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593Y1 - 연립형 가족납골당 - Google Patents

연립형 가족납골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593Y1
KR200285593Y1 KR2020020016244U KR20020016244U KR200285593Y1 KR 200285593 Y1 KR200285593 Y1 KR 200285593Y1 KR 2020020016244 U KR2020020016244 U KR 2020020016244U KR 20020016244 U KR20020016244 U KR 20020016244U KR 200285593 Y1 KR200285593 Y1 KR 200285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mily
ossuary
space
st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국희
Original Assignee
한국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희 filed Critical 한국희
Priority to KR2020020016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59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지를 이용하여 계단식으로 조성되는 집단 납골당으로서 복수개의 가족형 납골실과 차례와 제사를 위한 가족 공간을 구비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경사진 부지에 조성되는 옹벽 겸용 구조물을 이용한 연립형 가족납골당에 있어서, 측면으로 연이어 배치되고 동시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족납골실용 내부 공간(1)을 형성하면서 경사진 부지의 계단형 절개지에 축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10; 10a)과, 상기 내부 공간(1)에 각각 설치되는 유골함 안치용 선반(11)과, 상기 내부 공간(1)으로의 출입을 위해 각각 설치되는 출입구(12; 12a), 및 상기 출입구(12; 12a) 앞에 각각 형성된 가족 공간(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립형 가족납골당{GRAND-SCALE CHARNEL HOUSE BUILDED IN SLOPES}
본 고안은 가족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지를 이용하여 계단식으로 조성되는 집단 가족 납골당으로서 복수개의 가족형 납골실과 차례와 제사를 위한 가족 공간을 구비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1월 13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신 장묘법에 의하여 국민의식이 매장 문화에서 화장 및 납골 문화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여러 가지 방식과 모델의 가족 납골묘 또는 집단 납골당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 가운데 가족 납골당은 가족 중에 어느 한분이 사망하게 되면 화장한 유골분을 유골함에 넣어 보관하고 기존의 매장묘와 같이 추석이나 설에 성묘를 가거나 선조의 기일에 찾아보고 제사지내는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납골 묘지의 소비자들은 보통 어떠한 종류의 가족 납골묘가 견고하고 바람직한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어떠한 납골묘를 선택하여 유골함을 보관해야 유골함이 부패하지 않고, 역겹고 혐오스런 냄새도 나지 않으며, 납골 구조물이 견고하여 오래도록 유지 보존될 것인가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또한 가족 납골묘는 납골함을 안치한 공간이 비좁고 납골실 내부에 1년 중대략 다섯 번 정도로 출입문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등을 이용한 확실한 환기 장치를 하지 않을 경우, 납골실의 내부 공기가 정체되고 납골실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결로 현상이 발생하며, 습기가 제거되지 않아 유골함에 저장된 골분이 부패되어 역겨운 냄새가 나서 혐오스러운 공간이 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집단 납골당은 납골묘를 대단위로 조성한 것이다. 그 일예로서 국내등록특허공고 제10-272315호(2000년 8월 24일)의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 지형(100)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옹벽형 납골 구조물(200)을 계단식으로 축조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옹벽형 납골 구조물(200)은 대략적으로 전면의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옹벽과, 이 콘크리트 옹벽의 설치공간에 삽입 설치되고 전면에 복수개의 납골 용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격자상의 용기수납공간이 형성된 납골함단, 및 이 납골함단의 각 용기수납공간 입구에 설치되는 앞막이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가족납골당이나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은 가족들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가족 단위 참배객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제사나 차례를 드리기에 매우 불편하다.
다시 말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수백 년 동안 이어온 관습으로 가까운 산이나 밭에 매장묘를 만들어 선조를 모셔두고 명절이나 선조의 기일에 음식을 차려 놓고 제사를 올리거나 차례를 드리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족납골묘나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은 제사나 차례상을 차릴 공간이 없거나 매우 협소하다.
