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222B1 -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 Google Patents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222B1
KR101374222B1 KR1020130027186A KR20130027186A KR101374222B1 KR 101374222 B1 KR101374222 B1 KR 101374222B1 KR 1020130027186 A KR1020130027186 A KR 1020130027186A KR 20130027186 A KR20130027186 A KR 20130027186A KR 101374222 B1 KR101374222 B1 KR 10137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que
storage
family
natural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주
Original Assignee
금광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광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광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JP2015561281A priority patent/JP2016512448A/ja
Priority to PCT/KR2014/002114 priority patent/WO2014142573A1/ko
Priority to CN201480009925.0A priority patent/CN105143577A/zh
Publication of KR10137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Abstract

본원은 자연장에서 사용되는 위패 보관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이생을 달리하여 장례를 수행할 때 화장한 유골을 야외에 마련된 가족단위 가계(家系) 자연장(自然葬)에 자연 산포하거나 또는 나무 밑에 산포하는 수목장(壽木葬) 방식으로 장례예식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거나 또는 기존의 공원묘지 납골당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위패 보관소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가족단위로 자연장 형태로 장례절차를 행하도록 제공되는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가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모시도록 제공되는 위패가 지주에 걸리는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위패판을 갖는 구조를 이루고,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 상부로 태양광 발전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태양발전장치를 가지며,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의 하부나 위패 보관소의 일측부에는 고인의 이력이나 삶의 기록이 저장되는 기록보관실을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The archives of ancestral tablets for pedigree}
본원 발명은 자연장에서 사용되는 위패 보관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이생을 달리하여 장례를 수행할 때 화장한 유골을 야외에 마련된 가족단위 가계(家系) 자연장(自然葬)에 자연 산포하거나 또는 나무 밑에 산포하는 수목장(壽木葬) 방식으로 장례예식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거나 또는 기존의 공원묘지 납골당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가계 자연장 위패 보관소은 부모(1대)-자녀(2대)-손주(3대)-증손(4대) 5대, 6대.....단위로 가계(家系)에 따라 위패를 모시도록 제공되는 위패 보관소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올라간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서 지붕역할을 하면서 또한 태양광을 받아 태양발전을 이루는 태양광 집전판과, 상기 지주의 저부나 또는 특정 위치에 고인의 유품이나 이력 또는 삶의 기록이 담긴 내용물들을 저장하는 타임캡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태의 위패 보관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례방법으로는 고인의 유해를 화장하지 않고 안치하여 분묘(墳墓)를 쓰거나, 화장하여 그 유골을 용기그릇이나 납골당에 모시는 납골(納骨)묘 또는 화장하여 그 유골을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산골(散骨) 등이 시행되고 있다.
종래의 우리나라 장묘문화는 분묘문화가 지배적이었으나, 협소한 국토면적과 장례의식 변화 등에 의해 근래에는 화장 후에 납골하거나 또는 산골하는 장례방식이 많이 애용/확산되고 있다.
본원에서 적용되는 자연장(自然葬)은 화장하여 그 유골을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수단이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유골 보관소에 담아 식물 주변에 묻어주거나 또는 유골 보관소에 담지 않고 일정 깊이로 흙을 파고 그 상부에 유골을 뿌려주고 다시 흙과 식물을 심는 방법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수목장(樹木葬)이라 하여 그 유골(뼈가루)를 나무 밑이나 주변에 뿌려주는 장례방법으로, 최근에 자연을 오염시키지 않고 나무에도 유익한 환경 친화적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지수화품(地水火風)으로 돌아간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장례문화 적용에서도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자연장(自然葬) 형태가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장례문화는 예를 들어 공원묘지 등을 3~5평 분양받아 부모님(1대)만을 모시는 방법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약간 여유가 있는 가정에서는 약 8~10 여평 정도를 분양받아 부모(1대)-자녀(2대)까지 함께 모시도록 적용되어 왔으나,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족단위 가계(家系) 자연장(自然葬)은 부모(1대)-자녀(2대)-손자(3대)-증손(4대) 단위로 가계(家系)를 이어가는 모든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함께 공유하도록 예를 들면 위패를 모시는 지주(支柱)에 나뭇잎 형상의 위패를 만들어 제일 하단에 부모(1대) 위패 다음 단계에 2대 위패, 다음 단계에 3대 위패 등으로 가계(家系)에 따라 순서적으로 위패를 모시도록 제공되는 지주와, 지주 상부에는 태양광 발전 집광판이 설치되어 발전시스템을 이루고 지주의 저부 또는 상부 또는 원하는 