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691A -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691A
KR20140146691A KR1020130068847A KR20130068847A KR20140146691A KR 20140146691 A KR20140146691 A KR 20140146691A KR 1020130068847 A KR1020130068847 A KR 1020130068847A KR 20130068847 A KR20130068847 A KR 20130068847A KR 20140146691 A KR20140146691 A KR 2014014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ial space
space
ground
residential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광
Original Assignee
권오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광 filed Critical 권오광
Priority to KR102013006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691A/ko
Publication of KR2014014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9/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electric and non-electric light sources; Replacing or exchanging electric light sources with non-electric light sources or vice versa
    • F21S19/005Combining sunlight and electric light sources for indoor illum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15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involving active or passive dynamic mass damp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전기공급없이 자연 채광만을 통해 실내 조명을 가능하도록 거주공간은 지하에 매설하고 지붕만을 지표면에 돌출시킨 움집 구조물을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지표면 이하의 보온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주거 환경을 가지는 지하구조물의 특성을 주거용에 적용하여 친환경적인 주거공간,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안전한 주거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전기 사용없이 자연 채광만으로 거주가 가능하면서, 지초지반에 대한 공정을 최소화하고,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유지 비용을 절감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Natural Lighting Type underground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움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주공간을 지하에 매설하고 지붕만 지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시공함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안전한 주거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지표면 이하의 보온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자연 채광만으로 쾌적한 실내 조명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지역이 커지면서 인구가 증가하게 되면, 이에 맞춰 각종 편의시설, 일예로 문화시설이나 병원과 같은 복지시설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하나의 거대한 도심이 형성되는 것인데, 이같은 도심 집중화 현상은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받게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여러가지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도심 집중화 현상으로 인한 피해로서, 대표적인 것이 부동산 구입비용이 크게 늘어 소득에 따른 주거 환경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며, 또한 자동차 매연 등 대기가 심각하게 오염됨으로 인한 건강의 위협이 그것이다.
도심의 주거지역에 건축되는 주거용 아파트나 주택은 공개특허공보 제 10-2005-0104897 호(공개일 2005.11.03)에서와 같이 지상으로 올라오는 구조물과, 지하에 위치하게 되는 지하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대부분이며, 지하에 지하구조물만을 축조한 경우에는 등록특허공보 제 10-0565963 호(등록일 2006.03.23)에서와 같이 주거 목적이 아니라 터널이나 지하차도 등 공공의 목적으로 축조되는 것일 뿐 일반화된 주거용 건축물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었다.
더욱이 도심지역의 주거용 아파트나 주택의 경우에는 토지 구입비용이 높아 건축비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주변 건축물과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건축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었고, 특히 이웃한 건물에 가리워져 일조량이 많이 부족한 관계로 전기 공급을 통한 실내 조명이 필수적이었으며 따라서 유지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공급없이 자연 채광만을 통해 실내 조명을 가능하도록 거주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특히 주거공간을 지하에 위치시켜 보온성을 극대화함으로서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지붕을 지표면에 노출시켜 움집 형태의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서 전기를 공급받지 아니하고도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과 난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인데, 이는 지표면 이하의 보온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택의 지붕 및 출입구 또는 창을 통해 바로 보는 외부 환경이 자연의 초목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어, 주거공간에서의 휴식 만으로도 일상에서의 피로를 신속히 회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을 훼손함이 없이 녹지 보호구역에서 건축할 수 있어 건축비와 유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은, 지중의 바닥면에 시공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위에서 지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공되는 주거공간부; 상기 주거공간부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지표면에 노출되는 지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거공간부는 상기 기초부의 위에 시공되는 바닥부와, 창문 및 출입구를 형성하게 되는 벽체로 구성하며, 상기 지붕부는 상기 주거공간부를 이루는 벽체로부터 연장 고정되는 골조부와, 상기 골조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주거공간부의 내부에 전기 사용없이 조명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자연 채광이 가능한 