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348Y1 - 납골용 가족묘소 - Google Patents

납골용 가족묘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348Y1
KR200287348Y1 KR2020020015485U KR20020015485U KR200287348Y1 KR 200287348 Y1 KR200287348 Y1 KR 200287348Y1 KR 2020020015485 U KR2020020015485 U KR 2020020015485U KR 20020015485 U KR20020015485 U KR 20020015485U KR 200287348 Y1 KR200287348 Y1 KR 200287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mily
graveyard
ossuary
present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신복
Original Assignee
정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신복 filed Critical 정신복
Priority to KR2020020015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348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한 주검을 안치하는 묘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족의 납골을 공동으로 안치할 수 있는 납골용 가족묘소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평편한 바닥면(4)에 입설되며, 안착용 홈(411) 및 통기공(42)이 형성된 기초석(41); 상기 기초석(41)에 틈새를 두고 쪽마루 형태로 깔리는 석판(3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마루면(3); 다수의 선반(21)이 부착되고, 환풍구(22)가 천공되어 상기 바닥면(4)에 입설되는 측벽(2); 상기 측벽(2)의 상단을 밀폐하는 지붕(1);으로 되고, 상기 마루면(3)과 바닥면(4) 사이에는 숯(51)과 맥반석(52)이 섞여진 탈취제(5)가 장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납골용 묘소에서 가장 문제로 되는 습기 및 악취제거에 효과적이며, 핵가족이나 대가족이라도 그 규모에 적응하기 쉬운 구조를 제공하며, 특히 구조체를 조립식으로 규격화하기 쉽도록 하여 제작 및 설비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완성된 고안으로 편리하고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납골용 가족묘소{Family charnel}
본 고안은 화장한 주검을 안치하는 묘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족의 납골을 공동으로 안치할 수 있는 납골용 가족묘소에 관한 고안이다.
우리의 장례문화가 점점 선진화하면서, 국민의 의식도 좁은 국토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매장에서 화장으로 개화되고 있으며, 이렇게 화장을 한 후 안치되는 납골도 추후의 묘소 참배라던가 제사를 위해서는 가족간에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열망도 상승일로에 있다.
따라서, 현재 납골용 묘소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개발되고 있는데,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163343호의 '가족 납골당의 납골함 안치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되는 납골실에 납골함을 보관하며 정면에는 문에 형성되어 있는 납골당에 있어서, 납골당의 상부에 고정되어 납골당 내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붕과, 상기 지붕 위에 놓여지는 묘비와, 납골당의 문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문으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처마와, 문이 형성되어 있는 납골당의 정면에 형성되는 계단과 조형물을 제외한 납골당 외곽의 경계를 표시하는 울타리 경계석과, 납골당 내부의 납골실 양측면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측면석과, 상기 측면석의 상부에 놓여져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함 받침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납골당의 납골합 안치소"로 되어 있으며, 보다 진보된 것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0-61786호의 '납골당 및 그 시공방법'로서,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탈과 콘크리트로 다져진 기초 바닥(4)의 상부에 끼워맞춤으로 접합되어 그 내부로 스티로폴, 콘크리트, 고인석, 몰탈, 참나무 숯(5)이 적층되는 받침석(41); 상기 받침석(41)의 상부에 끼워맞춤으로 접합되는 다수개의 기둥석; 상기 받침석(41)과 기둥석에 끼워맞춤으로 접합되어 납골당의 전벽 및 양측벽을 형성하며 내·외벽(2)사이로 스티로폴이 내장되는 벽체석; 상기 받침석(41) 내로 배치된 고인석 위에 