특정위치에는 고인의 유품이나 이력이나 삶의 기록이 담긴 타임캡슐 등이 보관되는 고인유품보관실이 마련되는 구성의 가계(家系) 자연장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현재 태양전지를 이용한 집광판 발전시스템은 약 2000평의 지붕을 태양전지 집광판으로 설치하는 경우 약 25~30억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견적되고 상기 면적에태양전지 집광판을 설치하여 전력을 얻을 경우 약 5억원/년으로 산출되어 약 5~7년 후에는 투자비가 회수되는 것으로 산출되고 있으나, 금후로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시스템의 설치단가는 점차 낮아질 것으로 평가됨으로 본원에서 태양전지 발전 집광판을 지붕에 설치되어 발전시스템을 이루고 지주의 저부 또는 특정부위에는 고인의 유품이나 이력이나 삶의 기록이 담긴 타임캡슐 등이 보관되는 고인유품보관실이 마련되는 구성의 가계(家系) 자연장은 미래 지향적으로 더욱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더욱이 조상을 모신 땅이라 하여 언제까지 그냥 낭비되는 유휴공간으로 버려두지 않고 평상시에는 전력생산시설로 유익하게 활용하면서 채소 등의 농산물을 얻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은 좁은 국토면적을 감안하고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분묘(墳墓)의 장지나 화장한 후 그 유골을 용기그릇에 담아서 보관하는 납골공원 등도 결국 장지면적의 증가를 가져오는 문제점을 감안하고, 또한 후손 상호 간에 한 뿌리로부터 출발하였음을 확인하고 화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가족단위로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가계(家系) 자연장(自然葬)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가족단위 가계(家系) 자연장(自然葬)으로 윗 조상 부모(1대)-자녀(2대)-손자(3대)-증손(4대)... 등으로 계속되는 가계(家系)에 따라 위패만을 연속적으로 추가함으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가계(家系)에 따라 분류되는 위패를 모시는 지주와, 지주 상부에는 태양전지 발전 집광판이 설치되어 발전시스템을 이루고 지주의 저부나 특정부위에는 고인의 유품이나 이력이나 삶의 기록이 담긴 타임캡슐 등이 보관되는 고인유품보관실이 마련되는 구성의 가계(家系) 자연장에 적용되는 위패 보관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실시되는 형태의 가계(家系) 자연장은 예를 들면 공원묘지 등에 가족단위 가계(家系) 자연장이 실시되도록 5평, 8평, 10평, 15평, 20평 등으로 분양되어 각각의 가계(家系) 자연장에 일측으로는 살아천년 죽어천년간다는 주목이 심겨져 영구불멸을 상징하도록 제공되고, 일측으로는 자연장이 실시될 수 있는 초원 또는 꽃밭, 채소밭 등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위패 보관소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가계(家系) 자연장의 일측에 설치되는 위패 보관소에 특징을 갖는 것으로,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위패 보관소는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모시도록 제공되는 위패가 걸리는 지주 또는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위패판을 갖고,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 상부로 태양광 발전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태양발전장치를 가지며,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의 하부나 위패 보관소의 일측부에는 고인의 이력이나 삶의 기록이 저장되는 기록보관실을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위패보관소에서 상기 지주는 종(縱) 또는 횡(橫)으로 제공되고 지주에 가계(家系) 에 따라 직접 위패가 순차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지주에 지주걸이부가 걸린 후 지주걸이부에 가계(家系)의 구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위패가 모셔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위패보관소에서는 상기의 지주에 의한 위패걸림부를 형성하는 대신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윗 부모(1대)-자녀(2대)-손자(3대)-증손(4대)... 순으로 배열되는 위패판으로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위패보관소에서는 태양광 발전을 이루기 위한 집광판의 기울어진 쪽 하단부에는 빗물받이가 설치되고 가계 자연장의 일측부에 우수집수정이 설치되어 빗물을 재활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가족단위로 자연장 형태로 장례절차가 수행되고 관리하기 위한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의 이용방법으로,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모시도록 제공되는 위패가 걸리는 지주 또는 위패판이 마련되고,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 상부로는 태양광 발전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태양발전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의 하부나 위패 보관소의 일측부에 고인의 이력이나 삶의 기록이 저장되는 기록보관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위패 보관소가 제공되고, 상기 위패 보관소의 지붕 역활을 하는 태양발전장치는 태양빛을 조사받는 집광판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집광판을 통해 조사된 태양빛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축전기에 내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위패보관소 내부나 위패나 위패판에 전등을 달아 불을 밝힐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본원에서는 위패 보관소에 설치되는 태양발전장치를 통해서 얻은 전기를 이용하여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기가 추가되는 구성을 이루되, 상기 미디어 재생기는 제어부와, 음향데이터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외부에서 출력할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메모리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빼낼 수 있는 통신포트로 구성되어, 위패 보관소에서 고인의 생전 영상을 보거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도 포함한다.
