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471B1 -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 Google Patents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471B1
KR900001471B1 KR1019870008453A KR870008453A KR900001471B1 KR 900001471 B1 KR900001471 B1 KR 900001471B1 KR 1019870008453 A KR1019870008453 A KR 1019870008453A KR 870008453 A KR870008453 A KR 870008453A KR 900001471 B1 KR900001471 B1 KR 90000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utput
timer
signal
consta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737A (ko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870008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471B1/ko
Priority to IN629/CAL/88A priority patent/IN170017B/en
Publication of KR89000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전압부 2 : 초기 리세트부
3 : 반전증폭부 4 : 플립플롭부
5 : 게이트부 6 : 타이머 전원스위칭부
7 : 표시부 8 : 절환뮤팅부
9 : 타이머 10 : 시정수 절환부
11 : 구형파 발생부 12 : 초기 모드설정부
본 발명은 전기, 전자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조작기능을 갖춘 칼라텔레비젼과 같은 가전제품에 설치하여 타이머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한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전자제품에 있어서는 전자적인 타이머 기능이 거의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는 고급제품에 일어서는 시계기능이 있는 마이콤을 내장하여 타이머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계기능이 있는 마이콤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격제어기능이 있는 가전제품에 부가설치하여 장시간 동안 타이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를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블록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R1) 및 콘덴서(C1), 제너다이오드(ZD1)로 구성되어 직류전압(DC)을 입력으로 하여 각부에 정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부(1)와, 콘덴서(C2) 및 저항(R2),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상기 정전압부(1)에서 정전압이 출력되는 초기시에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초기 리세트부(2)와, 저항(R3-R5) 및 다이오드(D2), 콘덴서(C3),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되어 세팅펄스신호(SP)를 반전증폭하는 반전증폭부(3)와, 이 반전증폭부(3)의 출력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1)와, 플립플롭(FF1), (FF2)으로 구성되어 상기 초기 리세트부(3)의 펄스신호 및 후술할 초기 모드설정부(12)의 펄스신호를 리세트신호로 받고 상기 인버터(I1)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클럭신호로 받아 4가지 모드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부(4)와, 노아게이트(NOR1-NOR3)로 구성되어 상기 플립플롭부(4)에서 출력되는 제2모드 내지 제4모드신호에 따라 타이머 제1내지 제3구동제어신호를 출3 5 6 8 2 3 9 14 4 6 1 3 15 17 6 4 7 1 18 22 8 9 5 24 27 6 8 7 8 10 28 31 9 11 12 9 10 1 2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류전압(DC)이 공급되면 그 직류전압은 정전압부(1)에서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에 의해 정전압으로 출력되고, 이 정전압은 각부에 구동전압으로 인가된다. 한편, 정전압부(1)에서 정전압이 출력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그 정전압이 초기 리세트부(2)의 콘덴서(C2)에 충전되면서 플립플롭(FF1), (FF2)의 리세트단자(RS1), (RS2)에 펄스신호가 인가되어 그 플립플롭(FF1), (FF2)을 리세트시키므로 그들의 출력단자(Q1), (Q2)에는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
Figure kpo00001
), (
Figure kpo00002
)에는 고전위신호가 출력된다(이 초기 모드상태를 제1모드라 한다). 이와 같이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3
)에서 출력된 고전위신호는 노아게이트(NOR1), (NOR2)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4
)에서 출력된 고전위신호는 노아게이트(NOR2), (NOR3)의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그 노아게이트(NOR1), (NOR2), (NOR3)의 출력단자에서는 모두 저전위신호가 출력되며, 이에 따라 타이머 전원스위칭부(6)의 트랜지스터(TR2, TR3) 및 표시부(7)의 트랜지스터(TR4-TR6)는 모두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전압부(1)에서 정전압이 출력되는 초기상태에서는 그 정전압이 절4 7
이와 같은 제1모드상태에서 조작에 의해 세닝펄스신호(SP)가 입력되면 그 세팅펄스신호는 반전증폭부(3)의 저항(R3)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트랜지스터(TR1)를 온시키므로 그의 콜렉터에 저전위 펄스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 펄스신호는 인버터(I1)에서 고전위 펄스신호로 반전되어 플립플롭(FF1), (FF2)의 클럭단자(CP1), (CP2)에 인가된다. 그런데 이전상태에서 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Q1), (
Figure kpo00005
)에서 출력된 저전위 및 고전위신호가 플립플롭(FF1)의 입력단자(J1)(K1)에 각각 인가되고 있으므로 플립플롭(FF1)은 이전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출력단자(Q1), (
Figure kpo00006
)에는 저전위 및 고전위신호가 각각 계속 출력되고, 또 이전상태에서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 (Q1), (
Figure kpo00007
)에서 출력된 저전위 및 고전위신호가 플립플롭(FF2)의 입력단자(K2), (J2)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 플립플롭(FF2)의 출력신호는 반전되어 그의 출력단자 (Q2), (
Figure kpo00008
)에는 고전위 및 저전위신호가 각각 출력된다(이 상태를 제2모드라 한다).