투명패널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벽체의 외측에는 상기 주거공간부에 대한 평형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지진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짐은 물론, 출입통로에 대한 바닥면을 이루는 확장슬래브를 연장 구성하고, 상기 확장슬래브는 평형기둥부에 의해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주거공간부가 시공되는 지중과 지표면의 경계부분인 벽체의 일면에는 출입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통로에는 경사진입로를 형성하는 것인데, 상기 출입통로에 마련되는 경사진입로는 계단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출입통로와 지표면에는 나무 및/또는 잔디가 식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주거공간부는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복수층으로 주거공간부를 구성시, 상부 주거공간의 바닥면에는 하부 주거공간으로 햇빛을 공급하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바닥창이 설치되고,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바닥창은 바닥면의 중앙에 복도형태로 길게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바닥창은 상부 주거공간 바닥면을 3등분하여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투명패널과 바닥창은 강화유리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지붕부를 이루는 골조부에는 빗물받이 프레임을 연장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기초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는 지중에서 발생하는 지진 진동을 감쇄하는 내진댐퍼를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내진댐퍼는 격자형 또는 타공판 형태의 구조물을 가지는 고무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지표면의 일단에는 자연 채광이 불가능한 외부 환경요인이 발생할 때, 상기 주거공간부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부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주거공간부에는 상기 태양열 집열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연에너지원인 태양열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을 제공하게 되는 조명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의 시공방법으로는, 일정깊이로 지표면에서 지중으로 일정깊이로 터파기하는 제 1 공정; 상기 터파기에 의한 지중 바닥면에 기초부를 타설하는 제 2 공정; 상기 기초부의 위에 바닥부와 창문 및 출입구를 형성한 벽체로 이루어진 주거공간부를 지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입시킨 후, 지중과 지표면의 경계부분인 상기 벽체의 상단부 주변에 출입통로와 경사진입로를 시공하는 제 3 공정; 상기 벽체의 외측에 상기 주거공간부에 대한 평형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지진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평형기둥부에 의해 지지되는 확장슬래브를 시공하는 제 4 공정; 및, 상기 주거공간부의 위에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골조부와 투명패널로 이루어진 지붕부를 시공한 후, 상기 출입통로와 지표면에 나무 및/또는 잔디를 식재하는 제 5 공정; 을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공정에서의 터파기 깊이는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단층 또는 하나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복수층의 주거공간부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주거공간부를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복수층으로 시공시, 상기 주거공간부의 내부는 주거공간 바닥면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도록 시공하고,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는 투명패널을 통해 자연 채광을 위한 빛이 상부의 주거공간에서 하부의 주거공간으로 안내하게 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바닥창을 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공정에는 기초부와 바닥부의 사이에 지중에서 발생하는 지진 진동을 감쇄하는 내진댐퍼를 설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5 공정에서 상기 지붕부를 이루는 골조부에는 빗물받이 프레임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공급없이 자연 채광만을 통해 실내 조명을 가능하도록 거주공간은 지하에 매설하고 지붕만을 지표면에 돌출시킨 움집 구조물을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지표면 이하의 보온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주거 환경을 가지는 지하구조물의 특성을 주거용에 적용하여 친환경적인 주거공간,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안전한 주거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전기 사용없이 자연 채광만으로 거주가 가능하면서, 지초지반에 대한 공정을 최소화하고,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유지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내진댐퍼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수층 주거공간부를 가지는 움집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수층 주거공간부를 가지는 움집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내진댐퍼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수층 주거공간부를 가지는 움집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수층 주거공간부를 가지는 움집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은 거주공간을 지하에 매설하고 지붕만 지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시공함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안전한 주거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지표면 이하의 보온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면서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자연 채광만으로 쾌적한 실내 조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교외의 녹지에 일반의 주거용으로 시공되거나, 또는 특별히 군사지역 등에서 벙커를 대신하는 초소 근무자용의 주거공간으로 적합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기초부(10), 주거공간부(20), 지붕부(30), 확장슬래브(25)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내진댐퍼(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기초부(10)는 지표면의 터파기를 통해 형성되는 지중의 바닥면에 시공되는 것이다.
