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553Y1 - 조립식 석재 납골당 - Google Patents

조립식 석재 납골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553Y1
KR200201553Y1 KR2020000015694U KR20000015694U KR200201553Y1 KR 200201553 Y1 KR200201553 Y1 KR 200201553Y1 KR 2020000015694 U KR2020000015694 U KR 2020000015694U KR 20000015694 U KR20000015694 U KR 20000015694U KR 200201553 Y1 KR200201553 Y1 KR 200201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support
ossuary
plat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길
Original Assignee
김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길 filed Critical 김정길
Priority to KR2020000015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5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수백기의 납골함을 안치할 수 있으며 채광과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돔형으로 지붕을 형성하므로 내부공간이 넓게 보이도록, 조립돌기와 조립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붕석과, 지붕석의 중앙쪽 끝부분이 조립되고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지붕석이 조립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중앙지지석과, 중앙지지석의 반대쪽에서 지붕석의 끝부분이 얹혀지고 네옆면에 각각 계단형상의 상조립턱 또는 하조립턱이 형성되는 복수의 천정석과, 천정석의 지붕석이 얹혀지는 반대쪽 끝부분이 얹혀져 지지되고 서로 연결되어 외벽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석과, 지지석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벽면의 한쪽에 세워지고 출입문이 설치되는 출입구와, 중앙지지석에 설치되고 내부로 햇빛이 조사되도록 안내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환기채광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을 제공한다.
환기채광장치는 하부는 중앙지지석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환기구멍이 형성되는 환기통과, 환기통의 윗면에 설치되고 햇빛이 대부분 통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채광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석재 납골당 {Fabricated Stone Charnel House}
본 고안은 조립식 석재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넓어 보이고 내부로 햇빛이 조사되며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석재를 조립하여 형성하므로 건축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석재 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하는 장례방식에는 매장과 화장이 있으며, 최근에는 묘지로 사용한 토지의 부족 등의 문제때문에 화장을 행하는 사람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화장을 행한 다음 납골을 별도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납골함을 모실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납골당과 납골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납골당과 납골묘는 1기 또는 수십기의 납골함을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납골당과 납골묘는 대량의 납골을 수용하는 데에 한정이 있으며, 내부가 어둡고 습기가 많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므로, 채택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내부가 비좁아 들어가고 나오는 데에 불편함이 많으며, 납골함을 안치하고 이동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백기의 납골함을 안치할 수 있으며, 채광과 환기가 이루어지므로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석재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건축하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건축공사가 용이하며, 돔형으로 지붕을 형성하므로 내부공간이 넓게 보이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골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붕석과 천정석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환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D-D선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은 한쪽 옆면에는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른쪽 옆면에는 상기한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판형상 지붕석과, 상기한 지붕석의 중앙쪽 끝부분이 조립되고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지붕석이 조립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중앙지지석과, 상기한 중앙지지석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지붕석의 끝부분이 얹혀지고 네옆면에 각각 계단형상의 상조립턱 또는 하조립턱이 형성되는 복수의 판형상 천정석과, 상기한 천정석의 지붕석이 얹혀지는 반대쪽 끝부분이 얹혀져 지지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외벽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판형상 지지석과, 상기한 지지석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벽면의 한쪽에 세워지고 출입문이 설치되는 출입구와, 상기한 중앙지지석에 설치되고 내부로 햇빛이 조사되도록 안내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환기채광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환기채광장치는 하부는 상기한 중앙지지석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환기구멍이 형성되는 환기통과, 상기한 환기통의 윗면에 설치되고 햇빛이 대부분 통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한 출입구는 양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복수의 입구기둥과, 상기한 입구기둥에 의하여 지지되고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지지판과, 상기한 입구기둥에 연결되어 세워지고 상기한 중간지지판을 지지하며 입구쪽의 양 벽면을 형성하는 입구지지판과, 상기한 중간지지판에 양쪽 끝부분이 지지되며 대략 