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1609Y1 - 디지트론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트론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1609Y1
KR940001609Y1 KR2019910014870U KR910014870U KR940001609Y1 KR 940001609 Y1 KR940001609 Y1 KR 940001609Y1 KR 2019910014870 U KR2019910014870 U KR 2019910014870U KR 910014870 U KR910014870 U KR 910014870U KR 940001609 Y1 KR940001609 Y1 KR 940001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grids
digitron
microcomputer
driving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4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322U (ko
Inventor
조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4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1609Y1/ko
Publication of KR930007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3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1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1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gas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트론 구동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디지트론의 상태도.
제2도는 종래의 디지트론을 구동시키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디지트론 구동회로의 블럭도.
제4도는 이 고안에 따른 지연부의 파형도.
제5도는 이 고안에 따른 디지트론 구동회로 그리드 구동펄스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이콤 200 : 지연회로
1∼13 : 지연부
이 고안은 디지트론(Digitro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콤의 그리드(Grid) 구동펄스를 지연시켜 사용함으로서 마이콤의 수를 줄일수 있게 한 디지트론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및 산업용 전자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작동중인 장치의 상태를 용이하게 알수 있도록한 디지트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트론은 마이콤을 이용하여 그리드 및 그리드에 이루어지는 각 세그먼트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서 사용제품의 동작상태등을 표시할 수 있게된다.
이를 참조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13개의 그리드(1G, 2G, 3G∼ 13G)를 갖는 디지트론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1G∼13G)에는 9∼10개의 세그먼트(a, b, c, ∼j)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그리드(1G, 2G∼13G)에 형성되는 각각의 세그먼트(a, b, c, ∼j)들은 각 세그먼트(a∼j)별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그리드(1G, 2G, 3G∼13G)각각에 형성되는 세그먼트(a)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세그먼트(b) 역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각 세그먼트(a∼j)들은 같은 세그먼트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세그먼터(a∼j)들은 도시하지 않은 마이콤으로부터 인가되는 세그먼트 구동펄스에 의하여 구동하게 된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그리드(1G) 및 제2그리드(2G)의 a, b, c, d, g 세그먼트를 구동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마이콤이 상기 a, b, c, d, g 세그먼트를 구동시키는 세그먼트 구동펄스를 상기 a, b, c, d, g,세그먼트 각각에 인가하게 된다.
이때, 각 그리드(1G∼13G)의 세그먼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1G∼13G)의 각 a, b, c, d, g 세그먼트들이 같이 구동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그리드 구동펄스와 세그먼트 구동펄스가 동시에 인가되는 그리드의 세그먼트들(a, b…, j)만이 구동하게 하였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그리드(G1∼G13)에 순차적으로 그리드 구동펄스(GP1∼GPl3)을 인가한다. 그리고, 구동시키고자 하는 그리드(G1, G2)에 상기 그리드 구동펄스(GP1, GP2)가 인가될때, 상기 그리드 구동펄스(GP1, GP2)에 돌기를 맞추어 상기 세그먼트(a, b, c, d, g)를 구동시키기 위한 세그먼트 구동펄스 (Sa,Sb, Sc, Sd, Sg)를 마이콤이 출력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그리드(G1), (G2)에 그리드 구동펄스(GP1), (GP2)가 인가될때 상기 그리드(G1)에 이루어지는 세그먼트(a, b, c, d, g)에 세그먼트 구동신호(Sa, Sb, Sc, Sd, Sg)가 인가되어, 상기 그리드(G1), (G2)의 세그먼트(a, b, c, d, g)는 구동한다. 그러나 상기 그리그(G3∼G13)에 그리드 구동펄스(GP3∼GP13)가 인가될때에는 세그먼트 구동펄스(Sa∼Sj)가 인가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그리드(G3∼G13)에 구성되는 세그먼트(a∼j)는 구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디지트론 구동장치는, 상기 마이콤이 상기 그리드(G1∼G13)에 그리드 구동펄스(GP1∼GP13)를 순차적으로 인가하기 위한 그리드 구동펄스 출력단자를 13개 보유하여야 하므로 마이콤의 구성이 복잡하며 제작단가가 높다는 문재가 있었다.
또한 마이콤에 구성되는 그리드 구동펄스 출력단자보다 많은 그리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마이콤을 더 구성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마이콤이 하나의 단자를 이용하여 그리드 구동펄스를 출력하며, 다수의 지연부를 이용하여 상기 그리드 구동펄스를 지연시켜 각 그리드에 인가하도록 함으로서 마이콤의 구성이 간단하며, 제작단가를 낮출수 있는 디지트론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그리드 구동펄스 및 세그먼트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며 상기 마이콤의 그리드 구동펄스 및 세그먼트 구동펄스에 따라 구동하는 세그먼트들로 되는 다수의 그리드로 구성되는 디지트론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 및 그리드들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마이콤의 그리드 구동펄스를 지연시켜 상기 그리드들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다수의 지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디지트론 구동회로에 있다.
이하, 이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디지트론 구동회로의 블럭도로서 마이콤(100), 지연회로(200) 및 그리드(G1∼G13)로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마이콤(10)은 단자(P1)를 통하여 그리드 구동펄스(GP)를 출력하고, 단자(P2∼P11)를 통하여 세그먼트 구동펄스(Sa∼Sj)를 선택으로을 출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지연회로(200)는 상기 마이콤(100)이 출력한 그리드 구동펄스 (GP)를 순차적으로 지연시키기위한 것으로 다수의 지연부(1∼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연부(1∼13)는 입력단자(IN)에 연결되는 충방전용 콘덴서 (C1)와, 상기 콘덴서 (C1) 및 전원(Vcc)에 연결되는 저항(R1), (R2)과, 상기 콘덴서 (C1)에 연결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TR1)로 된다.
그리고, 상기 지연부(1∼13)는 각각 그리드(G1∼G13)에 인가하므로서 상기 그리드(G1∼G13)에는 상기 지연부(1∼13)에 의해 지연된 그리드 구동펄스(GP)가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이 고안에 따른 디지트론 구동회로는 상기 마이콤(100)이 단자(P1)를 통해 그리드 구동펄스(GP)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자(P1)의 그리드 구동펄스(GP)는 상기 그리드(G1)에 인가되는 한편, 지연부(1)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지연부(1)의 트랜지스터 (Q1)는 전원(Vcc)에 의하여 온상태에 있게되나, 입력단자(IN)에 제4도에 도시된 하이레벨의 그리드 구동펄스(GP)가 인가되면 콘덴서(C1)는 이를 충전한다.
그리고 상기 그리드 구동펄스(GP)가 로우레벨 상태가 되면, 상기 콘덴서(C1)는 충전하였던 전하를 방전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측 전위(BV)는 로우레벨로 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TR1)는 오프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 전위(CV)는 상승하여 하이레벨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콘덴서(C1)에 의하여 로우레벨 상태가 되었던 베에스측 전위(BV)는 콘덴서(C1)가 방전을 계속함에 따라서 전위가 점차 상승된다.
이와같이 상승되는 전압이 점선으로 도시한 턴온전압에 이르면 상기 트랜지스터 (TR1)는 턴온되어 콜렉터측전위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측 전위는 상기 베이스측 전위(BV)가 트랜지스터의 턴온전압으로 상승하기 까지의 턴온시간(Td)동안 하이레벨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지연부(1)에 인가된 그리드 구동펄스(GP)는 펄스가 지연된 상태로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지연부(1)에서 지연된 그리드 구동펄스를 다시 지연부(2∼ 13)에서 지연하면 제5도와 같이 종래의 그리드 구동펄스(GP1∼GP13)와 동일한 펄스를 얻을수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그리드펄스(GP) 및 그리드펄스(GP)가 지연된 펄스를 상기 그리드(G1∼C13)에 인가하면 종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수 있는 것이다.
즉, 이 고안은 마이콤에 하나의 그리드 구동펄스를 출력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 출력단자에 다수개의 지연부를 이용하여 그리드 구동펄스를 지연시킨후 각 그리드에 인가하게 함으로서, 그리드가 순차적으로 구동상태가 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고안은 마이콤은 출력단자수를 줄일수 있어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제작단가를 절약할수 있는효과가 있다.

