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161A -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9161A KR20140139161A KR20130058747A KR20130058747A KR20140139161A KR 20140139161 A KR20140139161 A KR 20140139161A KR 20130058747 A KR20130058747 A KR 20130058747A KR 20130058747 A KR20130058747 A KR 20130058747A KR 20140139161 A KR20140139161 A KR 20140139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plate structure
- building
- underground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7331 Salmo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148659 Panicum dichotomifl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6 hydr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02—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 E04D3/06—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of glass or other translucent material; Fix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6—Light shafts, e.g. for cella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하수위를 낮추는 양압력(P)의 저감구조를 지하수위조절이 아닌 건물 지지판구조로 대체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초지반에 대한 공정이 최소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어서 주택공급이 저렴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하나의 건물 지지판구조가 다기능, 즉 양압력(P)의 저감구조로서의 기능과, 움집하중의 지지구조로서의 기능과, 그리고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의 바닥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지하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공기의 단축과 더불어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하나의 건물 지지판구조가 다기능, 즉 양압력(P)의 저감구조로서의 기능과, 움집하중의 지지구조로서의 기능과, 그리고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의 바닥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지하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공기의 단축과 더불어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하수위를 낮추는 양압력(P)의 저감구조를 지하수위조절이 아닌 건물 지지판구조로 대체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초지반에 대한 공정이 최소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어서 주택공급이 저렴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하나의 건물 지지판구조가 다기능, 즉 양압력(P)의 저감구조로서의 기능과, 움집하중의 지지구조로서의 기능과, 그리고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의 바닥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지하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공기의 단축과 더불어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은 지상에 축조된다.
모든 문화시설이나 병원과 같은 복지시설이 도시에 집중되어있으므로 주거도 도시에 집중되어있다. 그만큼 생활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도시의 지가가 상승하는 것은 당연하다.
주거와 관련하여 서민들의 고통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도시 주변 좀 떨어진 곳에는 아직도 야산이나 공원부지가 넓게 분포되어있다.
이런 지역은 토지가 비교적 지가가 낮은 편이다. 특히 도시가 주변으로 팽창함에 따라 군사보호지역 또는 녹지보호구역내에서도 그 중요도가 떨어지는 인접지역도 많다.
이러한 인접지역은 지붕만 지상으로 올라온 상태에서 몸체가 지중에 구축되게 되면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저렴하게 주택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지하 구조물은 지상으로 올라오면서 지하에 지하구조물이 축조된 것이 대부분이다.
지하에 지하구조물만을 축조한 경우는 특별한 목적으로 축조되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일반화된 구축물이 아니다.
지상과 지하가 혼합된 지하구조물은 도심지역에서 주로 축조된다.
이는 도심의 고 지가에 대하여 토지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경제적인 사용이므로 그 기술 또한 초고층빌딩에나 적용될 수 있는 고급기술이어서 서민용 주택기술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도 아니다.
특별한 목적을 위해 순전히 지하에 지하구조물만을 축조하는 경우역시 서민용 주택공급을 위한 기술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초고층빌딩을 축조하든 순전히 지하구조물만 축조하든 본 발명과 같이 움집을 짓든 지하에는 지하수가 흐르고 있다는 점만은 동일하다.
즉, 지하 구조물의 최종 바닥이 지하수위 하부에 설치될 경우, 하강된 지하수위는 주변부 수위까지 원상회복되려는 에너지가 발생되며 이 에너지가 상부 구조물에 대한 양압력(부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허 제 10-0317530호에 의하면, 양압력은 구조물(건물)의 바닥부와 건물 주변부와의 수두차에 의해 발생되며, 정수압 개념에서의 양압력이란 피압지하수가 수위면에 접하고 있는 구조물을 들어 올리는 힘이라 정의할 수 있고, 그 크기는 일반적으로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수위 아래 10M 깊이마다 1㎏/㎠으로 나타낸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 지하수위는 양압력이 정화중에 비해 조금 큰 경우이고, 우기시 지하수위는 양압력이 정하중보다 많이 큰 경우이며, 조절된 지하수위는 양압력이 정하중과 같은 레벨인 경우이다.
