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602Y1 - 가족묘 - Google Patents

가족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02Y1
KR200172602Y1 KR2019990020900U KR19990020900U KR200172602Y1 KR 200172602 Y1 KR200172602 Y1 KR 200172602Y1 KR 2019990020900 U KR2019990020900 U KR 2019990020900U KR 19990020900 U KR19990020900 U KR 19990020900U KR 200172602 Y1 KR200172602 Y1 KR 200172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llars
gate
ashes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원
Original Assignee
고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원 filed Critical 고광원
Priority to KR2019990020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분묘내에 다수의 관실과 유골실을 형성하여 여러세대를 이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가족묘에 관한 것으로, 큰크리트로 양측벽과 이 양측벽의 사이 공간에 수개의 중간기둥과, 상기 양측벽의 전후방에 다수의 문틀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양측벽의 중간과 사이공간의 중간기둥 좌우에 안내층판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안내층판을 지점으로 형성되는 상하층의 문틀기둥과 중간기둥사이의 공간들을 관 또는 유골을 모시는 다수의 관실과 다수의 유골실로 하여 여러대를 이어 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관과 유골을 입실시키기위한 다수의 문틀기둥의 사이를 출입구로 하여 상기 출입구마다 관으로 부터 처음 닫혀지는 관문과 이 관문 다음에 철문을 상기 철문다음에는 빗장으로 임의대로 열수 없도록 채워지는 외부문으로 닫도록하여 도굴을 방지하도록하고, 분묘의 봉분내에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이트로 수로를 우물정자의형으로 형성하여 빗물이 수로에 고이도록하여 분묘의 떼에 수분을 장기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족묘{The family grave}
본 고안은 하나의 분묘에 다수의 관실과 유골실을 형성하여 여러세대가 이어 가면서 사용하게 되는 가족묘에 관한 것이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장례문화는 매장문화와 화장문화가 있느나, 우리나라의 민족성에 선조들을 중히 여기는 유교사상이 깃들여 있어 대부분 화장문화보다는 매장문화를 더 선호 하고 있는 관계로 부부 관계가 아니면 묘 1기에 시신1구를 매장하게되어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에서는 매장문화가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1기의 묘를 만들기 위하여 굴토를 하여야 하고 굴토된 자리에 시신을 모신후 흙을 덮어 여러 사람이 밟아 덮은 흙을 다진후 봉분과 바람을 막기위한 좌청룡과 우백호를 만든다음 지표면에 떼를 입혀야 하는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이므로 1기의 묘를 만들때 마다 시간과 비용이 엄청나게 만이드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상에 세워지는 1기의 분묘에 다수의 시신과 유골을 모시는 관실과 유골실을 형성하여 세월의 흐름에 따라 뼈만 남은 유해 또는 유골을 관실에서 유골실로 옮기는 과정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여러대를 거쳐 사용하게 되는 가족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기재된 목적을 제공하는 가족묘는 콘크리트로 묘틀을 형성함에 있어서 좌우의 양측벽과, 이 좌우측벽의 전후방에 수개의 문틀기둥과, 상기 좌우측벽과 문틀기둥의 내공간에 수개의 중간기둥 및 좌우측벽과 중간기둥의 중간에 각기 안내층판을 형성하여 묘틀을 형성하며, 상기 문틀기둥의 사이가 되는 출입구에 관문과 철문 및 외부문을 닫도록하고, 묘틀의 상방에 우물정자형으로 수로를 배열하여서 되는 것으로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골격이 되는 묘틀의 사시도.
도3 - 본 고안의 출입구를 막는 문의 분해사시도.
도4 - 도1의 A - A선 단면도.
도5 - 도1의 B - B선 단면도.
도6 - 도1의 C - C선 단면도.
도7 - 도6의 D - 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14 : 문틀기둥 15,15' : 중간기둥
19,19' : 안내층판 20 : 출입구
21 : 관문 22 : 철문
23 : 외부문 25 : 빗장판
27 : 철봉빗장 28 : 수로
30 : 관실 31 : 유골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기본 틀이 되는 묘틀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중 관문과 철문 및 외부문을 타나낸 사시도이고, 도4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5는 도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6은 도1의 C-C선 단면도이며, 도7 - 도6의 D - D선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보면, 부호 10은 콘크리트로 지상에 양생한 묘틀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묘틀(10)은 바닥(11)의 좌우측에 측벽(12)(12')을 세우는데 상기 측벽(12)(12')은 그 전후방에 내측으로 절곡된 기둥(121)(122),(121')(12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기둥(121)과 기둥(121')사이에 문틀기둥(13)(14)을, 기둥(122)과 기둥(122')의 사이에는 문틀기둥(13')(14')을 설치하며, 상기 문틀기둥(13)(14)과 문틀기둥(13') (14')의 사이 중간 지점에 중간기둥(15)(15')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상기 기둥(121)(122)과 기둥(121')(122')의 내면과 문틀기둥(13)(14),(13')(14')의 좌우면에는 수직홈(16)을 상단에는 요입홈(17)을 각기 형성하며,상기의 측벽(12)(12')의 내면 중간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층판(18)(18')을, 상기 중간기둥(15)(15')의 좌우면 중간에 안내층판(19)(19')을 문틀기둥(13)(14),(13')(14')의 내면에 까지 이르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서된 것이다.
또한, 부호 20과 20'은 상기한 기둥(121)122),(121')(122')과 문틀기둥 (13)(14),(13')(14') 및 안내층판(18)(18'),(19)(19')으로 이루어지는 상하층의 출입구를 표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모습에서는 상기 출입구(20)가 각 문틀기둥(13)(14),(13')(14')과 기둥(121)(122),(12')(122')의 사이공간 마다 상하로 형성하게된 것이며, 상기 각 출입구(20)에는 도3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는 관문(21)을 관문(21)다음에는 수직홈(16)에 철문(22)을 끼워 닫도록하며,상기 철문(22) 다음에는 외부문(23)을 닫는데 상기 외부문(23)은 그 상단에는 요홈 (24)을 구비한 빗장판(25)을, 하단에는 빗장돌기(26)를 형성하여 빗장판(25)이 상기 관문(21)과 철문(22)의 위로 위치되게 외부문(23)을 닫은다음 도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철봉빗장(27)을 각 기둥의 요입홈(17)과 빗장판(25)의 요홈(24)에 일치되게 끼워 요입홈(17)에 양단이 걸린 철봉빗장(27)이 요홈(24)에 끼워져 빗장판(25)이 이탈되지 못하여 외부문(23)이 철봉빗장(27)을 벗겨내지 않은 상태에서는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또 상층의 외부문(23)이 하층의 외부문(23')의 요홈(24')에 끼워져 하층의 외부문(23')도 상층의 외부문(23)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는 열리지 않도록하고, 양 측벽(12)(12')의 상단을 잇는 공간에 합성수지나 콘크리트로 수로(28)를 우물정자의 배열로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은 출입구(20)측의 내공간과 출입구(20')측의 내공간의 크기를 같게할 수도 있으며, 또는출입구(20')측의 내공간을 좁게하여 출임구(20)측의 내공간을 관실(30)로 하고, 출입구(20')측의 내공간을 유골실(31)로 정하여 관실(30)에 시신을 모신후 세월이 흘러 탈골이 되면 유골을 모아 유골실(31)로 옮겨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관실(30)에 관을 모실때에는 하층에는 출입구(20)를 통하여 바닥(11)위에 밀어 넣어 모시게 되며, 상층에 모실때에는 안내층판(18)(18'),(19) (19')의 상면에 모시게 되는 것이며, 관을 모신후 관의 외부 공간에 흙을 채우게 되는 것이고, 공간 마다 흙을 채운 묘틀(10)에 수로(28)를 설치한다음 가장자리에 콘크리트 또는 돌로된 덮개편(29)을 덮은다음 봉분(40)을 형성하고 떼를 입혀 가족묘를 마무리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지상에 세워지는 1기의 분묘에 다수의 시신과 유골을 모시는 관실과 유골실을 형성하여 세월의 흐름에 따라 뼈만 남은 유해 또는 유골을 관실에서 유골실로 옮기는 과정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다수의 시신과 유골을 1기의 분묘에 여러대를 거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분묘를 만들때 마다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콘크리트로 묘틀(1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로 양측벽(12)(12')의 사이 공간에 수개의 중간기둥(15)(15')과, 상기 양측벽(12)(12')의 전후방에 다수의 문틀기둥(13)(14')을 형성하며, 상기 양측벽(12)(12')의 중간과 사이공간의 중간기둥(13)(14')좌우에 안내층판(19)(19')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안내층판(19)(19')을 지점으로 형성되는 상하층의 문틀기둥(13)(13')과 중간기둥(15)(15')사이의 공간들을 관 또는 유골을 모시는 다수의 관실(30)과 다수의 유골실(31)로 하여 여러대를 이어 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관과 유골을 입실시키기위한 다수의 문틀기둥(13)(13')의 사이를 출입구(20)로 하여 상기 출입구(20)마다 관으로 부터 처음 닫혀지는 관문(21)과 이 관문(21) 다음에 철문(22)을 상기 철문(22) 다음에는 빗장으로 임의대로 열수 없도록 채워지는 외부문(23)으로 닫도록하여 도굴을 방지하도록하고, 분묘의 봉분(40)내에 합성수지 또는 콘크리이트로 수로(28)를 우물정자의형으로 형성하여 빗물이 수로에 고이도록하여 분묘의 떼에 수분을 장기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묘.
KR2019990020900U 1999-09-29 1999-09-29 가족묘 KR200172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00U KR200172602Y1 (ko) 1999-09-29 1999-09-29 가족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00U KR200172602Y1 (ko) 1999-09-29 1999-09-29 가족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602Y1 true KR200172602Y1 (ko) 2000-03-15