따라서 일반 국민들은 그러한 종래의 납골당을 기피할 수밖에 없고, 화장 문화를 이해하고 정부 시책에 부응하여 화장을 한다 해도 자기들만의 가족이나 문중 또는 종중 납골묘를 별도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즉, 가족이나 문중 또는 종중 단위의 납골당을 단독으로 설치할 경우, 설치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안전한 유골함 보관에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농촌의 마을 주변에 여기저기 불규칙적으로 산재한 납골묘가 많아질 경우 또 다른 국토 훼손이 염려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대규모, 대단지화를 시책으로 하는 납골당의 설치는 지역 이기주의와 님비현상(the NIMBY phenomena)으로 집단적인 반대가 많고 설치한 후 교통 혼잡이 뒤따르는 등 문제가 많다. 따라서, 모든 시군별로 소규모의 납골당 설치가 필연적이며 50여년 후에는 읍, 면, 동에까지 별도의 소규모 납골당 시설이 필요한 시대가 도래 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개선된 납골당을 보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사나 차례를 올릴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가족납골당을 필요로 하는 국민정서를 감안하고, 적정 규모 이상의 납골당을 연립하여 조성함으로써 전기 시설을 통한 확실한 환기와 납골묘 내부의 습기를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을 나타낸 측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붕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a는 도 2a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한 층에 대한 정면도,
도 3b는 도 2b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한 층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두 개 층의 각 중간 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내부공간(가족납골실) 10, 10a ... 구조물
11 ... 선반 12, 12a ... 출입구
13a ... 석문 13b ... 유리문
14 ... 상인방 15 ... 경계석
20 ... 상석 21 ... 향로석
22 ... 계단석 30 ... 지붕
A ... 가족공간 B ... 도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경사진 부지에 조성되는 옹벽 겸용 구조물을 이용한 대규모 납골당에 있어서, 측면으로 연이어 배치되고 동시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족납골당용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경사진 부지의 계단형 절개지에 축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내부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유골함 안치용 선반과, 상기 내부 공간으로의 출입을 위해 각각 설치되는 출입구, 및 상기 출입구 앞에 각각 형성되는 가족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앞의 가족 공간에는 상석과 향로석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는 석문 또는 유리문이 설치되거나 석문 및 유리문이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하층 및 상층의 2층으로 축조된다. 이러한 경우, 상층 구조물의 출입구는 하층 구조물의 출입구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층 구조물의 출입구는 다음 층의 하층 구조물의 출입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가족납골실용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이용률이 대략 2배 정도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가족납골당은 별도의 환기장치와 조명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용마루부와 기와부로 이루어진 한옥식 지붕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지붕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3a는 도 2a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한 층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2b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한 층에 대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두 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부지에 축조되는 옹벽 겸용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0)과 그 앞에 설치되는 상석(2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0)은 경사진 부지를 계단식으로 평탄작업한 후에 옹벽 겸용으로 축조된다. 이때 구조물(10)은 대략 직방체 형상의 내부 공간(1)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옹벽 겸용 구조물(10)은 예를 들어 가족납골실로서 사용되는 내부 공간(1)들이 각 층마다 측면으로 연이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옹벽 겸용 구조물(10)은 복수개의 내부 공간(1)으로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2)를 각각 구비한다.