양압력이 지하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우선 양압력이 지하 구조물의 정하중(Dead Load,사하중)보다 클 경우(P>Wd), 여기서 P=양압력(㎏/㎠), Wd=건물 정하중(㎏/㎠ 또는 ton/㎡), 지하수위 하부에 축조된 구조물은 한쪽으로 기울든지 아니면 구조물에 균열(Crack)이 발생되어 최종적으로 파괴에 도달되며, 그 과정에서 지하수가 균열을 통하여 구조물(건물) 내로 유입됨에 따라 정신적, 물질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게 된다.
예컨대, 건물의 단위 사하중이 3.5ton/㎡이고 건물 지하층이 지하수위 하 6M에 설치되었을 경우, 양압력(P)=0.6㎏/㎠× 100㎝ × 100㎝ ÷ 1,000 = 6.0ton/㎡이고, 사하중(Wd)=3.5ton/㎡이므로, P(6.0ton/㎡) Wd(3.5ton/㎡) 관계에서 양압력(P)이 건물 단위하중(Wd)보다는 2.5ton/㎡이 크므로 균열의 발생 또는 지하수 유입에 따른 피해가 발생된다.
도1의 양압력(P)을 도2a 및 도2b에 의해 그 수위를 줄이고 있다.
도2a 및 도2b의 양압력(P)의 저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수암거(20a) 내에 집수관(30a)을 설치하고 집수부에 수직관(40a)을 설치하여 상기 집수관(30a)에 결속하며, 즉 집수관은 KSM-3408 수도관용 폴리에틸렌(PE)재질로써 76㎜의 구경과 4.0 - 6.0㎜의 두께의 유공관으로, 2.0㎜의 유공직경과 종단 0.5M 및 횡단 5.9㎝의 유공간격이고 피치(Pitch)당 유공수가 4개이며, 아울러 자갈층에 밀착되어 배수암거(20a) 중심선상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저압형태의 양압력해소시스템은 도2a의 설치개념도 및 도2b의 설치입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파기 및 배수암거 굴착 직후에 시공 예정인 구조물의 지하실 가장자리에 지하수위를 건물 최하위 레벨까지 강하시킬 수 있도록 배수관정이 설치된다.
그리고 집수관(30a) 위쪽의 수직관(40a) 하부에 웰스크린(42a)을 설치하고 상기 집수관(30a) 위쪽의 배수암거(20a) 내에 기초굴착면(22a) 높이까지 자갈을 포설하여 상기 배수암거(20a)의 자갈 상부에 부직포(24a)를 피복하며, 즉 도 5e에서 보는 바와같이 STS 304,316재질로써 200 - 300㎜의 다수 지지봉(43a)을 매개로 삼각와이어(44a) 사이의 개공(Slot)이 0.5 - 2.0㎜ 범위에서 기초부 토질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웰스크린(42a)을 상기 수직관(40a)의 연결부에 KSD 3576(SUS 304)로 용접하고, 아울러 상기 직관(40a)은 스테인레스재질로써 JIS,KSD 3576 규격이고 외경이 114.3㎜이고 두께가 5.0 - 7.0㎜이며 700 - 500㎜의 길이로 기초 및 바닥 콘크리트 두께에 따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지하수위를 낮추는 방식이므로 양압력(P)의 저감구조가 복잡하다는데 그 문제가 있다.