본원의 위패 보관소 내부에서 위패는 종(縱) 또는 횡(橫)으로 제공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종(縱) 형태의 지주에 위패가 걸리는 구성은 지주의 일정 높이마다 위패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는 가지 형태로 제공되는 위패걸이부가 다수 개 형성되도록 하여 지주와 위패걸이부가 마치 가지가 나무에 연결된 형상처럼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위패걸이부에 걸리는 위패도 알루미늄, 동, 금, 은, 스텐 등의 불연재 금속판에 고인의 이름과 생년월일 및 사망일이 기재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아크릴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고인의 이름과 생년월일 및 사망일이 기재되고 외면으로 방수 코팅된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위패나 위패판의 상단에는 미등(미세전구)이 설치되어 항상(영구히) 위패를 밝혀주도록 제공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위패가 꽃잎 형상 등으로 제일 하단에 1대, 그 상부단계에 2대, 3대, 4대 등으로 연차적으로 배열됨으로 한 뿌리에서 출발된 가족임을 밝히며 사후에도 연대감을 높이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향후 후손들이 찾아와서 고인을 기억하고 추모하고자 할 때 고인의 유언이나 교훈을 새롭게 되새기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지주나 지주의 일측부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영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조작부 및 음향/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면서 선택된 음향/영상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마련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운영시스템을 이루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본원의 위패보관소 지붕에 설치된 태양전지 집광판에서 얻은 전력이 충전부에 모아져서 자연장 공원을 이루는 공공시설에 전원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잉여전력을 한전 등에 납품하도록 적용되고, 후손들이 가족 자연장에 찾아 왔을 때는 충전부에 모아진 전력을 이용하여 음향/영상출력부의 내용물을 후손들이 다시 보거나 들으면서 고인의 유언이나 교훈을 새롭게 되새기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가족단위로 설치되는 가계(家系) 자연장에서 생산되는 하나의 전력은 비록 적은 양이라 하더라도 예를 들면 공원묘지 같이 수 많은 가족단위 가계(家系) 자연장이 5평, 8평, 10평, 15평, 20평 등으로 분양되어 각각의 가계(家系) 자연장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모아지는 전력은 큰 에너지가 되므로 자연장 공원 자체의 공공시설에 전원으로 충족할 수 있고 또한 잉여전력은 한전 등에 납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계(家系) 자연장은 장례공원으로 유휴지로 끝나지 않고 전력을 생산하는 생산시설로 활용되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관리인을 채용하여 월급을 지불하여 항상 깨끗하고 정결한 상태로 가계(家系) 자연장의 관리를 맡길 수 있으며, 찾아 온 후손들은 께끗히 정돈된 공원관리에 안도하며 가족 자연장 공원에 비축된 전력과 음향/영상 출력부의 내용물로부터 다시 고인의 유언이나 교훈을 새롭게 듣고 보면서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가계(家系) 자연장을 이루고, 가계(家系) 자연장 위치에 위패보관소가 설치되기 위한 공원용지가 다양한 평형별로 제공되는 적용예시도.
도 2a :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계 자연장에 설치되는 위패 보관소 예시도.
도 2b : 도 2a의 위패 보관소에 설치되는 지주예시도
도 2c : 도 2b의 지주에 설치되는 위패예시도
도 3 : 본원에서 제공되는 위패 보관소의 지붕인 태양광 발전장치 예시도
도 4 : 본원의 위패 보관소에 설치되는 미디어기록물 예시도.