반원형상의 아치로 연결되는 복수의 입구천정석과, 상기한 입구천정석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입구지붕판과, 상기한 중간지지판에 세워지고 상기한 입구지붕판을 지지하는 지붕지지판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돔형상의 지붕을 형성하는 복수의 판형상 지붕석(10)과, 상기한 지붕석(10)의 중앙쪽 끝부분이 조립되고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지붕석(10)이 조립되는 통형상의 중앙지지석(28)과, 상기한 중앙지지석(28)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지붕석(10)의 끝부분이 얹혀지는 복수의 판형상 천정석(16)과, 상기한 천정석(16)의 지붕석(10)이 얹혀지는 반대쪽 끝부분이 얹혀져 지지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외벽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판형상 지지석(20)과, 상기한 지지석(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벽면의 한쪽에 세워지고 출입문(50)이 설치되는 출입구(40)와, 상기한 중앙지지석(28)에 설치되고 내부로 햇빛이 조사되도록 안내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환기채광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한 지붕석(1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옆면에는 조립돌기(1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른쪽 옆면에는 상기한 조립돌기(12)가 삽입되는 조립홈(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돌기(12)와 조립홈(14)을 형성하면, 지붕석(1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지붕석(1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서 넓게 보이도록 위쪽으로 오목한 돔형상으로 지붕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한 지붕석(10)은 내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하고 외면은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면과 외면을 모두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천정석(16)은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옆면에 각각 계단형상의 상조립턱(17) 또는 하조립턱(18)을 형성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지붕석(10)의 아래쪽 끝부분이 얹혀지는 위쪽의 옆면에는 상조립턱(17)을 형성하고, 상기한 지지석(20)의 위쪽 끝부분이 얹혀지는 아래쪽의 옆면에는 하조립턱(18)을 형성한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의 옆면에 하조립턱(18)을 형성하고 오른쪽의 옆면에 상조립턱(17)을 형성하여, 상조립턱(17)과 하조립턱(18)이 서로 맞물려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천정석(16)은 지붕석(10)쪽(중앙)에서 지지석(20)쪽(바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로 설치하는 것이 빗물 등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천정석(16)에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붕석(10)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지붕석(10)과 천정석(16)이 조립된 사이로 스며들지 않고 자연스럽게 천정석(16)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빗물유도홈(19)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빗물유도홈(19)은 하나 또는 2개이상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지붕석(10)에서 지지석(20)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며, 깊이는 얕게 형성하여도 빗물의 유도가 충분히 이루어진다.
상기한 중앙지지석(28)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 중간부분에 둘레를 따라 상기한 지붕석(10)의 위쪽 끝부분이 조립되는 결합홈(29)을 형성한다.
상기한 중앙지지석(28)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지붕석(10)의 위쪽 끝부분이 둘레를 따라 차례로 연결되어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지붕석(10)의 위쪽 끝부분을 조립하면 돔형상의 지붕이 완성된다.
이 때 상기한 지붕석(10)은 중앙지지석(28)쪽에서 천정석(16)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지지석(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석(20)을 견고하게 세워 설치한 다음 지지석(20)에 천정석(16)을 얹고 천정석(16)에 지붕석(10)을 얹으며 지붕석(10)을 중앙지지석(28)에 조립하는 작업을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3개이상 행하면, 서로 3방향이상에서 받쳐주므로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어 견고한 형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석(20), 천정석(16), 지붕석(10)을 차례로 연이어서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골조가 완성된다.
상기한 환기채광장치(30)는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는 상기한 중앙지지석(28)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환기구멍(33)이 형성되는 환기통(32)과, 상기한 환기통(32)의 윗면에 설치되고 햇빛이 대부분 통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채광판(36)을 포함한다.
상기한 환기통(32)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강판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환기구멍(33)은 환기통(32)을 이루는 스테인레스강판에 천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스테인레스망을 상기한 환기통(32)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환기구멍(33)은 곤충 등이 침입하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채광판(36)은 햇빛이 잘 투과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재질인 강화유리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채광판은(36)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링(37)을 볼트(38) 등을 이용하여 환기통(32)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설치한다.
즉 고정링(37)과 환기통(32) 사이에 채광판(36)을 삽입하고, 고정링(37)을 볼트(38)로 환기통(23)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설치한다.