⒜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 축조에 있어 지하수위를 낮추는 양압력(P)의 저감구조를 지하수위조절이 아닌 건물 지지판구조로 대체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기초지반에 대한 공정이 최소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어서 주택을 저렴하게 공급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건물 지지판구조가 다기능, 즉 양압력(P)의 저감구조로서의 기능을 하면서 움집하중의 지지구조로서의 기능과, 그리고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의 바닥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공기의 단축과 더불어 경제적인 시공이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기온의 변화가 일정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지하 움집형태로 축조함으로써 냉ㆍ난방비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태양열 등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 주택을 축조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강제 모터의 팬과 펌프에 의해 작동되는 환기와 배수 구조를 가지면서 지붕만이 지표면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지하 2층 이상의 움집에 있어서
외부벽체(20)는 슬래브(30)와, 그리고 건물 지지판구조(40)와 현장콘크리트로 타설하되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슬래브(30)와 동일레벨에 있으면서 외부벽체(20)를 기준으로 슬래브(30)와 대칭을 이루고 있는 건물 지지판구조(40)는 건물외부로 돌출되고, 외부벽체(20)와 일체로 연결된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상부 쪽에는 벽체와 연이은 부벽(42)이 설치되며,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중앙부는 지표면에서 지하 1층에 이르는 경사출입통행로(50)의 바닥판(52)이 되고, 또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가 있는 맞은편의 외부벽체(20)에 건물 지지판구조(40)가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한편, 외부벽체(20)의 상부에는 투명강화유리(14)로 된 지붕(10)이 지붕프레임(12)위에 설치되어있고, 지하 1층 슬래브(30)의 중앙부에 투명강화유리판(34)의 빛 투과면(32)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이다.
여기에다 외부벽체(20) 중앙부와 외부벽체(20) 단부에는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폭을 넓게 형성하면서 외부벽체(20) 중앙부와 외부벽체(20) 단부사이에는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폭을 좁게 다수 개 형성하되 그 사이에는 다수의 낙하 공간(44)이 형성된 구성이다.
또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중앙부 쪽에 형성된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의 맞은편 외부벽체(20)의 지하 2층의 창문(62)으로 빛이 들어오는 채광 통로(60)가 경사지게 마련되어있고, 채광 통로(60)의 지표면에는 투명강화유리판(64)이 설치되어있는 구성이다.
그뿐 아니라 지하 1층 슬래브(30)의 중앙부의 빛 투과면(32)에 투명강화유리판(34) 대신 오목렌즈(36)가 설치된 구성이다. 빛 투과면(32)은 직사각형상이 바람직하다.
또 지붕(10)위의 일 측면에 태양열 집열판(16)을 설치한 구성이다.
지붕(10)의 높이는 낮을수록 자연친화적이다. 지표면의 파란잔디와 지붕(10)이 맞닿아있기 때문이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움집(100)의 지하층수에 관계없이 움집(100)의 슬래브(30)와 동일레벨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슬래브(30)와, 외부벽체(20)와, 그리고 건물 지지판구조(40)는 한 점에서 만나는 부재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슬래브(30)와 외부벽체(20)에 의해 지지된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외부벽체(20)와 그리고 슬래브(30)와 일체화된 구조이므로 양압력(P)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외부벽체(20)와 일체화된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상부 쪽에 외부벽체(20)에 연하여 부벽(42)을 설치한 것도 양압력(P)을 지지하기위해서다.
4면의 외부벽체(20)에 건물 지지판구조를 설치해도 된다. 그만큼 양압력(P)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움집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하향으로 작용되는 움집의 자중을 건물 지지판구조(40)에 의해 지지된다. 움집의 하향자중을 지지하므로 기초바닥(70)의 기초를 그만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기초바닥(70)에 대한 기초지반의 다짐 및 보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이 그만큼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건물 지지판구조(40)가 움집의 하향자중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상향으로 작용하는 양압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향자중과 상향양압력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한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수평판이므로 지진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이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슬래브(30)와 동일레벨의 수평판이고, 외부벽체(20) 중앙부에는 지표면에서 지하 1층에 이르는 경사출입통행로(50)가 설치된다. 경사출입통행로(50)는 움집 출입문(56)과 연통된 구조이므로 건물 지지판구조(40)이 바로 경사출입통행로(50)의 바닥판(52)이 된다.
경사출입통행로(50)에는 경사진 계단(54)이 형성된다.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는 지중에 축조된 움집으로 통하는 유일한 출입통로이므로 움집내부의 공기순환의 통로로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강제 순환모터설치가 가능한 지점이다.