이와 같은 제2모드상태에서 조작에 의해 세팅펄스신호(SP)가 다시 입력되면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플립플롭(FF1), (FF2)의 클럭단자(CP1), (CP2)에 펄스신호가 다시 입력되고, 이때는 플립플롭(FF1)의 출력신호는 반전되어 그의 출력단자(Q1), (
Figure kpo00009
)에 고전2 2
Figure kpo00010
)에 고전위 및 저전위신호가 계속 각각 출력된다(이 상태를 제4모드라 한다).
이와 같은 제3모드상태에서 세팅모드신호(SP)가 다시 입력되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플립플롭(FF1)의 출력신호는 이전상태를 유지하여 출력단자(Q1), (
Figure kpo00011
)에는 고전위 및 저전위신호가 각각 출력되고, 플립플롭(FF2)의 출력신호는 반전되어 출력단자 (Q2), (
Figure kpo00012
)에는 저전위 및 고전위신호가 각각 출력된다(이 상태를 제3모드라 한다).
이와 같은 제4모드상태에서 세팅모드신호(SP)가 다시 입력되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플립플롭(FF1)의 출력신호는 반전되어 그의 출력단자(Q1), (
Figure kpo00013
)에는 저전위 및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플립플롭(FF2)의 출력신호는 이전상태를 유지하여 그의 출력단자 (Q2), (
Figure kpo00014
)에는 계속 저전위 및 고전위신호가 출력된다. 즉 이때는 상기 초기상태인 제1모드상태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팅모드신호(SP)가 입력됨에 따라 플립플롭부(5)는 상기 4가지 모드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I1)에서 펄스신호가 출력될때 그 펄스신호는 절환뮤팅부(8)의 저항(R16) 및 다이오드(D6)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7)를 온시키므로 타이머(9)는 리세트된다. 그리고 상기 플립플롭(FF1), (FF2)에서 제2모드신호가 출력되면, 즉 플립플롭(FF1), (FF2)의 출력단자 (
Figure kpo00015
), (Q2)에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Q1),
Figure kpo00016
)에 저전위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게이트부(5)의 노아게이트 (NOR1), (NOR2)에서는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고 노아게이트(NOR3)에서는 고전위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노아게이트(NOR3)에서 출력되는 고전위신호를 타이머 제1구동제어신호라 한다. 또한, 플립플롭(FF1), (FF2)에서 제3모드신호가 출력되는 상태, 즉 플립플롭(FF1), (FF2)의 출력단자 (Q1), (Q2)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
Figure kpo00017
), (
Figure kpo00018
)에서 저전위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게이트부(5)의 노아게이트(NOR2) 에서만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신호를 타이머 제2구동제어신호라 한다.