Family

ID=1959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900U KR200172602Y1 (ko) 1999-09-29 1999-09-29 가족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8627A (en) Burial facility
Hodder et al. 3 Sites. The Haddenham long barrow: an interim statement
KR200172602Y1 (ko) 가족묘
KR200163430Y1 (ko)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CN219387430U (zh) 一种绿色生态的地下公共陵园
KR100440749B1 (ko) 납골묘
KR200329480Y1 (ko) 상하부 지상면 복층구조 양식의 12각 납골묘
CN205476803U (zh) 一种绿色生态地下陵园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KR200289414Y1 (ko) 납골묘
KR100555908B1 (ko) 수목장묘
KR200329554Y1 (ko) 봉분식 납골묘의 납골함 보관 장치
KR200200935Y1 (ko) 납골묘
KR200250573Y1 (ko) 전통가옥 스타일의 지붕을 구비한 납골당
KR100304492B1 (ko)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KR200304427Y1 (ko) 납골묘의 은폐형 통풍장치
KR900009207Y1 (ko) 가족묘지용 석분묘
KR200201553Y1 (ko)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0210575Y1 (ko) 납골분묘
KR100306307B1 (ko) 납골묘
KR200230866Y1 (ko) 이중석재구조로된 봉분형 납골묘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200291918Y1 (ko) 가족 납골묘
KR200304479Y1 (ko) 대형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