상기 주거공간부(20)는 보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상기 기초부(10)의 위에서 지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기초부(10)의 위에 시공되는 바닥부(21)와, 창문(11) 및 출입구(미도시)를 형성하게 되는 벽체(22)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거공간부(20)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단층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복수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거공간부(20)를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복수층으로 구성시, 상기 주거공간부(20)의 내부는 상부 주거공간의 바닥면(27)에 의해 주거공간이 상,하로 분할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 주거공간이 바닥면(27)에는 자연 채광을 위한 햇빛이 상부의 주거공간으로 안내될 때 이를 하부의 주거공간으로 안내하게 되는 강화유리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바닥창(28)을 결합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닥창(28)은 상부 주거공간의 바닥면(27)을 3등분하여 중앙에 복도 형태로 길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주거공간부(20)가 시공되는 지중과 지표면의 경계부분인 벽체(22)의 일면에는 출입통로(23)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통로(23)에는 경사진입로(24)를 형성하는 것인데, 상기 출입통로(23)에 마련되는 경사진입로(24)는 계단형으로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벽체(22)의 외측에는 상기 주거공간부(20)에 대한 평형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지진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짐은 물론, 상기 출입통로(23)에 대한 바닥면을 이루는 확장슬래브(25)를 연장 구성하는 한편, 상기 확장 슬래브(25)는 평형기둥부(26)에 의해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출입통로(23)와 지표면에는 나무 및/또는 잔디가 식재되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지붕부(30)는 상기 주거공간부(10)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지표면에 노출되는 것으로, 상기 주거공간부(20)를 이루는 벽체(22)로부터 연장 고정되는 골조부(31)와, 상기 골조부(31)에 의해 지지되면서 주거공간부(20)의 내부에 전기사용없이 조명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자연 채광이 가능한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투명패널(3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붕부(30)를 이루는 골조부(31)에는 빗물받이 프레임(33)을 연장 구성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내진댐퍼(40)는 격자형 또는 타공판 형태의 구조물을 가지는 고무플레이트로서, 상기 기초부(10)와 상기 바닥부(21)의 사이에 시공되며, 상기 내진댐퍼(40)는 지중에서 발생하는 지진 진동을 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표면의 일단에는 자연 채광이 불가능한 외부 환경요인(예; 비가 내리거나 흐린날 또는 야간)이 발생시, 상기 주거공간부(20)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부(50)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주거공간부(20)에는 상기 태양열 집열부(50)로부터 발생하는 자연에너지원인 태양열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을 제공하게 되는 조명부(미도시)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에따라, 상기 투명창으로 이루어진 지붕부(30)만을 지표면에 노출시켜 전기를 공급받지 아니하고도 자연에너지원인 상기 태양열에 의한 실내 조명과 난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면서, 지표면 이하의 보온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주거 환경을 가지는 움집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우선 지표면에서 지중으로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단층 또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주거공간부(20)에 따라 일정깊이로 터파기를 한다.
다음으로, 상기 터파기에 의한 지중 바닥면에 기초부(10)를 타설한 후 그 위에 격자형 또는 타공판 형태의 구조물로서 고무플레이트인 내진댐퍼(4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내진댐퍼(40)는 그 설치가 선택적인 것으로, 상기 기초부(10)의 위에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부(10) 또는 상기 내진댐퍼(40)의 위에 바닥부(21)와, 창문(11) 및 출입구(미도시)를 형성한 벽체(22)로 이루어진 주거공간부(20)를 지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한 후, 지중과 지표면의 경계부분인 상기 벽체(22)의 일면에 출입통로(23)와 계단형의 경사진입로(24)를 시공하여 둔다.