도 5 : 본원의 위패 보관소에서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적용예시도.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가계(家系) 자연장은 예를 들면 공원묘지 등에 가족단위 가계(家系) 자연장이 실시되도록 5평, 8평, 10평, 15평, 20평 등으로 분양되어 각각의 가계(家系) 자연장에 일측으로는 주목나무 등이 심겨지고, 일측으로는 자연장이 실시될 수 있는 초원 또는 꽃밭 등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위패 보관소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족단위 가계 자연장에 설치되는 위패 보관소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종이나 횡으로 일정거리에 가계(家系)에따라 설치되는 위패가 마련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는 일정한 기울기를 가진 태양발전장치가 지붕기능을 겸하도록 설치되어 전기를 생산하여 얻고, 상기 위패 보관소의 하부나 또는 특정장소에는 고인의 유품이나 이력이 담긴 기록보관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사상은 다양한 실시양태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본원에서는 가족단위 가계 자연장을 이루기 위한 위패 보관소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하여 실시 예를 겸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가계(家系) 자연장 환경을 이루고, 가계(家系) 자연장 위치에 위패보관소가 설치되기 위한 공원용지가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평형별로 제공되는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장례공원 용지로 가족 단위별로 가계(家系) 자연장이 실시될 수 있도록 진입도로 및 공용주차장과 연하여 5평, 7평, 10평, 15평, 20평 등으로 분양되어 각각의 가족 단위별로 분양받은 면적 내부에서 가계(家系) 자연장이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단위 가계(家系) 자연장은 예를 들어 10평을 분양받은 경우 일측으로는 주목나무 등이 심겨지고, 일측으로는 자연장이 실시될 수 있는 초원 또는 꽃밭 등이 형성되어 3~4평이 제공될 수 있으며, 나머지 3~4평의 공간에 도 2에 제시되는 위패 보관소(1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에서 제공하는 가족단위 가계 자연장 위패 보관소의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2a는 본원에서 제공하는 가족단위 가계 자연장 위패 보관소(100)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바닥부(10)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20)와, 상기 지주를 중심으로 그 외곽으로 프레임을 형성하는 4개의 기둥(30)들과, 상기 4개의 기둥(30) 상단부에 태양 빛을 조사받아 발전하는 태양발전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10)의 하부로는 고인의 유품을 보관, 저장하는 기록보관실(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의 위패 보관소(100)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지주(20)에 형성된 지주구멍(21)에 다수 개의 위패걸이부(22a, 22b, 22c)가 꽂혀진 형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2c는 상기의 위패걸이부에 가계(家系) 에 따라 위패(50a,50b,50c)가 걸린 형태의 위패 보관소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 제시되는 위패보관소(100)에서 중심부에 마련되는 지주(20)는 일정 높이마다 다수개의 지주구멍(21)이 뚫려지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지주(20)는 가족이 번족한 경우에는 종(縱) 지주가 다수개로 제공되거나 또는 횡(橫)으로 제공되고 지주(20)의 지주구멍(21)에는 가계(家系) 에 따라 직접 나뭇잎 형상의 위패(50)가 순차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지주구멍(21)에 직접 위패가 걸리지 않고 중간매개체로 지주걸이부(22a,22b,22c)가 걸린 후 각각의 지주걸이부(22)에 가계(家系)의 구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위패(50a,50b,50c)가 모셔지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바닥부(10)와 태양발전장치(40)의 외곽으로 4개의 기둥(30)이 지주와 평행하게 세워지는 구성을 이루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둥 사이에는 유리판이나 아크릴판 등이 칸막이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로 비나 눈, 바람 등이 들어오지 않고 가족들이 모여 식사하는 공간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주(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태양발전장치(40)은 일측방향, 바람직하게는 태양빛을 가장 많이 조사받을 수 있도록 남쪽을 향해 일측으로 기울어진 지붕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태양빛을 받아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적용된다.