건물 지지판구조(40)가 외부벽체(20)를 따라 낙하 공간(44) 없이 하나로 일체로 형성되게 되면 토사가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하부까지 밀실 되게 채우기가 용이하지 않다.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하부까지 토사를 밀실 되게 채우기 위해서는 그만큼 굴착공간을 넓게 파야한다.
낙하 공간(4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외부벽체(20) 중앙부와 외부벽체(20) 단부 쪽에는 넓게 형성하고, 외부벽체(20) 중앙부와 외부벽체(20) 단부사이는 좁게 형성하면서 토사의 낙하 공간(44)을 형성하였다.
외부벽체(20) 중앙부 쪽에 넓게 형성한 것은 경사출입통행로(50)의 바닥판(52)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다.
외부벽체(20) 단부 쪽에 넓게 형성한 것은 인접된 외부벽체(20)에 건물 지지판구조(40)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토사를 낙하시킬 여유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낙하 공간(44)을 통해 토사를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하부까지 밀실 되게 채우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외부벽체(20) 중앙부의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의 바닥판(52)이면서 양압력의 저감구조이고, 움집하중의 지지구조로서 기능을 한다.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의 바닥판(52)이 건물 지지판구조(40)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물 지지판구조(40)가 외부벽체(20)에 형성되는 한 지하1층의 출입문(56)의 위치변경이 가능하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가 있는 외부벽체(20)와 그 맞은편의 외부벽체(20)에 대칭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압력의 저감과 움집하중의 지지가 균형 있게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해서다.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중앙부 쪽에 형성된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의 맞은편 외부벽체(20)의 지하 2층의 창문(62)으로 빛이 들어오는 채광 통로(60)가 경사지게 마련되어있고, 채광 통로(60)의 지표면에는 투명강화유리판(64)가 설치되어있다.
채광 통로(60)를 경사지게 마련한 것은 지하 2층 창문(62)을 통하여 더 많은 자연광을 들어오도록 하기위해서다. 채광 통로(60)의 지표면에는 투명강화유리판(64)이 설치되어있는 것도 이와 같은 의미에서다.
지하 1층 슬래브(30)의 중앙부의 빛 투과면(32)에 투명강화유리판(34) 대신 오목렌즈(36)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오목렌즈(36)를 통해 들어온 빛이 지하 2층으로 더 많이 분산되도록 하기위해서다. 빛 투과면(32)은 직사각형상이 바람직하다.
채광에 방해가 되지 않는 투명강화유리(14) 지붕(10) 일 측에 소규모 태양열 집열판(16)을 설치함으로써 움집내의 전기사용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이외의 움집내부구조는 일반적인 주택실내공간과 동일하다.
예컨대, 움집내부의 지하1층과 지하2층 또는 지하3층 사이에 계단식 통로가 설치된다든지, 공기순환이나 배수구조에 있어서 모터의 강제순환방식인 통상적인 방식을 따른다든지, 투명강화유리(14) 지붕(10)위에 개폐되는 차광막을 설치한다든지, 투명강화유리(14) 지붕(10)에 드레인 구조의 물받이(15)가 형성되는 것 등이 그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벽체에 대칭으로 설치된 건물 지지판구조에 의하여 양압력(P)의 저감구조로서의 기능과, 움집하중의 지지구조로서의 기능과, 그리고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의 바닥판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면서 건물 지지판구조에 의하여 지하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안정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공기의 단축되고 경제적인 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또한 지하 구조물 축조에 있어 지하수위를 낮추는 양압력(P)의 저감구조를 지하수위조절이 아닌 건물 지지판구조로 대체함으로써 움집하중의 지지구조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건물 지지판구조의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기초지반에 대한 공정이 최소화되어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기온의 변화가 일정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지하 움집형태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저렴하게 축조함으로써 냉ㆍ난방비가 최소화될 뿐 아니라 태양열 등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친환경 서민주택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 유용한 발명이다.
