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546Y1 -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 Google Patents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546Y1
KR200381546Y1 KR20-2005-0000826U KR20050000826U KR200381546Y1 KR 200381546 Y1 KR200381546 Y1 KR 200381546Y1 KR 20050000826 U KR20050000826 U KR 20050000826U KR 200381546 Y1 KR200381546 Y1 KR 200381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ssuary
stone
jaw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김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일 filed Critical 김경일
Priority to KR20-2005-0000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5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 상측에 돋움석이 형성되고 후면 상측에 절곡부가 형성된 납골 프레임 상면으로 지지턱을 형성하고, 지지턱과 절곡부 사이에는 양측으로 유도턱이 형성된 채광 프레임 및 좌,우 덮개석을 형성하며, 채광 프레임 및 좌,우 덮개석의 상측으로는 고정석을 형성함으로써,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개폐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유도턱과 지지턱을 통해 유로가 형성되어 우천시 납골묘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 방수 및 방습 기능을 효율적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광창과 환기공을 통해 내실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납골 프레임(10)의 입출구(11)를 기준으로 전면 상측에는 위패(1)가 장착된 돋움석(30)이 형성되어져 있고, 후면 상측으로는 절곡부(4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돋움석(30)과 소정간격 이격된 입출구(11)의 상단 일측으로는 지지턱(50)이 형성되어져 있되, 입출구(11) 상하에 병렬 형성된 상기 지지턱(50)과 절곡부(40) 사이에는 양측으로 유도턱(61)이 형성된 채광 프레임(60)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채광 프레임(60) 양측으로는 상기 유도턱(61)과 맞물려 결합되는 덮개석(20)(2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각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 후면에는 절곡부(40)에 위치된 고정석(70)이 결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A family charnel house}
본 고안은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 상측에 돋움석이 형성되고 후면 상측에 절곡부가 형성된 납골 프레임 상면으로 지지턱을 형성하고, 지지턱과 절곡부 사이에는 양측으로 유도턱이 형성된 채광 프레임 및 좌,우 덮개석을 형성하며, 채광 프레임 및 좌,우 덮개석의 상측으로는 고정석을 형성함으로써,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개폐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유도턱과 지지턱을 통해 유로가 형성되어 우천시 납골묘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 방수 및 방습 기능을 효율적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광창과 환기공을 통해 내실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식 장묘문화가 확산되어 있는 우리 나라에서도 국토면적에 비해 묘지의 점유율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납골식 장묘문화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인데, 시체를 화장하여 유골을 그릇에 담아 안치해 두는 납골식 장묘문화의 발달에 따라 납골묘의 구조도 다양화되고 있다.
보편적인 납골묘의 구조를 보면, 먼저 납골묘 전면으로 개폐문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는 유골이 안치된 다수개의 납골함을 다단 적층식으로 형성된 안치단에 보관하는 구조이며, 외부는 봉분형으로 형성되거나 일반 가옥으로 형성된 구조로 최근들어 더욱더 다양한 형상의 납골묘가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납골묘는 그 규모가 커서 묘지 점유율이 높고, 그로 인하여 설계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입구가 개폐문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침입자 등이 개폐문을 고정하는 잠금쇠를 파손한 후, 납골묘 내부의 납골함 등을 훼손하거나 고가의 납골함 등을 훔쳐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납골묘를 상부에서 개폐하는 특허등록 제10-2000-65293호 '납골묘 상판개폐방법과 그 개폐장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그 규모도 작고, 고중량의 덮개석을 통해 도난 등은 방지할 수는 있으나, 납골묘 내부에 납골함이 추가될 경우 그 개폐를 위해 별도의 유압잭이나 굴림쇠 등을 이용해야 하므로 그 작업과정이 매우 번거럽고 불편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313359호 '상부 개폐식 납골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 또한 그 규모도 작고, 슬라이딩식 덮개석 및 잠금장치를 통해 개폐를 용이케하고 도난도 방지할 수 있으나, 이는 잠금장치 부분이 금속으로 형성되어져 있어 부식으로 인해 그 기능을 상실할 우려가 있고, 슬라이딩을 위해 고정 덮개석과 이동 덮개석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지므로 우천시 빗물이 스며들어 납골묘 내부를 훼손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121076호 '납골묘'의 구조를 개량하여 방수방습 구조, 개폐 구조, 환기구조가 보다 개선된 납골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제 1 목적은 채광 프레임 양측으로 덮개석과 결합되는 유도턱을 형성하고, 돋움석과 지지턱 사이에는 이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좌,우측 덮개석과 채광 프레임 사이에 제 1 유로가 형성되고, 돋움석과 지지턱 사이에는 제 2 유로가 형성되어 우천시 납골묘로 떨어지는 빗물을 납골묘 외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있는 방수 및 방습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고; 제 2 목적은 덮개석 사이에 채광창을 형성하고, 안치 프레임 상단으로는 덮개부를 형성하며, 채광 프레임상에는 공기 유입구와 고정석의 환기공과 연결되는 유도구를 형성함으로써, 납골묘 내실에 지속적으로 햇빛이 공급되는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순환되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습기침투와 결로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채광 및 환기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며; 제 3 목적은 덮개석과 채광 프레임의 후면부에서 고정석을 결합함으로써, 납골묘의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그 개폐는 용이하게 하는 개폐 및 잠금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납골 프레임(10)의 상면에 입출구(11)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입출구(11)상에는 덮개석(20)(20')이 결합되어져 있는 통상의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에 있어서, 납골 프레임(10)의 입출구(11)를 기준으로 전면 상측에는 위패(1)가 장착된 돋움석(30)이 형성되어져 있고, 후면 상측으로는 절곡부(4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돋움석(30)과 소정간격 이격된 입출구(11)의 상단 일측으로는 지지턱(50)이 형성되어져 있되, 입출구(11) 상하에 병렬 형성된 상기 지지턱(50)과 절곡부(40) 사이에는 양측으로 유도턱(61)이 형성된 채광 프레임(60)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채광 프레임(60) 양측으로는 상기 유도턱(61)과 맞물려 결합되는 덮개석(20)(2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각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 후면에는 절곡부(40)에 위치된 고정석(70)이 결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덮개석(20)(20')의 전면은 라운딩되어져 있고, 후면 중심으로는 손잡이부(2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면에는 위패(1)가 요입되는 요입홈(24)이 형성되어져 있되, 저면 전,후측에는 삽입홈(23)이 형성되어져 있고, 일측에는 채광 프레임(60)의 유도턱(61)에 결합되는 결합턱(22)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채광 프레임(60)의 상면으로는 채광창(63)이 결합되는 걸림턱(64)이 형성되어져 있고, 저면 일측에는 삽입홈(6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후면에는 납골묘 내실(80)과 고정석(70)의 환기공(72)을 서로 연결하는 유도구(65)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고정석(70)은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이 요입 고정되도록 단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고정석(70) 상면으로는 비석(3)이 형성되어져 있고, 중심으로는 하향 경사진 환기공(72)이 형성되어져 있되, 상기 환기공(72)의 중심부측에는 환기공(72)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망 삽입부(73)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망 삽입부(73)에는 하측으로 방충망(74)이 형성된 방충부(75)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채광 프레임(60)이 결합되는 절곡부(40)의 상면 중심으로는 결속홈(41)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내실(80) 저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81)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공기 유입구(81)상에는 방충망(8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내실(80) 내부에는 납골함(2)이 안치되는 안치 프레임(83)이 형성되어져 있되, 상기 안치 프레임(83) 상단으로는 덮개부(84)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납골 프레임(10)의 전면에는 공기 유입구(81')가 형성된 향로석(9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덮개석과 채광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방수방습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채광환기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납골묘의 개폐잠금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덮개석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a 또는 8b는 본 고안에서 향로석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먼저 납골 프레임(10) 내부의 내실(80) 저면으로는 공기 유입구(81)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81) 상측으로는 납골함(2)이 삽입되는 안치 프레임(83)을 위치시키는데, 이때 안치 프레임(83) 상단으로는 반사유리로 형성된 덮개부(84)를 형성한다.