상기 지주(2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기록보관실(60)은 지표면(G.L선)과 연하는 바닥부(10) 저부 땅속에 묻히는 부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인의 유품이나 삶의 기록, 이력 등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습기와 먼지를 차단하고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밀폐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기록보관실의 일측에는 기록보관실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61)가 설치되는데 도 2a에서는 전면으로 도어(61)가 땅속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표면(G.L선)에서 열수 있는 위치에 설치됨은 당연하고 도어(61)가 바닥부(10)에서 열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지주(20)에 형성된 지주구멍(21)에 다수 개의 위패걸이부(22a, 22b, 22c)가 꽂혀진 형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2c는 상기의 위패걸이부에 가계(家系) 에 따라 위패(50a,50b,50c)가 걸린 형태의 위패 보관소의 적용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부모(父母)는 지면과 가장 가까운 낮은 높이에 꽂힌 위패걸이부(22a)에 위패(50a)를 걸도록 하고, 그 바로 위쪽의 위패걸이부(22b)에는 그 부모의 자녀의 위패(50b)를 걸도록 하며, 그 위쪽의 위패걸이부(22c)에는 손주의 위패(50c)을 걸도록 하면 위패보관소를 찾아온 후손들은 자신들의 가계를 본원에서 제공하는 가계 자연장 위패 보관소를 통해 쉽게 그 뿌리를 파악하고 알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위패보관소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에서는 위패보관소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지주(20)에 지주구멍(21)이 형성되고 지주구멍(21)에 위패걸이부(22)가 꽂혀진 형태를 예시한 것에 비하여 도 3에서는 위패보관소의 기둥(30)과 또 다른 기둥 또는 기둥(30)과 지주(20) 사이에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윗 부모(1대)-자녀(2대)-손자(3대)-증손(4대)... 순으로 배열된 형태의 위패판(51)이 걸린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위패판(51)이 전광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며, 또한 도 2에서는 위패보관소 하부에 단순히 도어(61)를 갖는 기록보관실(60)로 제공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 3에서는 위패보관소의 하부가 도 2의 단순한 기록보관실(60) 대신 산불화재나 재해예방을 위해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제품이나 방염기능을 갖는 내화플라스틱 제품으로 제공되는 기록보관실(60')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제시되는 기록보관실(60')은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제공되는 벽면(62)을 갖고 그 내부에는 미디어장치나 다른 유물보관함과 타임캡슐 등이 내장되는 구획부를 가지며 상부 중앙부에는 출입구(64)가 마련되고 출입구(64)에는 뚜껑(11)을 갖고 프리캐스트 제품의 상부 외연으로는 위패보관소(100)의 기둥(30)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조인트부(63)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제공되고, 현장에 운반되어 땅을 파고 프리캐스트 제품을 먼저 안치시키고 그 상부에 위패보관소의 기둥(30)과 나사결합시키는 조립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에서 지붕 역활을 하도록 태양발전장치을 이용하여 태양발전을 이루는 위패보관소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태양발전장치(40)은 태양빛을 조사받은 집광판(41)과 상기 집광판(41)으로 조사된 태양열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기(42)와,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는 전선1(43)을 통하여 축전기(44)로 보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축전기(44)에 저장된 전기는 별도로 마련된 전선2(45)을 통해 지주(20)나 기둥(30)을 따라 아래로 보낼 수 있도록 배선되고 일 측부 공간에 미디어 재생기(70)가 보관되거나 또는 족보 등이 보관되는 보관함이 구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마련된 전력을 이용하여 위패 보관소 내부의 전등을 밝히거나, 남겨진 잉여전력은 한국전력 등에 납품하도록 하며, 후손들이 찾아왔을 경우에는 마련된 전력을 이용하여 후손들이 전기를 사용하거나 미디어 재생기를 통해 고인의 영상이나 음성을 보거나 들으면서 고인의 유언이나 교훈을 새롭게 되새기도록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미디어 재생기가 구성된 위패보관소를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미디어 재생기(70)는 태양발전장치(40)의 집열판(41)을 통해 발전한 전기를 모아둔 축전기(44)에서 마련된 전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재생기 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71),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2),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73),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4), 출력할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돕는 조작부(75),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반대로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빼낼 수 있도록 마련된 통신포트(76)를 갖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75)는 키입력, 마우스 입력,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포트(76)는 USB포트나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통신포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는 본원의 위패 보관소 지붕에 쏟아지는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해 빗물받이와 우수집수정이 