상기한 환기채광장치(3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붕석(10) 위에 흙(4) 등을 덮는 경우에 환기구멍(33) 및 채광판(36)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한 중앙지지석(28)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한다.
상기한 출입구(40)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복수의 입구기둥(41)과, 상기한 입구기둥(41)에 의하여 지지되고 평면에서 보아서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지지판(42)과, 상기한 입구기둥(41)에 연결되어 세워지고 상기한 중간지지판(42)을 지지하며 입구쪽의 양 벽면을 형성하는 입구지지판(43)과, 상기한 중간지지판(42)에 양쪽 끝부분이 지지되며 대략 반원형상의 아치로 연결되는 복수의 입구천정석(44)과, 상기한 입구천정석(4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입구지붕판(45)과, 상기한 중간지지판(42)에 세워지고 상기한 입구지붕판(45)을 지지하는 지붕지지판(46)을 포함한다.
상기한 출입구(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중간지지판(42)의 연결부분에 설치되고 천정석(16)쪽에서 입구지붕판(45)을 지지하는 후면지지판(47)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중간지지판(42)은 천정석(16)쪽에 연결된 부분이 위치하고 반대쪽에 개방된 부분이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한 입구기둥(41)은 개방된 부분의 양쪽 끝부분을 지지하도록 설치하고, 연결된 부분의 아래쪽에는 출입문(50)을 설치한다.
상기한 출입문(50)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아래쪽 및 위쪽에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제의 바퀴를 부착하고, 바닥(2)과 중간지지판(42)에 레일을 설치하여 옆으로 열고닫을 수 있는 미닫이문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한 출입문(50)의 여닫이문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는 도 3∼도 4 및 도 9∼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연이어서 설치되는 상기한 지지석(20)의 내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납골안치실(60)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납골안치실(60)은 상기한 지지석(20)의 내면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둘레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지지석(20)에 대응되는 높이로 설치되는 복수의 판형상 칸막이석(62)과, 상기한 칸막이석(62) 사이에 납골함의 높이보다 큰 간격을 두고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판형상 안치대(64)와, 상기한 안치대(64)를 지지하도록 안치대(64)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칸막이석(62)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측면지지판(67)과, 상기한 지지석(20)쪽의 안치대(64) 사이에 설치되고 안치대(64)를 지지하는 후면지지판(68)과, 상기한 후면지지판(65) 반대쪽의 안치대(64)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납골문(69)을 포함한다.
상기한 안치대(64)의 지지석(20)쪽 끝면은 연이어서 설치되는 지지석(20)의 내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쪽 끝부분에는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상기한 납골문(69)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삽입되는 아래삽입홈(65)과 위삽입홈(66)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위삽입홈(66)의 바닥면과 아래삽입홈(65)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한 납골문(69)의 높이보다 넓게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상기한 납골문(69)의 윗부분을 먼저 위삽입홈(66)에 깊게 삽입한 다음 납골문(69)의 아랫부분을 아래삽입홈(65)에 삽입하여 위삽입홈(66)과 아래삽입홈(65) 사이에 납골문(69)이 걸려 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납골문(69)을 조립한 상태에서 납골문(69)의 윗면과 위삽입홈(66)의 바닥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존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안치대(64)의 아랫면에 형성하는 위조립홈(66)은 깊게 형성하고, 안치대(64)의 윗면에 형성하는 아래조립홈(65)은 얕게 형성한다.
또 상기한 납골문(69)의 양 옆면에는 손가락을 넣어 납골문(69)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홈(7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필요에 따라 납골문(69)을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납골안치실(60)은 대략 5층이상으로 형성하고 둘레를 따라 20개이상으로 분할하는 것이 100기이상 다수의 납골함을 보존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다.