[도1] 종래기술의 지하구조물 양압력해소시스템의 설치개념도
[도2a] 종래기술의 저압형태의 양압력해소시스템의 설치개념도
[도2b] 종래기술에 의한 저압형태의 양압력해소시스템의 설치입면도
[도3] 양압력의 관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움집 단면사시도
[도4] 땅속을 절개한 본 발명의 움집 사시도
[도5] 본 발명의 슬래브에 형성된 빛 투과면에 설치되는 투명강화유리판이나 오목렌즈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2a] 종래기술의 저압형태의 양압력해소시스템의 설치개념도
[도2b] 종래기술에 의한 저압형태의 양압력해소시스템의 설치입면도
[도3] 양압력의 관계를 나타낸 본 발명의 움집 단면사시도
[도4] 땅속을 절개한 본 발명의 움집 사시도
[도5] 본 발명의 슬래브에 형성된 빛 투과면에 설치되는 투명강화유리판이나 오목렌즈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이용한 움집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움집이 설치될 장소를 움집의 면적보다 넓게 오픈방식으로 굴착하되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와 그 맞은편 외부벽체(20)에 지하2층의 창문(62)으로 빛이 들어오는 경사진 채광 통로(60)를 갖도록 굴착하는 단계;
⒝ 기초바닥(70)에 잡석 등을 깔고 평평하게 고르고 기초바닥(70)과 외부벽체(20)에 철근을 배근하면서 외부벽체(20)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 상기 기초바닥(70)과 지하 2층의 외부벽체(20)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단계;
⒟ 상기 지하 2층의 외부벽체(20) 및 지하 1층의 외부벽체(20)와, 지하 1층 슬래브(30)와, 그리고 지하 1층 슬래브(30)와 동일레벨의 건물 지지판구조(40) 및 부벽(42)에 철근을 배근하고, 이를 서로 연결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되 건물 지지판구조(40) 및 부벽(42)은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가 있는 맞은편 외부벽체(20)에도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단계;
⒡ 외부벽체(20)위에 지붕프레임(12)을 설치하고 그 위에 투명강화유리(14) 지붕(10)을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에 경사진 계단(54)을, 그리고 그 맞은편 외부벽체(20)에 지하2층 창문(62)으로 빛이 들어오는 채광 통로(60)를 경사지게 설치하면서 채광 통로(60)의 지표면에 투명강화유리판(64)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40)를 이용한 움집의 시공방법이다.
움집내부의 지하1층과 지하2층 또는 지하3층 사이에는 계단식 통로가 설치된다.
지하3층을 축조할 경우 지하2층의 슬래브에 연하여 건물 지지판구조(40)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은 지하2층을 축조하는 방법과 같다.
공기순환이나 배수구조는 모터의 흡입배출에 의한 통상적인 강제순환방식이고, 이는 경사출입통행로(5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강화유리(14) 지붕(10)의 끝단에는 종방향으로 길게 통상적인 물받이(15)가 형성된다.
창호에서 사용되는 개폐가 가능한 통상적인 차광막이 투명강화유리(14) 지붕(10)위에 설치된다.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에는 경사진 계단(54)이 형성된다.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는 지중에 축조된 움집(100)으로 통하는 유일한 통로이므로 움집내부의 공기순환의 통로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외부벽체(20) 중앙부와 외부벽체(20) 단부 쪽에는 넓게 형성하고 외부벽체(20) 중앙부와 외부벽체(20) 단부사이는 좁게 형성하면서 토사의 낙하 공간(44)이 형성되어있다. 낙하 공간(44)을 통하여 토사가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하부까지 밀실 되게 채울 수 있게 된다. 외부벽체(20) 중앙부의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지하1층의 출입통로이면서 양압력을 지지하는 저감구조이고, 움집(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기능을 한다.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양압력을 지지하게 되므로 부벽(42)은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상부에 설치된다.