그리고 납골 프레임(10) 상면 중심으로 납골함(2) 등을 관리하기 위한 입출구(11)를 형성하고, 전면 상측으로는 위패(1)가 장착된 돋움석(30)을 형성하며, 후면 상측으로는 절곡부(40)를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절곡부(40)의 상면 중심부 즉, 채광 프레임(60)이 위치되는 곳에 결속홈(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입출구(11) 상단 일측 즉, 돋움석(30)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지지턱(50)을 형성하는데, 상기 지지턱(50)은 입출구(11)를 사이에 두고 절곡부(40)와 병렬 형성시킨다.
상기 지지턱(50)과 절곡부(40) 상면 사이에는 채광창(63)이 장착된 채광 프레임(60)과 위패(1)가 장착된 덮개석(20)(20')을 결합하는데, 이때 채광 프레임(60)은 절곡부(40) 중심의 결속홈(41) 상단으로 위치시키고, 채광 프레임(60) 양측으로 덮개석(20)(20')을 각각 위치시킨다.
이때 채광 프레임(60)과 덮개석(20)(20')의 저면 전,후측에 형성된 삽입홈(23)(62)을 지지턱(50)과 절곡부(40) 상면에 결합하고, 채광 프레임(60)의 양측에 형성된 유도턱(61)에는 덮개석(20)(20') 일측에 형성된 결합턱(22)을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채광 프레임(60)과 덮개석(20)(20') 후면부 즉, 절곡부(40) 상단으로는 고정석(70)을 결합하는데, 이때 고정석(70)은 단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어 절곡된 부분이 채광 프레임(60)과 덮개석(20)(20') 끝단에 삽입되어 덮개석(20)(20')을 개방되지 않게 고정하게 되고, 덮개석(20)(20')상에 형성된 환기공(72)은 채광 프레임(60)에 형성된 유도구(65)와 연통되어 납골묘 내실(80)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환기공(72)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져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환기공(72)의 중심부에는 환기공(72)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망 삽입부(73)를 형성한 후, 상기 망 삽입부(73)에 방충망(74)이 형성된 방충부(75)를 삽입함으로써, 환기공(72)측에서 벌레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납골묘는 경사면을 가진 곳이나 평지 등에 설치될 수 있는데, 평지일 경우 경사면을 가지도록 턱을 형성한 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방수 및 방습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우천시 비가 납골묘 내실(80)로 유입될 수 있는 경로는 내실(80)을 개방하는 좌,우측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 사이인데, 본 고안에서는 이 부분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채광 프레임(60)과 덮개석(20)(20')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채광 프레임(60) 양측에는 유도턱(61)을 형성하며, 돋움석(30)과 지지턱(50) 사이에는 이격공간을 형성하였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 사이에는 제 1 유로(A)가 형성되고, 돋움석(30)과 지지턱(5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제 2 유로(B)가 형성된다.