상기한 후면지지판(68)의 밑면은 습기가 납골안치실(6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치대(64)에 밀착시켜 설치하고, 윗면은 납골안치실(60) 내부의 공기가 지지석(20)을 타고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틈새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천정석(16)과 맨위에 위치하는 안치대(64) 사이에는 납골안치실(60)의 통기를 위하여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면판(7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앙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나이상의 통기구멍(7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통기를 위한 공간 및 통기구멍(73)을 형성하면, 납골안치실(60) 내부의 습기나 악취 등이 중앙부로 유출되고, 상기한 환기채광장치(30)의 환기구멍(33)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40)쪽 천정석(16)에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멍(49)을 하나이상 형성하고, 상기한 후면지지판(47)에는 상기한 배출구멍(49)에 대응되는 통기구멍(48)을 하나이상 형성하며, 상기한 배출구멍(49)과 통기구멍(48)을 배기관(56)으로 연결하는 것이, 내부의 습기나 악취를 외부를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는 대부분의 부품을 석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환기채광장치(30)와 출입문(50)에 설치하는 바퀴나 레일 등만 스테인레스강 또는 합성수지, 강화유리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일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골조를 완성한 다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돌이나 돌 등을 이용하여 지지석(20) 바깥쪽에 외벽(6)을 쌓고, 천정석(16)과 지붕석(10) 위쪽에는 흙(4) 등을 채우고, 잔디나 관목 등을 심어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지지석(20) 3∼6개 걸러서 하나씩 기둥(80)을 설치하고, 상기한 기둥(80)의 내측에는 각각 중앙쪽으로 길게 판형상의 구획석(82)을 설치한다.
상기한 기둥(80)의 양쪽 옆면에는 지지홈(81)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인접하여 위치하는 지지석(20)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함께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획석(82)에는 앞뒤쪽에 다수의 납골안치실(60)을 형성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의 다른 실시예는 사원 등과 같이 하나의 건축물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한 일실시예와 달리 외부에 벽돌 등의 외벽(6)을 설치하거나 위쪽에 흙(4) 등을 덮지 않고, 지붕석(10)과 천정석(16) 및 기둥(80), 지지석(20) 등이 그대로 들어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한 일실시예보다 대형으로 건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수백∼수천기의 납골함을 유치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방식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석 석재 납골당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에 의하면, 대략 6평정도의 규모로 200기이상의 납골함을 유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람이 출입하는 것이 자유롭고 여유공간이 충분하므로 공간활용이 매우 효율적이며, 묘지가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토지의 효용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에 의하면, 대부분 석재를 조립하여 형성하므로 외관 및 내장이 미려하여 고급스런 느낌을 주며, 돔형으로 형성하므로 우아하고 고전미를 느낄 수 있어 일반인이 친숙하게 접근하고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에 의하면, 채광과 환기가 잘 이루어지므로 내부의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되어 사용자가 출입할 때에 불쾌감이 없으며, 일반인의 거부감을 감소시키므로, 묘지가 부족한 현실에서 매장문화를 화장문화로 바꾸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석재 납골당에 의하면, 모든 부품을 조립식으로 구성하므로 건축이 용이하고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한쪽 옆면에는 조립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른쪽 옆면에는 상기한 조립돌기가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판형상 지붕석과,
    상기한 지붕석의 중앙쪽 끝부분이 조립되고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지붕석이 조립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중앙지지석과,
    상기한 중앙지지석의 반대쪽에서 상기한 지붕석의 끝부분이 얹혀지고 네옆면에 각각 계단형상의 상조립턱 또는 하조립턱이 형성되는 복수의 판형상 천정석과,
    상기한 천정석의 지붕석이 얹혀지는 반대쪽 끝부분이 얹혀져 지지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외벽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판형상 지지석과,
    상기한 지지석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벽면의 한쪽에 세워지고 출입문이 설치되는 출입구와,
    상기한 중앙지지석에 설치되고 내부로 햇빛이 조사되도록 안내하고 환기가 이루어지는 환기채광장치와,
    서로 연이어서 설치되는 상기한 지지석의 내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납골안치실을 포함하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환기채광장치는 하부는 상기한 중앙지지석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환기구멍이 형성되는 환기통과,