상석(20)은 제사나 차례를 올릴 때에 음식을 차려 놓는 곳으로 내부 공간(1)에 의해 형성된 가족납골실들 앞에 각각 설치된다. 통상 이러한 상석(20) 앞에는 향로를 올려놓는 향로석(21)이 함께 설치된다. 또한 향로석(21) 옆에는 향로석(21)을 경계로 납골실과 가족공간(A)을 구분하는 경계석이 놓여진다. 또 상석(20)의 양 측면에는 꽃을 담아 놓는 화병석이 놓여진다. 게다가 상석(20)과 출입구(12)와의 사이에는 계단석(22)이 놓여진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가족납골실을 형성하는 각 내부 공간(1)에 설치되는 유골함 안치용 선반(11)을 구비한다. 선반(11)은 통상 대리석 등의 강하고 수려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선반(11)은 출입구(12)가 설치되어 있는 내부 공간(1)의 측면과 내부 공간(1)의 상하면을 제외하고 다른 측면들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수십기의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어 가족이나 중종의 납골당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반(11)의 배치와 구성은 각 가족납골실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가족납골실을 형성하는 각 내부 공간(1)으로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2)에 석문(13a)과 유리문(13b)을 구비한다. 석문(13a)은 출입구(12)를 튼튼하고 견고하게 막아 외부인이나 들짐승의 출입을 방지하고 외부의 비, 바람 등이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석문(13a)은 적당한 기계적인 구동 수단에 의해 여닫이 또는 미닫이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문(13b)은 차례나 제사를 드릴 때에 가족납골실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차례나 제사를 드릴 때에도 가족납골실 내의 온도나 습도 등의 내부 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문(13b)도 석문(13a)의 경우와 유사하게 적당한 기계적인 구동 수단에 의해 미닫이 방식으로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각 가족납골실의 출입구 상단에 설치되는 상인방(14)을 포함한다. 상인방(14)은 출입구 문틀 윗부분 벽의 하중을 받쳐 주는 부재로서 출입구 상부에 가로질러 놓여진다. 또한 상인방(14)은 출입구(12) 앞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출입구(12) 앞에 처마를 형성한다.
게다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경계석(15)을 구비한다. 경계석(15)은 구조물(10)의 상부면이 사람이나 차량 등이 이동하는 도로로 사용되는 경우, 그 경계를 표시하는 수단이 된다. 이러한 경우, 경계석(15)에는 또 다른 안전 장치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구조물(10)의 상부면에 다양한 형태의 지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한옥식의 지붕(30)을 설치하여 보다 친근한 연립형 가족납골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한옥식 지붕(30)은 통상 용마루부(31)와 기와부(32)로 이루어진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하나의 층에 대한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경사진 부지의 소정 절개지에 옹벽 겸용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0)로 이루어진 가족납골실이 측면으로 연이어 배치되고 그 앞에 상석(20)과 향로석(21) 등이 놓여진 가족 중심의 납골당을 제공한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현판석(40)을 더 포함한다. 현판석(40)은 한옥식 지붕(30)과 함께 각 가족납골실의 출입구(12)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마을 단위나 지역 단위로 설치하기에 적당하고, 각 가족납골실의 출입구(12)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족 중심적인 납골묘의 문화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4는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의 두 개 층의 각 중간 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선반(11)은 내부 공간의 안쪽 벽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각 가족납골실 앞에 가족 공간(A)을 구비한다. 가족 공간(A)은 각 가족들의 제사나 차례를 위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각 가족의 공간들 사이에 놓여지는 소정의 경계석이나 경계 표시를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가족 공간(A)의 뒤로는 사람이나 차량 등이 통과할 수 있는 보도 또는 도로(B)가 형성된다. 이러한 도로(B)는 묘지의 규모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 운영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그 상단부가 외부의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부재를 부분적으로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가족납골실 내부의 조명은 부분적으로 자연 조명에 의지하게 되어 습도 조절과 전기비 절감에 효과가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이층 구조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0a)을 포함하도록 축조된다. 구조물(10a)은 상층 및 하층의 2층 구조로 각 층에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공간들(1)이 측면으로 연이어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구조물(10a)은 각 내부 공간(1)으로의 출입을 위한 하층 출입구(12) 및 상층 출입구(12a)를 구비한다. 이때 상층 출입구(12a)는 하층 출입구(12)의 배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층 출입구(12a)는 다음 층의 하층 출입구(12)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게다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조물(10a)의 상층 상단부에는 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한옥식 지붕(30)이 설치된다. 이때 설치되는 한옥식 지붕(30)은 앞뒤에서 볼 때 완전한 지붕을 이루도록 대치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경사진 묘지 부지에 대하여 용적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환기장치와 조명장치를 더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전력시설은 매우 많은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주거지나 전력 시절과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소규모 이하의 묘지 시설에 전력을 인입하여 전기 시설을 구축하기는 매우 곤란하다. 