건물 지지판구조(40)가 움집의 자중을 지지하면서 양압력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움집의 기초바닥(70)이 지지해야할 상부하중의 부담을 건물 지지판구조(40)가 분담하는 구조이므로 기초바닥(70)에 대한 기초지반의 다짐 및 보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이 그만큼 용이하고 빨라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40)가 외부벽체(20)를 따라 낙하 공간(44) 없이 하나로 일체로 형성되게 되면 토사가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하부까지 밀실 되게 채울 수 없다. 밀실 되게 채우기 위해서는 굴착공간을 넓게 파야한다. 토사를 밀어 넣을 수 있는 공간이 그만큼 필요하기 때문이다. 낙하 공간(4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움집,
10; 지붕, 12; 지붕프레임, 14; 투명강화유리, 15; 물받이, 16; 태양열 집열판,
20; 외부벽체,
30; 슬래브, 32; 빛 투과면, 34; 투명강화유리판, 36; 오목렌즈,
40; 건물 지지판구조, 42; 부벽, 44; 낙하 공간,
50; 경사출입통행로, 52; 바닥판, 54; 경사진 계단, 56; 출입문
60; 경사진 채광 통로, 62; 지하 2층의 창문, 64; 투명강화유리판,
70; 기초바닥
10; 지붕, 12; 지붕프레임, 14; 투명강화유리, 15; 물받이, 16; 태양열 집열판,
20; 외부벽체,
30; 슬래브, 32; 빛 투과면, 34; 투명강화유리판, 36; 오목렌즈,
40; 건물 지지판구조, 42; 부벽, 44; 낙하 공간,
50; 경사출입통행로, 52; 바닥판, 54; 경사진 계단, 56; 출입문
60; 경사진 채광 통로, 62; 지하 2층의 창문, 64; 투명강화유리판,
70; 기초바닥
Claims (6)
- 통상의 강제 모터의 팬과 펌프에 의해 작동되는 환기와 배수 구조를 가지면서 지붕만이 지표면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지하 2층 이상의 움집에 있어서
외부벽체(20)는 슬래브(30)와, 그리고 건물 지지판구조(40)와 현장콘크리트로 타설하되 건물 지지판구조(40)는 슬래브(30)와 동일레벨에 있으면서 외부벽체(20)를 기준으로 슬래브(30)와 대칭을 이루고 있는 건물 지지판구조(40)는 건물외부로 돌출되고, 외부벽체(20)와 일체로 연결된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상부 쪽에는 벽체와 연이은 부벽(42)이 설치되며,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중앙부는 지표면에서 지하 1층에 이르는 경사출입통행로(50)의 바닥판(52)이 되고, 또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가 있는 맞은편의 외부벽체(20)에 건물 지지판구조(40)가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한편, 외부벽체(20)의 상부에는 투명강화유리(14)로 된 지붕(10)이 지붕프레임(12)위에 설치되어있고, 지하 1층 슬래브(30)의 중앙부에 투명유리판의 빛 투과면(32)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 제1항에 있어서
외부벽체(20) 중앙부와 외부벽체(20) 단부에는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폭을 넓게 형성하면서 외부벽체(20) 중앙부와 외부벽체(20) 단부사이에는 건물 지지판구조(40)의 폭을 좁게 다수 개 형성하되 그 사이에는 다수의 낙하 공간(44)이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건물 지지판구조(40)의 중앙부 쪽에 형성된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의 맞은편 외부벽체(20)의 지하 2층의 창문(62)으로 빛이 들어오는 채광 통로(60)가 경사지게 마련되어있고, 채광 통로(60)의 지표면에는 투명강화유리판(64)이 설치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 제1항에 있어서
지하 1층 슬래브(30)의 중앙부의 빛 투과면(32)에 투명강화유리판(34) 대신 직사각형상의 오목렌즈(3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 제1항에 있어서
지붕(10)위의 일 측면에 태양열 집열판(16)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 ⒜ 움집이 설치될 장소를 움집의 면적보다 넓게 오픈방식으로 굴착하되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와 그 맞은편 외부벽체(20)에 지하2층의 창문(62)으로 빛이 들어오는 경사진 채광 통로(60)를 갖도록 굴착하는 단계;
⒝ 기초바닥(70)에 잡석 등을 깔고 평평하게 고르고 기초바닥(70)과 외부벽체(20)에 철근을 배근하면서 외부벽체(20)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 상기 기초바닥(70)과 지하 2층의 외부벽체(20)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단계;
⒟ 상기 지하 2층의 외부벽체(20) 및 지하 1층의 외부벽체(20)와, 지하 1층 슬래브(30)와, 그리고 지하 1층 슬래브(30)와 동일레벨의 건물 지지판구조(40) 및 부벽(42)에 철근을 배근하고, 서로 이를 연결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되 건물 지지판구조(40) 및 부벽(42)은 지하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가 있는 맞은편 외부벽체(20)에도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단계;