Claims (2)

  1. 그리드 구동펄스 및 세그먼트 구동펄스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며 상기 마이콤의 그리드 구동펄스 및 세그먼트 구동펄스에 따라 구동하는 세그먼트들로 되는 다수의 그리드와로 구성되는 디지트론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 및 그리드들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마이콤의 그리드 구동펄스를 지연시켜 상기 그리드들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다수의 지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트론 구동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마이콤의 그리드 구동펄스 출력단에 연결되는 충방전용 콘덴서와, 상기 충방전용 콘덴서 및 전원에 연결되는 제1저항과, 상기 전원 및 충방전용 콘덴서에 연결되는 제2저항과,상기 제2항에 연결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와, 로 구성되는 디지트론 구동회로.
KR2019910014870U 1991-09-12 1991-09-12 디지트론 구동장치 KR940001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870U KR940001609Y1 (ko) 1991-09-12 1991-09-12 디지트론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4870U KR940001609Y1 (ko) 1991-09-12 1991-09-12 디지트론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322U KR930007322U (ko) 1993-04-24
KR940001609Y1 true KR940001609Y1 (ko) 1994-03-21

Family

ID=1931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4870U KR940001609Y1 (ko) 1991-09-12 1991-09-12 디지트론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16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322U (ko) 199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3645A1 (en) Pulse generation circuit
US4542301A (en) Clock pulse generating circuit
EP0395387A3 (en) Display drive circuit
KR940001609Y1 (ko) 디지트론 구동장치
KR920019076A (ko) 지연-펄스 발생기
EP0434898A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3496389A (en) Timing circuit with field effect transistor
KR900001471B1 (ko) 타이머 기능 부가회로
US4600897A (e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of emitter-coupled astable multivibrator type
US4507624A (en) Voltage-to-frequency converters
SU1246346A2 (ru) Мультивибратор
KR870003648Y1 (ko) 펄스계수 입력장치용 펄스 발생장치
KR880003433Y1 (ko) 스타트 제어회로
SU892720A1 (ru) Реле времени
SU1026285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KR930007138Y1 (ko) 수직싸이즈 수평페이즈 자동조절회로
SU1014128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SU1109894A1 (ru) Релаксационный генератор
SU1013976A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переменным коэффициентом передачи
SU1030777A1 (ru) Импульс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910005755Y1 (ko)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의 방전회로
SU911680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KR930004905Y1 (ko) 마이크로 컴퓨터용 부저 제어회로
KR860002292Y1 (ko) 노아게이트를 이용한 타이머회로
SU864372A1 (ru) Реле врем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