따라서 좌,우측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면, "V"자로 형성된 경사 유도턱(61) 즉, 제 1 유로(A)를 타고 흘러 돋움석(30)측으로 내려간 후, 돋움석(30)과 지지턱(50) 사이의 제 2 유로(B)를 통해 납골묘 양측으로 배출되는데, 이와 같이 제 1,2 유로(A)(B)를 통해 수분의 배출로 납골묘 내실(80)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납골묘의 채광 및 환기구조에 대해 살펴 보면,
먼저 덮개석(20)(20') 사이에 채광창(63)을 형성하고, 안치 프레임(83) 상단으로는 반사유리로 형성된 덮개부(84)를 형성하여 납골묘 내실(80)로 햇빛이 지속적으로 들어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광창(63)을 통해 들어온 햇빛은 다시 안치 프레임(83) 상단의 덮개부(84)를 통해 안치 프레임(83) 내부 전체로 빛이 들어올 수 있어 채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묘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 또는 향로석(90)을 형성할 경우에는 향로석(90)상에 공기 유입구(81')을 형성한 후, 납골묘 내실(80) 저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81)와 연결하기 위해 땅속에 공기 유입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때 내실(80)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81)상과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고정석(70)의 환기공(72)상에는 벌레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82)(74)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기 유입로를 따라 납골묘 내실(80) 저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낮은 곳에 위치한 공기가 높은 곳 즉, 채광 프레임(60)의 유도구(65)측으로 이동한 후, 상기 유도구(65)와 연통된 고정석(70)의 환기공(7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납골묘 내실(80)의 탁한 공기는 지속적으로 맑은 외부 공기로 대체되어 내실(80)에 습기나 탁한 공기 등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채광창(63)과 덮개부(84)를 통해 내실(80)에 지속적인 햇빛을 공급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납골묘의 개폐구조 및 잠금구조에 대해 살펴 보면,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묘 내실(80)을 개방하는 좌,우측 덮개석(20)(20')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석(70)을 단면 "ㄱ"자 형상으로 형성시킨 후, 상기 고정석(70)의 절곡부분을 좌,우측 덮개석(20)(20') 및 채광 프레임(60)의 끝단에 삽입 고정시켰다.
따라서 덮개석(20)(20')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고정석(70)을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에서 분리한 후, 덮개석(20)(20')에 형성된 손잡이부(21)를 잡고 개방하면 되는데, 이때 납골묘 자체가 소형이므로 덮개석(20)(20')을 개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는 필요없으나, 용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덮개석(20)(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00)를 별도로 내실(80) 내부에 구비시켜 덮개석(20)(20')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턱(50)에 결합되는 덮개석(20)(20') 전면부가 라운딩되게 형성되어 덮개석(20)(20')의 회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석(70)의 기능 및 구조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은 납골묘의 개방이 힘드나, 그 구조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은 손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채광 프레임 양측으로 유도턱을 형성시킨 후, 덮개석을 결합하고, 돋움석과 지지턱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납골묘 상단으로 떨어지는 빗물 등이 제 1,2 유로를 통해 납골묘 외측으로 유출되어 납골묘 내실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환기공과 채광창을 통해 습기침투와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납골묘 내실을 쾌적한 환경으로 보전할 수 있다. 또한 고정석을 통해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덮개석은 2개로 분할 형성되어 개폐가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덮개석과 채광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방수방습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채광환기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납골묘의 개폐잠금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덮개석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a 또는 8b는 본 고안에서 향로석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납골 프레임 11: 입출구 20,20': 덮개석
21: 손잡이부 22: 결합턱 23: 삽입홈
24: 요입홈 30: 돋움석 40: 절곡부
41: 결속홈 50: 지지턱 60: 채광 프레임
61: 유도턱 62: 삽입홈 63: 채광창
64: 걸림턱 65: 유도구 70: 고정석
72: 환기공 73: 망 삽입부 74: 방충망
75: 방충부 80: 내실 81,81': 공기 유입구
82: 방충망 83: 안치 프레임 84: 덮개부
90: 향로석

Claims (7)