⒡ 외부벽체(20)위에 지붕프레임(12)을 설치하고 그 위에 투명강화유리(14) 지붕(10)을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지하 1층의 경사출입통행로(50)에 경사진 계단(54)을, 그리고 그 맞은편 외부벽체(20)에 지하2층 창문(62)으로 빛이 들어오는 채광 통로(60)를 경사지게 설치하면서 채광 통로(60)의 지표면에 투명강화유리판(64)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40)를 이용한 움집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8747A KR20140139161A (ko) | 2013-05-24 | 2013-05-24 |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8747A KR20140139161A (ko) | 2013-05-24 | 2013-05-24 |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9161A true KR20140139161A (ko) | 2014-12-05 |
Family
ID=5245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58747A KR20140139161A (ko) | 2013-05-24 | 2013-05-24 |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3916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60559A (zh) * | 2018-01-22 | 2018-08-03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高层建筑地下车库汽车坡道一次性整体浇筑施工工艺方法 |
CN110331840A (zh) * | 2019-07-24 | 2019-10-15 | 曹斌 | 地下室通风井 |
US12031347B2 (en) | 2021-03-09 | 2024-07-09 | Frederick William Scherbauer | Subterranean hotel |
-
2013
- 2013-05-24 KR KR20130058747A patent/KR201401391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60559A (zh) * | 2018-01-22 | 2018-08-03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高层建筑地下车库汽车坡道一次性整体浇筑施工工艺方法 |
CN110331840A (zh) * | 2019-07-24 | 2019-10-15 | 曹斌 | 地下室通风井 |
US12031347B2 (en) | 2021-03-09 | 2024-07-09 | Frederick William Scherbauer | Subterranean hot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836275B (zh) | 用于快速防护冰碛物边坡的景观生态友好型挡墙、实施方法 | |
KR20200078650A (ko) | 가옥 건물 구조 | |
US4336674A (en) | Underground structure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use | |
US20130199113A1 (en) | Floatable Constructions | |
NZ761601A (en) | A modular building system | |
KR20140139161A (ko) | 다기능 건물 지지판구조를 갖는 움집 및 이를 이용한 움집시공방법 | |
CN101469556A (zh) | 一种建筑外墙绿化方法 | |
CN110904992B (zh) | 整体装配式加装电梯的电梯基础构件及其施工方法 | |
RU55388U1 (ru) |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ая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фундамент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малоэтажных зданий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в особых грунтовых условиях и сейсмичности в сборном и монолитном вариантах | |
JP4524490B2 (ja) | 傾斜地保全型建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CN214302989U (zh) | 加建地上装配式停车库 | |
Tambe et al. | How safe are our rural structures? Lessons from the 2011 Sikkim Earthquake | |
KR102154215B1 (ko) |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 |
JPH06983B2 (ja) | 液状化しやすい砂地盤における地中構造物の防護工法 | |
CN209509556U (zh) | 托换无地下室建筑地下空间增层的施工结构 | |
CN208502167U (zh) | 一种用于地坑窑的采光通风天井 | |
JP2014001501A (ja) | 基礎構造体 | |
JP2009209637A (ja) | 埋設構築物の構築方法 | |
CN104563449B (zh) | 景观风井及建筑 | |
JP3532957B2 (ja) | 地下室付き建物 | |
KR20140146691A (ko) | 전기 없이도 밝은 자연 채광형 움집과 그 시공방법 | |
CN213869144U (zh) | 一种机动车和非机动车联合停车场 | |
KR102600671B1 (ko) | 배수판 조립체 | |
CN209179031U (zh) | 一种土质路堑边坡加固防护结构 | |
JP2001234634A (ja) | 傾斜地を利用して建てられる階層建築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