추가로 구성된 위패보관소를 예시한 것으로, 태양발전장치(40)인 집광판(41)의 경사면 하단부에 일측으로 우수가 흘러가도록 빗물받이(61)가 설치되고, 상기 빗물받이(61)에서 흘러나오는 우수를 안내하는 유도통(63)을 통하여 빗물을 저장하는 우수집수정(62)이 별도록 마련되어 제공됨으로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빗물받이(61)는 상기 집광판의 기울어진 쪽에 설치되며, 집광판의 기울어진 경사를 통해 내려오는 우수를 받아 상기 빗물받이의 일측으로 흘려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우수집수정(62)에 저장된 우수는 후손들이 왔을 때 사용하도록 마련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가족단위 가계(家系) 자연장에서 지붕을 받쳐주는 지주는 가계(家系) 자연장의 규모나 또는 태양전지 발전을 위한 집광판의 설치 규격에 따라 예를 들면 표면부식이 없는 스텐리스 스틸재 금속 등으로 쉽게 녹슬지 않는 재질로 1~4개 범위의 수직축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수직축은 경사지지축 등으로 보조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위패는 예를 들면 금속판이나 아크릴판이나 나뭇잎 형상으로 가공된 위패가 나무 형태와 같이 지주에 꽂히거나 걸려지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인원이 많은 경우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가계(家系)에 따라 얼마든지 선호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가공된 위패가 목재형태로서 지주에 꽂히거나 걸려지는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 각 가계(家系)별로 형제의 구성인원수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지주에는 위패걸이부가 꽂힐 수 있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하고, 가계(家系)형편에 맞춰서 상기 위패걸이부의 배치를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0 : 위패 보관소 바닥면 11 : 유물보관함 출입구
20 : 지주 21 : 지주구멍
22 : 지주걸이부 30 : 기둥
40 : 태양발전장치 41 : 집광판
42 : 발전기 44 : 축전기
50 : 위패 51 : 위패판
60 : 기록보관소 61 : 출입구
70 : 미디어 재생기 71 : 제어부
72 : 메모리부 73 : 음향출력부
74 : 디스플레이부 75 : 조작부
76 : 통신포트 81 : 빗물받이 82 : 우수집수정 83 : 우수배관
100 : 위패보관소

Claims (6)

  1. 가족단위로 자연장 형태로 장례절차를 행하도록 제공되는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에 있어서,
    상기 위패 보관소(100)는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모시도록 제공되는 위패(50)가 걸리는 지주(20) 또는 위패판(51)을 갖고,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 상부로 태양광 발전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태양발전장치(40)를 가지며, 상기 지주(20) 또는 위패판(51)의 하부나 위패 보관소의 일측부에는 고인의 이력이나 삶의 기록이 저장되는 기록보관실(60)을 갖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0)는 종(縱) 또는 횡(橫)으로 제공되고 지주(20)에 가계(家系) 에 따라 직접 위패(50)가 순차적으로 걸리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지주(20)에 지주걸이부(22)가 걸린 후 지주걸이부(22)에 가계(家系)의 구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위패(50)가 모셔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패판(51)은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윗 부모(1대)-자녀(2대)-손자(3대)-증손(4대)... 순으로 배열되는 위패판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을 이루기 위한 집광판(40)의 기울어진 쪽 하단부에는 빗물받이(81)가 설치되고 가계 자연장의 일측부에 우수집수정(82)이 설치되어 빗물을 재활용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
  5. 가족단위로 자연장 형태로 장례절차가 수행되고 관리하기 위한 가계(家系) 자연장 위패 보관소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가계(家系)에 따라 순차적으로 모시도록 제공되는 위패가 걸리는 지주(20) 또는 위패판(51)을 갖고,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 상부로 태양광 발전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태양발전장치(40)와, 상기 지주 또는 위패판의 하부나 위패 보관소의 일측부에 고인의 이력이나 삶의 기록이 저장되는 기록보관실(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위패 보관소가 이루어지고,
    상기 위패 보관소의 지붕 역활을 하는 태양발전장치(40)는 태양빛을 조사받는 집광판(41)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집광판을 통해 조사된 태양빛을 이용하여 발전하고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기(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축전기(44)에 내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위패보관소 내부나 위패(50)나 위패판(51)에 전등을 달아 불을 밝힐 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 보관소의 이용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발전장치(40)를 통해서 얻은 전기를 이용하여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미디어 재생기(70)가 추가되는 구성을 이루되, 상기 미디어 재생기(70)는 제어부(71)와, 음향데이터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2)와, 음향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73)와,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4)와, 외부에서 출력할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75)와, 메모리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빼낼 수 있는 통신포트(76)로 구성되어, 위패 보관소에서 고인의 생전 영상을 보거나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패 보관소의 이용방법.