하지만 본 고안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적정 규모 이상으로 축조되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을 인입하여 전기 시설을 구축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각 가족납골실에는 필요한 환기시설과 조명시설이 매우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환기시설과 조명시설은 중앙 통제소에서 제어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은 지질 및지형 특성상 그 하부에 매립되는 별도의 베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적정 규모의 면적에 복수 가족단위의 납골당을 함께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장묘 문화가 화장 문화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사나 차례를 올리는 매장문화의 오랜 역사와 관습을 그대로 이어갈 수 있어 국민 정서에 크게 부응하며, 연립형으로 짓기 때문에 큰 부담없이 전기 인입시설을 하여 습기 조절이나 환기시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여기저기 산재된 납골묘보다 일정한 장소에 집단으로 형성되므로 국토 이용면에서 크게 효율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정 규모의 연립형 가족납골당으로서 조성되므로 출입할 수 있는 도로 확보와 관리면에서 매우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개의 가족납골실이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어 옥외 가족납골당으로 사용함으로써 석축이나 일반 콘크리트 옹벽 이상으로 튼튼하고 개별 시공에 비해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가족단위 참배나 성묘가 가능한 연립형 옥외 가족납골당을 마을별 또는 읍, 면별로 일정한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국가가 원하는 장묘문화의 개발로 국토이용의 효율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경사진 부지에 조성되는 옹벽 겸용 구조물을 이용한 연립형 가족납골당에 있어서,
    측면으로 연이어 배치되고 동시에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족납골실용의 내부 공간(1)을 형성하면서 경사진 부지의 계단형 절개지에 축조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10; 10a)과;
    상기 내부 공간(1)에 각각 설치되는 유골함 안치용 선반(11)과;
    상기 내부 공간(1)으로의 출입을 위해 각각 설치된 출입구(12; 12a); 및
    상기 출입구(12; 12a) 앞에 각각 형성된 가족 공간(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2; 12a) 앞의 가족 공간(A)에는 상석(20) 및 향로석(2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2; 12a)에는 석문(13a) 또는 유리문(13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a)은 하층 및 상층의 2층으로 축조되고 상층의 출입구(12a)는 하층의 출입구(12)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1)에는 환기장치와 조명장치가 각각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10; 10a)의 상단부에는 용마루부(31)와 기와부(32)로 이루어진 한옥식 지붕(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립형 가족납골당.
KR2020020016244U 2002-05-28 2002-05-28 연립형 가족납골당 KR200285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244U KR200285593Y1 (ko) 2002-05-28 2002-05-28 연립형 가족납골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244U KR200285593Y1 (ko) 2002-05-28 2002-05-28 연립형 가족납골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593Y1 true KR200285593Y1 (ko) 2002-08-13

Family

ID=7312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244U KR200285593Y1 (ko) 2002-05-28 2002-05-28 연립형 가족납골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5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203932A1 (ja) 多層階構造の霊苑
Afla et al. Sustainability of urban cemeter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Malay burial practices in Kuala Lumpur metropolitan region
RU96155U1 (ru) Устройство многоуровневого кладбища
Bouchair et al. Building traditions of Mzab facing the challenges of re-shaping of its built form and society
Guan Lilong housing: a traditional settlement form
Golany Earth-sheltered dwellings in Tunisia: ancient lessons for modern design
JP2009235697A (ja) 合祀墓
KR200285593Y1 (ko) 연립형 가족납골당
KR200285594Y1 (ko) 연립형 가족납골당
CN202645115U (zh) 楼塔碑万国公墓
CN111535651A (zh) 一种绿色生态陵园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Hall Underground buildings: more than meets the eye
Afla Spatial regeneration of Muslim burial practice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Kuala Lumpur and Jakarta
JPH1181744A (ja) 集合墓所構造及び納骨方法
KR200242678Y1 (ko) 납골당의 구조
KR20140146691A (ko)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JPH085254Y2 (ja) 立体墓地
JP3013366U (ja) 立体合祀墓
Gruber Selected Muslim historic monuments and sites in Bulgaria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Fuhlrott Underground libraries
Ullrich Life in Death: Addressing Heterotopic Burial Spaces by Re-Introducing Burial Rituals into the Inner-City of Pretoria
Himmel Most Alive, Most Dead
KR200367727Y1 (ko) 납골 아파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