설치되는 바닥석(3); 상기 벽체석과 바닥석(3)에 끼워맞춤으로 접합되는 칸막이석; 상기 칸막이석의 양측에 지지석을 통해 층층으로 설치되어 납골함이 수납되는 안치실을 형성하는 함받침석(21); 상기 안치실을 다수개로 구획하여 각각 밀폐시키는 밀폐문; 상기 기둥석, 벽체석의 상부에 끼워맞춤으로 접합되어 그 내부로 천장석(11), 콘크리트가 적층되는 기둥받침석; 상기 기둥받침석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로는 스티로폴, 몰탈이 적층된 상태로 내장되는 탑형상의 지붕석(1); 상기 후방에 설치된 양측 기둥석 사이로 형성된 출입구를 밀폐시키는 출입문(23)을 포함하는 납골당"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납골용기를 안치하는 마루면(3)을 다단으로 하였다는 점을 제외하면, 의장적인 미감에 치우쳐서 실용적인 기술은 가미된 것이 없으며,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마루면(3)과 바닥면(4) 및 덮개(1)와 천정(11)사이에 숯(51)이나 모르타르 등을 장입하여 습기제거 및 보온등에 신경을 쓴 흔적은 보이나, 이렇게 좋은 재료를 단순히 장입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되는데, 예컨대, 숯(51)이라는 재료는 습기 및 악취의 제거를 위해 훌륭한 재료이지만, 단순히 소요 개소에 장입만 해 놓아두면 곧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됨으로 그 가지고 있는 효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환기/통풍시설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전체적인 구조도 이를 뒷받침하도록 되어야 하는 점에서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 특히 납골용 묘소에서 가장 문제로 되는 습기 및 악취제거에 효과적이며, 핵가족이나 대가족이라도 그 규모에 적응하기 쉬운 구조를 제공하며, 특히 구조체를 조립식으로 규격화하기 쉽도록 하여 제작 및 설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완성된 고안으로 이를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의 발췌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 단면도,
도 5는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 단면도,
도 6은 종래 다른 고안의 구성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붕
11. 천정
2. 측벽
21. 선반 22. 환풍구 23. 출입구
3. 마루면
31. 석판
4. 바닥면
41. 기초석 411. 안착용 홈 42. 통기공
5. 탈취제
51. 숯 52. 맥반석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바닥면(4)에 입설되며, 안착용 홈(411) 및 통기공(42)이 형성된 기초석(41); 상기 기초석(41)에 틈새를 두고 쪽마루 형태로 깔리는 석판(3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마루면(3); 다수의 선반(21)이 부착되고, 환풍구(22)가 천공되어 상기 바닥면(4)에 입설되는 측벽(2); 상기 측벽(2)의 상단을 밀폐하는 지붕(1);으로 되고, 상기 마루면(3)과 바닥면(4) 사이에는 숯(51)과 맥반석(52)이 섞여진 탈취제(5)가 장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 단면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환풍구(22)가 바깥쪽이 아래로 경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붕(1)의 아래에 천정(11)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3은 출입구로서 측벽(2)에 설치되어 묘소 내로 사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출입구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 1구성에서는 본 고안의 가족 묘소가 바닥면(4) 위에 이격되어 밀실형태의 마루면(3), 측벽(2), 지붕(1)이 부설되는 것으로, 평편한 바닥면(4) 위에 입설되는 기초석(41)은 안착용 홈(411) 및 통기공(42)이 형성된 것인데, 상기 안착용 홈(411)은 석판(31)이 정확하고 손쉽게 깔리도록 마련되는 것이고, 통기공(42)은 후술하는 탈취제(5)가 재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통풍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루면(3)은 상기 기초석(41)에 틈새를 두고 쪽마루 형태로 깔리는 석판(3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렇게 마루면(3)에 틈새가 있으므로 후술하는 탈취제(5)의 기능이 충실히 발휘되게 된다.
게다가, 측벽(2)은 다수의 선반(21)이 부착되고, 환풍구(22)가 천공되어 상기 바닥면(4)에 입설되는 것인데, 상기 선반(21)은 규격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납골용 용기가 안치되는 것이고, 환풍구(22)는 묘소내의 습기 및 악취를 제거하면서 바닥면(4)의 통기공(42)과 상호 보완하여 탈취제(5)가 묘소 내에 작용되도록 기능하게 된다.