또한, 플립플롭(FF1), (FF2)에서 제4모드신호가 출력되는 상태, 즉 플립플롭(FF1), (FF2)의 출력단자 (Q1), (
Figure kpo00019
)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자(
Figure kpo00020
), (Q2)에서 저전위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게이트부(5)의 노아게이트 (NOR1)에서만 고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신호를 타이머 제3구동제어신호라 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부(5)에서 타이머 제1구동제어신호, 즉 노아게이트 (NOR3)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되면, 그 고전위신호는 타이머 전원스위칭부(6)의 다이오드(D5) 및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를 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3)도 온되고, 이에 따라 타이머(9)의 전원단자(Vcc)에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그 타이머(9)는 구동된다. 또한, 이때 노아게이트(NOR3)에서 출력된 고전위신호는 표시부(7)의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6 3 4 5 8 9 8 9 20 5
또한, 게이트부(5)에서 타이머 제2구동제어신호가 출력된 상태, 즉 노아게이트(NOR2)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그 고전위신호는 타이머 전원스위칭부(6)의 다이오드(D4) 및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TR2),(TR3)를 온시키므로 타이머(9)의 전원단자(Vcc)에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그 타이머가 구동되고, 또 상기 노아게이트(NOR2)에서 출력된 고전위신호는 표시부(7)의 트랜지스터(TR5)를 온시키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되어 타이머 제2구동상태임을 표시하게 되고, 또 그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에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신호를 타이머 제2시정수 제어신호라 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저전위신호는 시정수 절환부(10)의 트랜지스터(TR9)를 온시키므로 저항(R20)에 저항(R21)이 병렬접속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병렬접속된 저항(R20),(R21)의 값 및 콘덴서(C5)의 값에 의해 타이머(9)의 시정수가 결정된다.
또, 게이트부(5)에서 타이머 제3구동신호가 출력된 상태, 즉 노아게이트(NOR1)에서 고전위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고전위신호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머 전원스위칭부(6)를 구동시키므로 타이머(9)의 전원단자(Vcc)에 구동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그 고전위신호는 표시부(7)의 트랜지스터(TR4)를 온시키므로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되어 타이머 제3구동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이때 트랜지스터(TR4)의 콜렉터에 저전위신호가 출력되고, 이 저전위신호를 타이머 제3시정수 제어신호라 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저전위신호는 시정수 절환주(10)의 트랜지스터(TR8)를 온시키므로 저항(R20)에 저항(R22)의 값 및 콘덴서(C5)의 값에 의해 타이머(9)의 시정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세팅펄스신호(SP)를 입력시킴에 따라 시정수 절환부(10)를 절환시켜 타이머(9)에 3가지 시정수를 설정시킬 수 있게된다. 즉 시정수 절환부(10)의 저항(R20),(R21),(R22)값이 R22〈R20〈R21의 관계가 되도록 설정시켜 놓으면, 트랜지스터(TR8),(TR9)가 오프되었을 경우의 저항(R20) 및 콘덴서(C5)에 의한 시정수가 가장길고, 트랜지스터(TR9)가 온될 경우의 병렬접속된 저항(R20),(R21) 및 콘덴서(C5)에 의한 시정수가 그 다음으로 길며, 트랜지스터(TR8)가 온될 경우의 병렬접속된 저항(R20),(R22) 및 콘덴서(C5)에 의한 시정수가 가장 짧게된다.
이와 같이 시정수 절환부(1)에 의해 설정된 시정시간 동안 타이머(9)는 구동이며,10 7 25 10 8
또, 상기 구형파 발생부(11)의 트랜지스터(TR10)에서 출력된 구형파신호는 초기 모드설정부(12)의 저항(R28) 및 다이오드(D9)를 통해 트랜지스터(TR11)를 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12)도 온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R12)를 통한 정전압이 콘덴서(C10)에 충전되면서 플립플롭(FF1), (FF2)의 리세트단자(RS1),(RS2)에 인가되므로 그 플립플롭(FF1), (FF2)은 리세트되어 초기 모드상태로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팅펄스신호를 인가하여 3가지의 타임시간을 설정시켜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시계기능이 없는 원격조작 수신장치에 타이머기능을 부가할 수 있고, 또 고가의 시계기능이 있는 마이콤을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므로 원가절감을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된다.