다음으로, 상기 벽체(22)의 외측에 상기 주거공간부(20)에 대한 평형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지진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확장슬래브(25)를 연장 시공한 상태에서, 상기 확장슬래브(25)를 평형기둥부(26)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둔다.
다음으로, 상기 주거공간부(20)의 위에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골조부(31)와 투명패널(32)로 이루어진 지붕부(30)를 시공한 후, 상기 출입통로(23)와 지표면에 나무 및/또는 잔디를 식재하여 두면, 거주공간은 지하에 매설되고 지붕만 지표면으로 돌출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안전하고, 지표면 이하의 보온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면서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으로 이용됨과 동시에, 자연 채광만으로 쾌적한 실내 조명을 유지하게 되는 자연 채광형 움집 시공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붕부(30)에 형성되는 투명패널(32) 및/또는 바닥창(28)을 통해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단층 또는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주거공간부(20)의 내부를 자연채광으로 전기없이 밝음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비 또는 눈이 내리거나 흐린날 또는 야간에는 태양열 집열부(50)를 통해 주거공간부(20)에 설치되는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였으며, 이에따라 별도의 전기공급없이 자연 채광 또는 자가발전을 통해 움집의 외부환경은 자연의 초목에 가장 가까워지면서, 움집에 마련되는 주거공간에서의 휴식만으로도 일상에서의 피로를 신속히 회복하고, 특히 자연 훼손없이 녹지 보호구역에서 움집을 건축할 수 있게 되면서 건축비와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기초부 11; 창문
20; 주거공간부 21; 바닥부
22; 벽체 23; 출입통로
24; 경사진입로 25; 확장슬래브
26; 평형기둥부 27; 상부 주거공간 바닥면
28; 바닥창 30; 지붕부
31; 골조부 32; 투명패널
33; 빗물받이 프레임 40; 내진댐퍼
50; 태양열 집열부

Claims (13)

  1. 지중의 바닥면에 시공되는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위에서 지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공되는 주거공간부; 상기 주거공간부의 상단에 위치하면서 지표면에 노출되는 지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주거공간부는 상기 기초부의 위에 시공되는 바닥부와, 창문 및 출입구를 형성하게 되는 벽체로 구성하며,
    상기 지붕부는 상기 주거공간부를 이루는 벽체로부터 연장 고정되는 골조부와, 상기 골조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주거공간부의 내부에 전기사용없이 조명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자연 채광이 가능한 투명패널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벽체의 외측에는 상기 주거공간부에 대한 평형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지진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짐은 물론, 출입통로에 대한 바닥면을 이루는 확장슬래브를 연장 구성하며,
    상기 확장슬래브는 평형기둥부에 의해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공간부가 시공되는 지중과 지표면의 경계부분인 벽체의 일면에는 출입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통로에는 경사진입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로와 지표면에는 나무 및/또는 잔디를 식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공간부는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층으로 주거공간부를 구성시, 상부 주거공간의 바닥면에는 하부 주거공간으로 햇빛을 공급하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바닥창이 설치되고,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바닥창은 바닥면의 중앙에 복도형태로 길게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은 상부 주거공간 바닥면을 3등분하여 중앙에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패널과 바닥창은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이에는 지중에서 발생하는 지진 진동을 감쇄하는 내진댐퍼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의 일단에는 자연 채광이 불가능한 외부 환경요인이 발생할 때, 상기 주거공간부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태양열 집열부를 설치 구성하고, 상기 주거공간부에는 상기 태양열 집열부로부터 발생하는 자연에너지원인 태양열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을 제공하게 되는 조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10. 일정깊이로 지표면에서 지중으로 일정깊이로 터파기하는 제 1 공정;
    상기 터파기에 의한 지중 바닥면에 기초부를 타설하는 제 2 공정;
    상기 기초부의 위에 바닥부와 창문 및 출입구를 형성한 벽체로 이루어진 주거공간부를 지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입시킨 후, 지중과 지표면의 경계부분인 상기 벽체의 일면에 출입통로와 경사진입로를 시공하는 제 3 공정;
    상기 벽체의 외측에 상기 주거공간부에 대한 평형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지진 진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평형기둥부에 의해 지지되는 확장슬래브를 시공하는 제 4 공정; 및,
    상기 주거공간부의 위에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골조부와 투명패널로 이루어진 지붕부를 시공한 후, 상기 출입통로와 지표면에 나무 및/또는 잔디를 식재하는 제 5 공정; 을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서의 터파기 깊이는 하나 이상의 주거공간을 가지는 단층 또는 복수층의 주거공간부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공간부를 복수층으로 시공시, 상기 주거공간부의 내부는 주거공간 바닥면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도록 시공하고,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는 투명패널을 통해 자연 채광을 위한 빛이 상부의 주거공간에서 하부의 주거공간으로 안내하게 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바닥창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시공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에는 기초부와 바닥부의 사이에 지중에서 발생하는 지진 진동을 감쇄하는 내진댐퍼를 설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 시공방법.