또한, 지붕(1)은 상기 측벽(2)의 상단을 밀폐하는 것으로 우수나 먼지 등이 묘소 내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그 소재로는 석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콘크리트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내면에 박판의 동판을 덧대어 사용할 수도 있고, 기타 의장적인 미감을 가지는 장식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나, 상기 마루면(3)과 바닥면(4) 사이에는 숯(51)과 맥반석(52)이 섞여진 탈취제(5)가 장입되어 있으므로 납골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흡수하여 상술한 통기공(42) 또는 환풍구(22)측으로 배출되게 하며, 게다가 맥반석(52)은 벌레나 뱀 등의 근접을 막아주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탈취제(5)는 숯(51)과 맥반석(52)이 부피로서 1∼3 ; 1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공히 10매쉬 이하의 굵은 알맹이 형태로 된 것인데, 알이 굵을수록 통기도가 좋고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2구성은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환풍구(22)가 바깥쪽이 아래로 경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붕(1)의 아래에 천정(11)이 밀폐되는 것인데, 환풍구(22)에 경사를 준 것은 빗물이 묘소 내로 들여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지붕(1)의 아래에 천정(1)을 마련하여 공간을 두는 것은 외기와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혹서기나 혹한기에 묘소내부를 보냉/보온 할 수 있어서 납골 및 그 용기를 보호하기 적합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납골용 묘소에서 가장 문제로 되는 습기 및 악취제거에 효과적이며, 핵가족이나 대가족이라도 그 규모에 적응하기 쉬운 구조를제공하며, 특히 구조체를 조립식으로 규격화하기 쉽도록 하여 제작 및 설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완성된 고안으로 편리하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평편한 바닥면(4)에 입설되며, 안착용 홈(411) 및 통기공(42)이 형성된 기초석(41);
    상기 기초석(41)에 틈새를 두고 쪽마루 형태로 깔리는 석판(3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마루면(3);
    다수의 선반(21)이 부착되고, 환풍구(22)가 천공되어 상기 바닥면(4)에 입설되는 측벽(2);
    상기 측벽(2)의 상단을 밀폐하는 지붕(1);으로 되고,
    상기 마루면(3)과 바닥면(4) 사이에는 숯(51)과 맥반석(52)이 섞여진 탈취제(5)가 장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용 가족묘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구(22)가 바깥쪽이 아래로 경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붕(1)의 아래에 천정(11)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용 가족묘소.
KR2020020015485U 2002-05-21 2002-05-21 납골용 가족묘소 KR200287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85U KR200287348Y1 (ko) 2002-05-21 2002-05-21 납골용 가족묘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485U KR200287348Y1 (ko) 2002-05-21 2002-05-21 납골용 가족묘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348Y1 true KR200287348Y1 (ko) 2002-08-30

Family

ID=7312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485U KR200287348Y1 (ko) 2002-05-21 2002-05-21 납골용 가족묘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3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5167B1 (ja) 2重基礎および3重壁を有する結露防止用石材納骨墓
US3978627A (en) Burial facility
EP0480068B1 (en) Tomb
KR200287348Y1 (ko) 납골용 가족묘소
JP2009235697A (ja) 合祀墓
KR100324996B1 (ko) 납골당 및 그 시공방법
KR200356617Y1 (ko) 가옥형 납골묘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KR200193116Y1 (ko) 납골당
KR200227287Y1 (ko) 조립식 석재 납골당
KR200335516Y1 (ko) 납골당
CN210264133U (zh) 地下公墓
KR200291918Y1 (ko) 가족 납골묘
KR100379364B1 (ko) 가족 납골묘
KR200200935Y1 (ko) 납골묘
KR200410580Y1 (ko) 납골묘의 벽체구조
KR200350382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100261763B1 (ko) 납골묘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200392042Y1 (ko) 종방향지중안치식납골묘구조
JPH085254Y2 (ja) 立体墓地
KR200210575Y1 (ko) 납골분묘
KR200179369Y1 (ko) 납골당
KR200285593Y1 (ko) 연립형 가족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