Claims (1)

  1. 각부에 정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부(1)와, 이 정전압부(1)에서 정전압이 출력되는 초기시에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초기 리세트부(2)와, 세팅펄스신호(SP)를 반전증폭하는 반전증폭부(3)와, 이 반전증폭부(3)의 출력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1)와, 상기 초기 리세트부(2) 및 하기 초기 모드설정부(12)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리세트신호로 받고 상기 인버터(I1)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클럭신호로 받아 4가지 모드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부(4)와, 이 플립플롭부(4)에서 출력되는 제2모드 내지 제4모드신호에 따라 타이머 제1 내지 제3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부(5)와, 이 게이트부(5)에서 타이머 제1 내지 제3구동제어신호중 어느 하나라도 출력될시 타이머 구동전원을 출력하는 타이머 전원스위칭부(6)와, 상기 게이트부(5)에서 타이머 제1 내지 제3구동제어신호가 출력되는 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타이머 제2 및 제3구동표시시에 타이머 제2 및 제3시정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표시부(7)와, 상기 인버터(I1)에서 펄스신호가 출력될때와 상기 정전압부(1)에서 정전압이 출력되는 초기시에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절환뮤팅부(8)와, 이 절환뮤팅부(8)에서 펄스신호가 출력될때 리세트하고 상기 타이머 전원스위칭부(6)에서 타이머 구동전원이 출력될때 구동되는 타이머(9)와, 상기 표시부(7)에서 출력되는 타이머 제2 및 제3시정수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상기 타이머(9)에 3가지 시정수를 설정하는 시정수 절환부(10)와, 상기 타이머(9)가 구동을 중지하게 될때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구형파 발생부(11)와, 이 구형파 발생부(11)에서 구형파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플립플롭부(4)를 리세트시키기 위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초기 모드설정부(1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KR1019870008453A 1987-07-31 1987-07-31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KR90000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8453A KR900001471B1 (ko) 1987-07-31 1987-07-31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IN629/CAL/88A IN170017B (ko) 1987-07-31 1988-07-2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8453A KR900001471B1 (ko) 1987-07-31 1987-07-31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37A KR890002737A (ko) 1989-04-11
KR900001471B1 true KR900001471B1 (ko) 1990-03-12

Family

ID=1926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453A KR900001471B1 (ko) 1987-07-31 1987-07-31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00001471B1 (ko)
IN (1) IN170017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37A (ko) 1989-04-11
IN170017B (ko) 199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3645A1 (en) Pulse generation circuit
KR870006721A (ko) 반도체 전자회로
KR900001471B1 (ko)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US4148015A (en) Electronic timepiece with an electrochromic display
US4131864A (en) Low voltage compensator for power supply in a complementary MOS transistor crystal oscillator circuit
KR100543038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 제어 회로
US4316104A (en) Monolithically integrated digital semiconductor circuit
WO2001030580A8 (fr) Circuit d'excitation pour reseau luminescent auto-balaye
JPS5827698B2 (ja) 多値信号発生装置
KR940001609Y1 (ko) 디지트론 구동장치
JPH06112766A (ja) 信号絶縁装置
JPH06505135A (ja) 時間/電圧変換方法及び装置
SU1261022A1 (ru) Реле времени
KR930006229B1 (ko) 시간지연 전원자동 차단회로
JPH0339956Y2 (ko)
KR900004874Y1 (ko) 영상 스위칭 회로
KR10066053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압 지연 회로
KR900000231B1 (ko) 장시간 타이머회로
JPH05232447A (ja) 半導体装置
SU864372A1 (ru) Реле времени
KR930008077Y1 (ko) Lcd 문자표시 구동장치
JPS6418306A (en) Edge detection pulse generating circuit
SU110327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код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SU1030777A1 (ru) Импульс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930005547B1 (ko) 액정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