KR1020130068847A 2013-06-17 2013-06-17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KR20140146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847A KR20140146691A (ko) 2013-06-17 2013-06-17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847A KR20140146691A (ko) 2013-06-17 2013-06-17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691A true KR20140146691A (ko) 2014-12-29

Family

ID=5267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847A KR20140146691A (ko) 2013-06-17 2013-06-17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6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1240A (zh) * 2016-11-10 2018-05-25 侯隆飙 太阳能被动式环保生态乡村住宅
CN112728495A (zh) * 2020-12-31 2021-04-30 杭州壹东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地下采光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1240A (zh) * 2016-11-10 2018-05-25 侯隆飙 太阳能被动式环保生态乡村住宅
CN112728495A (zh) * 2020-12-31 2021-04-30 杭州壹东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地下采光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ilokyprou et al. Environmentally responsive design in Eastern Mediterranean. The case of vernacular architecture in the coastal, lowland and mountainous regions of Cyprus
Benardos et al. Modern earth sheltered constructions: A paradigm of green engineering
KR20200078650A (ko) 가옥 건물 구조
US4336674A (en) Underground structure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use
Bouchair et al. Compact cities as a response to the challenging local environmental constraints in hot arid lands of Algeria
Fuchs et al. AlpArray in Austria and Slovakia: technical realization, site description and noise characterization
Hung Architectural aspects of atrium
KR20140146691A (ko)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KR102154215B1 (ko)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GB2462082A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KR20140139161A (ko)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
Baka et al.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Existing Residential Buldings by Installing Photovoltaic Modules Case Study: Libya–Zuwarah
Yousefi et al. Assessing the principles of climatic design for buildings in a moderate and humid climate, Savadkooh in Iran
Borzooeian Passive Solar Design in Ecological Houses
JPH0738381Y2 (ja) 宅地の構造
Dumitrașcu et al. Passive house design in temperate continental climate for increasing indoor comfort conditions
Rezazadeh Ardebili et al. Lessons from the Past: Climatic Response of Iranian Vernacular Houses to Hot Climate Conditions
Racha et al. Towards a Better Knowledge of Traditional Environmental Devices: Comparison Between Two Traditional Algerian Houses
Ardebili et al. Lessons from the Past: Climatic Response of Iranian Vernacular Houses to Hot Climate Conditions
Tülbentçi Timber-framed house specimen found on Zahra street, Nicosia
Nagata Residential building design: Comprehensive comparative guidelines for building single-family dwellings in Hawaii
Mirrezaei An ecological study on earth sheltered housing in different climates
Milod et al. Libyan hidden gems: Vernacular architecture on the Nafusa mountains
Potchter Climatic aspects in the building of ancient urban settlements in Israel
KR200285593Y1 (ko) 연립형 가족납골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