  1. 납골 프레임(10)의 상면에 입출구(11)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입출구(11)상에는 덮개석(20)(20')이 결합되어져 있는 통상의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에 있어서, 납골 프레임(10)의 입출구(11)를 기준으로 전면 상측에는 위패(1)가 장착된 돋움석(30)이 형성되어져 있고, 후면 상측으로는 절곡부(4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돋움석(30)과 소정간격 이격된 입출구(11)의 상단 일측으로는 지지턱(50)이 형성되어져 있되, 입출구(11) 상하에 병렬 형성된 상기 지지턱(50)과 절곡부(40) 사이에는 양측으로 유도턱(61)이 형성된 채광 프레임(60)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채광 프레임(60) 양측으로는 상기 유도턱(61)과 맞물려 결합되는 덮개석(20)(2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각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 후면에는 절곡부(40)에 위치된 고정석(70)이 결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2. 제 1항에 있어서, 덮개석(20)(20')의 전면은 라운딩되어져 있고, 후면 중심으로는 손잡이부(2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면에는 위패(1)가 요입되는 요입홈(24)이 형성되어져 있되, 저면 전,후측에는 삽입홈(23)이 형성되어져 있고, 일측에는 채광 프레임(60)의 유도턱(61)에 결합되는 결합턱(22)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3. 제 1항에 있어서, 채광 프레임(60)의 상면으로는 채광창(63)이 결합되는 걸림턱(64)이 형성되어져 있고, 저면 일측에는 삽입홈(6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후면에는 납골묘 내실(80)과 고정석(70)의 환기공(72)을 서로 연결하는 유도구(65)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4.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석(70)은 덮개석(20)(20')과 채광 프레임(60)이 요입 고정되도록 단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고정석(70) 상면으로는 비석(3)이 형성되어져 있고, 중심으로는 하향 경사진 환기공(72)이 형성되어져 있되, 상기 환기공(72)의 중심부측에는 환기공(72)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망 삽입부(73)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망 삽입부(73)에는 하측으로 방충망(74)이 형성된 방충부(75)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5. 제 1항에 있어서, 채광 프레임(60)이 결합되는 절곡부(40)의 상면 중심으로는 결속홈(41)이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6. 제 1항에 있어서, 내실(80) 저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81)가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공기 유입구(81)상에는 방충망(8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내실(80) 내부에는 납골함(2)이 안치되는 안치 프레임(83)이 형성되어져 있되, 상기 안치 프레임(83) 상단으로는 덮개부(84)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7. 제 1항에 있어서, 납골 프레임(10)의 전면에는 공기 유입구(81')가 형성된 향로석(90)을 형성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KR20-2005-0000826U 2005-01-11 2005-01-11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KR200381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826U KR200381546Y1 (ko) 2005-01-11 2005-01-11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826U KR200381546Y1 (ko) 2005-01-11 2005-01-11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653A Division KR100636573B1 (ko) 2005-01-11 2005-01-11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546Y1 true KR200381546Y1 (ko) 2005-04-14

Family

ID=4368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826U KR200381546Y1 (ko) 2005-01-11 2005-01-11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222B1 (ko) * 2013-03-14 2014-03-13 금광개발 주식회사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222B1 (ko) * 2013-03-14 2014-03-13 금광개발 주식회사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WO2014142573A1 (ko) * 2013-03-14 2014-09-18 금광개발 주식회사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 위패 보관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1546Y1 (ko)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KR100636573B1 (ko)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JP5324624B2 (ja) 墓石の外柵における燈明台装置
KR101668292B1 (ko) 다용도실 일체형 텐트
KR200402718Y1 (ko) 측면 채광창이 구비된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KR200422518Y1 (ko) 납골묘 환기장치
CN217129084U (zh) 一种移动式方舱
KR200304427Y1 (ko) 납골묘의 은폐형 통풍장치
KR200383875Y1 (ko) 납골묘
JP2815335B2 (ja) 墓用基礎台
KR200343277Y1 (ko) 조립식 하우스
JP3194023U (ja) 墓の納骨室の換気構造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KR200347945Y1 (ko) 납골묘 잠금장치
KR100531601B1 (ko) 납골묘
KR200201553Y1 (ko)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0210605Y1 (ko) 납골묘
KR200243313Y1 (ko) 납골묘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KR200331939Y1 (ko) 납골묘
JP3040106U (ja) 舞台型墓石
KR200304479Y1 (ko) 대형 납골묘
JP3068261U (ja) 地下納骨堂室換気孔
JP2013019108A (ja) 合祀霊廟
KR200350395Y1 (ko) 습기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