤 직접회로(IC2)단자(d1)에 접속 했고, 에미터선에 저항(R1, R2)와 전원 공급기(R.P.S)를 통하여 직접회로(IC2)단자C에 연결하고 데이타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콜렉터선 직접회로 (IC2)단자(S')를 접속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기기(B)의 전원 공급장치(R.P.S)에서 12볼트 전원은 케이블을 경우하여 종속기기(A)에 5볼트 전원을 공급하며 이 전원에 의해서 종속기기 콜트롤 직접회로(IC1)가 작동되고 이때 종속기기(A)에서 주기기(B)쪽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타 레벨(Level)이 로우(Low)상태일때는 펄스파를 수신하기 위한 트랜지스터(TR1)가 오프(OFF)상태가 되어서 케일불 선에는 종속기기(A)콘트롤 직접회로(IC1)에 필요한 전류만이 흐르게 되며 저항(R2)은 수백옴의 높은 저항을 유지시키고 저항(R1)은 1-2 옴 정도의 낮은 저항 값으로만 만들어 놓으면 저항(R1)에서 유기되는 전위차 만으로는 펄스파를 송신하는 트랜지스터(TR2)가 온(ON)되지 못하게 데이타를 검출하는 콜렉터선 P점에서 전위는 로우가 된다.
반대로, 데이타 신호선(S)이 하이(High)일때는 저항(R5)를 경유하여 수십미리 암페어의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본래의 종속기기 콘트롤 직접회로(IC1)가 필요로 하는 전류에 이 전류가 추가되어 흐르는 것이므로 저항(R1)에 유기되는 전위차도 커져서 펄스파를 송신하기 위한 트랜지스터(TR2)를 온시키며 데이타 신호를 검출하는 P점의 전위차가 하이로 나타나게 됨에 따라서 입출력 콘트롤 직접회로(IC2)는 P점의 전위를 탐지하게 되므로서 필요한 데이타를 얻을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신호선이 없이도 주기기(B)와 종속기기(A)간에 본 고안의 간이 전송회로를 이용하여 두개의 기기간에 필요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1)

  1. A기기에 평활콘덴서(C1, C2)와 직접회로(IC3)저항(R5, R6)트랜지스터(TR1)을 접속하였고 B기기에 트랜지스터(TR2)와 저항(R1, R2, R3, R4)로 연결하여서 된 두기기의 단말간에 전원선과 접지선을 신호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 간이 전송회로.
KR2019850001840U 1985-02-25 1985-02-25 간이 전송회로 Expired KR880001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840U KR880001870Y1 (ko) 1985-02-25 1985-02-25 간이 전송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840U KR880001870Y1 (ko) 1985-02-25 1985-02-25 간이 전송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128U KR860011128U (ko) 1986-09-10
KR880001870Y1 true KR880001870Y1 (ko) 1988-05-21

Family

ID=1924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840U Expired KR880001870Y1 (ko) 1985-02-25 1985-02-25 간이 전송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8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128U (ko) 198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43882A (en) Fibre optics transmit/receive circuit
DE69228093D1 (de) Elektrischer Verbinder
KR920020888A (ko) 양방향 신호 전송 시스템
EP0598798A1 (en) HYDROSTATIC INTERFACE ASSEMBLY FOR DETECTING DIGITAL COMMUNICATION SIGNALS.
CA1242018A (en) On-line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from a computer to a current loop
ATE140569T1 (de) Zweidraht-sensorsystem mit mitteln zur selbstdiagnose
US4612453A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a circuit means for detecting a disconnection of input signal line
GB21304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KR880001870Y1 (ko) 간이 전송회로
US4001703A (en) Transmission line interface circuit
KR870008240A (ko) 기준 전압 회로
US3747082A (en) Systems with constant current generators for transmitting flow rate data
KR880002186Y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전원 온,오프 제어회로
JPH0213985Y2 (ko)
KR900010344Y1 (ko) 전류원에 의한 데이타 전송회로
KR900006788Y1 (ko) 1회선 다중 콘트롤 회로
CN210405271U (zh) 一种串口信号调制电路
KR930001221Y1 (ko) 데이타신호 전송회로
KR940003404Y1 (ko) 전원선 모뎀신호 충돌방지회로
KR880001872Y1 (ko) 멀티드롭전송방식에 의한 단말장치의 입력회로
JP3422015B2 (ja) 2線式信号伝送器
SU1413707A1 (ru) Оптоэлектрон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JP2590658B2 (ja) バスライン
GB1427575A (en) Electric circuit arrangements for evaluating dc data signals
KR900000708Y1 (ko) 동기신호 스위칭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50225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12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225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4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8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808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88080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2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4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611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