KR1020130027186A 2013-03-14 2013-03-14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KR10137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86A KR101374222B1 (ko) 2013-03-14 2013-03-14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JP2015561281A JP2016512448A (ja) 2013-03-14 2014-03-13 家族単位に提供される家系位牌保管所
PCT/KR2014/002114 WO2014142573A1 (ko) 2013-03-14 2014-03-13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 위패 보관소
CN201480009925.0A CN105143577A (zh) 2013-03-14 2014-03-13 按家族单位提供的家系牌位保管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86A KR101374222B1 (ko) 2013-03-14 2013-03-14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222B1 true KR101374222B1 (ko) 2014-03-13

Family

ID=5064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186A KR101374222B1 (ko) 2013-03-14 2013-03-14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512448A (ko)
KR (1) KR101374222B1 (ko)
CN (1) CN105143577A (ko)
WO (1) WO20141425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389B1 (ko) * 2015-04-20 2017-05-24 임성규 아크릴 표지판
WO2024044241A3 (en) * 2022-08-23 2024-04-04 Dean Hopkins Information preservation and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of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632B1 (ko) * 2018-01-10 2019-10-21 소의석 스마트 게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93U (ko) * 1999-04-22 2000-11-25 조석현 복합식 개량묘지 구조
KR200381546Y1 (ko) * 2005-01-11 2005-04-14 김경일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KR100796776B1 (ko) * 2006-08-04 2008-01-22 김대순 동영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묘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184U (ja) * 1993-02-02 1994-08-30 義夫 村山 骨粉容器を内蔵した位牌
CN1171480A (zh) * 1996-07-19 1998-01-28 王群 以植物为主体的无坟头陵园
CN2406007Y (zh) * 1999-12-30 2000-11-15 田奇 一种存放骨灰的装置
JP2001258411A (ja) * 2000-03-16 2001-09-25 Iida Sekizai Kk 墓地の花壇自動散水装置
CN1329204A (zh) * 2001-07-19 2002-01-02 翁长龙 楼阁式世纪家族祭奠堂
JP4761163B2 (ja) * 2007-03-14 2011-08-31 洋介 松本 合祀型単独墓標
JP5073711B2 (ja) * 2009-06-11 2012-11-14 須藤工業株式会社 納骨堂
CN201778532U (zh) * 2009-11-09 2011-03-30 瞿林 缩微楼式寝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93U (ko) * 1999-04-22 2000-11-25 조석현 복합식 개량묘지 구조
KR200381546Y1 (ko) * 2005-01-11 2005-04-14 김경일 방수방습구조를 가지는 상부 개폐식 가족 납골묘
KR100796776B1 (ko) * 2006-08-04 2008-01-22 김대순 동영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묘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389B1 (ko) * 2015-04-20 2017-05-24 임성규 아크릴 표지판
WO2024044241A3 (en) * 2022-08-23 2024-04-04 Dean Hopkins Information preservation and conveyance system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2573A1 (ko) 2014-09-18
JP2016512448A (ja) 2016-04-28
CN105143577A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222B1 (ko) 가족 단위로 제공되는 가계(家系) 위패 보관소
JP2019511658A (ja) 都市森林高層別荘
Casagrande Urban acupuncture
Nowak Urban agriculture on the rooftop
CN201232388Y (zh) 圃陵
CN107327205A (zh) 一种新颖的立体葬
Zhu et al. Study on architectural landscape cultural representation and ecological wisdom of Zengtou Qiang Village in Lixian County, Sichuan Province
CN207553728U (zh) 一种新颖的立体葬
CN205089035U (zh) 一种陵园八卦体结构洞宫
CN202153892U (zh) 一种太阳能植物种植装置
CN111535651A (zh) 一种绿色生态陵园
CN2853991Y (zh) 地下陵园
Stamper Landscapes of the Middle Ages: rural settlement and manors
Bian Research on the human settlement environment of post-disaster reconstruction villages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culture—a case study of Dong Village in Baojing
Vosloo Living walls and green facades: a case study of the UP Plant Sciences vegetated wall
Adhikari Incremental Housing: Design Approach for Kathmandu
CN205089036U (zh) 新型洞穴式智能陵园
CN206423277U (zh) 一种树木支撑装置
CN105064769A (zh) 一种洞穴式八卦体智能陵园结构设计
Nicolaides Garden of captives: creating a place for sanctuary
Von Geyso Barren Praise: An Apiary as a Placemaking Interface in the Post-Industrial Context
Hill et al. Subterranean settlements in Southern Tunisia: Environmental and cultural controls on morphology, community dynamics and sustainability
Schröpfer et al. RGB: Red, Blue, Green as a Model for Living Environments
Lim et 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ojinjeong Garden in Geochang
Lafontant Vertical greenery as a key element of sustainability in the urban land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