    상기한 환기통의 윗면에 설치되고 햇빛이 대부분 통과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채광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입구는 양쪽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복수의 입구기둥과,
    상기한 입구기둥에 의하여 지지되고 평면에서 보아서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지지판과,
    상기한 중간지지판에 양쪽 끝부분이 지지되며 대략 반원형상의 아치로 연결되는 복수의 입구천정석과,
    상기한 입구천정석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입구지붕판과,
    상기한 중간지지판에 세워지고 상기한 입구지붕판을 지지하는 지붕지지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납골안치실은 상기한 지지석의 내면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둘레를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하여 지지석에 대응되는 높이로 설치되는 복수의 판형상 칸막이석과,
    상기한 지지석쪽 끝면은 연이어서 설치되는 지지석의 내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쪽 끝부분에는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아래삽입홈과 위삽입홈을 형성하며 상기한 칸막이석 사이에 납골함의 높이보다 큰 간격을 두고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판형상 안치대와,
    상기한 안치대를 지지하도록 안치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칸막이석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측면지지판과,
    상기한 지지석쪽의 안치대 사이에 설치되고 안치대를 지지하는 후면지지판과,
    상기한 안치대의 아래삽입홈과 위삽입홈 사이에 삽입되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옆면에는 손잡이홈을 형성하는 납골문을 포함하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천정석과 맨위에 위치하는 안치대 사이에는 납골안치실의 통기를 위하여 공간을 마련하고 중앙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천정석과 안치대 사이에 설치되는 전면판에 하나이상의 통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한 출입구쪽 천정석에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멍을 하나이상 형성하고, 상기한 출입구에는 상기한 배출구멍과 배기관을 통하여 연결되는 통기구멍을 하나이상 형성하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
  6. 제1항∼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석 3∼6개 걸러서 하나씩 설치하고 양쪽 옆면에는 상기한 지지석의 모서리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기둥과,
    상기한 기둥의 내면으로부터 각각 중앙쪽으로 길게 설치하고 양쪽면으로 다수의 납골안치실을 설치하는 판형상의 구획석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20000015694U 2000-06-02 2000-06-02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0201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94U KR200201553Y1 (ko) 2000-06-02 2000-06-02 조립식 석재 납골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94U KR200201553Y1 (ko) 2000-06-02 2000-06-02 조립식 석재 납골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553Y1 true KR200201553Y1 (ko) 2000-11-01

Family

ID=1965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694U KR200201553Y1 (ko) 2000-06-02 2000-06-02 조립식 석재 납골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5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803A (ko) * 2000-05-08 2001-11-16 이봉근 납골당
KR100402655B1 (ko) * 2001-08-29 2003-10-22 이명관 납골묘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2803A (ko) * 2000-05-08 2001-11-16 이봉근 납골당
KR100402655B1 (ko) * 2001-08-29 2003-10-22 이명관 납골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1553Y1 (ko)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0415894Y1 (ko) 파고라
JP2009235697A (ja) 合祀墓
JPH03293487A (ja) 地下式霊園
KR100630844B1 (ko) 십육각형 목조주택의 시공방법
KR200304427Y1 (ko) 납골묘의 은폐형 통풍장치
KR19990017655U (ko)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CN113235977A (zh) 适用于绿色宜居村镇建设的储雨水庭院
KR101003724B1 (ko) 주민 친화형 터널식 납골당 구조물
KR100725244B1 (ko) 실내 승마장
KR200322866Y1 (ko) 타워형 납골당의 구축물 구조
KR200199013Y1 (ko) 납골당
KR200227287Y1 (ko)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0409809Y1 (ko) 실내 승마장
AU2002255035A1 (en) Space arrangement, construction element and method for climate regulating the space
JP3027946U (ja) 多連組立式墓地構造
CN211173257U (zh) 凉亭
KR200287348Y1 (ko) 납골용 가족묘소
CN210798390U (zh) 一种景观区水围休息亭
JP2576019B2 (ja) 中庭式建物
JPS62185977A (ja) 重層墓苑
JP2004162323A (ja) 中庭付き住宅
KR200381546Y1 (ko)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JP2001303776A (ja) 住宅の浴室
JP3194023U (ja) 墓の納骨室の換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